KR101839681B1 -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681B1
KR101839681B1 KR1020160067527A KR20160067527A KR101839681B1 KR 101839681 B1 KR101839681 B1 KR 101839681B1 KR 1020160067527 A KR1020160067527 A KR 1020160067527A KR 20160067527 A KR20160067527 A KR 20160067527A KR 101839681 B1 KR101839681 B1 KR 10183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erial
mortar
steering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506A (ko
Inventor
임관순
Original Assignee
임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순 filed Critical 임관순
Priority to KR102016006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6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직렬블록과, 원통 형상의 조향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블록의 직경은 상기 직렬블록의 전후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상기 직렬블록의 일측면에는 상기 조향블록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면서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측면요입부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벽체나 담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블록의 경계 부위에 줄눈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Block set for revetment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벽체나 담 등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블록의 경계 부위에 줄눈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편리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블록은 건축물의 벽체, 축대, 담 등의 시공을 위해 사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건축자재로서, 단순한 직육면체 형상의 벽돌블록과, 내부에 수직의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블록이 있다.
이러한 건축용 블록으로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블록과 블록을 서로 맞대어 일렬로 배열하면서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모르타르를 발라 고정시키고, 이렇게 한 층이 시공되면 그 위에 모르타르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줄눈을 형성한 후 불록과 블록을 배열하여 새로운 층을 적층시키는 방식, 즉 조적방식으로 벽체의 시공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종래의 건축용 블록으로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블록과 블록 사이, 층 사이에 일일이 모르타르를 발라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면서 시공시간도 많이 소요되었으며, 균일하고 평탄하게 모르타르를 도포하면서 층간의 수평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오랜 경험이 있는 숙련공들만이 시공할 수 있어 고가의 인건비에 따른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이므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어 일직선 형태의 벽체나 담 등을 시공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건축물의 구조나 시공현장에 따라 일정 각도로 굽은 경우 등과 같이 일직선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벽체나 담 등을 시공하기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 현장에서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 일부를 망치 등으로 두둘겨 일정 각도로 절단시킨 후 시공할 수 밖에 없었는 바, 작업효율성이 떨어지고 시공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105569호 : 건축용 블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직선으로 배열되는 직렬블록과 배열방향을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조향블록을 포함하여 일직선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벽체 등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을 배열 및 적층하는 과정에서 모르타르를 일일이 바를 필요없이 블록을 배열 및 적층한 상태에서 모르타르를 일괄적으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줄눈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일측면에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측면요입부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렬블록과, 상기 직렬블록의 전후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직렬블록의 측면요입부가 외주면에 다양한 각도로 밀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조향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블록과 조향블록 각각의 하부에는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하단요입부가 형성됨과 함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하단요입부까지 관통되어 모르타르가 주입될 수 있는 수직주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가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조향블록은 그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직렬블록과 동일한 형상의 연장몸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에 의하면,
원통형상의 조향블록에 직렬블록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열 고정시킬 수 있어 형태의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요구되는 건축물의 벽체, 담 등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블록들의 양 끝단을 맞추어 배열 및 적층한 후 모르타르를 일괄 주입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한결 편리하면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이러한 작업성의 향상에 따라 경험이 많지 않은 미숙련공이라도 원활한 시공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줄눈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외부로 모르타르가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공된 벽체 등의 외관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를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직렬블록의 단면과 “B-B”선에 따른 조향블록의 단면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직렬블록과 조향블록의 다른 예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조향블록에 직렬블록 한쌍이 상이한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직렬블록과 조향블록이 배열된 벽체의 평면상태를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결합되어”, “설치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결합,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이하, “블록세트”라 약칭함.)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세트는 두 종류의 블록인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것처럼 건축용 블록은 벽돌블록과 콘크리트블록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블록세트는 벽돌블록과, 수직의 중공부를 갖는 콘크리트블록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벽돌블록 형태만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직렬블록(10)은 서로 간에 나란하게 배열되면서 적층됨으로써 일직선 형태의 벽체나 축대 또는 담(이하, ‘벽체’로 통칭함.)을 구성하게 되는 블록이다.
따라서, 상기 직렬블록(10)은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통상적인 건축용 블록과 동일하게 전체적인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직렬블록(10)의 좌우 길이방향 일측면에는 측면요입부(11)가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요입부(11)는 직렬블록(10)의 측면이 후술하는 조향블록(2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기능하며, 또한 직렬블록(10)이 상기 조향블록(20) 또는 다른 직렬블록(10)과 상호 대면하여 밀착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측면요입부(11)는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직렬블록(1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3의 (a)에 일 예시된 것처럼 양쪽 측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조향블록(20)은 상기 직렬블록(10)과 직렬블록(10) 사이에 위치되어 직렬블록(10)들 상호간의 배열방향을 가변시킴으로써 일직선이 아닌 다른 형태의 벽체가 시공될 수 있게 하는 블록이다.
이를 위한 조향블록(20)은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향블록(20)은 상기 직렬블록(10)과 상하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직렬블록(10)이 외주면의 다양한 방향에서 밀착이 가능하도록 직경은 직렬블록(10)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에는 줄눈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간편한 적층시공이 가능하도록 각각 도 1 및 도 2에 일 예시된 것처럼, 하단요입부(12, 22)와 수직주입부(13, 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요입부(12, 22)는 상기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 각각의 하부에 상향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요입부(12, 22)는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이 적층되면, 하층을 이루고 있는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 상면과의 사이에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수직주입부(13, 23)는 상기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하단요입부(12, 22)까지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주입부(13, 23)는 상기 하단요입부(12, 22)와 연통됨으로써 상기 하단요입부(12, 22)로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직주입부(13, 23)는 직렬블록(10) 또는 조향블록(2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모르타르의 용이한 주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갯수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원형의 구멍형태나 장형 구멍의 형태 등으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에 하단요입부(12, 22)와 수직주입부(13, 23)가 형성되면, 다수의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을 조합 배열하여 적층한 상태에서 수직주입부(13, 23)를 통해 모르타르를 일괄적으로 주입하여 하단요입부(12, 22)에 충진시키게 되면 하단요입부(12, 22)에 충진된 모르타르가 경화되면서 블록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블록 하층부 위에 모르타르를 균일하게 도포하면서 층의 수평을 맞추는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조향블록(20)은 도 3의 (b)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연장몸체(21)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연장몸체(21)는 조향블록(20)의 외주면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직렬블록(10)과 동일한 형상, 즉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연장몸체(21)가 더 형성된 조향블록(20)의 경우에는 배열방향의 변경시 하나의 직렬블록(10)이 외주면의 일측에 결합되고 다른 직렬블록(10)은 연장몸체(21)에 결합되는 구조로 배열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세트로 조적식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도 4와 도 5에 일 예시된 것처럼, 먼저 직렬블록(10) 상호간에 양측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일직선으로 배열하고, 마지막 직렬블록(10)에 조향블록(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벽체 형태에 따라 조향블록(20)의 다른쪽 외주면에 상이한 방향으로 직렬블록(10)을 밀착시킨 후 다시 다수의 직렬블록(10)을 일직선으로 배열시킨다.
그리고 직렬블록(10) 상호간의 밀착부분 및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의 밀착부분에 있는 측면요입부(11)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충진시킴으로써 배열된 블록들을 상호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고정된 블록층 위에 다시 동일한 방식으로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을 배열 조합하여 적층시킨 후, 측면요입부(11)에 모르타르를 주입 충진하여 배열된 블록들을 상호 고정시킴과 함께 수직주입부(13, 23)에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하단요입부(12, 22)에 모르타를 충진시킴으로써 상하 블록층 상호간을 고정시키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블록층을 적층해나감으로써 조적식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블록세트는 직렬블록과 함께 조향블록이 조합 배열됨으로써 굽은 형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블록들을 배열하고 적층하면서 일괄적으로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블록층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직렬블록 20: 조향블록
11: 측면요입부 21: 연장몸체
12/22: 하단요입부 13/23: 수직주입부

Claims (3)

  1. 일측면에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측면요입부(11)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직렬블록(10);
    상기 직렬블록(10)의 전후 폭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직렬블록(10)의 측면요입부(11)가 외주면에 다양한 각도로 밀착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조향블록(20)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블록(10)과 조향블록(20) 각각의 하부에는 모르타르가 충진될 수 있는 하단요입부(12, 22)가 형성됨과 함께,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하단요입부(12, 22)까지 관통되어 모르타르가 주입될 수 있는 수직주입부(13, 23)가 각각 형성되는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블록(20)은 그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직렬블록(10)과 동일한 형상의 연장몸체(21)가 더 형성되는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KR1020160067527A 2016-05-31 2016-05-31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KR10183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27A KR101839681B1 (ko) 2016-05-31 2016-05-31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27A KR101839681B1 (ko) 2016-05-31 2016-05-31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06A KR20170135506A (ko) 2017-12-08
KR101839681B1 true KR101839681B1 (ko) 2018-03-16

Family

ID=6092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527A KR101839681B1 (ko) 2016-05-31 2016-05-31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719B (zh) * 2018-12-15 2021-05-04 江苏华淼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组合砖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06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5068B2 (en) Solid reinforced concrete column based on arrangement of triangular reinforcing bar network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KR101545649B1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코핑 시공방법
AU2018200694A1 (en) Formwork
JP6220581B2 (ja) 壁体、壁体の施工方法
US20180112400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JP2014055517A (ja) プレキャスト柱梁の接合構造
JP200634866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RU2683457C2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и фасадная стена, выполненна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их блоков
KR20150093523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파일 접합 구조체
JP6861472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
KR101839681B1 (ko)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US6443418B1 (en) Ultra thin-type form panel, a form employ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KR101604726B1 (ko)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00024A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80031258A (ko) 반도체공장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부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JP6969979B2 (ja) 組積造構造物の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117176B1 (ko) 기초 콘크리트 제작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JP5959553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部材および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方法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KR101308055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EP3037598A1 (en) Water stop structure
JP2009281011A (ja) コンクリート建造物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WO2015089099A1 (en) Improved structural construction using blocks
JP620901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