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88B1 - 옹벽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488B1
KR101419488B1 KR1020130006832A KR20130006832A KR101419488B1 KR 101419488 B1 KR101419488 B1 KR 101419488B1 KR 1020130006832 A KR1020130006832 A KR 1020130006832A KR 20130006832 A KR20130006832 A KR 20130006832A KR 101419488 B1 KR101419488 B1 KR 10141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hole
reinforcing
retaining wall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효
이규원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앤이
Priority to KR1020130006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23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driving a conic or wedge-shaped expander through the threaded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축조 과정에서 전방의 옹벽과 후방의 지지물(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옹벽 축조용 유닛과, 상기 옹벽 축조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로서, 일단의 내면에 제 1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의 내면에 제 2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몸체(10);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0);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20)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210); 상기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220); 상기 제 1 쐐기 부재(220)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30)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310); 상기 2 결합부재(3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320); 상기 제 2 쐐기 부재(320)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3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330)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 연결 구조물{COUPLING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옹벽 축조 과정에서 전방의 옹벽과 후방의 지지물(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제방, 도로, 아파트 단지, 기타 비탈면에는 성토지 및 절토지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축조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콘크리트 타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석 또는 인조석을 이용하는 옹벽구조물이 널리 보급되고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옹벽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옹벽 구조물의 후방에 위치한 경사지반에 전방의 옹벽 구조물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물(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그 후방 지지물을 형성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의 후방에 위치한 경사지반에 소일 네일(1000)을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함과 동시에, 별도의 이음부재(2000)를 이용하여 전방의 옹벽 구조물에 형성된 앵커(3000)와 소일 네일(1000)을 직접 연결시키는 시공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방의 옹벽 구조물과 소일 네일(1000)을 연결시키는 구조(또는 방법)가 견고하지 못한 연유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옹벽 구조물과 소일 네일(1000)의 연결 시공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옹벽 구조물에 설치된 앵커(3000)에 L자형의 전방앵글(4000)을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하고, 마찬가지로 후방의 소일 네일(5000)에 L자형의 후방앵글(6000)을 용접 등에 의하여 설치한 이후에 이음부재(2000)를 통하여 전방앵글(4000)과 후방앵글(6000)을 용접 고정해야 하므로, 옹벽 구조물과 소일 네일(1000)의 연결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그것의 이음 연결 강도 또한 원하는 요구도 만큼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옹벽 구조물과 옹벽 지지물(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의 연결 시공 방법을 단순화시킬 뿐만 아니라 그것의 이음 연결 강도를 소정 요구도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는, 옹벽 축조용 유닛과, 상기 옹벽 축조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로서, 일단의 내면에 제 1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의 내면에 제 2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몸체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연결몸체의 외면 중앙 부분의 둘레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옹벽 연결 구조물은 상기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와 사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내면에 제 3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사슬부; 및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 상기 3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옹벽 연결 구조물은 상기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와 사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내면에 제 4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사슬부; 및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4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결부는,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결합부재; 상기 4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쐐기 부재; 상기 제 4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4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스프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4 쐐기 부재의 각각의 외면의 일측 단부에는 링 결합용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조각편은 3 개의 조각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 결합용 홈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각편을 결합 및 고정시키는 탄성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형태는, 옹벽 축조용 유닛과, 상기 옹벽 축조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로서, 내면에 제 1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사슬부와 내면에 제 2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사슬부가 서로 사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사슬형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제 1 나사홈부와 제 2 나사홈부와 제 3 나사홈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 상기 3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형태는, 제 1 나사홈부와 제 2 나사홈부와 제 3 나사홈부와 제 4 나사홈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十자 형상의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 상기 3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결부는,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결합부재; 상기 4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쐐기 부재; 상기 제 4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4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옹벽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옹벽 연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의 외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들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옹벽 연결 구조물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 내지 도 6d는 도 6a의 옹벽 연결 구조물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옹벽 연결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의 가장 큰 특징은 옹벽(A)으로부터 연장되는 철근(S1)과 결합되는 옹벽측 연결 구조물(20)과 지지물(B)(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 도면에는 지지석으로 표현되어 있음)로부터 연장되는 철근(S2)과 결합되는 지지물측 연결 구조물(30)을 각각 연결몸체(10)에 나사 결합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옹벽(A)과 지지물(B)을 소정 요구도 이상의 이음 연결 강도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은 내면에 옹벽연결용 제 1 나사홈부(11a)와 지지물 연결용 제 2 나사홈부(11b)가 각각 형성된 연결몸체(10)와, 제 1 나사홈부(11a)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0)(도면에서는 옹벽(A)측 연결부)와, 제 2 나사홈부(10b)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30)(도면에서는 지지물(B)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1 연결부(20)는 제 1 나사홈부(11a)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212) 및 쐐기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210)와,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쐐기 부재(220)와, 제 1 쐐기 부재(220)에 대하여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 연결부(30)는 제 2 나사홈부(11b)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312) 및 쐐기 결합공(3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310)와, 제 2 결합부재(3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쐐기 부재(320)와, 제 2 쐐기 부재(320)에 대하여 제 2 결합부재(3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결합부재(210)는 그것의 일측에 철근 관통공(2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옹벽 구조물(A)로부터 연장된 철근(S1)을 철근 관통공(212)에 관통시킬 수 있다. 이 철근 관통공(212)은 후술하는 쐐기 결합공(213)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재(210)는 그것의 타측에 제 1 쐐기 부재(220)와 대응하는 형상(예를 들면, 원추 형상)의 쐐기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쐐기 부재(220)가 쐐기 결합공(213) 상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쐐기 부재(220)는 다수의 조각편들(예를 들어, 3 개의 조각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다수의 조각편들이 조립결합되는 경우에는 원추 형상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원추 형상의 제 1 쐐기 부재(220)의 외면 중의 일측 단부에는 링 결합용 홈(2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조각편들이 원추 형상으로 조립된 이후에는 링 결합용 홈(222)에 탄성링(223)을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조각편들의 임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재(210)의 철근 관통공(212)을 관통한 후 쐐기 결합공(213)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철근(S1) 중의 일부의 외면에는 상기 다수의 조각편들이 조립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조립 고정이 완료된 이후에 링 결합용 홈(222)에 탄성링(223)을 설치함으로써 그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쐐기 부재(220)는 제 1 결합부재(210)의 쐐기 결합공(213)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철근(S1)이 옹벽 구조물(A)측으로 당겨질수록, 제 1 쐐기 부재(220)의 내면에 조립 결합된 철근(S1)에 대해 더 큰 조임력(clamp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프링 부재(230)는 제 1 결합부재(210)가 연결몸체(10)에 나사산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쐐기 부재(220)가 제 1 결합부재(210)의 쐐기 결합공(213) 내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제 2 결합부재(310)는 그것의 일측에 철근 관통공(31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옹벽 후방측의 지지물(B)로부터 연장된 철근(S2)을 철근 관통공(312)에 관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철근 관통공(312)은 후술하는 쐐기 결합공(313)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재(310)는 그것의 타측에 제 2 쐐기 부재(320)와 대응하는 형상(예를 들면, 원추 형상)의 쐐기 결합공(31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쐐기 부재(320)가 쐐기 결합공(313) 상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쐐기 부재(320)는 제 1 쐐기 부재(22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조각편들(예를 들어, 3 개의 조각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다수의 조각편들이 조립결합되는 경우에는 원추 형상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쐐기 부재(220)와 마찬가지로 원추 형상의 제 2 쐐기 부재(320)의 외면 중의 일측 단부에는 링 결합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조각편들이 원추 형상으로 조립된 이후에는 링 결합용 홈에 탄성링을 더 설치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조각편들의 임의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결합부재(310)의 철근 관통공(312)을 관통하고 쐐기 결합공(313)을 통과한 후 외부로 연장된 철근(S2) 중의 일부의 외면에는 상기 다수의 조각편들이 조립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조립 고정이 완료된 이후에 링 결합용 홈에 탄성링을 설치함으로써 그 결합이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쐐기 부재(320)는 제 2 결합부재(310)의 쐐기 결합공(313) 상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므로, 철근(S2)이 지지물(B)측으로 당겨질수록, 제 2 쐐기 부재(320)의 내면에 조립 결합된 철근(S2)에 대해서 더 큰 조임력(clamp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프링 부재(330)는 제 2 결합부재(310)가 연결몸체(10)에 나사산 결합한 상태에서, 제 2 쐐기 부재(320)가 제 1 결합부재(310)의 쐐기 결합공(313) 내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선 형상의 연결몸체(10)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의 연결몸체(10')로 변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이 제 1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의 가장 큰 특징은 옹벽(A)으로부터 연장된 철근(S1)과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0)를 제 1 사슬부(10A)에 나사 결합시키고, 지지물(B)로부터 연장된 철근(S2)과 결합되는 제 2 연결부(30)를 제 2 사슬부(10B)에 나사 결합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옹벽(A)과 지지물(B)의 상대적 위치에 관계없이(즉, 옹벽(A)과 지지물(B)이 수평 위치 관계에 놓이지 않은 경우라도), 옹벽(A)과 지지물(B)을 소정 요구도 이상의 이음 연결 강도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은 제 1 실시예의 연결몸체(10)가 사슬형 연결몸체(10A, 10B)로 대체된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을 구성하는 사슬형 연결몸체(10A, 10B)는 내면에 제 1 나사홈부(11a)가 형성된 제 1 사슬부(10A)와, 내면에 제 2 나사홈부(11b)가 형성된 제 2 사슬부(10B)로 구성되며, 제 1 사슬부(10A)와 제 2 사슬부(10B)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들이 서로 사슬 결합되어 있으므로 0 ~ 360 도 범위 이내에서 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사슬부(10A)의 제 1 나사홈부(11a)에는 제 1 연결부(20)의 나사산이 결합되고, 제 2 사슬부(10B)의 제 2 나사홈부(11b)에는 제 2 연결부(30)의 나사산이 결합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연결부(20)는 제 1 나사홈부(11a)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212) 및 쐐기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210)와,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쐐기 부재(220)와, 제 1 쐐기 부재(220)에 대하여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 연결부(30)는 제 2 사슬부(10B)의 제 2 나사홈부(11b)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제 1 연결부(20)의 구성요소들과 대응되는 구조의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을 이용할 경우에는 옹벽(A)과 지지물(B)이 수평 위치 관계에 놓이지 않은 경우라도, 옹벽(A)과 지지물(B)을 소정 요구도 이상의 이음 연결 강도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그것의 변형예 및 제 2 실시예를 이용한 작용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그것의 변형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들(1a, 1a', 1b)의 작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은 옹벽 축조용 유닛들(예를 들어, 천연석 또는 인조석 등)(A-1, A-2, A-3)을 다단(도면에서는 3단)으로 축조한 후에(또는 축조하면서) 각각의 옹벽 축조용 유닛들(A-1, A-2, A-3)을 그것의 후방에 배치된 지지물(예컨대, 지지석 또는 소일 네일)(B-1, B-2, B-3, B-4, B-5, B-6)에 고정하는 방법을 통해 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옹벽 축조용 유닛들(A-1, A-2, A-3)에는 옹벽 연결 구조물(1a, 1a', 1b)과 결합되는 연결구조(예를 들면, 철근)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지지물(B-1, B-2, B-3, B-4, B-5, B-6)에는 옹벽 연결 구조물(1a, 1a', 1b)과 결합되는 연결구조(예를 들면, 철근)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옹벽 축조용 유닛(A-3)의 상단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을 이용하여 대략 수평한 위치에 배치된 지지석(B-6)과 연결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옹벽 축조용 유닛(A-1)의 상단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을 이용하여 수평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도면에서는 수평 위치에서 하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소일 네일(soil nail)(B-2)과 연결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옹벽 축조용 유닛(A-1)의 하단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을 이용하여 수평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도면에서는 수평 위치에서 하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지지석(B-1)과 연결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옹벽 축조용 유닛(A-2)의 상단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을 이용하여 대략 수평한 위치에 배치된 소일 네일(soil nail)(B-4)과 연결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옹벽 축조용 유닛(A-2)의 하단부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b)을 이용하여 수평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도면에서는 수평 위치에서 하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 소일 네일(B-3)과 연결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들(1a, 1a', 1b)을 이용할 경우에는, 옹벽 축조용 유닛(A-1, A-2, A-3)과 지지물(B-1, B-2, B-3, B-4, B-5, B-6)의 위치 배열과 관계없이(즉, 수평 위치 배열에 있든 수평에서 벗어난 위치 배열에 있든 관계없이) 옹벽 축조용 유닛(A-1, A-2, A-3)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구조와 지지물(B-1, B-2, B-3, B-4, B-5, B-6)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구조를 옹벽 연결 구조물(1a, 1a', 1b)에 접속 결합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옹벽 축조용 유닛(A-1, A-2, A-3)과 지지물(B-1, B-2, B-3, B-4, B-5, B-6)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 연결된 옹벽 축조용 유닛(A-1, A-2, A-3)과 지지물(B-1, B-2, B-3, B-4, B-5, B-6) 사이의 이음 연결 강도가 소정 요구도 이상의 강한 이음 연결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수차례의 반복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제 3 실시예]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 및 도 5c는 도 5a의 옹벽 연결 구조물(1c)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c)은 제 1 실시예의 연결몸체(10)가 'T'자형 연결몸체(10-1)로 대체되고,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1 연결부(20)와 제 2 연결부(30) 이외에 제 3 연결부(40)가 더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c)을 구성하는 'T'자형 연결몸체(10-1)는 내면에 제 3 나사홈부(11c)가 형성된 돌출된 형상의 연결몸체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서 제 3 연결부(40)와 나사산 결합한다.
제 3 연결부(40)는 제 3 나사홈부(11c)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412) 및 쐐기 결합공(4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410)와, 제 3 결합부재(4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쐐기 부재(420)와, 제 3 쐐기 부재(420)에 대하여 제 3 결합부재(4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c)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0) 및 제 2 연결부(30)를 이용하여 옹벽 축조용 유닛(A)을 고정하는 철근(S1, S2)을 연결시키고, 제 3 연결부(40)를 이용하여 지지물(B)을 고정하는 철근(S3)을 연결시키는 단순한 과정을 통하여, 옹벽 축조용 유닛(A)과 지지물(B)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c)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20) 및 제 2 연결부(30)를 통하여 복수의 옹벽 축조용 유닛들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옹벽 시공 방법이 더욱 편리하며 공사 기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옹벽 연결 구조물(1d)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은 제 1 실시예의 연결몸체(10)의 외면 중앙 부위에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가 더 설치된 연결몸체(10-2a)를 구비하고, 이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와 사슬 결합되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가 더 포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을 구성하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에 사슬 결합되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의 둘레 방향에서 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을 구성하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의 나사홈부(11c)에는 제 1 추가 연결부(40)가 나사산 결합된다.
또한, 제 1 추가 연결부(40)는 나사홈부(11c)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412) 및 쐐기 결합공(4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추가 결합부재(410)와, 제 1 추가 결합부재(4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추가 쐐기 부재(420)와, 제 1 추가 쐐기 부재(420)에 대하여 제 1 추가 결합부재(4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추가 스프링 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 1 연결부(20) 및 제 2 연결부(30)를 이용하여 옹벽 축조용 유닛(A)을 고정하는 철근을 연결시키고, 제 1 추가 연결부(40)를 이용하여 지지물(B)을 고정하는 철근을 연결시키는 단순한 과정을 통하여, 옹벽 축조용 유닛(A)과 지지물(B)을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d)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가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의 둘레 방향에서 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옹벽 축조용 유닛(A)과 지지물(B)이 수평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연결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제 5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e)은 제 1 실시예의 연결몸체(10)가 '十'자형 연결몸체(10-3)로 대체되고, 또한 제 1 실시예의 제 1 연결부(20)와 제 2 연결부(30) 이외에 제 3 연결부(40)와 제 4 연결부(50)가 더 추가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과 동일하다.
또한, 제 3 연결부(40)는 앞서 도 5a를 통해 설명한 제 3 실시예의 연결부(40)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제 4 연결부(5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 5 연결부(50)는 '十'자형 연결몸체(10-3)의 제 4 나사홈부(11d)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512) 및 쐐기 결합공(5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결합부재(510)와, 제 4 결합부재(5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쐐기 부재(520)와, 제 4 쐐기 부재(520)에 대하여 제 4 결합부재(5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스프링 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7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e')을 나타내고 있다.
본 변형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e')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十'자형 연결몸체(10-3)의 중앙 부위에 고정용 홀(H)이 형성된 연결몸체(10-3')로 변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이 제 5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다.
본 변형예에 의할 경우, 연결몸체(10-3')의 중앙 부위에 형성된 고정용 홀(H)에 고정용 수단(예컨대, 고정용 핀 등)을 삽입 고정하는 것에 의해 옹벽 연결 구조물(1e')을 특정 대상(예컨대,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f)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f)은 제 1 실시예의 연결몸체(10)의 외면 중앙 부위에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가 더 설치된 구조의 연결몸체(10-2a)를 구비하고 있고, 이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와 사슬 결합되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 및 제 2 추가 사슬부(10-2c)가 더 포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a)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f)을 구성하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에 사슬 결합되는 제 1 추가 사슬부(10-2b) 및 제 2 추가 사슬부(10-2c)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의 둘레 방향에서 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 추가 사슬부(10-2b)는 앞서 도 6a를 통해 설명한 제 4 실시예의 추가 사슬부(40)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에서는 제 2 추가 사슬부(10-2c)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f)을 구성하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에 사슬 결합되는 제 2 추가 사슬부(10-2c)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의 둘레 방향에서 임의 각도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연결 구조물(1f)을 구성하는 제 2 추가 사슬부(10-2c)의 나사홈부(11d)에는 제 2 추가 연결부(50)가 나사산 결합된다.
또한, 제 2 추가 연결부(50)는 나사홈부(11d)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512) 및 쐐기 결합공(51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추가 결합부재(510)와, 제 1 추가 결합부재(5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추가 쐐기 부재(520)와, 제 1 추가 쐐기 부재(520)에 대하여 제 1 추가 결합부재(5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추가 스프링 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상 설명한 옹벽 연결 구조물들(1a ~ 1d)은 금속재, 목재, 플라스틱재 중의 하나의 재질 또는 복합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a ~ 1d: 옹벽 연결 구조물 10: 연결몸체(10)
20: 제 1 연결부 30: 제 2 연결부
40: 제 3 연결부 50: 제 4 연결부
210: 제 1 결합부재 220: 제 1 쐐기 부재
230: 제 1 스프링 부재 S1 ~ S4: 철근
A: 옹벽 축조용 유닛 B: 지지물

Claims (10)

  1. 옹벽 축조용 유닛과, 상기 옹벽 축조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로서,
    일단의 내면에 제 1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의 내면에 제 2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몸체(10);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0);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20)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210);
    상기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220);
    상기 제 1 쐐기 부재(220)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2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30)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310);
    상기 2 결합부재(3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320);
    상기 제 2 쐐기 부재(320)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3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3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10)의 외면 중앙 부분의 둘레에는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옹벽 연결 구조물은 상기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와 사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내면에 제 3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사슬부(10-2b); 및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40)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410);
    상기 3 결합부재(4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420);
    상기 제 3 쐐기 부재(420)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4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430)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10)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연결 구조물은 상기 고리 형상의 연결부재(12)와 사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내면에 제 4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사슬부(10-2c); 및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4 연결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결부(50)는,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결합부재(510);
    상기 4 결합부재(510)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쐐기 부재(520);
    상기 제 4 쐐기 부재(520)에 대하여 상기 제 4 결합부재(510)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스프링 부재(530)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쐐기 부재(220), 상기 제 2 쐐기 부재(320), 상기 제 3 쐐기 부재(420), 상기 제 4 쐐기 부재(520)의 각각의 외면의 일측 단부에는 링 결합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각편은 3 개의 조각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 결합용 홈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각편을 결합 및 고정시키는 탄성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8. 옹벽 축조용 유닛과, 상기 옹벽 축조용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물을 서로 연결시키는 옹벽 연결 구조물로서,
    내면에 제 1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사슬부와 내면에 제 2 나사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2 사슬부가 서로 사슬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사슬형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9. 제 1 나사홈부와 제 2 나사홈부와 제 3 나사홈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T자 형상의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
    상기 3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10. 제 1 나사홈부와 제 2 나사홈부와 제 3 나사홈부와 제 4 나사홈부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十자 형상의 연결몸체;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1 연결부;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2 연결부;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3 연결부; 및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제 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쐐기 부재;
    상기 제 1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2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결합부재;
    상기 2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쐐기 부재;
    상기 제 2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2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결부는,
    상기 제 3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3 결합부재;
    상기 3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3 쐐기 부재;
    상기 제 3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3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연결부는,
    상기 제 4 나사홈부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 및 쐐기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4 결합부재;
    상기 4 결합부재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 형상을 갖고, 그 내면에는 철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조각편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제 4 쐐기 부재;
    상기 제 4 쐐기 부재에 대하여 상기 제 4 결합부재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4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연결 구조물.
KR1020130006832A 2013-01-22 2013-01-22 옹벽 연결 구조물 KR10141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32A KR101419488B1 (ko) 2013-01-22 2013-01-22 옹벽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832A KR101419488B1 (ko) 2013-01-22 2013-01-22 옹벽 연결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488B1 true KR101419488B1 (ko) 2014-07-14

Family

ID=5174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832A KR101419488B1 (ko) 2013-01-22 2013-01-22 옹벽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4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04B1 (ko) 2016-03-16 2017-01-23 공학봉 옹벽용 연결장치
CN107419737A (zh) * 2017-08-25 2017-12-01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土钉边坡支护结构及方法
KR102182218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2661358B1 (ko) * 2023-08-17 2024-04-29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시공을 위한 자연석 고정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33B1 (ko) * 2005-05-26 2007-05-28 (주)대도산업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101036594B1 (ko) 2011-01-26 2011-05-24 김병섭 철근 커플러
KR200455432Y1 (ko) * 2010-09-17 2011-09-06 주식회사 브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33B1 (ko) * 2005-05-26 2007-05-28 (주)대도산업 원터치식 철근 연결구
KR20070094294A (ko) * 2006-03-17 2007-09-20 홍건영 옹벽용 보강재 연결기구
KR200455432Y1 (ko) * 2010-09-17 2011-09-06 주식회사 브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101036594B1 (ko) 2011-01-26 2011-05-24 김병섭 철근 커플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04B1 (ko) 2016-03-16 2017-01-23 공학봉 옹벽용 연결장치
CN107419737A (zh) * 2017-08-25 2017-12-01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管土钉边坡支护结构及方法
KR102182218B1 (ko) * 2019-08-01 2020-11-24 김기형 네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절토부옹벽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102661358B1 (ko) * 2023-08-17 2024-04-29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시공을 위한 자연석 고정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488B1 (ko) 옹벽 연결 구조물
RU2747784C1 (ru) Составно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RU2457886C2 (ru) Средств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и набор связанных между собой строительных блоков
CN109415897A (zh) 结构材料接头和结构体
KR100973437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0905834B1 (ko) 장난감 축조 세트
CN101346550A (zh) 钢筋卡定件
US20110023406A1 (en) Rotating Spigot For Trusses
JP3221190U (ja) 鉄筋カプラー
JP2008095928A (ja) 締結部材
KR20080066382A (ko) 탄성 결합체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20150069085A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1391316B1 (ko) 콘크리트 매설용 너트
US20210025422A1 (en) Joining system for mechanically joining two materials
RU2688280C1 (ru) Конструктор моделей
KR101958142B1 (ko) 콘크리트 제품의 상호 연결 부재
KR20170103284A (ko) 철근 커플러
KR20180041845A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TWI645888B (zh) 積木之連接部件套組
JP4808854B2 (ja) 取付物の結合金具
KR101274102B1 (ko) 사면 보강용 연결 고정체
KR100616320B1 (ko) 26방향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KR101598190B1 (ko) 타격조립형 고정장치
KR102082665B1 (ko) 파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