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432Y1 -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432Y1
KR200455432Y1 KR2020100009793U KR20100009793U KR200455432Y1 KR 200455432 Y1 KR200455432 Y1 KR 200455432Y1 KR 2020100009793 U KR2020100009793 U KR 2020100009793U KR 20100009793 U KR20100009793 U KR 20100009793U KR 200455432 Y1 KR200455432 Y1 KR 200455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anchor
fixing head
underground
wal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룸
Priority to KR2020100009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과 지중앵커와의 긴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절토 사면에 매설되는 지중앵커와 상기 절토 사면의 전방에 축조되는 블록을 연결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고정헤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스프링캡; 상기 스프링캡의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 입구측의 내경은 작고 출구측의 내경은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중앵커가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나사부, 상기 스프링캡이 체결되도록 내측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가 구비된 앵커고정헤드; 및 상기 앵커고정헤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지중앵커를 압박, 고정하는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중앵커와 블록을 서로 결속한 상태에서도 앵커고정헤드를 조작하여 조임 또는 풀림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지중앵커와 블록의 긴장력이 조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전체를 해체하거나 지중앵커를 절단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적절한 긴장력의 조정을 통해 옹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옹벽시공용 연결장치{CONNECTOR FOR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고안은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과 지중앵커와의 긴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건설, 주택단지 조성, 수로 및 제방공사 등의 각종 토목공사의 시행과정에는 절토 작업을 수반하게 되는데, 절토 작업을 통해 형성된 절개지는 그 자체적인 지지력이 취약하고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옹벽을 시공하게 된다.
옹벽은 다양한 시공방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고, 최근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96994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 커플러 및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과 지중볼트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시공방법 중에서 시공현장의 조건이나 상황 등에 따라 선택되어 적용된다.
도1에 도시된 옹벽 구조물은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원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 사면(a)을 형성하고, 절토 사면(a)에 소정 간격으로 매설홀을 천공하여 지중볼트(10)를 삽입한 후 그라우팅을 주입한다. 이후, 기초면상에 설치되는 블록(20)과 절토 사면(a)으로 노출된 지중볼트(10)를 연결함으로써 블록(20)에 작용되는 전도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옹벽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옹벽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블록은 지중볼트(10)의 삽입을 위해 블록몸체(21)의 중앙에 관통공(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관통공(22)으로 삽입되는 지중볼트의 노출부(12)를 고정너트(14) 등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게 된다. 이때, 지중볼트(10)는 블록(20) 설치지점과 절토 사면(a)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비교적 길게 노출되도록 매설하고, 적층되는 블록(20)의 수량에 비해 매설되는 지중볼트(10)의 수량은 매우 한정된 수량(대개 1.5m 이상의 간격으로 매설됨)이므로 일부 블록에만 지중볼트를 연결하고, 인접하는 블록(20)들은 지중볼트(10)와 연결된 블록(20)에 접촉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지중볼트(10)와 블록(20)을 연결하는 과정에는 블록(20)의 관통공(22)과 지중볼트(10)의 설치각도가 동축을 이루지 않으므로 노출부(12)를 밴딩하여 연결할 필요가 있다.
노출부(12)의 밴딩작업은 쉽게 구부러지지 않은 철근 등의 환봉을 블록(20)측으로 구부려서 시행하게 되므로 비교적 큰 곡률반경으로 만곡되는 만곡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만곡부에 옹벽의 시공과정이나 옹벽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예기치 않은 외력이 작용될 경우, 만곡부가 펼쳐지면서 블록(20)을 앞쪽으로 밀어내어 옹벽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즉, 블록과 절토 사면 사이에 뒤채움 작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노출부(12)의 만곡부를 밟게 되거나 낙하물 또는 장비 등에 의해 만곡부에 충격력이 작용되면, 이 만곡부가 펼쳐지면서 팽창되므로 노출부(12)의 단부와 연결된 블록을 전면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블록이 옹벽으로부터 이탈되면, 연이어 인접한 블록들의 침하와 이탈이 발생되고, 결국에는 옹벽의 붕괴가 초래되므로 옹벽의 내구성에 심각한 결함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블록과 절토 사면 사이에 뒤메움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 메워지는 충진물의 자중이 매우 크고, 뒤메움 작업시에 하부까지 잘 다져질 수 있도록 장비 등을 이용하여 큰 힘을 인가하게 되므로 옹벽측으로 전도력이 작용된다. 이때 블록(20)은 지중볼트(10)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지중볼트의 노출부(12)가 구부러진 상태에 있으므로 만곡부가 펼쳐지면서 옹벽이 앞쪽으로 전도되어 붕괴되거나 요구되는 강성을 유지할 수 없고, 적절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지중볼트(10)의 밴딩작업은 직경이 큰 봉재를 구부려야 하므로 힘들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시공비와 시공기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또한, 밴딩작업으로 인해 지중볼트(10)의 노출부(12)가 불규칙적으로 서로 엉키게 되어 성토가 채워지는 공간이 복잡해지게 되므로 성토작업시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증가된다.
아울러, 종래 옹벽 시공방법은 지중볼트(10)의 매설 지점에 위치한 블록만이 지중볼트(10)에 고정되고, 나머지 블록들은 별도로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중볼트(10)에 고정된 일부 블록에 의존하여 지지되므로 지반 침하, 핵석 이탈 등의 작은 요인으로도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옹벽의 강성약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51356호로 개시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안출하게 되었다.
상기한 등록번호 제10-0851356호의 옹벽구조물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 사면에 소정 간격으로 삽입되고 절토 사면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는 노출부를 갖도록 설치되는 지중볼트(200), 절토 사면의 앞쪽에 옹벽을 형성하도록 적층되는 다수의 블록(100), 각 블록에 일측이 걸림되는 제1 연결부재(300), 및 노출부의 자유단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으로 복수의 제1 연결부재(300)의 타측이 횡방향을 따라 병렬로 접속되는 횡부재를 구비하여, 블록(100)을 노출부의 자유단과 수평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제2 연결부재(400)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연결부재(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10)와 연결대(420)를 구비하고, 연결대(420)에는 지지대(410) 및 노출부(210)와의 접속을 위한 제1 접속구(430)와 제2 접속구(4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접속구(430)는 "T" 자 형상의 접속몸체(431), 접속몸체(431)에 체결되는 3개의 체결캡(432) 및 탄성캡(433)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접속구(440)는 양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접속몸체(441), 접속몸체(441)의 각 체결부에 체결되는 체결캡(442,443), 및 탄성캡(444,445)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옹벽구조물에 적용되는 제2 연결부재(400)는 이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이 지나치게 많아 자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시공시에 조립공수의 증가로 인해 시공인건비의 상승과 공사기간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옹벽구조물은 충분한 내구성과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100)에 지중볼트(200)의 긴장력이 안정되게 작용될 수 있도록 팽팽하게 연결할 필요가 있지만, 절토 사면과 블록과의 거리는 시공현장의 지형이나 시공 오차 등으로 차이가 있으므로 일일이 조정하여야 한다.
즉, 전술한 옹벽구조물의 경우, 제1 연결부재(300)를 매개로 블록(100)측에 연결되는 제1 접속구(430)와 지중볼트(200)에 연결되는 제2 접속구(440)가 조립된 상태에서 지중볼트(200)와의 긴장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1 접속구(430)를 조립상태를 다시 해체하고 연결대(420)를 산소절단기 등으로 절단하여 길이를 맞춘 다음 다시 제1 접속구(430)를 조립하거나, 제2 접속구(440)의 조립상태를 해체하고 지중볼트(200)를 산소절단기 등으로 절단하여 길이를 맞추어 다시 조립하는 방식으로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블록과 지중볼트(200)와의 긴장력을 조정하는 것은 정밀한 조정이 불가능하고, 제1 접속구(430) 및 제2 접속구(440)의 분리, 조립과정이나 연결대(420) 및 지중볼트(200)의 절단과정에서 인접하는 지중볼트(200)에 외력이 작용됨에 따라 기 조정된 지중볼트(200)의 긴장력에 변화를 초래하게 되어 반복적인 조정작업을 시행하여야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연결대(420) 및 지중볼트(200)의 절단을 위해서는 시공현장에 산소절단기를 설치하여야 하지만 협소하고 작업자들이 이동하는 뒷채움 공간에서 이를 설치하여 작업한다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져 시공에 많은 어려움으로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과 지중앵커와의 긴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결하고 시공이 단순하여 시공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절토 사면에 매설되는 지중앵커와 상기 절토 사면의 전방에 축조되는 블록을 연결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고정헤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스프링캡; 상기 스프링캡의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 입구측의 내경은 작고 출구측의 내경은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중앵커가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나사부, 상기 스프링캡이 체결되도록 내측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가 구비된 앵커고정헤드; 및 상기 앵커고정헤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지중앵커를 압박, 고정하는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고정헤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관통되는 바삽입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지는 복수의 웨지편이 후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링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입구측의 외경이 작고 출구측의 외경이 큰 원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고정헤드 및/또는 상기 앵커고정헤드의 외면에 조정용 공구의 안착을 위한 공구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지중앵커와 블록을 서로 결속한 상태에서도 앵커고정헤드를 조작하여 조임 또는 풀림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지중앵커와 블록의 긴장력이 조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전체를 해체하거나 지중앵커를 절단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되고, 적절한 긴장력의 조정을 통해 옹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구조가 간결, 단순하여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 및 시공이 단순하여 인건비의 절감에 따른 시공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옹벽구조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2는 종래 옹벽구조물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3은 종래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8a 내지 도8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는 절토 사면에 매설되는 지중앵커(110)와 절토 사면의 전방에 축조되는 블록(140)을 연결함으로써 지중앵커(110)의 지지력에 의해 축조된 블록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는 일측에 지중앵커(110)의 노출부(111)와 접속되고 타측에 블럭(140)측과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지중앵커의 지지력을 블럭(140)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 내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바고정헤드(540), 스프링캡(550), 스프링캡(550)에 삽입되는 탄성부재(560), 앵커고정헤드(570), 및 웨지(580)로 구성되어 있다.
바고정헤드(540)는 대략 단턱을 갖는 환봉 형태의 몸체 일측에 횡연결바(150)가 삽입되는 바삽입공(54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체결홈(542)이 형성된 것으로, 체결홈(542)의 내주면상에는 앵커고정헤드(570)와의 체결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바삽입공(541)은 블록(140)측에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피접속부가 선형부재로 형성된 횡연결바(150)로 구성됨에 따라 바고정헤드(540)의 일측에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홀(바삽입공(541))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피접속부의 형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캡(550)은 원형 캡 형태로서 그 외주면상에는 후술되는 앵커고정헤드(570)의 내측 내주면에 체결되는 나사부(55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으로 탄성부재(560)가 삽입되는 스프링안착홈(552)이 요입, 형성된 것으로, 바고정헤드(540)의 체결홈(542)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앵커고정헤드(570)의 내부 나사부(573)에 체결, 설치된다.
탄성부재(560)는 스프링캡(550)에 삽입되어 웨지(58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부재로서, 웨지(570)의 후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면서도 삽입되는 지중앵커(1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앵커고정헤드(570)는 바고정헤드(540)의 체결홈(542)에 삽입, 체결되어 지중앵커(110)의 긴장력이 횡연결바(150)측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중심에 지중앵커(110)가 삽입되는 삽입홀(57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체결홈(542)에 체결되는 외부 나사부(572)와, 내측 내주면에 스프링캡(550)이 체결되는 내부 나사부(5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홀(571)은 후술되는 웨지(580)의 테이퍼면과 대응하도록 입구측의 내경은 작고 출구측의 내경은 확대되는 입협출광(入狹出廣)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웨지(580)는 앵커고정헤드(57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 중심으로 삽입되는 지중앵커(110) 노출부(111)의 외면을 압박, 고정하는 구성으로, 지중앵커의 진입은 용이하고 진입된 지중앵커가 쉽게 이탈될 수 없는 구조라면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개로 분할된 웨지편(581)으로 구성되고, 그 후부에 요입된 홈부(581a)에 삽입되는 고정링(582)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웨지편(581)은 조립된 상태에서 입구측의 외경이 작고 출구측은 외경이 큰 대략 원추 형상을 갖도록 경사진 테이퍼면을 갖는 금속편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진입된 지중앵커에 역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앵커고정헤드(570)의 내면에 압박되므로 지중앵커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지중앵커(110)는 철근과 같이 하나의 봉으로 형성된 것도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PC강연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하나의 묶음으로 감김, 형성된 강선몸체로 구성되어 있고, 이 강선몸체에 소정 간격으로 강선이 외측으로 벌어져 돌출되듯 외경이 확대되게 형성된 고정 벌브(미도시)를 구비하여 매설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한다.
그리고, 블럭(140)은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다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횡연결바(150)가 삽입되도록 블록몸체(141)에 횡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연결바 안착홈(146), 및 걸림홈(144), 침하안내홈(145)을 구비한 블록이 적용되어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는 바고정헤드(540), 스프링캡(550), 탄성부재(560), 앵커고정헤드(570), 및 웨지(580)를 구비하되, 바고정헤드(540) 및/또는 앵커고정헤드(570)의 외면에는 시공시에 조정공구의 안착을 위한 공구안착부(544)(574)가 더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구안착부(544)(574)는 바고정헤드(540) 및 앵커고정헤드(570)에 형성되는 다른 구성요소의 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공구안착부(544)(574)는 긴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바고정헤드(540)나 앵커고정헤드(570)를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 스패너나 파이프 렌치 등과 같은 조정용 공구를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긴장력의 조정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8a 내지 도8f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설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a 내지 도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를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략 옹벽 구조물의 시공은 원 지반을 절토하여 절토 사면을 형성하는 단계, 지중앵커를 매설하는 단계, 기초형성 단계, 블록 적층단계, 연결부 설치단계, 및 뒤채움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는 방식으로 일단의 옹벽을 시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옹벽의 기초부 하측으로 원 지반의 높이 등의 여러 고려 조건에 따라 기 시공된 옹벽의 하부 응력 범위 내에서 제2 절토 사면을 형성하고, 이 제2 절토 사면상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옹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단 옹벽을 시공한다.
절토 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현장여건, 시공도면, 및 시방서 등에 의해 정해진 각도를 갖도록 원 지반을 절취하여 절토 사면(a)을 형성한다.
지중앵커를 매설하는 단계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 사면(a)에 천공위치를 마킹하고, 천공각도와 천공 깊이를 결정한 후 천공기에 의해 굴착공(b)을 천공한다. 이후, 지중앵커(110)에 그라우팅 주입호스를 연결하여 굴착공 내부로 삽입한 다음 그라우팅 작업을 시행하고 양생하여 지중앵커의 매설을 완료한다. 이때, 지중앵커(110)는 절토 사면(a)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부(111)를 형성되도록 매설된다. 그리고, 지중앵커를 매설하는 단계는 전술한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소일레일 시공방식에 의해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기초형성 단계는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을 형성하는 블록(140)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40)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는 단계로서, 절토 사면(a)의 하측 면상을 천공하는 단계, 천공된 홀에 수직 지중앵커(4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및 콘크리트몰탈에 의해 기초콘크리트층(41)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적층단계는 기초부(40)에 블록(140)을 이용하여 다층의 블록열을 갖도록 적층하는 단계로서, 기초부(40)상에 블록(140)을 이용하여 기초 블록열을 형성하는 기초블록열 형성단계를 시행하고, 이 기초 블록열의 배면과 절토 사면 사이에 충진물을 메우고 다지는 뒤채움 단계를 시행한 후, 다시 블록을 적층하여 블록열을 형성하고 이 블록열에 뒤채움 작업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뒤채움 단계에서 투입되는 충진물은 원활한 배수를 위해 자갈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뒤채움 단계의 수행전에 더욱 원활한 배수를 위해 배수관을 매설할 수 있다.
연결부 설치단계는 지중앵커(110)의 노출부(111) 말단과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의 일측을 접속하고 이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의 타측을 횡연결바(15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연결부 설치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5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바고정헤드(540)에 스프링캡(550), 탄성부재(560), 웨지(580), 및 앵커고정헤드(570) 순으로 조립하여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를 준비하고, 바고정헤드(540)의 바삽입공(541)에 횡연결바(150)를 직접 삽입하여 지중앵커의 매설 지점에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앵커고정헤드(570)의 삽입홀(571)에 지중앵커(110)의 노출부(111)를 삽입하게 되면 노출부(111) 말단이 탄성부재(560)의 내측 관통공을 경유하여 내부로 삽입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때, 탄성부재(560)가 웨지(58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후방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웨지(580)를 포함하는 앵커고정헤드(570)를 바고정헤드(540)에 조립한 상태에서도 지중앵커(110)의 노출부(111)를 밀어넣어 압입하게 되면 노출부(111) 말단이 탄성부재(560)의 내부 관통공을 경유하여 이격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노출부(111)는 입구측이 좁고 반대측이 넓은 웨지(580) 내부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역방향으로 당기는 힘(인장력)이 작용되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후, 블록(140)의 축조 지점과 절토사면(a) 사이의 간격 차이로 지중앵커(110)와 횡연결바(150)와의 연결상태가 느슨하거나 과도하게 팽팽하여 긴장력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앵커고정헤드(570)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조임 또는 풀림방향으로 조작력을 작용하게 되면 외부 나사부(572)가 바고정헤드(540)의 체결홈(242)상에서 전후 이동되므로 적절한 긴장력이 형성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는 바고정헤드(540)의 바삽입공(541)에 횡연결바(150)를 직접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연결부재(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와 횡연결바(150)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불필요하여 구조와 조립이 간결, 단순하고, 자재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58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560)에 의해 후방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웨지(580)를 포함하는 앵커고정헤드(570)를 바고정헤드(540)에 조립된 상태에서도 지중앵커(110)의 노출부(111)를 밀어넣어 압입하게 되면 노출부(111) 말단이 탄성부재(560)의 내부 관통공을 경유하여 이격공간으로 용이하게 진입하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접속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된다.
또한, 앵커고정헤드(570)는 외부 나사부(57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바고정헤드(540)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공구 등을 이용하여 조임 또는 풀림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지중앵커(110)와 횡결바(150) 사이의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긴장력을 조정하기 위해 옹벽시공용 연결장치(500) 전체를 해체하거나 지중앵커(111)를 절단하는 등의 어려운 작업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앵커고정헤드(570)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지중앵커(110)와 블록(140) 사이에 작용되는 긴장력을 조정하면서 견고하고 안정된 옹벽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부 설치단계의 시행이 완료되면, 블록(140)과 절토 사면(a) 사이의 공간을 소정의 충전물로 메우고 다지는 뒤채움 단계를 통상의 시공방법에 따라 시행한다.
이러한 순서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높이로 옹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블록(140)에 의해 형성되는 최상단 블록열의 상면상에 마감블록(190)을 설치하는 마감블록 설치단계를 시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마감블록(190)과 절토 사면(a)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지면에 수목 등을 식재하는 녹화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9에 도시된 형태로 일단의 옹벽이 완료되면, 이 기초부(40)상에 옹벽의 하부 응력 범위 내에서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토 사면(a')을 형성하고, 도8f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절토 사면(a')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단 옹벽을 전술한 상단 옹벽의 형성과정과 동일한 단계를 통해 반복적으로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시공용 연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지중앵커 140:블럭
150:횡연결바 500,500':옹벽시공용 연결장치
540:바고정헤드 550:스프링캡
560:탄성부재 570:앵커고정헤드
580:웨지

Claims (4)

  1. 절토 사면에 매설되는 지중앵커와 상기 절토 사면의 전방에 축조되는 블록을 연결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바고정헤드;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스프링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스프링캡;
    상기 스프링캡의 스프링안착홈에 안착되는 탄성부재;
    입구측의 내경은 작고 출구측의 내경은 확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중앵커가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외부 나사부, 상기 스프링캡이 체결되도록 내측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가 구비된 앵커고정헤드; 및
    상기 앵커고정헤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부에 삽입된 상기 지중앵커를 압박, 고정하는 웨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고정헤드의 일측에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게 관통되는 바삽입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복수의 웨지편이 후부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링에 의해 결합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입구측의 외경이 작고 출구측의 외경이 큰 원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고정헤드 및/또는 상기 앵커고정헤드의 외면에 조정용 공구의 안착을 위한 공구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2020100009793U 2010-09-17 2010-09-17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200455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93U KR200455432Y1 (ko) 2010-09-17 2010-09-17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93U KR200455432Y1 (ko) 2010-09-17 2010-09-17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432Y1 true KR200455432Y1 (ko) 2011-09-06

Family

ID=4929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793U KR200455432Y1 (ko) 2010-09-17 2010-09-17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4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88B1 (ko) * 2013-01-22 2014-07-14 주식회사 이앤앤이 옹벽 연결 구조물
KR101768821B1 (ko) * 2016-12-14 2017-08-30 주식회사 동신 사면보강을 위한 네일링 앵커
KR102086699B1 (ko) 2019-09-03 2020-03-12 주식회사 아트텍 옹벽시공용 내진연결장치
KR102118291B1 (ko) * 2019-10-07 2020-06-02 김나경 옹벽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56B1 (ko) 2007-12-20 2008-08-08 이근선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56B1 (ko) 2007-12-20 2008-08-08 이근선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88B1 (ko) * 2013-01-22 2014-07-14 주식회사 이앤앤이 옹벽 연결 구조물
KR101768821B1 (ko) * 2016-12-14 2017-08-30 주식회사 동신 사면보강을 위한 네일링 앵커
KR102086699B1 (ko) 2019-09-03 2020-03-12 주식회사 아트텍 옹벽시공용 내진연결장치
KR102118291B1 (ko) * 2019-10-07 2020-06-02 김나경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851356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64250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85817B1 (ko)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1206344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80105509A (ko) 앵커 일체형 이중 벽체 콘크리트 옹벽 시공방법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KR100712593B1 (ko) 강관루프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975033B1 (ko) 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의 시공방법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015619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에 사용하는 조절가능한 고정기구
KR100770250B1 (ko) 옹벽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옹벽 구조물
KR100505329B1 (ko) 지반 보강용 텐션 네일공법
CN112726627A (zh) 岩溶强烈地区钻孔灌注桩结构及施工方法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102075437B1 (ko)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JP4566257B2 (ja) 補強土構造物
KR100842372B1 (ko) 탑―다운 방식에 의한 프리텐션 쏘일네일 공법
KR101822412B1 (ko) 적층이 가능한 배면보강 판넬옹벽 및 배면보강 판넬옹벽 시공방법
KR102497458B1 (ko) 엄지말뚝 균등 간격 수단 겸 띠장 받침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cip 흙막이 시공 공법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