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702B1 -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 Google Patents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702B1
KR102391702B1 KR1020210109181A KR20210109181A KR102391702B1 KR 102391702 B1 KR102391702 B1 KR 102391702B1 KR 1020210109181 A KR1020210109181 A KR 1020210109181A KR 20210109181 A KR20210109181 A KR 20210109181A KR 102391702 B1 KR102391702 B1 KR 102391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wall
underground
composite
tru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희
Original Assignee
뉴콘텍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콘텍이앤씨(주) filed Critical 뉴콘텍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21010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전, 후방휨보강판에 의해 휨모멘트에 대해 저항력을 높이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을 위한 결합면이 조성되도록 하며, 띠철근과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휨보강판 외측을 결합 일체화하는 복부재를 설치하여 개구 상자형 단면으로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 증대와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을 겸용하도록 하는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형성을 통해 다목적 구조적 역할 수행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구 상자형 단면에 의해 최대화된 내부공간을 통해 트래미관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방휨보강판을 좌,우로 분리하여 분리된 후방휨보강판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며 복부재를 철근으로 구성함으로서 트래미관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기밀하게 타설되도록 하고 개구 상자형 단면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공홀 전단면 확산 및 추가 구근을 형성하여 흙막이 구조체 강성 증대로 안전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전방휨보강판은 결합면 조성 기능을 겸하게 됨으로써 지중에서 공사하는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로 보강한 흙막이 구조체에 너트앵커를 포함한 내부전단연결재 설치가 용이하게 하고, 굴착으로 전방휨보강판과 너트앵커가 노출시 너트앵커에 외부전단연결재인 장조정볼트앵커를 체결한 전단연결재를 설치한 후 후타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을 타설하여 합성벽구조체의 조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 전구간에 설치하는 완전 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구축하거나,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설치하여 이중 반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와 본체구조물 외벽이 결합한 합성벽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체 시공시 지중으로 형성되는 천공홀에 삽입되고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응력재 프레임체에 있어서, 흙막이 구조체 전방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결합면을 제공하는 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흙막이 구조체 후방에 위치하게 되며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을 연속 일체로 연결해주고 휨보강판들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다수의 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The hybrid truss frame compsited by mix stress member for reinforcement of earth retaining concrete pile and composite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는 전, 후에 휨보강판이 구비되어 휨모멘트에 대해 저항력을 높이면서 결합면 조성과 띠철근과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후 휨보강판 외측을 결합 일체화하는 복부재를 설치하여 개구 상자형 단면으로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 증대와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을 겸용하도록 하여 다목적 구조적 역할 수행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개구 상자형 단면에 의해 최대화된 내부공간을 통해 트래미관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타설이 원활하고 기밀하게 이루어지면서, 개구 상자형 단면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공홀 전단면 확산 및 추가 구근을 형성하여 흙막이 구조체 강성 증대로 안전성을 향상케 하고, 전방휨보강판을 결합면 조성용을 겸하면서 지중에서 공사하는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로 보강한 흙막이 구조체에 너트앵커를 포함한 내부전단연결재 설치가 용이하게 하고, 굴착으로 전방휨보강판과 너트앵커가 노출시 너트앵커에 외부전단연결재인 장조정볼트앵커를 체결한 전단연결재를 설치하고 후타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을 타설하여 합성벽구조체를 조성하도록 하고, 상기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 전구간 설치하는 완전 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구축하거나,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에서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설치하여 이중겹보 반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지반을 굴착할 때에는 굴착면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흙막이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지반조건 및 지지해야할 토압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데, 이 중에서도 콘크리트 파일인 CIP 공법 등은 시공이 용이하고 강성이 양호하여, 최근에 안전성 향상과 민원 최소화 등 이유로 토질조건 변화가 많은 위치, 지하수가 존재하는 위치, 주변 시설물과 매설물이 있어 근접시공 영향이 있는 위치 등 많은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통상 CIP 공법 등은 휨에 대한 저항 응력재로 철근망이나 강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계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철근망만을 하중으로 발생하는 응력에 대한 저항하는 응력재로 적용하고 있으며, 강재는 띠장 배치의 용이 및 토압 등 하중을 균등하게 지지하도록 띠장 버팀목 설치용으로 활용하며 응력재로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게 되므로 구조적 비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철근망 응력재는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휨 저항철근을 원형 내에 균등하게 배치함에 따른 팔길이가 짧아지게 됨으로 저항 휨강도가 저하가 되고, 이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이 되고, 철근 직경 상승하는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 보강재로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통상 H빔으로 구성되는데, 천공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트래미관이 H빔의 웨브에 간섭되어 설치가 곤란하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천공홀 전단면 확산에 곤란하게 되므로서,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및 조밀 정도의 품질 저하와 강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123639호와 등록특허번호 제10-1572561호는 천공홀 심부에 내측플랜지, 외측플랜지, 웨브를 강재로 하는 폐합 구성된 단일 조립체를 설치하게 됨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공홀 전단면에 확산이 곤란하게 되어 콘크리트 품질 및 강성 저하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확산 능력 및 타설중력 저하에 의해 천공홀 전단면에 균일하고 기밀하게 콘크리트 채움 부족 뿐만 아니라, 추가 구근 형성이 되지않아 흙막이 구조체의 안전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측, 외측 휨보강판을 연결해주는 웨브의 구성을 강재로 함으로써의 전단력 저항을 웨브가 부담하는 단일 역할이고, 내측, 외측 플랜지의 폭 보다 웨브의 폭이 같거나 작으므로 웨브 기능은 전단응력 저항만 하고, 내측, 외측플랜지는 휨 저항만 하게 됨으로써 기둥구조 요소로서의 띠철근 및 심부구속 능력이 저하되는 등 구조적으로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 단면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콘크리트 파일인 CIP 공법 등은 주로 흙막이 가시설용으로만 사용되고 있어 공사비 상승과 자원 활용 등이 비효율적이 되고 있으며, 일부 소수의 현장에서 합성벽을 시도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 등에 의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CIP 공법의 특성은 파일을 연속적으로 천공 및 설치하지 못하고, 단독적으로 천공 및 설치됨으로서, 형성된 파일들이 수평열과 수직도가 일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반적 CIP 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연속식으로 설치하는 주열식 CIP공법은 아웃케이싱과 인케이싱이 연속되도록 설치하게 됨으로써 일반 CIP공법에 비해 수평열의 정밀도 보다는 상승되나 일정한 수직도 형성은 지중 작업과 토질 변화 등에 의하여서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전단연결재로는 상기와 같이 변화하는 수평열과 수직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못할 경우에는 지하 본체구조물과의 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후타RC벽에 매입되는 볼트앵커 길이가 일정하게 되면, 후타부 철근과 중첩 부족에 의해 콘크리트 지압 및 부착능력 저하에 따른 전단내력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지하 본체구조물과의 합성시 CIP에 미리 매립되어 있는 너트앵커 단부가 응력재 조립체와 결합하지 않은 프리 상태이기 때문에 지중으로 시공되는 CIP공법의 콘크리트 품질에 따라 저항하는 전단내력 영향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IP 파일이 심부구속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강재 응력재 및 철근망 응력재 외에 별도의 구속철근을 배치하게 됨으로써 경제성과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123639호
본 발명은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전, 후방휨보강판에 의해 휨모멘트에 대해 저항력을 높이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을 위한 결합면이 조성되도록 하며, 띠철근과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후방휨보강판 외측을 결합 일체화하는 복부재를 설치하여 개구 상자형 단면으로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 증대와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을 겸용하도록 하는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형성을 통해 다목적 구조적 역할 수행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구 상자형 단면에 의해 최대화된 내부공간을 통해 트래미관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방휨보강판을 좌,우로 분리하여 분리된 후방휨보강판 사이에 개구를 형성하며 복부재를 철근으로 구성함으로서 트래미관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원활하게 기밀하게 타설되도록 하고 개구 상자형 단면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공홀 전단면 확산 및 추가 구근을 형성하여 흙막이 구조체 강성 증대로 안전성을 향상시켜 주도록 한다.
또한 전방휨보강판은 결합면 조성 기능을 겸하게 됨으로써 지중에서 공사하는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로 보강한 흙막이 구조체에 너트앵커를 포함한 내부전단연결재 설치가 용이하게 하고, 굴착으로 전방휨보강판과 너트앵커가 노출시 너트앵커에 외부전단연결재인 장조정볼트앵커를 체결한 전단연결재를 설치한 후 후타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을 타설하여 합성벽구조체의 조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 전구간에 설치하는 완전 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구축하거나,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의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설치하여 이중 반일체식 합성벽구조체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흙막이 구조체 시공시 지중으로 형성되는 천공홀에 삽입되고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응력재 프레임체에 있어서, 흙막이 구조체의 굴착 전면측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결합면을 제공하는 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흙막이 구조체 굴착 배면측에 위치하게 되며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을 연속 일체로 연결해주고 휨보강판들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다수의 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재는, 상기 후방휨보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와, 상기 후방연결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로 구성된 제1복부재; 상기 제1복부재와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휨보강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 상기 후방연결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휨보강판 휘어지도록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로 이루어진 제2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휨보강판은 흙막이 구조체의 좌, 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부재는, 상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을 연결해주는 후방연결부; 상기 후방연결부의 양단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마주하는 연장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 설치되는 내부전단연결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전단연결재는,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배면으로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결합된 일측단은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시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외부전단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앵커와, 상기 너트앵커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인발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볼트앵커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단볼트앵커의 두부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인발보강 횡철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주하는 연장부의 간격은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연장부가 전방휨보강판 및 후방휨보강판의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중으로 설치되는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와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가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흙막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흙막이 구조체와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을 합성하여 구성되는 합성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는, 흙막이 구조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방휨보강판과,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휨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흙막이 구조체의 좌, 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과,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을 일체로 연결해주고 휨보강판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다수의 복부재와,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배면으로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결합된 일측단은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시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외부전단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전단연결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을 위해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에서 내부전단연결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외부전단연결재; 상기 외부전단연결재에 체결되고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조여지게 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전단연결재 및 외부전단연결재는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지하 본체구조물의 슬래브들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전단연결재는 흙막이 구조체의 수직도 및 수평도에 대응하여 내부단연결재와의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본체구조물의 외벽에 매입되는 매입길이를 일정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력에 대한 휨응력 저항 단면측에 응력재인 전, 후방휨보강판을 집중 설치하여 모멘트 팔길이와 저항 휨강도 증가를 통해 휨저항에 효과적이고 경제적 단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 후방휨보강판과 복부재로 구성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CIP 파일용 응력재로 사용하게 되어 별도의 전단철근, 심부구속용 구속철근 및 띠철근 구성없이 전, 후방휨보강판과 복부재가 휨저항 뿐만 아니라 구속철근 및 띠철근의 기능도 동시에 구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심플하고, 이에 따라 자재절감 등 경제적 및 친환경적 요소를 구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공간 확보가 커져, 트래미관의 삽입이 용이하여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게 되어 콘크리트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부재가 전, 후방휨보강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응력재 전단면이 개구 트러스형이 되어, 심부에서 타설되는 큰크리트가 천공홀 전단면으로 확산이 용이하고, 더불어 타설 중력 증가로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주변 지반까지 침투되어 구근 형성을 통해 단면강성 증가에 따라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방휨보강판이 응력재 및 합성 결합면 역할을 겸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단연결재 설치용 보강판이 불필요하지 않게 되어 자재 및 공사비 등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전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의 전면이 전방휨보강판이 설치됨에 따라, 합성 결합 수평면을 조성하기 위한 치핑작업이 최소화로 공기 단축 및 작업성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휨보강판을 좌,우 방향으로 분리하여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천공홀의 내부에 밀실하게 주입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막이 구조체의 수평열과 수직열이 정밀하게 시공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내부전단연결재의 너트앵커에 외부전단연결재인 장조정볼트앵커를 체결하여 길이조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본체구조물의 지하외벽 내에 설치되는 철근과 중첩하게 하여 전단연결재 전단내력 저하가 없도록 하고, 본체구조물의 지하외벽 내부에 매입되는 외부전단연결재의 삽입 길이를 일정하게 형성하여 할 수 있어 흙막이 구조체의 수평열과 수직열의 시공 오차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전단연결재의 단볼트 앵커에 인발보강 횡철근이 횡단 및 결속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중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파일공법의 콘크리트 품질에 따라 저항하는 전단내력 영향 없이 합성시 인발 및 지압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막이 구조체와 본체구조물의 지하외벽과 합성으로, 지중에 사장되던 응력재를 활용에 의해 공사비 절감, 자원활용 등에 의해 친환경 조성뿐만 아니라, 지하공간 유효 활용면적 증가 및 지하 터파기 공간 축소 등 여러 효과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흙막이구조체와 본체구조물 지하외벽과 합성시, 지하규모 및 굴착깊이가 큰 경우는 상기 지하외벽 전구간에 전단연결재를 배치하여 합성벽 단면으로 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을 고양시키도록 하고, 지하규모 및 굴착깊이가 작은 경우는 지하 본체구조물의 슬래브들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내부 및 외부전단연결재로 체결된 전단연결재로 결합된 이중합성보 형성을 통해 외력을 분배하여 부재력을 감소시키므로서, 안전성 향상과 더불어 전단연결재가 과도하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성이 용이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서 후방휨보강판을 2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서 후방휨보강판을 2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 내부전단연결재를 더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서 내부전단연결재에 인발보강 횡철근을 추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와 본체구조물의 지하외벽이 결합한 합성벽구조체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흙막이 구조체와 본체구조물의 지하외벽과의 합성시 경간 중앙부에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여 이중합성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CIP 등과 같은 콘크리트파일 흙막이 구조체(10) 시공시 지중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하여 토압 등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 관한 것으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는, 흙막이 구조체(10)의 굴착 전면측에 위치하여 휨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방휨보강판(110)과,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흙막이 구조체(10)의 굴착 배면측에 위치하게 되며 휨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후방휨보강판(120)과, 상기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을 일체로 연결해주고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복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은 굴착 전면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휨응력에 저항하고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 합성시 결합면을 제공해주게 된다.
또한 전방휨보강판(110)은 후술되는 내부전단연결재(150)의 너트앵커(151)를 고정하고 상기 복부재(130)과 일체화됨으로써 띠철근 및 구속철근 역할을 겸용하게 된다.
상기 후방휨보강판(120)은 굴착 배면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한 휨응력에 저항하며 또한 복부재(130)과 일체화됨으로써 띠철근 및 구속철근 역할을 겸용하게 된다.
상기 복부재(130)는 상기 후방휨보강판(120)의 일측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전방휨보강판(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복부재(130a)와, 상기 후방휨보강판(120)의 타측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전방휨보강판(1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복부재(1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복부재(130a)는 후방휨보강판(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131)와, 상기 후방연결부(131)에서 전방휨보강판(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에서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133)로 구성된다.
상기 제2복부재(130b)는 후방휨보강판(120)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 상기 후방연결부에서 전방휨보강판(1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에서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1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1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복부재(130)는 도 1, 2에서와 같이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의 내면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전방휨보강판(110)에는 복부재(130)를 내면에 설치하나, 후방휨보강판(120)에는 복부재(130)를 필요에 따라 외면에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는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이 흙막이 구조체(10)에서 토압이 작용하는 전, 후방에 집중 위치하게 됨으로써 휨 저항력을 증가시켜주게 되어 구조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 및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복부재(130)의 결합에 의해 트러스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휨응력 저항, 전단응력 저항,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겸용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폐합된 구조에 비해 자재비를 절감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부재(13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가 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천공홀(11)의 전단면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12)의 확산능력과 타설중력 증가에 의해 추가 구근 형성과 콘크리트(12) 강도 및 품질이 향상되며 파일의 강성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전방휨보강판(110)과 후방휨보강판(120)의 양측단에 복부재(130)가 설치됨으로써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의 중심에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 트래미관(40)이 간섭되지 않으면서 설치가 가능하여 콘크리트 주입이 용이하며 시공성이 우수하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서 후방휨보강판을 2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에서 후방휨보강판을 2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의 후방휨보강판(120)은 흙막이 구조체(10)의 좌, 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휨보강판(120)을 흙막이 구조체(10)의 좌, 우방향으로 분리하여 이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의 내부로 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천공홀(11)의 내부 확산 범위와 타설중력이 더욱 확대되면서 밀실하게 채워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파일의 추가 구근 형성과 강도 및 품질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 복부재(130)는 2개로 분리된 후방휨보강판(120)을 일체로 연결해 주는 후방연결부(131)와, 상기 후방연결부(131)의 양단에서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의 끝단에서 마주하는 다른 연장부(132)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전방휨보강판(110)과 결합되는 전방연결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후방휨보강판(120)이 2개로 분리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1개의 복부재(130)가 2개로 분리된 후방휨보강판(120)을 연속 일체화를 통해 트러스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전단응력 저항,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겸용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폐합된 구조에 비해 균일한 콘크리트 품질 확보, 추가 구근 형성 및 자재비를 절감하면서 구조적인 강성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6, 7, 8 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의 배면으로 설치되고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의 합성시 외부전단연결재(17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인발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내부전단연결재(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전단연결재(150)는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의 배면으로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결합된 일측단은 전방휨보강판(110)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외부전단연결재(1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앵커(151)와, 상기 너트앵커(15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 합성시 인발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볼트앵커(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6 에서와 같이 내부전단연결재(150)는 복부재(130)의 연장부(132)에 양단이 연결되어 교차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볼트앵커(152)의 두부에 걸려지게 되는 인발보강 횡철근(15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너트앵커(151)의 외면에는 돌기(151a)나 요홈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앵커(151)는 단볼트앵커(152)와 외부전단연결재(170)인 장조정볼트앵커가 연결되도록 하는 커플러 역할을 하게 하는 것으로, 내경 전둘레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단볼트앵커(152) 및 외부전단연결재(170)인 장조정볼트앵커가 나사선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너트앵커(151)는 전방휨보강판(110)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홀 내부를 홈용접하여 결합되거나, 관통홀에 삽입한 후 모서리부분을 필렛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단연결재(150)는 흙막이 구조체(10)의 시공 후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의 합성을 위해 설치되는 외부전단연결재(1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미리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외벽(22)과의 의 합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발저항력과 전단내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인발보강 횡철근(153)이 복부재(130)의 연장부(132)에 양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단볼트앵커(152)의 두부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의 합성시 인발 및 지압 저항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의 축방향강성 및 휨강도를 증가시키거나, 콘크리트의 고유특성인 크리이프와 건조수축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방휨보강판(110), 후방휨보강판(120) 및 복부재(130)의 심부측에 보강철근(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철근(140)은 전방휨보강판(110), 후방휨보강판(120), 복부재(130)에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가시켜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는 콘크리트파일 전면과 배면에 집중적으로 강재로 이루어진 전방휨보강판(110) 및 후방휨보강판(120)을 배치하고, 이를 연속 일체 결합해주는 철근 복부재(130)으로 구성되어 개구 트러스 프레임체를 이루게 됨으로써 저항하는 휨응력과 전단응력이 증가되도록 하고, 전방휨보강판(110), 후방휨보강판(120) 및 복부재(130)를 연속 일체 프레임체로 인해 상기 구성요소 부재가 동시에 띠철근 및 심부구속철근 역할을 겸용 하는 다목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넓어지고 대개구 프레임체를 통해, 천공홀(11) 내부에 콘크리트(12)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확산 범위 확대 및 타설중력이 증가되고 밀실하게 타설됨으로써 추가 구근 형성과 콘크리트의 강도 품질향상을 통한 파일의 강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벽구조체(30)는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10)와 후타 RC구조물인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을 합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흙막이 구조체(10)는 지중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홀(11)에 삽입되는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와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가 매설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100)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부전단연결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전단연결재(150)는 상기와 같이 너트앵커(151), 단볼트앵커(152) 및 인발보강 횡철근(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흙막이 구조체(10)는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콘크리트(12)에 의해 너트앵커(15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지하외벽(22)과의 합성시 치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하외벽(22)의 합성을 위한 결합면을 노출되도록 하는 리폼캡(19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 구조체(10)는 상기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과의 합성을 위해 상기 전방휨보강판(110)의 전면에서 상기 내부전단연결재(150)의 너트앵커(151)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전단연결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전단연결재(170)는 후타 RC구조물인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의 합성을 위해 설치되며 장조정볼트앵커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하외벽 내부의 철근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외부전단연결재(170)인 장조정볼트앵커는 흙막이 구조체를 구성하는 파일들의 수평열과 수직열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너트앵커(151)에 체결되는 체결 깊이를 조절하여 지하외벽(22)에 매립되는 외부전단연결재(170)의 길이를 구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전단연결재(170)에 체결되고 전방휨보강판(110) 방향으로 조여지게 되는 조임너트(1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임너트(171)는 전방휨보강판(110)에 가압되도록 조여지게 설치됨으로써 전방휨보강판(110), 후방휨보강판(120) 및 복부재(130)가 연속 일체 구성된 띠철근 역할에 따라 심부구속응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구조물(20)은 도 8 에서와 같이 지하외벽(22)과 슬래브(21)를 포함하는 다층 지하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지하 본체구조물(20)의 규모가 작거나 지하층인 낮은 경우에 지하외벽 전구간을 내부전단연결재(150)와 외부전단연결재(170)를 배치하여 일체식 합성벽으로 하게 되면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 측면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상기 내부전단연결재(150)와 외부전단연결재(170)로 구성된 전단연결재를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에서 슬래브(21)들의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만 집중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에서 경간 중앙부분에만 집중 배치 결합되도록 내부전단연결재(150)와 외부전단연결재(170)를 같은 위치에 설치하여 반일체식 이중겹보 합성벽구조체를 형성함으로서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 중앙부에 설치되는 내부전단연결재(150) 및 외부전단연결재(170)에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에 작용하는 하중을 흙막이 구조체(10)에 전달하여 지하외벽(22)과 흙막이 구조체(10)에 작용하는 부재력을 분산시켜 주게 되며, 상기 슬래브(21)와 슬래브(21) 사이에서 내부전단연결재(150) 및 외부전단연결재(170)가 스프링 지지하여 구조계가 변환된다.
따라서,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외벽(22)은 슬래브(21)가 지지되는 점은 힌지로 구속되고, 경간중앙부는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연속구조계에 의해, 토압 등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 전단력이 대폭 감소되게 되므로 부재 단면두께 감소 및 휨강재량 감소 등에 의해 경제성, 친환경성 및 지하공간 유효 활용면적 증가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즉 부재력의 크기에 따라 지하옹벽 설계를 합리하고 경제적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지하 본체구조물(20)의 지하층 높이와 층수가 작아 부재력이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과 같이 반일체식 이중겹보 합성벽구조체를 적용하게 되면, 부재력 감소에 의해 지하 본체구조물(20)의 단면 두께와 철근량이 감소하며, 경간 중앙부에만 내부전단연결재(150)와 외부전단연결재(170)를 소수 배치함에 따라 공사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흙막이 구조체 (11) : 천공홀
(12) : 콘크리트 (20) : 본체구조물
(21) : 슬래브 (22) : 지하외벽
(30) : 합성벽구조체 (100) :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110) : 전방휨보강판 (120) : 후방휨보강판
(130) : 복부재 (130a) : 제1복부재
(130b) : 제2복부재 (131) : 후방연결부
(132) : 연장부 (133) : 전방연결부
(140) : 보강철근 (150) : 내부전단연결재
(151) : 너트앵커 (152) : 단볼트앵커
(153) : 인발보강 횡철근 (170) : 외부전단연결재
(171) : 조임너트 (190) : 리폼캡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흙막이 구조체 시공시 지중으로 형성되는 천공홀에 삽입되고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응력재 프레임체에 있어서,
    흙막이 구조체의 굴착 전면측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결합면을 제공하는 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흙막이 구조체 굴착 배면측에 위치하게 되며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을 연속 일체로 연결해주고 휨보강판들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다수의 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휨보강판은 흙막이 구조체의 좌, 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부재는, 상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을 연결해주는 후방연결부와, 상기 후방연결부의 양단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마주하는 연장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5. 흙막이 구조체 시공시 지중으로 형성되는 천공홀에 삽입되고 콘크리트에 의해 매설되는 응력재 프레임체에 있어서,
    흙막이 구조체의 굴착 전면측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결합면을 제공하는 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흙막이 구조체 굴착 배면측에 위치하게 되며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후방휨보강판;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을 연속 일체로 연결해주고 휨보강판들의 깊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됨으로써 트러스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단응력에 저항하는 다수의 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부재는, 상기 후방휨보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와, 상기 후방연결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로 구성된 제1복부재와, 상기 제1복부재와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후방휨보강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후방연결부 상기 후방연결부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전방휨보강판 휘어지도록 연장되어 전방휨보강판의 타측에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로 이루어진 제2복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배면으로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결합된 일측단은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시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외부전단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앵커와, 상기 너트앵커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인발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볼트앵커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단볼트앵커의 두부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인발보강 횡철근으로 이루어진 내부전단연결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연장부의 간격은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후방휨보강판의 폭 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연장부가 전방휨보강판 및 후방휨보강판의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7. 지중으로 설치되는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와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가 매립되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흙막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흙막이 구조체와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을 합성하여 구성되는 합성벽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는, 흙막이 구조체의 전방에 위치하여 휨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전방휨보강판과,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휨 저항력이 향상되도록 하되, 흙막이 구조체의 좌, 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과, 상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후방휨보강판을 연결해주는 후방연결부와, 상기 후방연결부의 양단에서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마주하는 연장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전방휨보강판과 결합되는 전방연결부로 이루어진 복부재와, 상기 전방휨보강판의 배면으로 일측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되되, 결합된 일측단은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노출됨으로써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의 합성시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으로 외부전단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전단연결재로 구성되고,
    상기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을 위해 전방휨보강판의 전면에서 내부전단연결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외부전단연결재;
    상기 외부전단연결재에 체결되고 전방휨보강판 방향으로 조여지게 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단연결재와 외부전단연결재는 지하 본체구조물의 외벽과 합성시 지하 본체구조물의 슬래브들 사이인 경간 중앙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단연결재는 흙막이 구조체의 수직열 및 수평열에 대응하여 내부단연결재와의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본체구조물의 외벽에 매입되는 매입길이를 일정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20210109181A 2021-08-19 2021-08-19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2391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1A KR102391702B1 (ko) 2021-08-19 2021-08-19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1A KR102391702B1 (ko) 2021-08-19 2021-08-19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702B1 true KR102391702B1 (ko) 2022-04-28

Family

ID=8144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81A KR102391702B1 (ko) 2021-08-19 2021-08-19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61B1 (ko) * 2022-08-19 2023-09-04 (주)태극기초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370B1 (ko) * 2017-03-17 2017-10-10 홍석희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KR20190123639A (ko) 2018-04-24 2019-11-01 (주)한국건설공법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파일
KR102103102B1 (ko) * 2019-05-21 2020-04-21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370B1 (ko) * 2017-03-17 2017-10-10 홍석희 소켓슈와 앵커부재로 이루어진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합성구조체
KR20190123639A (ko) 2018-04-24 2019-11-01 (주)한국건설공법 흙막이 벽체용 강재 조립파일
KR102103102B1 (ko) * 2019-05-21 2020-04-21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61B1 (ko) * 2022-08-19 2023-09-04 (주)태극기초 연속일체식 흙막이 합성벽 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1146758B1 (ko) 횡방향 스트럿부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JP2006291575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90084509A (ko) 프리캐스트 가시설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99327B1 (ko)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2391702B1 (ko) 흙막이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복합응력재 트러스 프레임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벽구조체
KR101373674B1 (ko)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JP503146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JP3829319B2 (ja) 地下中空構造物の施工方法とその地下中空構造物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282770B1 (ko) 프리캐스트 직벽형 기초 및 그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KR100657656B1 (ko)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630B1 (ko) 역t형 철골합성외벽용 엄지철골수직재와 이를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영구외벽 구조체의 시공방법
JP2018009388A (ja) 先行エレメントの端部構造および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JP3120103B2 (ja) 道路の拡幅構造
KR101809554B1 (ko) 키락블록과 쉬트파일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787368B1 (ko) 기성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858712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연결장치
KR101736009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시공단계 단순접합식 역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