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317A -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317A
KR20190017317A KR1020170101982A KR20170101982A KR20190017317A KR 20190017317 A KR20190017317 A KR 20190017317A KR 1020170101982 A KR1020170101982 A KR 1020170101982A KR 20170101982 A KR20170101982 A KR 20170101982A KR 20190017317 A KR20190017317 A KR 20190017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nnecting
panel
coupling
connecting membe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희
Original Assignee
리뉴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뉴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리뉴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주)
Priority to KR1020170101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317A/ko
Publication of KR2019001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둘레부에 결합용 돌출부와 결합용 홈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패널부재와 패널부재의 결합용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가 구비된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
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가 심재와 이 심재에 접합되는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로 구성되어 각 부재가 경
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고,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심재와 표층재를 접합한 패널부
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를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건축물의 단열성과 구조
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각 부재들이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며, 심재와 표층재를 접합한 패
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 자재가 저렴
하고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cubic construction}
본 발명은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방법으로 예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조적 방법,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방법, 목재를 이용한 방법,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건축물의 축조 방법은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만 시공될 수 있으며, 시공성이 낮아 건축물을 축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 단가가 높아 건축물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공장에서 제작하여 출고되는 컨테이너 하우스나 모듈러 방식으로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 하우스는 단열성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공장 제작 모듈러 구조물은 단가가 높아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한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자재가 저렴하고,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 벽체 및 천장판부를 조립식으로 시공하는 것으로서,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부 중 인접하는 두 변에 결합용 돌출부(111)(112)가 형성되고, 다른 두 변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13)(114)가 형성되는 복수의 패널부재(110)와,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 장변에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21)(1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에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24)가 형성되는 모서리연결부재와, 사각판체형 수평판부(H)와, 상기 수평판부(H)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1)(V2)를 가지며, 상기 수평판부(H)와 수직판부(V1)(V2)의 인접하는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31)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홈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부(V1)(V2)의 하측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홈부(133)가 형성되는 복수의 귀퉁이연결부재(13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벽체측에 배치하고 상기 모서리연결부재, 귀퉁이연결부재(130)에 의해 결합하여 네 벽체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 측에 배치하고 모서리연결부재, 귀퉁이 연결부재(130)에 의해 결합하여 천장판체를 조립하는 천장판체조립단계를 포함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벽체조립단계는,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네 벽체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1)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3)에 삽입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4)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들끼리 결합되도록 하고, 벽체를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를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1)에 삽입하여 네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부재(110)들이 모서리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와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2) 끼리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용 홈부(113)(122)에 보조연결부재(140)를 삽입하여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장판체조립단계는,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 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1)(112)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3)(114)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들끼리 결합되도록 하고,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연결부재를 배치하고 결합용 돌출부(123)가 인접하는 모서리연결부의 결합용 홈부(124)에 삽입하여 모서리연결부재들끼리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네 벽체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에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1)에 삽입하여 네 벽체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와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하고, 천장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2)를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2)에 삽입하여 천장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와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천장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114)와 천장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1)(122)끼리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용 홈부(113)(114)(121)(122)에 보조연결부재(150)를 삽입하여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의 접촉면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와 귀퉁이연결부재(130)의 접촉면을 접착제로 접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재(110)는, 사각판체형 심재(110a)와 상기 심재(110a)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표층재(110b)(11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11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10b)(11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부재(110)는, 사각판체형 심재(110a)와 상기 심재(110a)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표층재(110b)(110c)를 포함하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심재(120a)와, 상기 심재(1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표층재(120b)(12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12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20b)(12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심재(120a)와, 상기 심재(1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표층재(120b)(120c)를 포함하며,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는, 수평판부(ha)와 상기 수평판부(ha)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a1)(va2)를 가지는 심재(130a)와, 상기 심재(130a)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hb)와 상기 수평판부(hb)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b1)(vb2)를 가지는 표층재(130b)와, 상기 표층재(130b)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vc)와 상기 수평판부(vc)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c1)(vc2)를 가지는 표층재(13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13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30b)(13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는, 수평판부(ha)와 상기 수평판부(ha)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a1)(va2)를 가지는 심재(130a)와, 상기 심재(130a)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hb)와 상기 수평판부(hb)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b1)(vb2)를 가지는 표층재(130b)와, 상기 표층재(130b)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vc)와 상기 수평판부(vc)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c1)(vc2)를 가지는 표층재(130c)를 포함하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는 1/4 원통부(C)와 상기 1/4 원통부(C)의 양측 장변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1)(L2)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부재(110)의 길이 또는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양측 장변에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221)(2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에는 1/4 원호형 결합용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1/4 원호형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는 1/4 원호형 결합용 홈부(224)가 구비된 것이며, 상기 귀퉁이연결부재(230)는 1/4 구면부(S)와 상기 구면부(S)의 3변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A1)(A2)(A3)로 구성되며,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1/4 원호형결합용 홈부(224)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1)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출부(231)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2)에 형성되는 결합용 홈부(232)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3)에 형성되는 결합용 홈부(233)가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는 심재(220a)와, 상기 심재(2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20b)(22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22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220b)(22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220a)와 표층재(220b)(22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귀퉁이연결부재(230)는 심재(230a)와 상기 심재(23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30b)(23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23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230b)(23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230a)와 표층재(230b)(23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는 심재(220a)와, 상기 심재(2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20b)(220c)를 포함하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되며, 상기 귀퉁이연결 부재(230)는 심재(230a)와 상기 심재(23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30b)(230c)를 포함하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둘레부에 결합용 돌출부가 구비된 복수개의 패널부재와 상기 결합용 돌출부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가 구비된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가 심재와 이 심재에 접합되는 경량콘크리트 표층체로 구성되어 각 부재가 경량으로서 취급, 운반 및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가 우수한 심재와 표층재를 접합한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를 조립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건축물의 단열성과 구조적 강도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각 부재들이 변질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심재와 표층재를 접합한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 및 귀퉁이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 자재가 저렴하고 시공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시공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패널부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모서리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귀퉁이연결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귀퉁이연결부재를 밑에서 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6은 패널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패널부재와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부 확대 분해도,
도 9는 도 1의 B부 확대 분해도,
도 10은 도 9의 조립 상태에서 귀퉁이연결부재를 분해한 사시도,
도 11은 벽체조립단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2는 천장판체조립단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도 13의 F-F선 단면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7은 시공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모서리연결부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은 복수개의 패널부재(110), 모서리연결부재(120) 및 귀퉁이연결부재(130)를 사용하여 바닥판체와 네 벽체 및 천장판체를 조립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큐브구조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다.
즉, 복수개의 패널부재(110), 모서리연결부재(120) 및 귀퉁이연결부재(130)를 조립하여 네 벽체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 및 천장판체를 조립하는 천장판체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도 2는 큐브구조 건축물(C)의 바닥과 네 벽체 및 천장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패널부재(110)를, 도 3은 벽체와 벽체, 네 벽체와 천장 사이의 모서리에서 상기 패널부재(110)를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연결부재(120)를, 도 4 및 도 5는 네 벽체와 천장 사이의 귀퉁이에서 상기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를 연결하기 위한 귀퉁이연결부재(130)를 보인 것이다.
상기 패널부재(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부 중 인접하는 두 변에 결합용 돌출부(111)(112)가 형성되고, 다른 두 변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13)(114)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부재(110)는 사각판체형 심재(110a)와 상기 심재(110a)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표층재(110b)(110c)를 포함한다.
도시 예에서는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각각 그 길이와 폭이 동일한 정사각판체형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각각 그 길이와 폭을 달리하는 직사각형판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심재(11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10b)(11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거나,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심재(110a)를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10b)(110c)를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할 경우,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경우 형틀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강질수지로서는 고밀도 발포 폴리스틸렌(EPS; Expandable Polystyre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대등한 성형성과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질수지제 심재(110a)와 상기 표층재(110b)(110c)는 길이와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여 서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그 둘레부 중 인접하는 두 변에 결합용 돌출부(111)(112)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두 변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13)(1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용 돌출부(111)(112)는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0042] 의 어긋난 거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패널부재(1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양측 장변에는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21)(1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에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심재(120a)와, 상기 심재(1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쌍의 ㄱ자형 단면의 표층재(120b)(120c)를 포함한다.
상기 심재(12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20b)(12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거나,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심재(120a)를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20b)(120c)를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할 경우, 상기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를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경우 형틀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는 각각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두께를 가지는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의 길이는 상기 패널부재(110)의 심재(110a) 및 표층재(110b)(110c)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심재(120a)의 폭은 표층재(120b)의 폭보다 좁게 하며, 상기 표층재(120c)의 폭은 상기 심재(120a)의 폭과 동일하게 하여 양측 장변에는 상기 결합용 홈부(121)(1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상기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와 결합용 홈부(12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판체형 수평판부(H)와, 상기 수평판부(H)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1)(V2)를 가지며, 상기 수평판부(H)와 수직판부(V1)(V2)의 인접하는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31)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홈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부(V1)(V2)의 하측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홈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는 수평판부(ha)와 상기 수평판부(ha)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a1)(va2)를 가지는 심재(130a)와, 상기 심재(130a)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hb)와 상기 수평판부(hb)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b1)(vb2)를 가지는 표층재(130b)와, 상기 표층재(130b)의 내측에 결합되며 수평판부(vc)와 상기 수평판부(vc)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vc1)(vc2)를 가지는 표층재(130c)를 포함한다.
상기 심재(13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30b)(13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거나,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심재(130a)를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30b)(130c)를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할 경우, 상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각각 별도로 성형하여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심재(130a)와 표층재(130b)(130c)를 모두 강질수지제로 구성할 경우 형틀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표층재(120b)의 수평판부(hb)의 가로폭 및 세로폭과 상기 수직판부(vb1)(vb2)의 높이는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심재(130a)의 수평판부(ha)는 그 가로폭을 상기 표층재(130b)의 수평판부(hb)의 가로폭과 동일하게 함과 아울러 그 세로폭을 상기 표층재(130b)의 세로폭보다 작게 하며, 상기 표층재(130c)의 수평판부(hc)는 그 가로폭 및 세로폭을 상기 표층재(130b)의 가로폭 및 세로폭보다 작게 하여, 상기 결합용 돌출부(131)와 결합용 홈부(132)(1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심재(110a)(120a)(130a)는 구조적 강도가 높음과 아울러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심재(110a)의 두께와 표층재(110b)(110c)의 두께는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패널부재(110)에 의해 바닥과 벽체 및 천장을 구성하였을 때 구조적 강도와 단열성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심재(110a)의 길이와 폭을 1000~2000㎜로 하고, 표층재(110b)(110c)의 길이와 폭을 900~1900㎜로 하며, 상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의 두께를 60~100㎜로 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심재(120a)와 표층재(120b)(120c)의 길이를 900~1900㎜로 하고, 표층재(120b)(120b)의 폭을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는 표층재(130b)(130c)의 길이와 폭을 공히 200~300㎜로 할 수 있다.
상기 강질수지로서는 고밀도 발포 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대등한 성형성과 강도를 가지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에 의하여 큐브구조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벽체조립단계]
벽체조립단계에서는 도 6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결합용 돌출부(111)와 결합용 홈부(113)가 측부에 위치하고 결합용 돌출부(112)가 상부에 위치하며 결합용 홈부(114)가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서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1)가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3)에 삽입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가 상부에 위치하는 패널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패널부재(110)의 상기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1)는 도시 예와 같이 모두 반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등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 벽체를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를 위치시키고,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를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1)에 삽입하여 네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부재(110)들이 모서리연결부재(12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1)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에 대응되어 패널부재 (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2)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에 대응하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는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부분에서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와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2)에 벽체 측 보조연결부재(14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연결부재(140)는 심재로만 구성된다.
한편, 상하로 배치되는 모서리연결부재(120)들은 하부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를 상부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에 삽입하여 모서리연결부재(120)들끼리 결합되도록 한다.
상술한 패널부재(110)와 패널부재(110),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 모서리연결부재(120)와 모서리 연결부재(12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그 접합부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이들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벽체조립단계에서는 출입문이나 창문을 설치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문이나 창문 설치 부분에는 상기 패널부재(100)를 결합하지 않고 그 부분에 출입문(D)과 창문(W)을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D)과 창문(W)을 구성하는 문틀과 창문틀에는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와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114)에 대응하는 결합용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천장판체조립단계]
천장판체조립단계에서는 도 8,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수평상태로 배치하고,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114)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네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를 배치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2)에는 상기 네 벽체를 이루는 패널부재(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를 삽입하여 네 벽체를 이루는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1)에는 천장을 이루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를 삽입하여 천장을 이루는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천장을 이루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와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홈부(121)에는 천장측 보조연결부재(15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천장을 이루는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연결부재(150)는 심재로만 구성된다.
한편,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연결부재(120)들은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를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모서리연결부재(120)들끼리 결합되도록 한다.
네 벽체와 천장이 만나는 네 귀퉁이 부분에는 상기 귀퉁이연결부재(130)를 배치하고, 네 벽체를 이루는 모서리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23)를 귀퉁이연결부재(1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33)에 삽입하여 네 벽체를 이루는 모서리연결부재(120)와 귀퉁이연결부재(130)가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천장을 이루는 모서리연결부재(120)의 결합용 돌출부(123)를 귀퉁이연결부재(130)의 결합용 홈부(132)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천장을 이루는 모서리연결부재(120)와 귀퉁이연결부재(130)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큐브 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모서리연결부재와 귀퉁이연결부재를 라운드 형태로 구성한 것이며, 여타 패널부재(11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모서리연결부재(220)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1/4 원통부(C)와 상기 1/4 원통부(C)의 양측 장변에서 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1)(L2)로 구성되며, 상기 패널부재(110)의 길이 또는 폭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양측 장변에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221)(222)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일단에는 1/4 원호형 결합용 돌출부(223)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1/4 원호형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는 1/4 원호형 결합용 홈부(224)가 구비된다.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는 심재(220a)와, 상기 심재(2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20b)(220c)를 포함한다.
상기 심재(220a)와 표층재(220b)(220c)는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심재(220a)를 형틀에 삽입하고, 경량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심재(220a)와 표층재(220b)(220c)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심재(220a)와 표층재(220b)(220c)의 길이는 상기 패널부재(110)의 심재(110a) 및 표층재(110b)(110c)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고,
상기 심재(220a)와 표층재(220b)(220c)는 동심원 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220a)는 1/4 원통부(ca)만으로 형성되고, 상기 표층재(220b)는 1/4 원통부(cb)와 그 장변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b1)(lb2)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재(220c)는 1/4 원통부(cc)와 그 장변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lc1)(lc2)로 구성되어 상기 심재(220a)를 사이에 두고 상기 표층재(220b)(220c)를 접합하였을 때, 양측 장변에는 상기 결합용 홈부(221)(2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에는 각각 상기 결합용 돌출부(223)와 결합용 홈부(22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23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1/4 구면부(S)와 상기 구면부(S)의 3변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A1)(A2)(A3)로 구성되며,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1/4 원호형 결합용 홈부(224)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1)에 형성되는 결합용 돌출부(231)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2)에 형성되는 결합용 홈부(232)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결합용 돌출부(223)에 대응하여 상기 원호부(A3)에 형성되는 결합용 홈부(233)가 구비된다.
상기 구면부(S)와 원호부(A1)(A2)(A3)의 곡률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220)의 1/4 원통부(C)의 곡률과 동일하게 한다.
상기 귀퉁이연결부재(230)는 심재(230a)와 상기 심재(23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표층재(230b)(230c)를 포함한다.
상기 심재(230a)와 표층재(230b)(230c)는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거나, 심재(230a)를 형틀에 삽입하고 경량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심재(230a)와 표층재(230b)(230c)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심재(230a)와 표층재(230b)(230c)는 동심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심재(230a) 는 1/4 구면부(sa)와 그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aa)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재(230b)는 1/4 구면부(sb)와 상기 1/4 구면부(sb)의 양측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ab1)(ab2)로 구성되며, 상기 표층재(230c)는 1/4 구면부(sc)와 상기 1/4 구면부(sc)의 양측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부(ac1)(ac2)로 구성되어, 상기 심재(230a)와 표층재(230b)(230c)를 접합하였을 때, 상기 결합용 돌출부(231)와 결합용 홈부(232)(2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심재(220a)(230a)는 구조적 강도가 높음과 아울러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따라 큐브 구조 건축물을 조립식으로 시공함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220)에 의하여 네 벽체를 조립 시공하고,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220) 및 귀퉁이연결부재(230)에 의하여 천장을 조립 시공하는 것으로, 모서리연결부재(220)와 귀퉁이연결부재(230)가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210 : 패널부재 220 : 모서리연결부재
230 : 귀퉁이연결부재 240 : 벽체 측 보조연결부재
250 : 천장 측 보조연결부재 320 : 모서리연결부재
330 : 귀퉁이연결부재

Claims (7)

  1. 네 벽체 및 천장판부를 조립식으로 시공하는 것으로서,
    사각판체형으로 형성되며 그 둘레부 중 인접하는 두 변에 결합용 돌출부(111)(112)가 형성되고, 다른 두 변에
    상기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13)(114)가 형성되는 복수의 패널부재(110)와,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양측 장변에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112)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
    (121)(122)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단에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ㄱ
    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결합용 홈부(124)가 형성되는 모서리연결부재와,
    사각판체형 수평판부(H)와, 상기 수평판부(H)의 인접하는 모서리에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부
    (V1)(V2)를 가지며, 상기 수평판부(H)와 수직판부(V1)(V2)의 인접하는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자형
    결합용 홈부(124)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31)와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자형 결합용 돌출부(123)
    에 대응하는 ㄱ자형 홈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부(V1)(V2)의 하측 변을 따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의 ㄱ
    자형 결합용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ㄱ자형 결합용 홈부(133)가 형성되는 복수의 귀퉁이연결부재(130)를 준비
    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벽체측에 배치하고 상기 모서리연결부재, 귀
    퉁이연결부재(130)에 의해 결합하여 네 벽체를 조립하는 벽체조립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패널부재(110)를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 측에 배치하고 모서리연결부재, 귀퉁이
    연결부재(130)에 의해 결합하여 천장판체를 조립하는 천장판체조립단계를 포함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조립단계는,
    수직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네 벽체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
    부(111)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3)에 삽입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4)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패널부재
    (110)들끼리 결합되도록 하고,
    벽체를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1)를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1)에 삽입하여 네 벽체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패널부재(110)들이 모서리연
    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와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2) 끼리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용 홈부(113)(122)에 보조연결부재(140)를 삽입하여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
    징으로 하는 큐브 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판체조립단계는,
    수평상태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천장 측에 배치한 복수개의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
    (111)(112)를 인접하는 패널부재(110)의 측부에 위치하는 결합용 홈부(113)(114)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패널부재
    (110)들끼리 결합되도록 하고,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연결부재를 배치하고 결합용 돌출부(123)가 인접하는 모
    서리연결부의 결합용 홈부(124)에 삽입하여 모서리연결부재들끼리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네 벽체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결합용 돌출부(112)에 모서리연결부재의 결합용 홈부
    (121)에 삽입하여 네 벽체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와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하고,
    천장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돌출부(112)를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결부재
    의 결합용 홈부(122)에 삽입하여 천장에 배치된 패널부재(110)와 천장을 이루는 네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
    리연결부재를 결합하며,
    상기 천장에 배치되는 패널부재(110)의 결합용 홈부(113)(114)와 천장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모서리연
    결부재의 결합용 홈부(121)(122)끼리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결합용 홈부(113)(114)(121)(122)에 보조연결부
    재(150)를 삽입하여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구조 건축물의 조
    립식 시공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110)와 모서리연결부재의 접촉면과,
    상기 모서리연결부재와 귀퉁이연결부재(130)의 접촉면을 접착제로 접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110)는,
    사각판체형 심재(110a)와 상기 심재(110a)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표층재(110b)(11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11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10b)(11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
    (110a)와 표층재(110b)(11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재(110)는,
    사각판체형 심재(110a)와 상기 심재(110a)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는 한 쌍의 사각판체형 표층재(110b)(110c)를
    포함하며,
    심재(110a)와 표층재(110b)(110c)를 강질수지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
    축물의 조립식 시공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부재는,
    ㄱ자형 단면을 이루는 심재(120a)와, 상기 심재(120a)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한 쌍의 ㄱ자형 단면의 표층재
    (120b)(120c)를 포함하며,
    상기 심재(120a)는 강질수지제로 구성하고, 상기 표층재(120b)(120c)는 경량콘크리트제로 구성하여 상기 심재
    (120a)와 표층재(120b)(120c)를 수용성 접착제로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방법.
KR1020170101982A 2017-08-11 2017-08-11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90017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82A KR20190017317A (ko) 2017-08-11 2017-08-11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82A KR20190017317A (ko) 2017-08-11 2017-08-11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17A true KR20190017317A (ko) 2019-02-20

Family

ID=6556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982A KR20190017317A (ko) 2017-08-11 2017-08-11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56B1 (ko) * 2021-01-14 2021-07-23 최재현 방음 부스용 모서리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방음 부스
CN114411972A (zh) * 2022-02-18 2022-04-29 修武县奥德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模块化房屋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56B1 (ko) * 2021-01-14 2021-07-23 최재현 방음 부스용 모서리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방음 부스
CN114411972A (zh) * 2022-02-18 2022-04-29 修武县奥德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装配式模块化房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102B2 (en) Wall panel system
US20020108323A1 (en) Portable graphic floor system
KR20190017317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026077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 부재
KR20130023454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US5528871A (en) Self-aligning, self-interlocking, and self-resisting modular building structure
KR101884846B1 (ko)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결합 방법
TWM530856U (zh) 組合屋
KR101021514B1 (ko) 큐브구조 건축물용 조립식 시공 방법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US5687530A (en) Composite building unit
JP3879488B2 (ja) ブースにおける化粧パネルの接続構造
WO2022071032A1 (ja) フレームジョイント及びそのフレームラック
JP2004275681A (ja) 立方体のユニット式組立構造
CN220301564U (zh) 一种整体式转角板、组合墙体
KR102235124B1 (ko) 건축 또는 저장용 판넬을 상하 방향 및 좌우직교 방향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조립판넬 연결브라켓트
KR101421634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2102469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JP2535704B2 (ja) 壁パネル組付け構造
JP5377929B2 (ja)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浴室壁の壁パネルおよび浴室ユニット
KR102227757B1 (ko) 블럭식 모듈 조립 주택
JPS5850788Y2 (ja) 容器の仕切壁構成用単位板
JPH07723Y2 (ja) 板体の結合構造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JPH01303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