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079B1 - 친환경 건축 블록 - Google Patents

친환경 건축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079B1
KR101104079B1 KR1020110019904A KR20110019904A KR101104079B1 KR 101104079 B1 KR101104079 B1 KR 101104079B1 KR 1020110019904 A KR1020110019904 A KR 1020110019904A KR 20110019904 A KR20110019904 A KR 20110019904A KR 101104079 B1 KR101104079 B1 KR 101104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blocks
protrusion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상윤
Original Assignee
원상윤
동방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상윤, 동방산업(주) filed Critical 원상윤
Priority to KR102011001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건축 블록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 외부 벽체에 적층되어서 시공되는 건축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블록들을 적층시키면 블록의 제1결합부와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적층되므로 블록들의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고, 한 블록의 제1결합부에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적층시키면 벽체가 축조되므로 초보자도 비교적 용이하게 블록을 쌓아 올릴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건축 블록{eco-friendly construction block}
본 발명은 친환경 건축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도의 건축 기술 없이도 벽체를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친환경 건축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블록은 전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그 상하면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에는 반원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으로 블록 벽체를 축조할 할 경우에, 상하 좌우 블록 사이에 반드시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공부 속으로 철근을 삽입하여 벽체를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종래의 블록은 몰탈을 사용하여 축조하므로서, 공사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몰탈은 어느 정도 경화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벽체를 어느 정도 쌓은 후, 몰탈이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벽체를 하루 3단 내지 4단 이상을 쌓을 수 없다. 또한, 몰탈에는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추운 겨울철에는 몰탈이 얼 수 있기 때문에 공사를 진행할 수 없다. 더욱이 몰탈을 사용하게 되면 모래, 시멘트, 물 등의 재료를 현장으로 반입하고 혼합하는 불편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블록 벽체를 쌓는 블록 기능공 등이 필요하므로 여러면에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 블록은 몰탈에 의해 블록들이 고정된다. 따라서 블록 사이에 몰탈이 고르게 도포되지 못하거나 몰탈이 제대로 경화되지 못한 경우 인접한 블록들이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벽체의 일부가 붕괴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의 건축 기술 없이도 벽체를 간단히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건축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된 상태가 매우 견고하도록 한 친환경 건축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건축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건축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건축 블록은, 건축물의 내, 외부 벽체에 적층되어서 시공되는 건축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다른 특징은, 제1결합부는, 블록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과, 블록의 전방 상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는, 블록의 전방 하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블록의 전방돌출부에 안착되는 전방단턱과 블록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되어서 블록이 적재될시 하부 블록의 관통구멍 내에 진입되는 하부돌부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 상단 모서리 및 전방 양측 모서리에는 빗물이 블록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모따기면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전방 일측에는 인접한 블록의 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지지돌부가 돌출되어 있고, 블록의 후방 타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의 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2지지돌부가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또 다른 특징은, 제1결합부는, 블록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1결합홈과, 제1결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제1결합홈의 일부가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수평폭이 제1결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통로와, 블록의 일측 하부에 돌출되어서 하측의 두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제1돌부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는, 블록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2결합홈과, 제2결합홈의 타측에 형성되어서 제2결합홈의 일부가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수평폭이 제2결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통로와, 블록의 타측 하부에 돌출되어서 하측의 두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제2돌부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중앙부분에는 한 블록의 제1돌부 및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2돌부가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한 두 블록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는 이들을 결합시키도록 결합체가 구비되되, 이 결합체는, 한 블록의 제1결합홈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 제1결합보스와, 다른 블록의 제2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원통형 제2결합보스와, 제1결합보스 및 제2결합보스 사이에 형성되어서 인접한 두 블록의 제1연결통로 및 제2연결통로에 삽입되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또 다른 특징은, 제1결합부는, 블록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제1요철들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는, 블록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요철들에 치합되는 제2요철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또 다른 특징은, 제1결합부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상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와, 상부돌출부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제2결합부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하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돌출부에 결합되는 하부오목부와, 하부오목부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지지부에 안착되는 하부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또 다른 특징은, 제1결합부는, 블록의 일측 상부에 ㄴ자 형태로 형성된 상부안착홈과, 상부안착홈의 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오목면과, 상부안착홈의 평면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부와, 블록의 일측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볼록면으로 이루어지며; 제2결합부는, 블록의 타측 하부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안착홈에 안착되는 하부안착홈과, 하부안착홈의 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볼록면에 지지되는 제2오목면과, 하부안착홈의 평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과, 블록의 타측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오목면에 지지되는 제2볼록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건축물의 내, 외부 벽체에 적층되어서 시공되는 건축 블록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이루어져서 벽체의 일면을 이루고 한쌍의 제1결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블록; 직육면체로 이루어져서 벽체의 타면을 이루고 한쌍의 제2결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2블록; 제1블록 및 제2블록에 결합되어서 상부 및 일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홈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및 타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돌부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돌부가 돌출되도록 하며, 한쌍의 제3결합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블록과, 제1블록의 제1결합구멍들, 제2블록의 제2결합구멍들, 조립블록의 제3결합구멍들에 결합되어서 제1블록, 제2블록, 조립블록을 결합시키는 연결핀들로 이루어지며; 한 블록의 두 변을 이루는 제1결합돌부 및 제2결합돌부를 인접한 다른 블록의 두 변을 이루는 제1결합홈 및 제2결합홈에 삽입하여서 다수의 블록들을 조립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의 또 다른 특징은, 블록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블록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결합부와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블록들을 적층시키면 블록의 제1결합부와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적층되므로 블록들의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한 블록의 제1결합부에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적층시키면 벽체가 축조되므로 초보자도 비교적 용이하게 블록을 쌓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인접한 두 수평 블록들이 제1결합홈, 제2결합홈 및 결합체에 의해 결합되고, 적층된 상하의 수직블록들은 제1돌부, 제2돌부 및 관통구멍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적층된 다수의 블록들이 좌우로 결합되고 상하로 결합되므로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이에 따라 벽체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1요철들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하부면에는 다른 블록의 제1요철들에 맞물리도록 제2요철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들을 적층시키면 제1요철들 및 제2요철들이 맞물림으로 상하 블록들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상하 블록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적층시킬 시 제1요철 및 제2요철의 피치만큼씩 좌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적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블록 및 하부 블록의 적층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획일적인 패턴의 블록 적층을 탈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적층되면 한 블록의 제1요철과 다른 블록의 제2요철이 맞물리게 되므로 적층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상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와, 상부돌출부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부와, 블록의 하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돌출부에 결합되는 하부오목부와, 하부오목부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지지부에 안착되는 하부지지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하나의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안착시키면 여러 각도의 면들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 및 상부돌출부에 여러 각도의 면들로 이루어진 하부지지부 및 하부오목부가 면접촉된다. 그러므로 절곡된 여러 면들이 서로 면접촉되면서 지지되므로 평면의 두 면만 접촉된 상태보다 접촉면적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적층 상태가 안정적이다.
또한, 블록의 상부돌출부 및 하부오목부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어도 상부돌출부 및 하부오목부의 경사면을 따라 블록의 외면으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물기가 벽체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일측 상부에 ㄴ자 형태로 형성된 상부안착홈과, 상부안착홈의 평면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부와, 블록의 타측 하부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안착홈에 안착되는 하부안착홈과, 하부안착홈의 평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다른 블록의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블록의 상부안착홈에 다른 블록의 하부안착홈을 안착시키면 결합돌부가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인접한 두 블록이 연결되며, 연결된 두 블록은 결합돌부 및 결합홈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약간씩 회동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블록들이 적층되면 결합돌부가 파손되지 않는 한 적층된 수평 블록들이 서로 해체되지 않으므로 적층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두 수평 블록들이 서로 연결되면 블록 일단의 제1오목면 및 제1볼록면이 다른 블록 타단의 제2볼록면 및 제2오목면에 접촉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돌부 및 결합홈을 중심으로 결합된 두 블록들이 약간씩 회동된다. 따라서 블록들이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부 및 결합홈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록은 다수의 블록들을 곧바로 쌓아 올려서 수직면 형태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고, 한 지점의 수직선 상에서 블록들의 연결부위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경사진 두 면을 갖는 벽체를 시공할 수도 있으며, 일정한 각도 내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일정한 각도씩 회동시켜서 곡면의 벽체를 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벽체의 일면을 이루는 제1블록과, 벽체의 타면을 이루는 제2블록과, 제1블록 및 제2블록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부 및 일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홈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및 타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돌부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돌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조립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록은 하나의 블록의 둘레에 그 주변을 감싸는 네개의 다른 블록들이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블록들의 적층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벽체가 제1블록, 제2블록, 조립블록으로 이루어진 3중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강하며,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블록을 제1블록, 제2블록, 조립블록으로 각각 분리하여서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에는 버거못, 카모마일 로만, 클레리세이지, 후랑켄세스로 이루어진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을 건축물의 측벽 시공에 사용할 경우, 실내 거주자의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으로 시공된 벽체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2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저면 사시도, 결합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3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4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5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 상태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4 내지 도 17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6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분리 사시도, 정면도, 적층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으로 시공된 벽체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건축물에 쌓아 올리는데 사용되어서 건축물의 벽면을 이루거나 건축물의 둘레를 감싸는 담을 짓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블록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1)과, 블록의 전방 상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부(12)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부는, 블록의 전방 하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블록의 전방돌출부(12)에 안착되는 전방단턱(13)과, 블록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되어서 블록이 적재될시 하부 블록의 관통구멍(11) 내에 진입되는 하부돌부(14)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전방 상단 모서리 및 전방 양측 모서리에는 빗물이 블록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모따기면(15)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의 전방 일측에는 인접한 블록의 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지지돌부(16)가 돌출되어 있으며, 블록의 후방 타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의 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2지지돌부(17)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먼저, 다수의 블록들을 수평으로 배열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블록의 제1지지돌부(16)가 인접한 다른 블록의 대응 측면에 지지되고 다른 블록의 제2지지돌부(17)가 인접한 블록의 대응 측면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블록들이 일렬로 배열되면 그 위에 다른 블록을 쌓는 바, 블록과 블록 사이에 다른 블록을 적재시킨다. 이때 적재되는 블록의 전방단턱(13)은 일렬로 배열된 블록의 전방돌출부(12)에 안착시키고, 적재되는 블록의 하부돌부(14)는 일렬로 배열된 블록의 관통구멍(11)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다수의 블록들을 적층시키면 블록의 제1결합부와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면서 적층되므로 블록들의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한 블록의 제1결합부에 다른 블록의 제2결합부가 맞물리도록 적층시키기만 하면 벽체가 간단히 축조되므로 초보자도 비교적 용이하게 블록을 쌓아 올릴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한 블록의 하부돌부(14)들이 다른 블록의 관통구멍(11) 내에 위치되고 한 블록의 전방단턱(13)이 다른 블록의 전방돌출부(12)에 안착되면서 적층되므로 축조된 상태가 안정적일 뿐 아니라 블록을 쌓아 올리는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전방 상측 모서리와 전방 양측 모서리에 모따기면(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모따기면(15)에 의해 블록들의 이음부위에는 수직으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블록의 벽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는 빗물은 전방 상측 모따기면(15)에 접촉되면서 그 경사면을 따라 흐르면서 블록들의 이음부위 틈새로 스며들지 않으며 블록의 외부면 측으로 유도된다. 블록의 외부면으로 유도되는 빗물은 블록들의 이음부위인 양측의 오목한 홈을 따라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그러므로 블록의 상부면 및 양측에 형성된 모따기면(15)에 의해 블록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하측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도 5 내지 도 7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2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저면 사시도, 결합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블록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1결합홈(21)과, 제1결합홈(21)의 일측에 형성되어서 제1결합홈(21)의 일부가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수평폭이 제1결합홈(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1연결통로(22)와, 블록의 일측 하부에 돌출되어서 하측의 두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제1돌부(23)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부는, 블록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2결합홈(24)과, 제2결합홈(24)의 타측에 형성되어서 제2결합홈(24)의 일부가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며 수평폭이 제2결합홈(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통로(25)와, 블록의 타측 하부에 돌출되어서 하측의 두 블록들을 결합시키는 제2돌부(26)로 이루어진다.
블록의 중앙부분에는 한 블록의 제1돌부(23) 및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2돌부(26)가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두 블록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에는 이들을 결합시키도록 결합체(28)가 구비된다.
이 결합체(28)는, 한 블록의 제1결합홈(21)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 제1결합보스(29)와, 다른 블록의 제2결합홈(24)에 삽입되도록 타측에 형성된 원통형 제2결합보스(30)와, 제1결합보스(29) 및 제2결합보스(30) 사이에 형성되어서 인접한 두 블록의 제1연결통로(22) 및 제2연결통로(25)에 삽입되는 연결편(3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인접한 두개의 블록들을 나란히 세우면 한 블록의 제1결합홈(21) 및 제1연결통로(22)가 다른 블록의 제2결합홈(24) 및 제2연결통로(25)에 대응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결합체(28)의 하단을 두 블록 사이에 위치시키고 하측으로 밀어 끼우면 결합체(28)의 제1결합보스(29) 부분이 블록의 제1결합홈(21)에 삽입되고, 결합체(28)의 제2결합보스(29) 부분이 블록의 제2결합홈(24)에 삽입되며, 결합체(28)의 연결편(31) 부분이 블록들의 제1연결통로(22), 제2연결통로(25)에 삽입된다. 결합체(28)가 두 블록들에 결합되면 두 블록들이 수평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결합체(28)들에 의해 일렬의 블록들이 서로 결합되면 그 위에 다른 블록들을 적층시킨다. 이때 적층되는 블록의 제1돌부(23) 및 제2돌부(26)는 하측에 위치된 두 블록의 관통구멍(27)들에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일렬의 블록들 위에 다른 블록이 적층될 때에 제1돌부(23), 제2돌부(26)가 관통구멍(27)들에 결합되므로 적층된 블록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인접한 두 수평 블록들이 제1결합홈(21), 제2결합홈(24) 및 결합체(28)에 의해 결합되고, 적층된 상하의 수직 블록들은 제1돌부(23), 제2돌부(26) 및 관통구멍(2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적층된 다수의 블록들이 좌우로 결합되고 상하로 결합되므로 결합상태가 매우 견고하며 이에 따라 벽체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도 8 및 도 9는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3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이다.
이러한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블록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제1요철(41)들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는, 블록의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요철(41)들에 치합되는 제2요철(4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제1요철(41)들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하부면에는 다른 블록의 제1요철(41)들에 맞물리도록 제2요철(42)들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들을 서로 적층시키면 제1요철(41)들 및 제2요철(42)들이 맞물린다.
따라서 상하 블록들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며 이에 따라 상하 블록의 결합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하나의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적층시킬 시 제1요철(41) 및 제2요철(42)의 피치만큼씩 좌우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적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블록 및 하부 블록의 적층 위치를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획일적인 패턴의 블록 적층을 탈피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단 적층되면 한 블록의 제1요철(41)과 다른 블록의 제2요철(42)이 맞물리게 되므로 적층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다.
도 10 및 도 11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4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 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상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돌출부(51)와, 상부돌출부(51)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부(52)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부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하부 중앙에 삼각형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돌출부(51)에 결합되는 하부오목부(53)와, 하부오목부(53)의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지지부(52)에 안착되는 하부지지부(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하나의 블록 위에 다른 블록을 안착시키면 여러 각도의 면들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52) 및 상부돌출부(51)에 여러 각도의 면들로 이루어진 하부지지부(54) 및 하부오목부(53)가 면접촉된다.
그러므로 절곡된 여러 면들이 서로 면접촉되면서 지지되므로 평면의 두 면만 접촉된 상태보다 접촉면적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적층 상태가 안정적이다.
또한, 블록의 상부돌출부(51) 및 하부오목부(53)는 블록의 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블록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블록의 틈새로 빗물이 유입되어도 상부돌출부(51) 및 하부오목부(53)의 경사면을 따라 블록의 외면으로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물기가 벽체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도 12 및 도 13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5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및 적층 상태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는, 블록의 일측 상부에 ㄴ자 형태로 형성된 상부안착홈(61)과, 상부안착홈(61)의 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1오목면(62)과, 상부안착홈(61)의 평면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결합돌부(63)와, 블록의 일측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제1볼록면(64)으로 이루어진다.
제2결합부는, 블록의 타측 하부에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상부안착홈(61)에 안착되는 하부안착홈(65)과, 하부안착홈(65)의 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볼록면(64)에 지지되는 제2오목면(66)과, 하부안착홈(65)의 평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결합돌부(63)가 삽입되는 결합홈(67)과, 블록의 타측 단부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제1오목면(66)에 지지되는 제2볼록면(6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한 블록의 상부안착홈(61)에 다른 블록의 하부안착홈(65)을 안착시키면 결합돌부(63)가 결합홈(67)에 삽입되면서 인접한 두 블록이 연결되며, 연결된 두 블록은 결합돌부(63) 및 결합홈(67)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약간씩 회동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블록들이 적층되면 결합돌부(63)가 파손되지 않는 한 적층된 수평 블록들이 서로 해체되지 않으므로 적층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두 수평 블록들이 서로 연결되면 블록 일단의 제1오목면(62) 및 제1볼록면(64)이 다른 블록 타단의 제2볼록면(68) 및 제2오목면(66)에 접촉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결합돌부(63) 및 결합홈(67)을 중심으로 결합된 두 블록들이 약간씩 회동된다. 따라서 블록들이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부(63) 및 결합홈(6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록은 다수의 블록들을 곧바로 쌓아 올려서 수직면 형태의 벽체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지점의 수직선 상에서 블록들의 연결부위를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경사진 두 벽면을 갖는 벽체를 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한 각도 내에서 적층되는 블록들을 일정한 각도씩 회동시켜서 곡면의 벽체를 시공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친환경 건축 블록의 제6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분리 사시도, 정면도, 적층상태를 보인 부분 정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제1블록(71), 제2블록(73), 조립블록(75), 연결핀(81)으로 이루어진다.
제1블록(71)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져서 벽체의 일면을 이루고 한쌍의 제1결합구멍(72)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블록(73)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져서 벽체의 타면을 이루고 한쌍의 제2결합구멍(74)들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블록(73)은, 제1블록(71) 및 제2블록(73)에 결합되어서 상부 및 일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홈(77)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홈(78)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및 타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돌부(79)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돌부(80)가 돌출되도록 하며, 한쌍의 제3결합구멍(76)들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81)들은, 제1블록(71)의 제1결합구멍(72)들, 제2블록(73)의 제2결합구멍(74)들, 조립블록(75)의 제3결합구멍(76)들에 결합되어서 제1블록(71), 제2블록(73), 조립블록(75)을 결합시킨다.
이 블록은, 한 블록의 두 변을 이루는 제1결합돌부(79) 및 제2결합돌부(80)를 인접한 다른 블록의 두 변을 이루는 제1결합홈(77) 및 제2결합홈(78)에 삽입하여서 다수의 블록들을 조립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벽체의 일면을 이루는 제1블록(71)과, 벽체의 타면을 이루는 제2블록(73)과, 제1블록(71) 및 제2블록(73)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부 및 일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홈(77)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홈(78)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및 타측에 수평방향의 제1결합돌부(79) 및 수직방향의 제2결합돌부(80)가 돌출되도록 하는 조립블록(7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블록은 하나의 블록의 둘레에 그 주변을 감싸는 네개의 다른 블록들이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블록들의 적층 상태가 매우 견고하다.
또한, 벽체가 제1블록(71), 제2블록(73), 조립블록(75)으로 이루어진 3중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강하며, 단열효과가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블록을 분리하여서 개별 블록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즉, 분리된 제1블록(71), 제2블록(73), 조립블록(75)을 각각 개별 블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건축 블록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블록 원료와 기능성방향제의 혼합 비율은 블록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된다. 여기서,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친환경 건축 블록에 혼합되는 기능성 방향제는 원료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는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방향제는 본 발명의 블록으로 시공된 건축물의 실내에 있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방향제 중 버거못(Bergamot : citrus bergamia, citrus aurantium)은 주산지인 북이태리 지방의 버가모(Bergamo)에서 따온 이름으로, 그 열매에서 짜낸 에센셜 오일은 linalyl acetate, limonene, lonalol을 주로 함유하고 있고 신선한 과일 향과 더불어 약한 초록색을 띈다.
이러한 버거못 오일은 항울효과가 탁월한 업리프팅(uplifting) 오일이다. 다시 말해 버거못 오일은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상쾌하고 신선하게 해 주는 효과가 탁월하며 심리적으로 초조, 불안하고 우울한 사람에게 버거못 오일을 이용한 맛사지를 해주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 chamaemelum nobile & anthemis nobilis)은, isobutyl angelate, pinocarvone, α-pinene, camphene, β-pinene, sabinene, myrcene, cineole, γ-terpinene, caryophyllene, propylangelate, butyl angelate 등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진통, 항염, 방부, 항경련, 진정 통경, 건위, 구충, 강장작용과 더불어 박테이라를 죽이고 상처를 낫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클레리세이지(Clary Sage : salvia sclarea, salvia viridis)는, linalyl aceate, sclareol, linalol, salvene, salvone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레리세이지는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므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긴장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기의 발작적인 경련, 즉 심한 기침등에 효과가 있어 천식환자에게 좋으며 강장효과가 있어 회복기에 있는 감기환자에게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진경작용이 있어 위경련에도 좋다.
후랑켄세스(Frankincense : boswellia carteri)는, 1-pinene, dipentene, phellandrene, camphene, olibanol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랑켄세스 오일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방부작용과 기침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좋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블록은 사람이 실내에 거주하는 동안 향기를 발산하여서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11,27 : 관통구멍 12 : 전방돌출부
13 : 전방단턱 14 : 하부돌부
15 : 모따기면 16 : 제1지지돌부
17 : 제2지지돌부 21,77 : 제1결합홈
22 : 제1연결통로 23 : 제1돌부
24,78 : 제2결합홈 25 : 제2연결통로
26 : 제2돌부 28 : 결합체
29 : 제1결합보스 30 : 제2결합보스
31 : 연결편 41 : 제1요철
42 : 제2요철 51 : 상부돌출부
52 : 상부지지부 53 : 하부오목부
54 : 하부지지부 61 : 상부안착홈
62 : 제1오목면 63 : 결합돌부
64 : 제1볼록면 65 : 하부안착홈
66 : 제2오목면 67 : 결합홈
68 : 제2볼록면 71 : 제1블록
72 : 제1결합구멍 73 : 제2블록
74 : 제2결합구멍 75 : 조립블록
76 : 제3결합구멍 79 : 제1결합돌부
80 : 제2결합돌부 81 : 연결핀

Claims (8)

  1. 건축물의 내, 외부 벽체에 적층되어서 시공되는 건축 블록에 있어서,
    블록의 한 부분에는 인접한 한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다른 부분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과 맞물려서 결합되도록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부는, 블록의 중앙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1)과, 블록의 전방 상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부(12)로 이루어지고;
    제2결합부는, 블록의 전방 하부변에 수평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블록의 전방돌출부(12)에 안착되는 전방단턱(13)과, 블록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되어서 블록이 적재될시 하부 블록의 관통구멍(11) 내에 진입되는 하부돌부(14)로 이루어지며;
    블록의 전방 상단 모서리 및 전방 양측 모서리에는 빗물이 블록의 내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모따기면(15)이 형성되어 있고;
    블록의 전방 일측에는 인접한 블록의 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1지지돌부(16)가 돌출되어 있으며;
    블록의 후방 타측면에는 인접한 블록의 후방 대응면에 지지되고 하부 블록의 상부면에 지지되어서 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제2지지돌부(17)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블록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블록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건축 블록.
KR1020110019904A 2011-03-07 2011-03-07 친환경 건축 블록 KR10110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04A KR101104079B1 (ko) 2011-03-07 2011-03-07 친환경 건축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904A KR101104079B1 (ko) 2011-03-07 2011-03-07 친환경 건축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4079B1 true KR101104079B1 (ko) 2012-01-11

Family

ID=4561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04A KR101104079B1 (ko) 2011-03-07 2011-03-07 친환경 건축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70B1 (ko) * 2013-07-09 2015-01-16 박운용 건축용 조립식 블록
WO2019164046A1 (ko) * 2018-02-26 2019-08-29 (주)장성산업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946A (ja) * 2000-09-13 2002-03-27 Toyama Prefecture 構築ブロック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20080081112A (ko) * 2007-03-03 2008-09-08 서원영 매직 블 럭
KR20090051922A (ko) * 2007-11-20 2009-05-25 유병이 무 줄눈 벽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946A (ja) * 2000-09-13 2002-03-27 Toyama Prefecture 構築ブロック
KR100753544B1 (ko) * 2006-10-20 2007-08-30 문기명 건축용 샌드위치 블럭
KR20080081112A (ko) * 2007-03-03 2008-09-08 서원영 매직 블 럭
KR20090051922A (ko) * 2007-11-20 2009-05-25 유병이 무 줄눈 벽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70B1 (ko) * 2013-07-09 2015-01-16 박운용 건축용 조립식 블록
WO2019164046A1 (ko) * 2018-02-26 2019-08-29 (주)장성산업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20190102554A (ko) * 2018-02-26 2019-09-04 (주)장성산업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KR102086904B1 (ko) * 2018-02-26 2020-03-09 (주)장성산업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79B1 (ko) 친환경 건축 블록
DE2253782A1 (de) Zerlegbare konstruktion zur bildung von faechern, zentralsymmetrischen und netzfoermigen anordnungen und dgl
DE2015649A1 (de) Aus verschiedenen Bauelementen zu sammengesetztes Spielgerat fur Kinderspiel platze od. dgl.
KR101056470B1 (ko) 태양열집열판이 구비된 이동식 주택
DE2435735A1 (de) Doppelverbundsteine und vollverbundsteine
PT103271B (pt) Sistema de construção à base de placas prefabricadas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CN206667025U (zh) 园林沟渠木质小拱桥
CN200975026Y (zh) 活动框架结
KR101430558B1 (ko) 다용도 조립식 구조물
KR200458039Y1 (ko)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DE2724329C2 (de) Bodenelement für die Herstellung von Sicherheitsböden
KR101855415B1 (ko) 네트 놀이대
CN206660595U (zh) 游具
DE809247C (de) Bauweise mit Hohlkugeln als Bauelement
KR200319281Y1 (ko)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체
CN209818457U (zh) 一种用于钢铁床的内藏式连接装置及钢铁床
KR20050105075A (ko) 건축용 황토판넬
DE1952933U (de) Aus einzelteilen zusammensetzbarer rahmen.
KR200479247Y1 (ko)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CN205866224U (zh) 一种新型拐杖
KR101127538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101153195B1 (ko) 코일링으로 구성된 훌라후프
KR102023043B1 (ko) 수평 결착식 사각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CN201106271Y (zh) 一种带按摩柱的地板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