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39Y1 -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 Google Patents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39Y1
KR200458039Y1 KR2020110004933U KR20110004933U KR200458039Y1 KR 200458039 Y1 KR200458039 Y1 KR 200458039Y1 KR 2020110004933 U KR2020110004933 U KR 2020110004933U KR 20110004933 U KR20110004933 U KR 20110004933U KR 200458039 Y1 KR200458039 Y1 KR 200458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idge
roof ridge
floor
han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구
안복남
Original Assignee
박수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구 filed Critical 박수구
Priority to KR2020110004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4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 E04D1/3402Fastenings for attaching roof-covering elements to the supporting elements for ridge or roofhip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4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at roof intersections, e.g. valley tiles, ridge tiles
    • E04D2001/305Ridge or hip 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에 관한 것으로, 용머리기와부 및 지붕마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지붕마루와, 일단 내측에 제1지붕마루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지붕마루의 타단 외측에 제1지붕마루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지붕마루로 이루어진다.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양측의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다. 그리고 제1지붕마루의 제1측면부 외면 및 제2지붕마루의 제2측면부 외면에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들 및 제2계단형단턱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전체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그만큼 절감되고,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더 보강되므로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변형이 최소화되며, 다수의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를 수직으로 적재할 때에 최소의 공간에 비교적 많은 수량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운반 및 보관시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Eco-friendly korean style house ridge}
본 고안은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제조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변형이 방지되며,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는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와집의 지붕마루는 격식이 높고, 그 건물에 장엄하며 화려하고 웅장한 외관을 주기 위하여 건물에서는 몸체의 지붕마루를 가장 높게 시공하고, 건물의 격식이 낮고 규모가 작을수록 낮게 시공한다.
이러한 지붕마루는 형상, 구조, 크기 등 다양하지만 지붕재와 동일한 재질로 만든 것을 쓰거나, 금속판을 성형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보통 한국 기와집의 지붕마루는 암키와와 수키와를 쌓아서 축조한다. 그리고, 지붕마루 중 가장 중요한 집채의 가장 높게 꾸민 수평마루 또는 용마루는 우아하며 단정되고 자연스러운 멋을 위하여 양측이 휘어오르게 즉 적새를 축조하게 된다.
그런데 칼라강판과 같은 금속판을 성형한 기와는 제작시 절단 및 절곡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그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두께가 얇은 금속판을 절곡하면 절곡부위가 더 얇아지면서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와는 빗방울에 의한 충격음이 매우 큰 편이며 이에 따라 우천시 휴식 및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금속재의 기와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다습과 다우로 인하여 표면이 부식되고, 색깔이 탈색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슬레이트나 콘크리트 또는 점토를 사용하여 만든 기와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어 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으며, 다습, 다우, 특히 호우가 잦은 지역의 기와는 쉽게 부식되며 다설, 특히 강풍으로 인하여 용마루나 귀마루, 내림마루 등과 같은 곳에 축조된 기와가 서로 떨어지며 심할 경우 지붕에서 지면으로 떨어져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와는 중량이 무거워 운반이 어렵고, 축조작업이 복잡하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등록실용신안 제20-237923호)가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는, 상부가 기와 형상의 반원형이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 보강돌기를 형성하며 전후 외측벽면에 적새무늬벽을 일체로 형성한 몸체부의 일측단부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타측단부 몸체부 내부에는 연결돌기를 형성하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몸체부를 지지하는 경사지지판을 형성한 제1지붕마루기와와, 보강돌기와 적새무늬벽을 형성한 몸체부를 일측으로 상향지게 형성하고, 하향된 측단부에는 제1지붕마루기와의 연결돌기와 연결되는 연결홈을 형성하며, 상향된 측단부 몸체부 내부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몸체부를 지지하는 경사지지판을 형성한 제2지붕마루기와와, 제2지붕마루기와의 끝단부를 장식하며 상향된 몸체부 측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한 귀면기와로 구성된다.
제2지붕마루기와와 귀면기와의 결합수단으로 제2지붕마루기와의 상향된 측단부를 밀폐되게 형성하고, 밀폐된 제2지붕마루기와의 측단부에 귀면기와을 밀착시켜 결합볼트 등으로 결합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는 제1지붕마루기와 및 제2지붕마루기와 외에 귀면기와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 귀면기와를 결합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서 제2지붕마루기와에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였고 시공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1지붕마루기와 및 제2지붕마루기와는 양측에 적새무늬벽이 형성된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면에는 외면에 홈들이 형성되어서 적새무늬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는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수축과 팽창이 발생되는데, 적새무늬를 이루기 위한 양측면의 홈들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더 얇으며 이에 따라 외부의 기온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될 때에 다른 부분보다 더 많은 변형이 발생된다. 또한 변형에 취약한 홈 부위는 그 전체가 동일한 정도로 수축 및 팽창되지 않으므로 홈들이 형성된 양측판은 서로 다른 변형율을 가지고 수축 및 팽창되며 이에 따라 제1지붕마루기와 및 제2지붕마루기와의 양측면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제조 및 조립이 매우 간편하도록 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도록 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한옥 지붕 중앙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지붕마루들과, 제1지붕마루들 사이의 한옥 지붕 중앙에 일렬로 배치되는 제2지붕마루들로 이루어지고; 제1지붕마루들은,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1터널부와 제1터널부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측면부와 제1측면부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덮개부로 이루어진 지붕마루부가 구비되고, 지붕마루부의 일단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붕마루부의 타단에 용머리기와부가 구비되되, 용머리기와부가 제1터널부, 제1연장부, 제1측면부, 제1덮개부의 일단에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지붕마루는,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2터널부와 제2터널부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연장부와 제2연장부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되, 제2지붕마루의 일단 내측에는 제1지붕마루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지붕마루의 타단 외측에는 제1지붕마루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다른 특징은,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양측의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다.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또 다른 특징은, 제1지붕마루의 제1측면부 외면 및 제2지붕마루의 제2측면부 외면에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들 및 제2계단형단턱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또 다른 특징은,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제1지붕마루의 지붕마루부와 용머리기와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붕마루부와 용머리기와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별도로 제조하고 조립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전체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그만큼 절감된다.
본 고안의 제1지붕마루의 제1측면부 외면 및 제2지붕마루의 제2측면부 외면에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들 및 제2계단형단턱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계단형단턱들 제2계단형단턱들에 의해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외측면들에 적새무늬 형태의 무늬가 형성되고, 제1계단형단턱들 및 제2계단형단턱들이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외면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더 보강되며 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변형이 최소화된다.
제1지붕마루의 제1측면부 및 제2지붕마루의 제2측면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다. 따라서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수직일 때보다 설치상태가 안정적이며, 다수의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를 수직으로 적재할 때에 최소의 공간에 비교적 많은 수량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운반 및 보관시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지붕마루의 제1측면부 및 제2지붕마루의 제2측면부는 수직면에 대해 10∼25°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경사각도가 10∼25°에 한정되므로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상부에 비교적 큰 수직하중이 작용하여도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가 쉽게 벌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며 한정된 공간 내에 다량의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를 수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지붕마루 및 제2지붕마루의 원료에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거주자가 한옥 주변을 거니는 동안 향기를 발산하여서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측면도
도 4는 제1지붕마루의 횡단면도
도 5는 제2지붕마루의 횡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지붕마루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제2지붕마루의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한옥 지붕 중앙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지붕마루(10)와, 제1지붕마루(10)들 사이의 한옥 지붕 중앙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제2지붕마루(20)로 이루어진다.
제1지붕마루(10)는, 지붕마루부(11)와 용머리기와부(18)로 이루어진다.
지붕마루부(11)는,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1터널부(12)와, 제1터널부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13)와, 제1연장부(13)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측면부(14)와, 제1측면부(14)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덮개부(16)로 이루어진다. 이 지붕마루부(11)의 일단에는 제1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붕마루부(11)의 타단에 용머리기와부(18)가 구비된다.
용머리기와부(18)는 제1터널부(12), 제1연장부(13), 제1측면부(14), 제1덮개부(16)의 일단에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지붕마루(10)는 지붕마루부(11)와 용머리기와부(18)로 이루어지고 이들을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므로 한번의 금형작업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제1지붕마루(10)의 제조작업이 단축될 뿐 아니라 지붕마루부(11)와 용머리기와부(18)를 별도로 조립할 필요도 없다.
제2지붕마루(20)는,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2터널부(21)와, 제2터널부(21)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연장부(22)와, 제2연장부(22)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측면부(23)와, 제2측면부(23)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2덮개부(25)로 이루어진다.
제2지붕마루(20)의 일단 내측에는 제1지붕마루(10)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2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제2지붕마루(20)의 타단 외측에는 제1지붕마루(10)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2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양측의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다.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가 10°미만이면 하나의 제1지붕마루(10) 또는 제2지붕마루(20)의 상부에 다른 제1지붕마루 또는 제2지붕마루를 쌓아서 적층시킬 시 서로 깊숙히 맞물리지 않으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 비교적 소량의 제1지붕마루(10) 또는 제2지붕마루(20)만 적재되며, 이에 따라 공간활용율이 저하된다.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가 25°를 초과하면 제1지붕마루(10) 또는 제2지붕마루(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가 확실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약간의 하중에도 제1측면부(14), 제2측면부(23) 또는 제1연장부(13), 제2연장부(22) 부분이 쉽게 파손된다. 그러므로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가 바람직하다.
제1지붕마루(10)의 제1측면부(14) 외면 및 제2지붕마루(20)의 제2측면부(23) 외면에는,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15)들 및 제2계단형단턱(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1계단형단턱(15)들 제2계단형단턱(24)들에 의해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외측면들에 적새무늬 형태의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계단형단턱(15)들 및 제2계단형단턱(24)들이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외면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가 더 보강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한옥형 지붕마루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다. 또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다. 이 기능성방향제의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방향제는, 원료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방향제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는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고안의 기능성방향제는 거주자가 한옥의 주변에 머무르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방향제 중 버거못(Bergamot : citrus bergamia, citrus aurantium)은 주산지인 북이태리 지방의 버가모(Bergamo)에서 따온 이름으로, 그 열매에서 짜낸 에센셜 오일은 linalyl acetate, limonene, lonalol을 주로 함유하고 있고 신선한 과일 향과 더불어 약한 초록색을 띈다.
이러한 버거못 오일은 항울효과가 탁월한 업리프팅(uplifting) 오일이다. 다시 말해 버거못 오일은 정신적으로 심리적으로 상쾌하고 신선하게 해 주는 효과가 탁월하며 심리적으로 초조, 불안하고 우울한 사람에게 버거못 오일을 이용한 맛사지를 해주면 그 효과가 탁월하다.
카모마일 로만(Chamomile Roman : chamaemelum nobile & anthemis nobilis)은, isobutyl angelate, pinocarvone, α-pinene, camphene, β-pinene, sabinene, myrcene, cineole, γ-terpinene, caryophyllene, propylangelate, butyl angelate 등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진통, 항염, 방부, 항경련, 진정 통경, 건위, 구충, 강장작용과 더불어 박테리아를 죽이고 상처를 낫게 하는 작용을 하며, 특히 마음과 신경을 안정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클레리세이지(Clary Sage : salvia sclarea, salvia viridis)는, linalyl aceate, sclareol, linalol, salvene, salvone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레리세이지는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므로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긴장에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기의 발작적인 경련, 즉 심한 기침등에 효과가 있어 천식환자에게 좋으며 강장효과가 있어 회복기에 있는 감기환자에게 좋고, 몸을 따뜻하게 하고 진경작용이 있어 위경련에도 좋다.
후랑켄세스(Frankincense : boswellia carteri)는, 1-pinene, dipentene, phellandrene, camphene, olibanol 등의 화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후랑켄세스 오일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방부작용과 기침을 가라 앉히는 효능이 있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 호흡기 질환에 좋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거주자가 한옥의 주변에 머무르는 동안 향기를 발산하여서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고안은 제1지붕마루(10)의 지붕마루부(11)와 용머리기와부(18)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지붕마루부(11)와 용머리기와부(18)가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별도로 제조하고 조립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전체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그만큼 절감된다.
둘째, 제1지붕마루(10)의 제1측면부(14) 외면 및 제2지붕마루(20)의 제2측면부(23) 외면에는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15)들 및 제2계단형단턱(24)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계단형단턱(15)들 제2계단형단턱(24)들에 의해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외측면들에 적새무늬 형태 및 다양한 무늬 형태를 만들 수 있고, 제1계단형단턱(15)들 및 제2계단형단턱(24)들이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외면으로 더 돌출되어 구비되므로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가 더 보강되며 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변형이 최소화된다.
셋째, 제1지붕마루(10)의 제1측면부(14) 및 제2지붕마루(20)의 제2측면부(23)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다.
따라서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가 수직일 때보다 설치상태가 안정적이며, 다수의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를 수직으로 적재할 때에 최소의 공간에 비교적 많은 수량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의 운반 및 보관시 공간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제1지붕마루(10)의 제1측면부(14) 및 제2지붕마루(20)의 제2측면부(23)는 수직면에 대해 10∼25°의 경사각도를 이룬다.
따라서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가 10∼25°에 한정되므로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상부에 비교적 큰 수직하중이 작용하여도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가 쉽게 벌어지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되며 한정된 공간 내에 다량의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를 수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다섯째,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원료에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는 거주자가 한옥 주변을 거니는 동안 향기를 발산하여서 거주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킨다.
10 : 제1지붕마루 11 : 지붕마루부
12 : 제1터널부 13 : 제1연장부
14 : 제1측면부 15 : 제1계단형단턱
16 : 제1덮개부 17 : 제1결합홈
18 : 용머리기와부 20 : 제2지붕마루
21 : 제2터널부 22 : 제2연장부
23 : 제2측면부 24 : 제2계단형단턱
25 : 제2덮개부 26 : 제2결합홈
27 : 제2결합돌부

Claims (4)

  1. 한옥 지붕 중앙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제1지붕마루(10)들과, 제1지붕마루(10)들 사이의 한옥 지붕 중앙에 일렬로 배치되는 제2지붕마루(20)들로 이루어지고;
    제1지붕마루(10)들은,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1터널부(12)와 제1터널부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연장부(13)와 제1연장부(13)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1측면부(14)와 제1측면부(14)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덮개부(16)로 이루어진 지붕마루부(11)가 구비되고, 지붕마루부(11)의 일단에는 제1결합홈(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붕마루부(11)의 타단에 용머리기와부(18)가 구비되되, 용머리기와부(18)가 제1터널부(12), 제1연장부(13), 제1측면부(14), 제1덮개부(16)의 일단에 이들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지붕마루(20)는, 상부 중앙에 구비되는 제2터널부(21)와 제2터널부(21)의 양단에 각각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연장부(22)와 제2연장부(22)의 양단에 하측방향을 따라 이와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제2측면부(23)와 제2측면부(23)의 하단에 이와 일체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2덮개부(25)로 이루어지되, 제2지붕마루(20)의 일단 내측에는 제1지붕마루(10)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20)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돌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제2지붕마루(20)의 타단 외측에는 제1지붕마루(10) 또는 다른 제2지붕마루(20)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제2결합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양측의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경사각도는 수직면에 10∼25°이며;
    제1지붕마루(10)의 제1측면부(14) 외면 및 제2지붕마루(20)의 제2측면부(23) 외면에는,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를 보강하고 제1측면부(14) 및 제2측면부(23)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제1계단형단턱(15)들 및 제2계단형단턱(24)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1지붕마루(10) 및 제2지붕마루(20)의 원료에는 기능성방향제가 혼합되되, 그 혼합비율은 원료 95∼97중량%에 기능성방향제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방향제는, 버거못 23∼27중량%, 카모마일 로만 23∼27중량%, 클레리세이지 23∼27중량%, 후랑켄세스 23∼27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10004933U 2011-06-03 2011-06-03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KR200458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33U KR20045803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33U KR20045803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039Y1 true KR200458039Y1 (ko) 2012-01-18

Family

ID=4584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33U KR200458039Y1 (ko) 2011-06-03 2011-06-03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39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523U (ko) * 1978-04-14 1979-10-23
JPS54152523A (en) * 1978-04-17 1979-11-30 Ordibel Inc Receiver for continuous paper sorter
JPS6143313A (ja) * 1984-08-08 1986-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制御装置
JPS6143313U (ja) 1984-08-25 1986-03-20 松下電工株式会社 和風棟瓦
KR200237923Y1 (ko) *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KR20020037923A (ko) * 2000-11-16 2002-05-23 남민우 가솔린 엔진 연료 인젝션 장치 검사 시스템
KR100986244B1 (ko) * 2010-05-03 2010-10-07 주식회사유담 장식용 가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523U (ko) * 1978-04-14 1979-10-23
JPS54152523A (en) * 1978-04-17 1979-11-30 Ordibel Inc Receiver for continuous paper sorter
JPS6143313A (ja) * 1984-08-08 1986-03-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制御装置
JPS6143313U (ja) 1984-08-25 1986-03-20 松下電工株式会社 和風棟瓦
KR20020037923A (ko) * 2000-11-16 2002-05-23 남민우 가솔린 엔진 연료 인젝션 장치 검사 시스템
KR200237923Y1 (ko) * 2001-04-20 2001-10-12 삼전산업 주식회사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KR100986244B1 (ko) * 2010-05-03 2010-10-07 주식회사유담 장식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039Y1 (ko) 친환경 한옥형 지붕마루
KR101048470B1 (ko) 정자 구조를 지닌 전망대
CN105888302A (zh) 空中花园别墅建筑结构
JP5164231B1 (ja) 既存建物の増築方法及び増築構造
KR101104079B1 (ko) 친환경 건축 블록
CN203603372U (zh) 木屋用屋檐立柱
CN206467920U (zh) 一种室内楼梯结构
CN106639362A (zh) 多层建筑及建筑群
JP2000073525A (ja) 床化粧材
CN210288673U (zh) 地下室出地面楼梯间
CN2801978Y (zh) 公墓楼
CN220686848U (zh) 一种带庭院结构的加装电梯
JP3995950B2 (ja) 屋上工作物設置用基礎枠
KR102062511B1 (ko)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CN204097851U (zh) 一种带地下车库的廊桥
CN101769079B (zh) 一种带泳池的多层户型结构
JP2517833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EP2877645B1 (en) Structure to achieve green areas on building roofs
US3269726A (en) Combined pool, slideway, and patio construction
CN212866684U (zh) 一种装配式建筑楼梯
KR102039951B1 (ko) 중보 장악형 구조를 갖는 한식 구조물 시공용 주두 조립체
CN207348375U (zh) 一种用于木屋的一体式新型防火地板
US8112952B2 (en) Bent pole composite stairs
CN207878258U (zh) 一种双层廊桥
CN201059037Y (zh) 木结构封闭式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