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247Y1 -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247Y1
KR200479247Y1 KR2020130002658U KR20130002658U KR200479247Y1 KR 200479247 Y1 KR200479247 Y1 KR 200479247Y1 KR 2020130002658 U KR2020130002658 U KR 2020130002658U KR 20130002658 U KR20130002658 U KR 20130002658U KR 200479247 Y1 KR200479247 Y1 KR 200479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bar
fastening
fence
present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380U (ko
Inventor
신영태
신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신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신영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Priority to KR2020130002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24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2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rails being attached to the front faces of the posts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지주의 외측에 부설되는 횡바체결편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바를 고정함에 있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함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하부에 받침대와 상부에 캡이 일체로 결합된 원통형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체결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로 구성된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바체결편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편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양측에 횡바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안착홈에 정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휀스의 횡바고정장치{Bar fixing apparatus of fence}
본 고안은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지주의 외측에 부설되는 횡바체결편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바를 용이하고 신속하고 시공함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원 등에 일반인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휀스는 고정지주와, 이 고정지주의 외측에 세로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횡바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지주에 횡바를 고정하는 수단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참고문헌(1)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외표면에 목피(금속파이프의 외표면에 합성수지재로 나무무늬의 모양을 피복한 것)가 부가된 지주(40)에 횡바(5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주(40)에 고정되는 내측부재(15)와 횡바(50)를 협지하는 외측부재(30)를 이용하여 휀스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소기의 목적으로 범용화 되고 있으나,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부재(15)와 외측부재(30)로 인하여 미관을 해친다고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1) :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1-546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고정지주에 횡바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함과 아울러 미려한 외관이 표출되는 휀스의 횡바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하부에 받침대와 상부에 캡이 일체로 결합된 원통형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체결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로 구성된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바체결편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편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양측에 횡바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안착홈에 정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이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지주의 외측에 횡바체결편을 이용하여 횡바를 연속해서 결합하여 휀스를 완성하는 것으로 이는 시공이 간편할 뿐만이 아니라 미려한 외관이 표출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이용되는 캡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을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이용되는 캡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을 시공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이용되는 캡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을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이용되는 캡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4를 결합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고정지주(10)와, 이 고정지주(10)의 고정되는 횡바체결편(15)과, 상기 횡바체결편(15)의 양측에 일체로 결합되어지는 횡바(2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원고안에서 언급하고 있는 위 고정지주(10)와 횡바(20)는 외표면에 원목과 같은 질감을 표출하는 합성수지를 피복한 것이다.
상기 고정지주(10)는 원통형상으로서, 내부의 중앙에는 강도의 증대를 도모하는 동시에 다른 부품을 결합하기 위하여 심재(4)를 더 부가한 것으로서, 하부에는 받침대(5)가 부가되고, 상부에는 캡(6)이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5)는 상면의 중앙에 볼트(5a)가 구비된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요홈(5b)가 형성된 고정편(5c)과, 이 고정편(5c)의 하부에는 삼각뿔형상의 침부(5d)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고정편(5c)의 외측면에 다수개형성된 반원형상의 요홈(5b)은 주변의 토양과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서 고정지주(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함이고, 하부의 삼각형상을 갖는 침부(5d)는 지면에 굴착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지주(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6)은 내측중앙에는 고정지주(10)를 구성하는 심재(4)에 나사결합되는 볼트(6a)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다.
한편, 고정지주(10)의 외측에 고정볼트(8)에 의해 접합되는 횡바체결편(15)은 체결볼트(11)와 하우징(13)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체결볼트(11)는 양측에 횡바(20)를 고정하기 위한 나선부(11a,11b)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13)의 중앙에 마련된 안착홈(13a)에 정합되는 육각형상의 두부(11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체결볼트(11)를 고정하는 하우징(13)은 체결공(12a)이 형성된 내측편(12)과 중앙에는 안착홈(13a)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횡바체결편(15)의 양측에 결합되어지는 횡바(20)의 내측단부에 결합되는 캡(14,16)은 도 2 및 도 5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종류가 이용되는 것이다.
도 2에 예시한 캡(14)은 심재(20a)가 부가된 횡바(20)를 결합시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도 1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횡바(20)의 내측단부에 캡(14)을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1)를 구성하는 나선부(11a,11b)를 횡바(20)를 구성하는 심재(20a)에 나사결합하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캡(16)은 심재가 없는 원통형상의 횡바(20)를 고정시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16)을 횡바(20)의 내측단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1)를 구성하는 나선부(11a,11b)를 결합하면, 캡(16)을 구성하는 중앙에 볼트체결구(16a)가 형성된 외측편(16b)과,“+”형상으로 절단되어 볼트(13a)의 체결시에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횡바(20)의 내측면과 면접촉되는 내측편(16c)이 단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또한 본원고안에서 이용되는 횡바(20)는 중공형과 내부에 심재(20a)가 부설된 원통형상으로 성형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하부에 받침대(5)와 상부에 캡(6)이 결합된 고정지주(10)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볼트(8)를 이용하여 양측에 횡바(20)가 부가된 횡바체결편(15)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횡바체결편(15)에 횡바(20)의 결합하는 수순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심재(20a)를 갖는 횡바(20)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횡바(20)에 캡(14)은 결합한다.
상기 캡(14)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4a)에 체결볼트(11)의 일측에 형성된 나선부(11a)를 체결하면, 상기 나선부(11a)는 횡바(20)를 구성하는 심재(20a)에 나사결합되므로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측에 횡바(20)가 일체로 결합된 체결볼트(11)를 구성하는 두부(11c)는 하우징(13)에 안착홈(13a)에 삽입하여 정합한다.
이렇게 안착홈(13a)에 정합된 두부(11c)의 타측에 형성된 나선부(11b)는 하우징(1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에 타측의 횡바(20)를 위와 같은 수순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면에 횡바(20)가 결합된 횡바체결편(15)을 구성하는 하우징(13)의 내측편(12)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2a)을 이용하여 고정지주(10)에 부가된 고정볼트(8)에 결합하므로서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중공형상을 갖는 횡바(20)의 시공은 도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바(20)에 캡(16)은 결합한다.
상기 캡(14)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16a)에 체결볼트(11)의 일측에 형성된 나선부(11a)를 체결하면, 상기 나선부(11a)가 캡(16)을 구성하는 내측편(16c)에 나사결합되면서 외측으로 확개시켜 횡바(20)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측에 횡바(20)가 일체로 결합된 체결볼트(11)를 구성하는 두부(11c)는 하우징(13)에 안착홈(13a)에 삽입하여 정합한다.
이렇게 안착홈(13a)에 정합된 두부(11c)의 타측에 형성된 나선부(11b)는 하우징(13)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이에 타측의 횡바(20)를 위와 같은 수순으로 결합하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면에 횡바(20)가 결합된 횡바체결편(15)을 구성하는 하우징(13)의 내측편(12)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2a)을 이용하여 고정지주(10)에 부가된 고정볼트(8)에 결합함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에 의해서만 구현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다른 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5 : 받침대 6 : 캡 10 : 고정지주 13 : 하우징 13a : 안착홈
15 : 횡바체결편 16 : 캡 16a : 볼트체결구 16b : 외측편
16c : 내측편 20 : 횡바 30 : 휀스

Claims (3)

  1. 하부에 받침대와 상부에 캡이 일체로 결합된 원통형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체결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횡바로 구성된 휀스의 횡바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바체결편은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된 내측편과,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양측에 횡바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안착홈에 정합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2658U 2013-04-09 2013-04-09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KR200479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58U KR200479247Y1 (ko) 2013-04-09 2013-04-09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58U KR200479247Y1 (ko) 2013-04-09 2013-04-09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80U KR20140005380U (ko) 2014-10-17
KR200479247Y1 true KR200479247Y1 (ko) 2016-01-06

Family

ID=5245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658U KR200479247Y1 (ko) 2013-04-09 2013-04-09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2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9Y1 (ko) * 2016-09-23 2017-02-21 (주)세이프티코리아 차선 분리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297Y1 (ko) * 1996-10-10 1999-07-15 이선용 횡단방지난간
KR200458050Y1 (ko) 2009-11-26 2012-01-18 주식회사 에스앤에스패널 석고보드 복합 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9Y1 (ko) * 2016-09-23 2017-02-21 (주)세이프티코리아 차선 분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80U (ko)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6096S1 (en) Swimming pool telescoping pole
USD745949S1 (en) Moveable curb stop
WO2010135565A3 (en) Cushions comprising core structures having joiner ribs and related methods
KR100966624B1 (ko) 울타리 연결장치
USD872885S1 (en) Pool coping member
JP2010065524A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USD801551S1 (en) Fence post
WO2012012649A3 (en) Improved tent assembly
USD794435S1 (en) Clip
KR200479247Y1 (ko) 휀스의 횡바고정장치
KR200456347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USD809907S1 (en) Tool for fixing a tension member of composite strand for prestressed concrete reinforcement and post tensioning concrete structure
CN202227943U (zh) 阳台护栏的栏杆及装饰物的内藏式连接结构
USD814279S1 (en) Tool for fixing a tension member of composite strand for prestressed concrete reinforcement and post tensioning concrete structure
KR200460766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USD815940S1 (en) Tool for fixing a tension member of composite strand for prestressed concrete reinforcement and post tensioning concrete structure
KR101282747B1 (ko) 가로 파이프의 신축 이음이 가능한 울타리
JP5972918B2 (ja) 擬木柵
KR101063304B1 (ko) 트러스의 조립각이 자유로운 트러스 연결부재
JP5779006B2 (ja) 格子体
KR200420138Y1 (ko) 메쉬휀스의 결합 구조
KR100974510B1 (ko) 도로용 울타리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KR102278053B1 (ko) 조명을 구비한 조립식 울타리
JP3184017U (ja) ユニット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