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920A - 울타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울타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920A
KR20090064920A KR1020070132298A KR20070132298A KR20090064920A KR 20090064920 A KR20090064920 A KR 20090064920A KR 1020070132298 A KR1020070132298 A KR 1020070132298A KR 20070132298 A KR20070132298 A KR 20070132298A KR 20090064920 A KR20090064920 A KR 20090064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horizontal
connection
pie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624B1 (ko
Inventor
조석송
Original Assignee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조석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934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649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조석송 filed Critical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6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타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지주 및 이에 교차 연결되는 세로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연결할 때 자유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부재(100)와; 상기 지주부재(100)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 및 이 가로연결부재(200)와 지주부재(100)의 경계부에서 가로연결부재(200)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지주부재(100)에 고정된 플레이트(310)에 거리를 두고 지지편(320)이 나란하게 성형되고, 지지편(320)에 동일 축선상으로 통과구멍(321)이 뚫어지는 암부재(300)와,
가로연결부재(200)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410)에 암부재(300)의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편(420)이 성형되고, 이 연결편(420)에 조립구멍(421)을 뚫어지는 숫부재(400)와,
상기 통과구멍(321) 및 조립구멍(421)을 관통하여 암부재(300)와 숫부재(400)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힌지볼트(500)와 너트(510)로 구성되는 것이다.
울타리, 합성목재, 경사연결, 힌지볼트, 경사면

Description

울타리 연결장치{Device of Connecting Fence}
본 발명은 울타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지주 및 이에 교차 연결되는 세로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연결할 때 자유각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보강재의 역활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가로부재 및 이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시설물을 보호함은 물론 외부와의 경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울타리의 재질은 목재나 철재를 이용하기도 하나 최근에는 나무재질의 촉감과 시각을 갖는 합성목재가 이용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울타리는, 지주와 가로및 세로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일정구배를 갖는 지면에서는 적용하기가 힘들게 되고, 지면의 구배와 일치되는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울타리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조립식 울타리가 대한민국 등록실 용신안공보 제201594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은 도 1a 및 도 1b에서 나타나 있다.
즉, 조립식 울타리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원형지주(11)와, 상기 지주(11) 사이를 연결하는 횡대(21)와, 상기 지주(11)와 횡대(21)를 결합시키는 횡대고정바(22)와, 상기 횡대(21)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전면판(32)과 후면판(33)이 서로 끼워맞춤되는 종대(3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지주(11)에 접촉되는 황대고정바(22)의 일측에 곡면부(24)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울타리는, 원형지주(11)의 측면에 밀착토록 곡면부(24)를 갖는 횡대고정바(22)를 결합시킨 다음 이에 횡대(21)를 고정하고, 상기 지주(11)의 일측에 고정되는 횡대와 일정각도를 유지토록 또 다른 횡대고정바(22)를 결합한 후 이에 또 다른 횡대를 연결하며, 상기 횡대(21)에는 전면판(32)과 후면판(33)이 상호 결합되는 종대(31)를 일정간격으로 고정하여 울타리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울타리는, 횡대(21)와 지주(11)의 결합시 그 각도가 셋팅되어 높낮이가 다른 불규칙에 지면에서는 적용하기가 힘들고, 결합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되는 지 반면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부의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수직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부재의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시공의 편리함으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부재(100)와;
상기 지주부재(100)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 및
이 가로연결부재(200)와 지주부재(100)의 경계부에서 가로연결부재(200)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플레이트(310)에 거리를 두고 지지편(320)이 나란하게 성형되고, 지지편(320)에 동일 축선상으로 통과구멍(321)이 뚫어지는 암부재(300)와,
하우징(410)에 암부재(300)의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편(420)이 성형되고, 이 연결편(420)에 조립구멍(421)을 뚫어지는 숫부재(400)와,
상기 통과구멍(321) 및 조립구멍(421)을 관통하여 암부재(300)와 숫부재(400)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힌지볼트(500)와 너트(51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320)의 내측면과 이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편(420)의 외측면에 각각 경사면(330)(4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 연결편(420)의 조립구멍(421)에도 중심을 축으로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경사부(440)가 성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암부재(300)와 숫부재(400)가 힌지볼트(500)를 축으로 유동 가능하게 조립되므로써 지반면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다.
또, 그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시공의 편리함으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의 시공상태를 보인 조립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연결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상태 일부절결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일부절결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주부재(100)는 사각 기둥형상으로 지면위에 수직하게 세워 고정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주부재(100)를 포함하여 가로연결부재(200)는 표면이 목재와 같은 질감과 색상을 갖는 합성목재로 된 것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지주부재(100)를 지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지주부재(100)를 직접 지면에 꼽혀지게 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도 2에서와 같이 받침대(110)의 상부로 지주부재(100)를 끼워 조립한 후 앵커볼트 등을 이용해 받침대(110)를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지면위로 세워지는 지주부재(100)의 사이에는 수평 또는 경사지게 가로연결부재(200)들이 연결된다.
이 가로연결부재(200)와 지주부재(100)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연결수단으로는 가로연결부재(200)가 수평은 물론 어떠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연결수단으로는 암부재(300)와 숫부재(400), 그리고 이들을 피봇 연결하는 힌지볼트(500)와 너트(510)로 크게 구성된다.
암부재(300)는 지주부재(100)에 주로 부착되고 숫부재(400)는 가로연결부재(200)의 양쪽 단부에 각각 끼워 고정된다.
암부재(300)는 플레이트(310)에 거리를 두고 지지편(320)이 나란하게 성형된다.
플레이트(310)는 지주부재(100)에 볼트나 비스로 견고하게 부착되며, 상기 지지편(320)에는 동일 축선상으로 통과구멍(321)이 뚫어져 힌지볼트(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숫부재(400)는 가로연결부재(200)의 단부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내부가 파여진 하우징(410)에 일체로 연결편(420)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연결편(420)은 암부재(300)의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볼트(5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조립구멍(421)이 뚫어진다.
힌지볼트(500)는 지지편(320)의 통과구멍(321) 및 연결편(420)의 조립구멍(421)을 모두 관통한 후 너트(510)로 체결되어 힌지볼트(500)를 축으로 지주부재(100)에 고정된 암부재(300)로부터 숫부재(400)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편(320)의 내측면과 연결편(420)의 외측면에는 각각 경사면(330)(430)을 형성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편(320)의 양쪽 내측에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면(330)을 형성하여 그 사이로 위치되는 연결편(420)이 경사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각도를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편(420)의 끝단부에도 경사면(430)을 형성하여 지지편(32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로연결부재(200)와 함께 숫부재(400)가 경사질 때 지지편(320)과의 접촉시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숫부재(400)가 경사지게 조립될 경우 힌지볼트(500)가 끼워지는 연결편(420)의 조립구멍(421)이 힌지볼트(500)의 직경과 거의 비슷할 경우 경사방향으로 숫부재(400)가 유동될 수 없다.
따라서, 조립구멍(421)의 내경을 힌지볼트(500)의 외경에 비하여 현저히 크 게 성형하거나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을 축으로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경사부(440)를 성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암부재(300)와 숫부재(400)가 힌지볼트(500)를 축으로 상하 어떠한 경사방향으로도 유동되며 조립 가능하게 되므로써 지반면의 경사도에 상관없이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울타리를 경사지게 시공하는 구조를 보인 조립 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울타리의 시공상태를 보인 조립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울타리 연결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상태 일부절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일부절결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주부재 200 - 가로연결부재
300 - 암부재 310 - 플레이트
320 - 지지편 321 - 통과구멍
400 - 숫부재 410 - 하우징
420 - 연결편 421 - 조립구멍
500 - 힌지볼트 510 - 너트

Claims (2)

  1.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지주부재(100)와;
    상기 지주부재(100)의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가로연결부재(200); 및
    이 가로연결부재(200)와 지주부재(100)의 경계부에서 가로연결부재(200)를 경사지게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레이트(310)에 거리를 두고 지지편(320)이 나란하게 성형되고, 지지편(320)에 동일 축선상으로 통과구멍(321)이 뚫어지는 암부재(300)와,
    하우징(410)에 암부재(300)의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편(420)이 성형되고, 이 연결편(420)에 조립구멍(421)을 뚫어지는 숫부재(400)와,
    상기 통과구멍(321) 및 조립구멍(421)을 관통하여 암부재(300)와 숫부재(400)가 유동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힌지볼트(500)와 너트(5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320)의 내측면과 이 지지편(320)들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편(420)의 외측면에 각각 경사면(330)(430)을 형성하고, 연결편(420)의 조립구멍(421)에는 중심을 축으로 양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경사부(440)가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 연결장치.
KR1020070132298A 2007-12-17 2007-12-17 울타리 연결장치 KR10096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98A KR100966624B1 (ko) 2007-12-17 2007-12-17 울타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298A KR100966624B1 (ko) 2007-12-17 2007-12-17 울타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920A true KR20090064920A (ko) 2009-06-22
KR100966624B1 KR100966624B1 (ko) 2010-06-29

Family

ID=4099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298A KR100966624B1 (ko) 2007-12-17 2007-12-17 울타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6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56Y1 (ko) * 2008-08-22 2011-05-13 주식회사 브니엘이앤씨 도로분리대용 차단봉 고정장치
KR20170143060A (ko) 2016-06-17 2017-12-29 (주) 파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20170143061A (ko) 2016-06-17 2017-12-29 (주) 파루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CN107700859A (zh) * 2017-08-22 2018-02-1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定型化护栏
KR20210077240A (ko) * 2019-12-17 2021-06-25 박명숙 각도 조절이 용이한 펜스
KR102417040B1 (ko)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69Y1 (ko) 2010-05-26 2011-05-06 전소영 조립형 동물 울타리
KR101429116B1 (ko)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KR200490552Y1 (ko) * 2017-09-14 2019-11-28 이성재 펜스 조립체
KR101952924B1 (ko) * 2018-10-29 2019-02-27 경동산업 주식회사 난간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367U (ko) * 1990-08-31 1992-04-24
JPH08158708A (ja) * 1994-12-09 1996-06-18 Nippon Kokan Light Steel Kk 防護柵の横桟用継手
KR100509885B1 (ko) * 2002-10-28 2005-08-2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척추내 고정장치
KR200437303Y1 (ko) 2006-11-28 2007-11-21 (주)이건환경 조립식 난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56Y1 (ko) * 2008-08-22 2011-05-13 주식회사 브니엘이앤씨 도로분리대용 차단봉 고정장치
KR20170143060A (ko) 2016-06-17 2017-12-29 (주) 파루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20170143061A (ko) 2016-06-17 2017-12-29 (주) 파루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CN107700859A (zh) * 2017-08-22 2018-02-16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定型化护栏
KR20210077240A (ko) * 2019-12-17 2021-06-25 박명숙 각도 조절이 용이한 펜스
KR102417040B1 (ko) 2022-02-14 2022-07-05 주식회사 아라우드 데크로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624B1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24B1 (ko) 울타리 연결장치
KR100802500B1 (ko) 경사 지면에 시공되는 울타리를 위한 가로대 각도 조절장치
US20060169965A1 (en)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KR101079406B1 (ko)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KR20090064921A (ko) 울타리 연결장치
KR20100011293A (ko) 조립식 구조물
KR102156673B1 (ko) 목재 펜스용 하이브리드 브래킷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100592633B1 (ko)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101282747B1 (ko) 가로 파이프의 신축 이음이 가능한 울타리
KR20100001977U (ko) 난간의 고정구조
KR101126100B1 (ko) 계단 난간용 기둥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KR200447055Y1 (ko) 난간용 지주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KR200390378Y1 (ko) 펜스
JP5528128B2 (ja) 建築構造材の接合構造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0576238B1 (ko) 조립식 펜스
KR200479334Y1 (ko) 조립식 펜스
JP2005201030A (ja) ベランダの手摺壁に固定用の支柱並びにその支柱を用いて固定したフエンス及び工事用仮設足場
KR102491817B1 (ko)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KR200442130Y1 (ko) 조립식 지주
JP7449893B2 (ja) 格子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09

Effective date: 201202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000105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509

Effective date: 201202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2944;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13

Effective date: 201208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0294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413

Effective date: 2012083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325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30000006;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26

Effective date: 201212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30000325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26

Effective date: 201212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03

Effective date: 201301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300000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03

Effective date: 20130131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