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238B1 - 조립식 펜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238B1
KR100576238B1 KR1020050098464A KR20050098464A KR100576238B1 KR 100576238 B1 KR100576238 B1 KR 100576238B1 KR 1020050098464 A KR1020050098464 A KR 1020050098464A KR 20050098464 A KR20050098464 A KR 20050098464A KR 100576238 B1 KR100576238 B1 KR 100576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embers
elbow member
prefabricated
ch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05009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4변에 설치된 복수개의 행거부, 상기 프레임의 각 변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행거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연결바 및 복수개의 철선이 상호 교차된 망상구조를 갖고 4변의 각 단부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는 체인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펜스의 설치시에 여러가지 색상의 철선을 조합함으로써 펜스를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펜스, 조립식, 체인링크, 울타리.

Description

조립식 펜스{Prefabricated F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상변부재 20 : 하변부재
30 : 좌변부재 40 : 우변부재
50 : 엘보부재 60 : 행거부
70 : 연결바 80 : 체인링크
90 : 볼트 100 : 지주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의 각 부분을 누구나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펜스의 조립시 여러가지 색상의 체인링크를 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조립식 펜스에 관한 것이다.
체육시설, 축사, 주택 등의 경계 시설물로서 펜스(fenc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펜스는 경계 시설물로서 외부의 사람 또는 동물이 펜스가 설치된 내부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용도로 설치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펜스가 종래의 경계 시설물 외에 디자인적인 개념적인 요소가 강해지고 있으며 심미감이 있도록 디자인된 제품도 많이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펜스는 설치가 복잡하거나 설치가 어려워 일반일들이 직접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일반일들도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립식 펜스가 일부 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미리 제조된 부품들을 단순히 조립하는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설치시에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 펜스 구조의 불합리한 점을 해결하고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시에 사용자가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은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인링크의 각 철선을 여러가지 색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펜스의 설치시에 여러가지 색상의 철선을 조합함으로써 펜스를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펜스의 각변 부재를 엘보부재로 연결하고 상하변부재와 엘보부재를 신장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포스트 간의 거리와 펜스의 폭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펜스의 폭을 압축 또는 신장시켜 펜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4변에 설치된 복수개의 행거부, 상기 프레임의 각 변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행거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연결바 및 복수개의 철선이 상호 교차된 망상구조를 갖고 4변의 각 단부가 상기 연결바에 결합되는 체인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가 제공된다.
상기 체인링크부는 복수개의 색상으로 구성된 철선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하변부재, 좌,우변부재 및 상기 상,하변부재와 좌,우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엘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변부재와 상기 엘보부재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하변부재 와 상기 엘보부재는 신장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가로폭을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보부재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변부재측에 설치된 연결바의 양단부가 상하부에 위치한 엘보부재에 형성된 관통공내로 관입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조립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상,하,좌,우의 각변부재(10 ~ 40)로 구성되는 프레임부, 행거부(60), 연결바(70) 및 체인링크부(80)로 구성된다.
프레임부는 상변부재(10), 하변부재(20), 좌변부재(30), 우변부재(40) 및 각변부재(10 ~ 40)의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엘보부재(50)로 구성된다. 각변부재(10 ~ 40) 및 엘보부재(50)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관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부재(50)와 좌,우변부재(30, 40)는 볼트(90)를 통해 고정결합되나 엘보부재(50)와 상,하변부재(10, 20)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 하변부재(10, 20)가 직경이 큰 엘보부재(50) 내로 삽입되어 엘보부재(50)가 좌우이동이 가능하다.
통상 펜스의 설치시 지주(100 : Post)를 땅에 박은 후 펜스를 좌,우측의 지주(100)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펜스의 폭이 지주(100)간의 폭과 일치하지 않거나 지주(100)가 다소 경사지게 설치된 경우가 많아 펜스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점은 일반인들이 펜스를 설치하기 힘든 이유 중의 하나였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변부재(10, 20)와 엘보부재(50)를 신장가능하도록 결합시키면 펜스의 가로폭을 지주(100) 간의 간격과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반일들이 펜스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엘보부재(50)의 절곡부에는 연결바(70)의 양단부를 부분 관입되도록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55)이 형성되어 있다.
행거부(60)는 프레임의 각변부재(10 ~ 40)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행거부(60)는 일단이 각변부재(10 ~ 40)에 결합되고 타단이 연결바(70)를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금속철편의 일측단부를 하방으로 절곡한 후 중앙에 관체를 놓고 말아 놓은 구조로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보다 약간 상측에 볼트(95)를 통해 상하 철편이 체결되어 연결바가 고정 지지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연결바(70)는 프레임의 각 변에 설치된 복수개의 행거부(6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하,좌,우변에 4개가 설치된다. 연결바(70)는 원통 형상의 철재 환봉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 여러 가지 단면 형상의 봉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좌우변부재측에 설치된 연결바(70)는 양단부가 엘보부재(50)의 절곡부에 형성된 관통공(55)에 관입된다. 좌우변부재(30, 40)측의 연결바(70)를 상하변부재(10, 20)측과 같이 설치할 경우 체인링크부(80)의 좌우측 단부 일부가 연결바(70)에 결합되지 않고 자체 강도에 의해 형상을 유지해야 하는데, 좌우변부재측은 펜스 설치 시 횡방향으로 상당한 힘이 가해지므로 연결바(70)에 결합되지 않은 부분이 횡방향의 인장력에 의해 굴곡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펜스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변부재측에 설치된 연결바(70)의 양단부가 엘보부재(50)의 절곡부에 형성된 관통공(55)에 관입되도록 하면, 체인링크부(80)의 좌우측 단부가 모두 연결바(70)에 끼움결합되므로 횡방향 인장력에 의한 굴곡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체인링크부(80)는 연속적인 산(山)형으로 형성된 철선의 산(山)과 곡(谷)을 상호 교차시킨 망상구조를 갖고 네변의 각 단부가 상기 연결바(70)에 끼움결합된다. 즉, 최상단 철선의 각 산부가 상변측의 연결바(70)에 끼워지고 최하단 철선의 각 곡부가 하변측의 연결바(70)에 끼워지고, 체인링크부(80)의 양측은 각 철선들의 교차지점 부근에 연결바(70)가 끼워져 체인링크부(80)가 각 4변의 연결바(70)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실제 제품 사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링크부(80)를 구성하는 각 철선은 여러 가지 색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제품 내에서 여러 색상으로 구성 된 복수개의 철선이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혹은 각 색상별로 교차 조립된 소단위 체인링크의 단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기 다른 색상의 철선을 임의대로 배열함으로써 아름다운 형상의 펜스를 용이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색, 황색 및 적색의 3가지 색상으로 미리 조립된 소단위 체인링크들을 상호 연결하여 보다 단시간에 펜스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철선들을 교차시켜 체인링크부(80)를 제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단계에서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색상을 조합하여 체인링크부(80)를 제작함으로써 펜스 조립의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
제작된 체인링크부(80)를 상,하,좌,우의 각 연결바(70)에 연결한다.
그 다음, 각변 부재(10 ~ 40) 및 엘보부재(50)를 준비한 후 행거부(60)의 일단을 각변 부재(10 ~ 40)에 결합하고 행거부(60)의 타단에 연결바(70)를 장착한 후 볼트(95)로 체결하여 연결바(70)를 고정 지지한다.
연결바(70)의 체결이 완료되면 각 엘보부재(50)를 이용하여 각변 부재(10 ~ 40)를 연결시킨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엘보부재(50)와 좌,우변부재(30, 40)는 볼트(90)를 통해 고정결합되나 엘보부재(50)와 상,하변부재(10, 20)는 엘보부재(50)가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하변부재(10, 20)가 직 경이 큰 엘보부재(50) 내로 삽입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체인링크의 각 철선을 여러가지 색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펜스의 설치시에 여러가지 색상의 철선을 조합함으로써 펜스를 직접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펜스의 각변 부재를 엘보부재로 연결하고 상하변부재와 엘보부재를 신장가능하도록 연결함으로써 포스트 간의 거리와 펜스의 폭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펜스의 폭을 압축 또는 신장시켜 펜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조립식 펜스에 있어서,
    상,하변부재, 좌,우변부재 및 상기 상,하변부재와 좌,우변부재를 각각 연결
    하는 엘보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의 각 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행거부;
    상기 행거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연결바; 및
    복수개의 철선이 상호 교차된 망상구조를 갖고 4변의 각 단부가 상기 연결바
    에 결합되는 체인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변부재와 상기 엘보부재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상,하변부재와 상기 엘보부재는 신장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가로폭을 조절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크부는 복수개의 색상으로 구성된 철선들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부재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변부재측에 설치된 연결바의 양단부가 상하부에 위치한 엘보부재에 형성된 관통공내로 관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KR1020050098464A 2005-10-19 2005-10-19 조립식 펜스 KR100576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64A KR100576238B1 (ko) 2005-10-19 2005-10-19 조립식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464A KR100576238B1 (ko) 2005-10-19 2005-10-19 조립식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6238B1 true KR100576238B1 (ko) 2006-05-03

Family

ID=3718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464A KR100576238B1 (ko) 2005-10-19 2005-10-19 조립식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6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76U (ko) 2016-03-31 2017-10-12 제정원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KR101930404B1 (ko) * 2017-04-26 2018-12-18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안전펜스용 능형망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안전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476U (ko) 2016-03-31 2017-10-12 제정원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KR101930404B1 (ko) * 2017-04-26 2018-12-18 주식회사 뉴딘콘텐츠 안전펜스용 능형망 고정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0627C2 (ru) Заборный столб и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нем забор
KR100966624B1 (ko) 울타리 연결장치
US6883785B1 (en) Bracket for T-post fence braces and/or gates
KR100576238B1 (ko) 조립식 펜스
US6796549B1 (en) Fence structure
KR100818715B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090064921A (ko) 울타리 연결장치
KR101182817B1 (ko) 조립식 휀스
CN202227943U (zh) 阳台护栏的栏杆及装饰物的内藏式连接结构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204913B1 (ko) 조립식 휀스
KR200429769Y1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101051701B1 (ko) 메쉬망 지지틀을 갖는 메쉬 펜스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KR200468276Y1 (ko) 압출바를 이용한 개선된 형태의 조립식 기둥
KR101271666B1 (ko)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1674B1 (ko) 펜스의 상부 프레임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펜스
KR200342231Y1 (ko) 조립식 벤치
KR200292504Y1 (ko) 조립식 의자
KR200474881Y1 (ko) 하키채형 휨구조를 가진 2단형 천막골조
KR200201594Y1 (ko) 조립식 울타리
JPS623495Y2 (ko)
KR101269984B1 (ko) 시공 호환성을 향상시킨 합성목재 난간 시공 방법
KR100713131B1 (ko) 농작물 가림막용 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455270Y1 (ko) 팬스 고정대 및 상기 팬스 고정대가 장착된 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