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76U -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476U KR20170003476U KR2020160001714U KR20160001714U KR20170003476U KR 20170003476 U KR20170003476 U KR 20170003476U KR 2020160001714 U KR2020160001714 U KR 2020160001714U KR 20160001714 U KR20160001714 U KR 20160001714U KR 20170003476 U KR20170003476 U KR 201700034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nce
- bracket
- cover
- strut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대와 펜스로 구성되는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주대와 펜스의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는 지주대브래킷과 펜스브래킷, 그리고 상기 지주대브래킷 및 펜스브래킷과 함께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와, 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는 커버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연결부위의 외부노출 방지, 손상방지, 견고한 조립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대와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울타리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대와 울타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울타리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대와 펜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개선하고 이를 커버로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학교, 공터 등지에 일렬로 길게 늘어선 형태로 설치되는 울타리는 경계용 또는 안전사고 방지용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울타리는 사용용도 및 설치공간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조립방법 또한 다양하다.
이렇듯 다양한 울타리 중에서 특히 메탈을 이용한 울타리는 지주대와 펜스를 브래킷 및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며, 조립이 간단하고 설치용도에 맞게 제작설치가 용이하므로, 우리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0576238호, 등록특허 제10-101911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67705호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울타리는 지주대와 펜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이나 부식에 의해 파손될 위험성이 크다.
즉, 종래의 울타리는 외부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며 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결부위는 설치작업이나 해체작업을 위한 조작 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해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대와 펜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외부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충격이나 부식 등에 의해 파손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에 용이한 울타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대와, 상기 각 지주대의 사이에 구비되는 펜스와, 상기 지주대 및 펜스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로 이루어지는 울타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지주대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주대브래킷; 상기 펜스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지주대브래킷과는 상하로 겹쳐지도록 위치되는 펜스브래킷; 상기 지주대브래킷과 펜스브래킷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 및 펜스브래킷과 함께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 상기 지주대와 펜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과 펜스브래킷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감싸는 커버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펜스브래킷의 상면을 덮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주대브래킷의 저면을 덮는 하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간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면과 지주대브래킷 사이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면과 펜스브래킷 사이에는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주대와 펜스를 연결하는 지주대브래킷과 펜스브래킷의 연결부위에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를 추가 구성하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울타리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위에 이를 감싸는 커버조립체가 더 구비됨으로써, 외부충격이나 부식 등으로부터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유지보수에도 용이하며 작업자나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커버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펜스브래킷의 연결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커버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커버조립체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커버조립체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커버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펜스브래킷의 연결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커버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커버조립체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커버조립체에 따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커버조립체가 정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펜스브래킷의 연결공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는 울타리 조립체(10)를 이루는 복수의 지주대(100) 및 펜스(200) 간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장치이다.
먼저, 상기 지주대(100)는 펜스(200)의 설치를 위한 기둥이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서로 이격되게 다수 배치되며, 원형 또는 사각의 파이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200)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태의 프레임(202)과 상기 프레임(202)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망(20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펜스(200)는 상기 각 지주대(100)의 사이에 다수 구비되며,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차단벽의 역할을 한다.
이렇듯, 상기한 각 지주대(100) 및 펜스(200)는 연결장치를 통해 나란하게 연결됨으로써, 울타리 조립체(10)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 지주대(100) 및 펜스(2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지주대브래킷(110), 펜스브래킷(210), 제1 완충부재(300), 커버조립체(4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10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펜스(2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은 후술될 펜스(200)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부위이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은 상기 펜스(200)를 향해 돌출 형성됨에 있어서, 그 선단이 상기 펜스(20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선단이 상기 펜스(200)의 프레임(202)의 외면과 접하지 않아야 상기 펜스(200)와의 연결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에는 상면에서부터 저면에 이르기까지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1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공(120)은 볼트가 삽입되는 부위이며, 볼트에 갯수에 따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은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펜스브래킷(210)은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동일하게 소정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펜스(200)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주대(1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펜스브래킷(210)은 상기 지주대(100)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펜스브래킷(210)은 그 선단이 상기 지주대(100)의 외주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지주대(100)와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 간의 연결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펜스브래킷(210)에는 상면에서 저면에 이르기까지 관통 형성되는 연결공(220)이 구비되며, 그 갯수와 지름은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브래킷(210)은 그 저면이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즉,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상하로 겹쳐지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후술될 제1 완충부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완충부재(300)는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110) 및 펜스브래킷(210)과 함께 체결된다.
즉, 상기 제1 완충부재(300)는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상면과 상기 펜스브래킷(210)의 저면에 면접(面接)하게 설치되며, 외부 영향에 의해 상기 지주대브래킷(110) 혹은 펜스브래킷(210)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여타의 지주대브래킷(110)이나 펜스브래킷(210)을 통해 지주대 혹은 펜스로의 진동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완충부재(300)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대브래킷(110) 및 펜스브래킷(210)과 동일하게 상면에서부터 저면에 이르기까지 볼트가 통과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측에서부터 펜스브래킷(210), 제1 완충부재(300), 지주대브래킷(110)의 순서로 겹겹이 쌓게 되며,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다음으로, 커버조립체(400)는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감싸는 역할을 한다. 즉, 커버조립체(400)는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외측에서 이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외부 영향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 및 부식작용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조립체(400)는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커버조립체(400)는 저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기 펜스브래킷(210)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커버(410)와, 상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버(410)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저면을 덮는 하부커버(4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 간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돌기(430)가 각각 절곡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30)는 상기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커버(410)의 양단부와 상기 하부커버(4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갈고리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430)는 각 커버(410,42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돌기(430)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결합돌기(430)가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측에서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면과 지주대브래킷(110) 사이 및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면과 펜스브래킷(210) 사이에는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완충부재(3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 완충부재(310)는 블럭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켜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체결해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2 완충부재(310)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용이한 발포수지(발포성 폴리스틸렌) 등의 소재로 구비되어, 커버조립체(400)의 결합 시 상기 커버조립체(400)와 펜스브래킷(210) 사이 및 상기 커버조립체(400)와 지주대브래킷(210) 사이에 압축되면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완충부재(310)는 상기한 각 커버(410,42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각 커버(410,420)의 내측으로 각각의 형태에 맞는 제2 완충부재(310)가 부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됨을 의미한다.
이렇듯,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는 결합돌기(430)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내부에 구비되는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 및 제1,2 완충부재(300,3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첨부된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중 커버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가 확대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는 상기 도 5의 커버조립체에 따른 실시 예가 각각 정단면도와 개념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커버조립체(400)가 변형된 형태를 보인다.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커버조립체(400)는 상부커버(410)의 상면이 돔 형태로 구비된다.
이렇듯, 상기 상부커버(410)의 상면이 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의 착탈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상부커버(410)는 앞선 실시 예에 비해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의 대향면과 이격되는 거리가 넓어지기 때문에 이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상부커버(410)의 양측 굴곡부위와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의 대향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그 공간을 통해 사용자의 파지가 손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상부커버(410)는 사각형상을 이루는 형태보다 돔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외관이 수려해진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410)는 앞선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결합돌기(430)를 통해 하부커버(420)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커버조립체(400)를 이루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살펴본다.
먼저, 지주대(100)와 펜스(200)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나열되면 지주대브래킷(110)의 상면과 펜스브래킷(210)의 저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사이(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대향면 사이)에 제1 완충부재(300)가 설치되고, 상기 펜스브래킷(210)의 연결공(220)으로부터 상기 제1 완충부재(300)를 거쳐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연결공(120)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통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2 완충부재(310)를 각각 펜스브래킷(210)의 상면과 지주대브래킷(110)의 저면에 고정시키고,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로 이루어지는 커버조립체(400)를 결합돌기(430)를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연결부위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완충부재(310)가 상기 상부커버(410) 및 하부커버(420)와 각각 일체형으로 구비될 시에는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를 그대로 상기 결합돌기(430)를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후에 동일한 방법을 통해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을 체결함으로써, 울타리 조립체(10)가 완성된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는 지주대(100)와 펜스(200)에 형성되는 각 브래킷(110,210)과 제1,2 완충부재(300,310)를 설치하고, 이를 커버조립체(400)를 통해 보호함으로써, 외부충격이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울타리 조립체(10)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울타리 조립체
100. 지주대
110. 지주대브래킷 120. 연결공
200. 펜스 202. 프레임
204. 망 210. 펜스브래킷
220. 연결공 300. 제1 완충부재
310. 제2 완충부재 400. 커버조립체
410. 상부커버 420. 하부커버
430. 결합돌기
110. 지주대브래킷 120. 연결공
200. 펜스 202. 프레임
204. 망 210. 펜스브래킷
220. 연결공 300. 제1 완충부재
310. 제2 완충부재 400. 커버조립체
410. 상부커버 420. 하부커버
430. 결합돌기
Claims (3)
-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대(100)와, 상기 각 지주대(100)의 사이에 구비되는 펜스(200)와, 상기 지주대(100) 및 펜스(200)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로 이루어지는 울타리 조립체(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지주대(100)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펜스(2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지주대브래킷(110);
상기 펜스(200)의 둘레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100)를 향해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는 상하로 겹쳐지도록 위치되는 펜스브래킷(210);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110) 및 펜스브래킷(210)과 함께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제1 완충부재(300);
상기 지주대(100)와 펜스(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지주대브래킷(110)과 펜스브래킷(2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도록 감싸는 커버조립체(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400)는,
상기 펜스브래킷(210)의 상면을 덮는 상부커버(410)와, 상기 상부커버(410)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주대브래킷(110)의 저면을 덮는 하부커버(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커버(410)와 하부커버(420) 간의 결합면에는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결합돌기(430)가 각각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면과 지주대브래킷(110) 사이 및 상기 커버조립체(400)의 내면과 펜스브래킷(210) 사이에는 압축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완충부재(3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714U KR200486760Y1 (ko) | 2016-03-31 | 2016-03-31 |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1714U KR200486760Y1 (ko) | 2016-03-31 | 2016-03-31 |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476U true KR20170003476U (ko) | 2017-10-12 |
KR200486760Y1 KR200486760Y1 (ko) | 2018-06-27 |
Family
ID=6040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714U KR200486760Y1 (ko) | 2016-03-31 | 2016-03-31 |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760Y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4869A (ja) * | 2000-12-27 | 2002-07-10 | Naka Ind Ltd | 固定パイプの化粧カバー装置 |
KR200367705Y1 (ko) | 2004-08-18 | 2004-11-12 | 이신재 | 운동 경기를 위한 설비 장치 |
KR100576238B1 (ko) | 2005-10-19 | 2006-05-03 | 김형태 | 조립식 펜스 |
KR100941698B1 (ko) * | 2009-08-20 | 2010-02-12 | (주)오라클우드 | 펜스용 힌지 |
KR101019116B1 (ko) | 2010-06-07 | 2011-03-07 |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 조립식 안전펜스 |
-
2016
- 2016-03-31 KR KR2020160001714U patent/KR20048676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94869A (ja) * | 2000-12-27 | 2002-07-10 | Naka Ind Ltd | 固定パイプの化粧カバー装置 |
KR200367705Y1 (ko) | 2004-08-18 | 2004-11-12 | 이신재 | 운동 경기를 위한 설비 장치 |
KR100576238B1 (ko) | 2005-10-19 | 2006-05-03 | 김형태 | 조립식 펜스 |
KR100941698B1 (ko) * | 2009-08-20 | 2010-02-12 | (주)오라클우드 | 펜스용 힌지 |
KR101019116B1 (ko) | 2010-06-07 | 2011-03-07 |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 조립식 안전펜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760Y1 (ko) | 2018-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9741B1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1038672B1 (ko) | 무방향 탄성지지대를 이용한 내진형 배전반 | |
KR101765245B1 (ko) |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 |
KR101704468B1 (ko) | 수직보강부재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 |
KR102007908B1 (ko) | 타원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 |
KR101489848B1 (ko) |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867074B1 (ko) | 필로티 구조 건물의 내진 보강구조 | |
KR101842593B1 (ko) | 제진장치 설치공법 | |
KR102239265B1 (ko) |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97234B1 (ko) | 내진구조 창호 | |
KR101742051B1 (ko) | 내진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 |
KR101289555B1 (ko) | 내진기능을 구비한 함체 | |
KR200486760Y1 (ko) | 조립식 울타리의 연결장치 | |
KR101952197B1 (ko) | 배전반 내진장치 | |
KR101828265B1 (ko) |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 |
KR20200000026A (ko) |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 |
KR101060358B1 (ko) |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 |
JP4247300B1 (ja) | コンクリート製柱等のコーナー保護材およびコーナー保護材埋設装置。 | |
KR102074341B1 (ko) |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 |
KR101996010B1 (ko) | 원통형 면진 물탱크 | |
KR100566088B1 (ko) | 건축물의 외부 보호틀이 설치된 강화기둥 | |
KR101986901B1 (ko) | 지진에 대한 저항성능을 향상시키는 볼 타입 면진 장치를 포함한 랙 프레임 시스템 | |
JP6907097B2 (ja) | 柱状構造物の支持構造 | |
KR100836728B1 (ko) | 건축물 주차장 기둥 보강구조체 | |
KR101888879B1 (ko) | 내진 및 제진성능이 향상된 강재댐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