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41B1 -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 Google Patents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41B1
KR102074341B1 KR1020190061878A KR20190061878A KR102074341B1 KR 102074341 B1 KR102074341 B1 KR 102074341B1 KR 1020190061878 A KR1020190061878 A KR 1020190061878A KR 20190061878 A KR20190061878 A KR 20190061878A KR 102074341 B1 KR102074341 B1 KR 10207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pillar
support plat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범
Original Assignee
정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범 filed Critical 정윤범
Priority to KR1020190061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지지 기둥으로서, 지지판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면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면이 형성되고, 함몰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하부 기둥; 및 하부 기둥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인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상부 기둥;을 포함하고,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대향되는 일 영역에는 체결 및 지지 수단으로서 양 단부에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이 마련됨으로써, 체결 볼트에 의하여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를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EARTHQUAKE PROOF CONSTRUCTION OF SUPPORT PILLAR}
본 발명은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지판과 지지 기둥간의 특징적인 결합 구조에 의하여 수직 방향 진동 및 수평 방향 진동에 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와 관련된 것이다.
내진은 지진을 포함하는 외부 진동에 의하여 구조체가 무너지는 것을 막고 인명 피해가 없도록 설계되는 건축 양식의 일종으로서, 최근 잦은 지진 피해가 발생하면서 구조체에 대한 내진 설계가 필수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 지진의 진동을 감쇄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대다수의 기술들은 수직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에 대한 것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평 방향의 진동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은 상당히 미진한 실정에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927712호(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에서는 단부에 굴곡면이 형성된 상부 블록과, 단부에 함몰면이 형성된 하부 블록을 연결하고 탄성 재질의 완충 모듈을 블록의 외주에 설치하여 지진에 의한 수직 진동과 수평 진동을 흡수하여 수배전반에 수평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선행 기술에서는, 수평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수단으로, 상부 블록 및 하부 블록의 연결부를 둘러싸고 있는 탄성 소재의 완충 모듈에만 의존하고 있어, 수평 방향의 진동을 감쇄 및 흡수 능력이 지극히 낮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설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지지 기둥으로서, 지지판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면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면이 형성되고, 함몰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하부 기둥; 및 하부 기둥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인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상부 기둥;을 포함하고,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대향되는 일 영역에는 체결 및 지지 수단으로서 양 단부에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이 마련됨으로써, 체결 볼트에 의하여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를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체결홀은,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가 형성된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체결 볼트는, 제1 연결바와 제2 연결바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체결된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는, 적어도 방진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외면이 패킹(Packing)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하부 기둥의 함몰면 및 상부 기둥의 돌출면 사이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는, 설치면에 고정되고, 상면 중심부에는 반구 형상의 함몰면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 영역에는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선단에서 내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는 지지판; 및 지지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함몰면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되, 결합판 및 지지판은,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직 관통 되는 수직 체결홀을 포함하고, 연장부의 측단부 및 결합판의 측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평 관통되는 수평 체결홀이 포함되도록 하여, 수직 체결홀 및 수평 체결홀에 각각 체결 볼트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지지판 및 지지 기둥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수직 체결홀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 볼트는, 일 단부에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삽입 설치되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 간에는 스프링 부재의 끼움 결합위치를 결합판을 기준으로 상호 점대칭 구조를 이루는 단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직 체결홀은, 결합판에 형성되는 제1 수직 체결홀을, 결합판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하되,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2 수직 체결홀은, 체결 볼트의 단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서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지지판의 함몰면 및 지지 기둥의 돌출면 사이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판과 지지 기둥 간의 특징적인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 단면이 단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의 견고성이 극대화되고 특히, 외부 진동으로 인한 비틀림이 있더라도, 구조체가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볼트의 양 단에는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고, 장축으로 마련되는 체결홀의 형태에 의하여, 외부 진동 발생 시, 결합된 체결 볼트가 체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지지 기둥에서 연장되는 연결바 또는 결합판에 형성된 체결홀과, 지지판에 형성된 체결홀의 특징적인 형태 및 결합 방식에 의하여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체결 볼트가 매립 설치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체결된 제1 및 제2 연결바의 외면에 방진 고무가 패킹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정면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지지판의 형태가 변경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는, 지지판(1), 지지 기둥으로서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지지판(1)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1)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지국 지주의 설치면인 바닥면과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단 및 옥외에 설치된 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부 기둥(20)은 지지판(1)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하부 기둥(20)의 상면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함몰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바(21)가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1 연결바는 2 내지 6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술한 상부 기둥(10)은, 상술한 하부 기둥(20)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하부 기둥(20)에 형성된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인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바(12)가 하나 이상 마련되고,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2 연결바는 2 내지 6개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술한 하부 기둥(20)과 상부 기둥(10)은 함몰면과 돌출면이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 단면의 특징은, 단면이 단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의 견고성이 극대화되어 외부 진동으로 인한 비틀림이 있더라도, 구조체가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하부 기둥(20)의 함몰면 및 상부 기둥(10)의 돌출면 사이에는 완충 부재(5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술한 완충 부재(50)는 그 형태에 있어서 상면은 상술한 상부 기둥(10)의 돌출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상술한 하부 기둥(20)의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완충 부재(50)는 저밀도의 탄성 소재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및 클로로프렌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완충 부재(50)가 더 설치됨에 따라 수평 방향 진동 및 수직 방향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하부 기둥(20)과 상부 기둥(10)이 결합되는 데 있어서, 상술한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2)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대향되는 일 영역에는 체결 및 지지 수단으로서 양 단부에 스프링 부재(31)가 끼움 결합된 체결 볼트(30)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이 마련된다.
즉,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2)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에 체결 볼트(30)를 삽입 설치하여 일체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하였듯이 체결 볼트(30)의 양 단에는 스프링 부재(31)가 끼움 결합되어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수평 진동에 대한 저항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체결 볼트(30)는 바람직하게는 환봉에 나사를 가지며, 단부에는 머리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30)가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체결홀은, 상술한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2)가 형성된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지지판(1)에 결합된 하부 기둥 및 상부 기둥에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11)가 각각 4개로 마련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11)는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 볼트(30)가 삽입 설치되어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11)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111)은,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11)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장축은, 타원에서 가장 긴 직경을 갖는 영역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 기둥의 중심 측으로 장축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11)가 마련되고, 체결 볼트(30)가 채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더욱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게 되어 외부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1)에 각각 3개의 체결홀(111)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 볼트(30)가 제1 연결바(21)의 저면, 제2 연결바(1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체결홀(111)의 개수 및 체결 볼트(30)의 종류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예 따라 하나의 체결홀에 체결 볼트(30)가 매립 설치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볼트(30)는 하부 기둥(20)에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바(21)와 상부 기둥(10)에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바(11) 사이에 매립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구조에서 체결 볼트(30)는 환봉에 나사가 형성되고 양 단부의 머리부가 절삭된 형태의 스터드 볼트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1)를 체결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체결홀에 일 단부에 머리가 형성된 통상의 체결 볼트(30) 및 머리부가 절삭된 형태의 스터드 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체결 볼트(30)를 설치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연결 구조를 갖는 형태의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체결된 제1 연결바(21) 및 제2 연결바(11)의 외면에 방진 고무(40)가 패킹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술한 방진 고무(40)는 탄성력이 우수한 합성 고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예로써, 화학 약품에 강하고 내후, 내오존성이 좋으며, 내굴곡성이 우수한 클로로프렌 고무 및 발포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방진 고무(40)가 하부 기둥(20)에 형성된 제1 연결바(21) 및 상부 기둥(10)에 형성된 제2 연결바(11)의 체결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하부 기둥(20) 및 상부 기둥(10)에 설치된 완충 부재(50) 및, 장공 형태의 체결홀에 결합된 양 단에 스프링 부재가 설치된 체결 볼트(30)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수직,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한 감쇄 작용을 더욱 철저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판과 지지 기둥 간의 특징적인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 단면이 단순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의 견고성이 극대화되고 특히, 외부 진동으로 인한 비틀림이 있더라도, 구조체가 쉽게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볼트의 양 단에는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고, 장축으로 마련되는 체결홀의 형태에 의하여, 외부 진동 발생 시, 결합된 체결 볼트가 체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지지 기둥에서 연장되는 연결바 또는 결합판에 형성된 체결홀과, 지지판에 형성된 체결홀의 특징적인 형태 및 결합 방식에 의하여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는, 지지판(1) 및 지지 기둥(10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지지판(1)은, 설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심부에는 반구 형상의 함몰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면 테두리부 일 영역에는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2) 및 상술한 연장부(2)의 선단에서 내향 절곡되는 절곡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지지 기둥(100)은 지지판(1)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상술한 지지판(1)의 함몰면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결합판(101) 및 지지 판은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직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체결홀이 포함될 수 있고, 연장부(2)의 측단부에서 결합판(101)의 측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평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체결홀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수직 체결홀 및 수평 체결홀에는 각각 체결 볼트(30)가 삽입 설치되어 지지판(1) 및 지지 기둥(100)을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수직 체결홀은 결합판(101)에 형성되는 수직 체결홀을 제1 수직 체결홀로, 지지판(1)에 형성되는 수직 체결홀을 제2 수직 체결홀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제1 수직 체결홀 및 제2 수직 체결홀은 그 형태에 있어서 서로 다른 형태로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6의 A는 지지 기둥(100)의 정면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B는 지지판(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먼저 지지 기둥(100)에 대한 정면도인 A를 참조하면, 지지 기둥(100)의 외측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면에 마련되는 제1 수직 체결홀(1011)은 결합판(101)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을 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제1 수직 체결홀(1011)은 어느 한 방향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지지 기둥(100)의 중심 측을 향해 가장 긴 직경을 갖는 영역인 장축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적인 체결홀의 형태에 의하여, 외부 진동 발생 시, 결합된 체결 볼트가 체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외부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진동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때 지지판(1)에 형성되는 제2 수직 체결홀(1012)은 체결 볼트의 단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체결 볼트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호 대향하는 제1 수직 체결홀(1011) 및 제2 수직 체결홀(1012)이 체결 볼트에 의하여 체결됨에 있어서, 제1 수직 체결홀(1011)과 제2 수직 체결홀(1012)의 특징적인 형태에 의하여, 지지 기둥(100)과 지지판(1)이 견고히 결합되면서도 수직 진동 및 수평 진동에 대한 진동 흡수 능력 및 저항력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수직 체결홀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 볼트(30)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수직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 볼트(30)는, 일 단부에 스프링 부재(31)가 끼움 결합하여 삽입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결합판(101) 및 지지판(1)에 형성된 제1 및 제2 수직 체결홀(1011, 1012)에 있어서,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30) 간에는 스프링 부재(31)의 끼움 결합 위치가 결합판(101)을 기준으로 상호 점대칭 구조를 이루는 단부 영역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30) B1과 B2가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B1에 스프링 부재(31)가 상단 머리부에 인접하게 끼움 결합되어 있을 시, B2에 끼움 결합되는 스프링 부재(31)는 B1과 점대칭 구조를 이루는 나사부의 하단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러한 구성은, 동일 축선 상에서 수직 방향의 진동, 수직 방향의 진동 및 수평, 수직 방향의 진동이 혼합된 진동에 대하여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방진 효과가 더욱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의 실시 예에 있어서도, 지지판(1)의 함몰면 및 지지 기둥(100)의 돌출면 사이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완충 부재(50)의 형태는 상면은 지지 기둥(100)의 돌출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은 지지판(1)의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완충 부재(50)의 소재는 저밀도의 탄성 소재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 예로서 폴리우레탄 및 클로로프렌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완충 부재(50)가 더 설치됨에 따라 수평 방향 진동 및 수직 방향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에 의한 충격을 더욱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서는 지지판의 형태가 원형으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는 다양한 단면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에 대한 일 예로써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의 C는 지지 기둥(100)에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101)의 정면도가, D에는 외형이 사각형으로 구비되는 지지판(1)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지지판(1)의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지지판(1)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함몰면, 테두리부 일 영역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선단에서 내향 절곡되는 절곡부(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도 8에 도시된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앞서 도 7에서 언급한 정면도에 대응되는 설비 지지 부재의 내진 구조에 대한 측단면도로서, 지지판(1) 및 지지 기둥(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대상의 외형이 달라지더라도, 지지판(1) 및 지지 기둥(100)에는 앞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에 고정되고, 상면 중심부에는 반구 형상의 함몰면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 영역에는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2) 및, 연장부(2)의 선단에서 내향 절곡되는 절곡부(3)가 마련되어 있는 지지판(1)과, 상술한 지지판(1)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함몰면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 기둥(100)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술한 결합판에는 장공 형태의 제1 수직 체결홀이, 지지판(1)에는 체결 볼트(30)의 단부의 크기에 대응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2)의 측단부 및 결합판의 측단부에는 수평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체결 볼트(30) 역시 일 단부에 스프링 부재(31)가 끼움 결합되어 삽입 설치되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30) 간에는 스프링 부재(31)의 끼움 결합위치를 결합판을 기준으로 상호 점대칭 구조를 이루는 단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지판(1)의 함몰면 및 지지 기둥(100)의 돌출면 사이 역시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1) 및 지지 기둥(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형이 달라지더라도, 지지 기둥(100)에서 연장되는 연결바 또는 결합판에 형성된 체결홀과, 지지판(1)에 형성된 체결홀의 특징적인 형태 및 결합 방식에 의하여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 및 도 8의 실시 예에서 지지판(1)의 단면 형태가 사각형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에 대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지지 기둥(100)의 형태 역시 원형은 물론이고,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판(1)과 지지 기둥(100) 간의 특징적인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 단면이 단순히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결합의 용이성 및 결합의 견고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볼트의 양 단에는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수평 방향의 진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하고, 장축으로 마련되는 체결홀의 형태에 의하여, 외부 진동 발생 시, 결합된 체결 볼트가 체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지지 기둥(100)에서 연장되는 연결바 또는 결합판(101)에 형성된 체결홀과, 지지판(1)에 형성된 체결홀의 특징적인 형태 및 결합 방식에 의하여 지진과 같은 외부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수직 진동은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그 피해 규모가 큰 수평 진동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극대화된 설비 지지 기둥(100)의 내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있어서,
    설치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지지 기둥으로서,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면에는 반구 형태의 함몰면이 형성되고, 상기 함몰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하부 기둥; 및
    상기 하부 기둥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상기 함몰면에 대응되는 형태인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측면 일 영역에는 외측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바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상부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는,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대향되는 일 영역에는 체결 및 지지 수단으로서 양 단부에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체결 볼트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가 형성된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의 체결홀로서 마련하여 상기 체결 볼트가 상기 체결홀의 장축 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하여 외부 진동을 소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체결된 상기 제1 연결바 및 제2 연결바는, 클로로프렌 고무 및 발포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탄성 소재의 방진 고무를 이용하여 외면이 패킹(Pack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는,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 사이에 매립 설치되는 스터드 볼트(Stud Bol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둥의 함몰면 및 상기 상부 기둥의 돌출면 사이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6.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에 있어서,
    설치면에 고정되고, 상면 중심부에는 반구 형상의 함몰면이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부 일 영역에는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서 내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저면은 상기 함몰면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의 돌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이 형성된 경계와 인접한 외주면에는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판이 마련되어 있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판 및 상기 지지판은,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직 관통 되는 수직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측단부 및 상기 결합판의 측단부는,
    상호 대향되는 일 영역이 수평 관통되는 수평 체결홀이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 체결홀 및 수평 체결홀에 각각 체결 볼트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 기둥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직 체결홀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 볼트는,
    일 단부에 스프링 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삽입 설치되되,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 간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끼움 결합 위치를 상기 결합판을 기준으로 상호 점대칭 구조를 이루는 단부 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직 체결홀은,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는 제1 수직 체결홀을, 상기 결합판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이 장축이 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하되,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제2 수직 체결홀은, 상기 체결 볼트의 단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서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함몰면 및 상기 지지 기둥의 돌출면 사이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KR1020190061878A 2019-05-27 2019-05-27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KR10207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78A KR102074341B1 (ko) 2019-05-27 2019-05-27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78A KR102074341B1 (ko) 2019-05-27 2019-05-27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341B1 true KR102074341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78A KR102074341B1 (ko) 2019-05-27 2019-05-27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7385A (zh) * 2020-01-16 2020-06-0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扭转支撑弹性减振平台安装基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877A (ja) * 2005-07-29 2007-02-15 Ntn Corp 免震装置用保護カバー
CN105297903A (zh) * 2015-11-19 2016-02-03 中铁城建集团北京工程有限公司 一种大震与小震刚度切换减震球型支座及其减震方法
KR101885294B1 (ko) * 2018-01-02 2018-09-10 황두영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KR101952230B1 (ko) * 2018-07-02 2019-02-26 정성철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9877A (ja) * 2005-07-29 2007-02-15 Ntn Corp 免震装置用保護カバー
CN105297903A (zh) * 2015-11-19 2016-02-03 中铁城建集团北京工程有限公司 一种大震与小震刚度切换减震球型支座及其减震方法
KR101885294B1 (ko) * 2018-01-02 2018-09-10 황두영 내진성이 향상된 송전탑
KR101952230B1 (ko) * 2018-07-02 2019-02-26 정성철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7385A (zh) * 2020-01-16 2020-06-0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扭转支撑弹性减振平台安装基座
CN111237385B (zh) * 2020-01-16 2021-08-10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一种扭转支撑弹性减振平台安装基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5431B2 (ja) 吸振体
US5201155A (en) Seismic isolating bearing
KR101863763B1 (ko) 스프링 결합 구성을 갖춘 내진 배전반
KR101365485B1 (ko) 내진용 조립식 블록유닛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내진벽체의 시공방법
KR101888094B1 (ko) 수배전반 내진용 면진 장치
KR20180070998A (ko) 좌굴방지 전단형 강재댐퍼
KR102074341B1 (ko)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KR101648149B1 (ko) 보강프레임과 방진패드를 이용한 내진보강구조
KR101912067B1 (ko) 기밀성과 수밀성을 갖는 내진 설계형 창호 시스템
JP5128970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KR102239265B1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610698B1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1967361B1 (ko) 차양 기둥의 보호커버
KR101074452B1 (ko) 액세스 플로어용 면진 정착구조물
KR102295292B1 (ko) 시공이 용이한 내진구조를 갖는 마루틀 시스템
KR101442693B1 (ko) 크린룸 벽체의 내진 시공장치
JP3049481B2 (ja) 住宅用の鉛直免震構造
JPH0932345A (ja) 小型建築物用免震装置
KR101654772B1 (ko) 패널존 보강과 탄성력을 이용한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JP2004169533A (ja) 免震支承装置
JP6977313B2 (ja) 構造体の制振構造
KR102290530B1 (ko) 내진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물
KR102285153B1 (ko) 다방향 내진 기능을 갖는 내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