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30B1 -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30B1
KR101952230B1 KR1020180076386A KR20180076386A KR101952230B1 KR 101952230 B1 KR101952230 B1 KR 101952230B1 KR 1020180076386 A KR1020180076386 A KR 1020180076386A KR 20180076386 A KR20180076386 A KR 20180076386A KR 101952230 B1 KR101952230 B1 KR 101952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le
reinforcing portion
reinforc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철
김명희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정성철
김명희
알엔비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철, 김명희, 알엔비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성철
Priority to KR102018007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는, 지반에 설치된 파일에 직접 연결되는 기둥을 구비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파일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 기둥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2 보강부; 제1 보강부와 파일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어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 및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파일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CONNECTING STRUCTURE OF PILE AND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과 기둥을 직접 연결하여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파일 등의 편기에 따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반에 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으로 항타 공법과 매입말뚝 공법이 있다. 소음과 지지층 깊이가 불규칙한 지반에서 말뚝의 길이를 결정하기 곤란한 이유 때문에 미리 말뚝을 설치할 수 있게 프리 보링(Pre-Boring)을 통해 공동을 확보한 후 말뚝을 시공하는 매입말뚝 공법이 주로 이용된다.
파일이 지반에 설치되고 나면 기초(footing)를 시공한 후 기둥(pier)을 설치하거나, 파일과 기둥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기초를 시공한 후 기둥을 설치하는 경우 파일의 설치오차를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지만, 파일과 기둥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에서는 파일 머리에서 발생한 오차에 의해 구조물의 계획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레일 바이크나 경량 차량을 위한 교량 구조물과 보도 전용 교량 구조물의 경우, 상부하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단일 파일을 설치하고, 파일과 기둥을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파일 시공시 케이싱 공동 내에서 파일의 편기, 지지 지반 경사에 의한 편기, 설치위치에 대한 측정오차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파일의 상부가 계획한 위치에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수정하지 않고 시공을 할 경우, 파일과 미리 제작된 상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하기 때문에, 파일의 공사가 완료된 후 오차를 고려하여 상부구조물을 다시 설계하여 제작하거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파일이나 기둥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고, 공사안정성이 저해되며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75432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일에 기둥을 직접 연결할 때 파일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는, 지반에 설치된 파일에 직접 연결되는 기둥을 구비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 상기 기둥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2 보강부,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파일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파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평행한 제1 장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파일의 편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파일의 편기량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상기 제1 본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의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기둥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장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공 및 상기 경사 조절부의 경사 조절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연결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조절부는 다수 개의 경사 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조절볼트는 상기 결합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의 일체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체화 캡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과 상기 파일은 단면이 원형, 사각형, H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지반에 설치된 파일의 상단부에 다수 개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를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를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파일의 외면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기둥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제2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다수 개의 연결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의 일체화 캡을 설치하고, 상기 일체화 캡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상기 파일과 상기 기둥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파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평행한 제1 장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파일의 편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파일의 편기량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상기 제1 본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의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에 기둥을 직접 연결할 때 파일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편기에 따른 수평 오차, 경사 오차)를 편기 조절부와 경사 조절부에 의해 보정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안정성이 증가되며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에 마감부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 시 경사조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을 체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을 일체화하기 위한 일체화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일체화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 상부에 마감부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파일(110)의 상부에는 제1 보강부(120)와 편기 조절부(13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11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라나, 파일(11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 H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파일(110)은 지반(G)에 항타나 매입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어 기둥(150)을 통해 전달되는 교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110)은 기둥(150)과 직접 연결된다.
파일(110)의 상부에는 제1 보강부(120)와 편기 조절부(13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111)이 소정의 간격으로 파일의 외면을 따라 마련된다.
제1 보강부(120)는 파일(110)의 상단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파일(110)이 기둥(150)과 연결될 때 강성을 확보하면서 파일(110)과 기둥(15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보강부(120)는 상기 파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 본체(121), 제1 본체(121)의 상부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장공(123)이 형성된 결합판(125)을 포함한다.
제1 보강부(120)는 모듈형으로서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계획된 위치에 파일(110)이 제대로 설치될 경우에는 편기 조절부(130) 없이 모듈형이 아닌 고리형의 일체형으로서 한 개로 형성되어 파일(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강부(120)가 다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이든 한 개로 마련되는 경우이든 결합판(125)에 마련된 제1 장공(123)은 서로 평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21)와 결합판(125)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결합판(125)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1 본체(121)와 결합판(125) 사이에는 보강리브(122)가 다수 개 마련된다.
제1 보강부(120)의 체결나사(124)가 제1 본체(121)를 관통하고 체결홀(111)을 관통하여 파일(110)의 내측에서 너트(127)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편기 조절부(130)는 제1 보강부(120)와 파일(110)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어 파일(110)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편기 조절부(130)는 제1 보강부(120)의 제1 본체(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파일(110)의 수평오차 보정을 위해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진다.
파일(110)의 편기는 파일(110) 시공 시 케이싱(미도시) 공동 내에서의 파일(110)의 편기, 지반(G)의 경사에 의한 편기, 설치위치에 대한 측정오차 등에 의한 편기 등이 있다.
편기 조절부(130)는 이와 같은 파일(110)의 시공 시에 발생하는 수평오차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수평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편기 조절부(130)는 파일(110)의 상부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수평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편기 조절부(130)는 파일(110)의 외면과 제1 보강부(120) 사이에 마련되어 수평오차를 조절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파일(110)의 중심이 계획된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편기되었다면 편기 조절부(130)는 파일(110)의 타측부에 마련된다. 또한, 편기의 정도에 따라 편기 조절부(130)의 두께는 달라지는데, 편기의 정도가 클수록 편기 조절부(130)의 두께는 증가한다.
편기 조절부(130)에는 상하 방향의 체결홈(133)이 마련되며, 제1 보강부(1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나사(124)가 관통되어 편기 조절부(130)는 파일(110)의 상부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제1 보강부(120)와 편기 조절부(130)가 결합된 파일(110)의 상단에는 도 2와 같이 파일 캡(140)이 형성된다.
파일 캡(140)은 추후 파일(110)과 기둥(150)이 결합되어 일체화 캡(170a, 170b)의 내부에 그라우팅을 실시할 때, 시멘트나 모르타르와 같은 주입재가 파일(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 시 경사조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을 체결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서 기둥(150)의 하단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2 보강부(16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150)은 중공 또는 중실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기둥(15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형상, H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보강부(160)는 제1 보강부(120)에 접합하도록 그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기둥(150)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본체(161), 제2 본체(161)에 마련되며 제1 장공(123)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공(163)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보강부(160)는 제2 본체(161)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마련되어 경사 조절볼트(165)가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한다.
경사 조절부는 경사 조절볼트(165)로 마련되며, 경사 조절볼트(165)의 상단부는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제2 본체(161)의 상부에 마련되며 경사 조절볼트(165)의 하단부는 결합판(125)의 상부에 접하여 결합판(125)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되는 경사 조절볼트(165)의 높이를 조절하여 경사진 파일(110)의 상단부의 경사를 조절하여 파일(110)과 기둥(150)이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보강부(120)와 제2 보강부(160)는 제1 장공(123)과 제2 장공(163)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연결볼트(164)에 의해 체결된다.
연결볼트(164)는 너트(미도시)에 의해 체결력이 강화되며, 연결볼트(164)가 장공으로 마련되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장공(123)과 제2 장공(163)을 관통하여 체결되므로 파일(110)과 기둥(150)의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장공(163) 사이사이에는 제2 본체(16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62)가 마련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을 일체화하기 위한 일체화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일체화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는 일체화 캡(170a, 170b)을 포함한다.
일체화 캡(170a, 170b)은 파일(110)과 기둥(150)이 제1 및 제2 보강부(120, 160)의 체결에 의해 연결된 후, 파일(110)과 기둥(150)의 결합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체화 캡(170a, 170b)은 제1 보강부(120)와 제2 보강부(160)를 감싸도록 고리형상으로 마련된다.
일체화 캡(170a, 170b)의 하부(172a, 172b)는 파일(110)의 외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일체화 캡(170a, 170b)의 상부는 그라우팅을 위한 주입재가 인입되도록 개방된다.
일체화 캡(170a, 170b)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를 포함하며, 스터드 볼트(171a, 171b)에 의해 그라우팅이 완료된 재료(G)와 일체화 캡(170a, 170b)의 결합력(부착력)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에 기둥을 직접 연결할 때 파일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편기에 따른 수평 오차, 경사 오차)를 편기 조절부와 경사 조절부에 의해 보정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안정성이 증가되며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도 1 내지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른다.
우선, 지반에 설치된 파일(110)의 상단부에 다수 개의 체결홀(111)을 형성하고, 체결홀(111)을 통하여 파일(110)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120)를 체결하게 된다.
제1 보강부(120)는 파일(110)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파일(110)이 기둥(150)과 연결될 때 강성을 확보하면서 파일(110)과 기둥(15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파일(110)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가 없는 경우에는 편기 조절부(130)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경사 오차가 없다면 바로 파일(110)과 기둥(150)을 제1 보강부(120)와 제2 보강부(160)를 통해 연결한 후 일체화 캡(170a, 170b)에 의해 그라우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와 경사 오차가 있는 경우 하기 순서를 더 따르게 된다.
즉, 파일(110)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가 있는 경우, 파일(110)의 상단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파일(110)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130)를 제1 보강부(120)와 파일(110)의 외면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파일(110)의 중심이 계획된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편기되었다면 편기 조절부(130)는 파일(110)의 타측부에 마련된다. 또한, 편기의 정도에 따라 편기 조절부(130)의 두께는 달라지는데, 편기의 정도가 클수록 편기 조절부(130)의 두께는 크다.
편기 조절부(130)에 의해 파일(110)의 수평오차가 보정되면, 제1 보강부(120)와 편기 조절부(130)가 결합된 파일(110)의 상단에는 도 2와 같이 파일 캡(140)이 형성된다.
파일 캡(140)은 추후 파일(110)과 기둥(150)이 결합되어 일체화 캡(170a, 170b)의 내부에 그라우팅을 실시할 때, 시멘트나 모르타르와 같은 주입재가 파일(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둥(150)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제2 보강부(160)를 설치하게 된다.
제2 보강부(160)이 결합된 기둥(150)을 파일(110)에 체결하기 전에 파일(110)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165)를 조절한다.
경사 조절부는 경사 조절볼트(165)로 마련되며, 경사 조절볼트(165)의 상단부는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제2 본체(161)의 상부에 마련되며 경사 조절볼트(165)의 하단부는 결합판(125)의 상부에 접하여 결합판(125)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되는 경사 조절볼트(165)의 높이를 조절하여 경사진 파일(110)의 상단부의 경사를 조절하여 파일(110)과 기둥(150)이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1 보강부(120)와 제2 보강부(160)는 제1 장공(123)과 제2 장공(163)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연결볼트(164)에 의해 체결된다.
마지막으로, 제1 보강부(120)와 제2 보강부(160)를 감싸는 고리형상의 일체화 캡(170a, 170b)을 설치하고, 일체화 캡(170a, 170b)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파일(110)과 기둥(150)을 결합한다.
이에,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에 의해 파일에 기둥을 직접 연결할 때 파일 시공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편기에 따른 수평 오차, 경사 오차)를 편기 조절부와 경사 조절부에 의해 보정할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안정성이 증가되며 불필요한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파일
120: 제1 보강부
130: 편기 조절부
140: 파일 캡
150: 기둥
160: 제2 보강부
170a, 170b: 일체화 캡

Claims (11)

  1. 지반에 설치된 파일에 직접 연결되는 기둥을 구비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
    상기 기둥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2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파일의 외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파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평행한 제1 장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파일의 편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파일의 편기량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상기 제1 본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기둥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장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장공; 및
    상기 경사 조절부의 경사 조절볼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연결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다수 개의 경사 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조절볼트는 상기 결합판에 의해 지지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의 일체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체화 캡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 개의 스터드 볼트를 포함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상기 파일은 단면이 원형, 사각형, H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11.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지반에 설치된 파일의 상단부에 다수 개의 체결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제1 보강부를 체결하는 단계;
    (b) 상기 파일의 상단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파일의 편기에 따른 수평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편기 조절부를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파일의 외면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기둥의 하단부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제2 보강부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파일의 경사에 따른 경사각을 보정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조절하는 단계;
    (e)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다수 개의 연결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보강부를 감싸는 고리형상의 일체화 캡을 설치하고, 상기 일체화 캡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상기 파일과 상기 기둥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파일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평행한 제1 장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포함하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파일의 편기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파일의 편기량에 대응하도록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상기 편기 조절부는, 상기 제1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상기 제1 본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80076386A 2018-07-02 2018-07-02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5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86A KR101952230B1 (ko) 2018-07-02 2018-07-02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86A KR101952230B1 (ko) 2018-07-02 2018-07-02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30B1 true KR101952230B1 (ko) 2019-02-26

Family

ID=6556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86A KR101952230B1 (ko) 2018-07-02 2018-07-02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41B1 (ko) * 2019-05-27 2020-02-06 정윤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5880A (ja) * 1996-03-04 1997-09-09 Daisue Kensetsu Kk 柱システム型枠の柱脚部位置決め治具、補助型枠及び建込み工法
KR20130121622A (ko) * 2012-04-27 2013-11-06 (주)아리터 지지파일용 연결장치, 이를 구비한 지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지파일 시공방법
KR20150075432A (ko) 2013-12-25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KR101784392B1 (ko) * 2017-04-18 2017-10-11 이동호 지주의 파일기초 구조물을 이용한 지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5880A (ja) * 1996-03-04 1997-09-09 Daisue Kensetsu Kk 柱システム型枠の柱脚部位置決め治具、補助型枠及び建込み工法
KR20130121622A (ko) * 2012-04-27 2013-11-06 (주)아리터 지지파일용 연결장치, 이를 구비한 지지파일 및 이를 이용한 지지파일 시공방법
KR20150075432A (ko) 2013-12-25 2015-07-06 주식회사 포스코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KR101784392B1 (ko) * 2017-04-18 2017-10-11 이동호 지주의 파일기초 구조물을 이용한 지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41B1 (ko) * 2019-05-27 2020-02-06 정윤범 설비 지지 기둥의 내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JP4427603B1 (ja) 建屋基礎の施工法及び建屋基礎の施工用ジョイント盤
KR101952230B1 (ko) 파일과 기둥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232112B1 (ko) Pc 말뚝캡을 이용한 조립식 잔교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JP6096367B1 (ja) 鋼管杭と鉄骨柱の接合構造
KR20130026311A (ko) 프리캐스트 조립식 교각
JP5235700B2 (ja) 建屋基礎の施工法及び建屋基礎の施工用ジョイント盤
KR20180023157A (ko) 횡방향 지지유닛을 구비한 거더교
KR20180116055A (ko) 3차원 시공오차보정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보도교
KR100385012B1 (ko) 조립식부품으로된구조물
JP6791895B2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JP5142743B2 (ja) 杭頭接合構造
JP2002121747A (ja) 鉄骨柱の半固定直接基礎および杭基礎構造
JP2001295496A (ja) 既存のsrc造梁に対する粘性系制震壁の取付け構造および取付け方法
JP3671344B2 (ja) 基礎杭と柱脚部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07790A (ko) 3차원 시공오차보정 연결장치를 이용한 캔틸레버식 아치형 보도교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JP3659766B2 (ja) 柱を建込むための定盤の施工方法および装置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JP4450706B2 (ja) 杭と柱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2021063340A (ja) 杭基礎構造
JPH108422A (ja) 橋脚の補強構造
KR102499092B1 (ko) 띠장 간격재를 이용한 띠장 및 거더의 시공방법
KR102642675B1 (ko) 파형내벽이 마련된 기둥 연결기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잔교
KR102421161B1 (ko) 상부 구조물 지지용 프리캐스트 기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