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666B1 -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666B1
KR101271666B1 KR1020100038509A KR20100038509A KR101271666B1 KR 101271666 B1 KR101271666 B1 KR 101271666B1 KR 1020100038509 A KR1020100038509 A KR 1020100038509A KR 20100038509 A KR20100038509 A KR 20100038509A KR 101271666 B1 KR101271666 B1 KR 101271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d
wire
blocking member
rod
fix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041A (ko
Inventor
윤두한
Original Assignee
윤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두한 filed Critical 윤두한
Priority to KR102010003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6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3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in combination with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포스트 사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고정바에 교차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차단부재에 있어서, 제 1 선재와 이 제 1 선재와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2 선재를 포함하고, 제 1 선재와 제 2 선재 사이에는 고정바에 결합되도록 제 1 선재와 제 2 선재 사이가 벌어진 결합홀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부재를 복수의 선재로 접합하여 고정바에 설치함으로써, 펜스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바와 차단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Blocking member using wire r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와 인도 사이의 안전펜스 또는 건물이나 주택의 담장 등에 사용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펜스는 통상 건물, 공장, 가정의 마당 또는 공원 등에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각종 건축물에 속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며 풀, 나무, 철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담 대신에 경계를 구분하는 것으로 울타리 외측에서 그 내측 공간이 보이는 개방적인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특정 지역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펜스는 개방적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소규모 운동장, 가축이나 가금류의 우리, 들이나 산의 경계 등을 비롯한 각종 다양한 경계 표시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펜스는 풀이나 나무가지 등을 사용했으나, 내구성이 우수한 철망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가정의 마당 등에 설치되는 펜스와 같이 특별히 미관을 고려하는 경우를 제외한 일반적인 펜스에는 내구성이 우수한 철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철망 펜스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철망을 후크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하거나, 직선상의 철선을 가로대와 세로대로 하여 철망을 지주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나, 이들은 단순한 형상을 갖가지므로 도시나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없고, 미려한 효과도 얻을 수 없고, 제작시간 및 설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펜스용 철망은 용접철망과 직조철망으로 구분되며, 용접철망은, 가로와이어와 세로와이어가 망의 형태를 이루나, 서로 엮기지 않고 접촉한 상태에서 두 와이어의 접촉부가 용접된 구조이며, 직조철망은, 가로와이어와 세로와이어가 용접되지 않고 직물과 같이 서로 엮여 망의 형태를 이루는 구조이다.
용접철망은 와이어와 와이어의 접촉부에 용접이 실시되고, 직조철망의 경우에는 와이어와 와이어가 다소 소성변형되면서 서로 엮이게 되는 바, 용접철망에 사용되는 와이어가 직조철망에 사용되는 와이어에 비하여 직경이 크고 강성이 높다.
따라서 외관의 경우에는 직조철망을 사용한 펜스 보다 용접철망을 사용한 펜스의 외관이 우수할 수 있으나, 용접철망은 직조철망에 비하여 가격이 비쌀 뿐 아니라 철망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와이어 사이의 용접부가 떨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테니스장, 축구장 등의 소규모 운동장에는 용접철망 펜스가 주로 설치되고 있는데, 특히 축구장의 경우 축구공이 펜스에 강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부여되면, 펜스를 이루고 있는 용접철망의 용접부가 떨어지면서 와이어가 변형됨으로써 펜스의 외관이 급격히 나빠지게 된다.
특히 용접철망을 이용하여 경사면에 펜스를 설치시, 용접철망의 세로와이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경사면을 따라 올라갈수록 지면에서부터의 펜스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는 바, 경사면을 따라 펜스의 높이가 일정하지 못함은 물론, 지지대 사이의 펜스를 계단식으로 설치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경사면에 철망 펜스를 계단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작업 현장에서 경사진 곳의 경사각이나 굴절된 각도에 맞추어 틀이나 세로대를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펜스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많은 장비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며, 더욱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펜스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바와 차단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차단부재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며, 차단부재의 결합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차단부재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고, 차단부재의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결합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포스트 사이에 설치된 2개 이상의 고정바에 교차하여 지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차단부재에 있어서, 제 1 선재; 및 상기 제 1 선재와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2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가 벌어진 결합홀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선재와 동일 평면상에서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3 선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합된 선재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선재와 동일 평면상에서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4 선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합된 선재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바와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3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재에는 상기 문양부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4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재와 상기 제 3 선재에는 상기 문양부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지면 또는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문짝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제 1 선재와 제 2 선재를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된 제 1 선재와 제 2 선재 사이에 결합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를 접합하기 전에, 상기 제 1 선재 및 상기 제 2 선재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으로 절곡된 문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와의 접합단계는, 스폿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결합홀의 형성단계는, 상기 접합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되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단부재를 복수의 선재로 접합하여 고정바에 설치함으로써, 펜스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바와 차단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차단부재를 3개 이상의 선재를 접합하고 그 중심부위에 결합홀을 형성하여 차단부재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선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강공으로 형성하여 차단부재의 결합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선재를 외향으로 절곡시켜 문양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부 문양부를 형성하여, 차단부재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선재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차단부재의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며, 선재 사이의 접합을 스폿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접합된 선재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으로 천공하여 결합홀을 형성함으로써, 결합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다른 문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또 다른 문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3개의 선재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4개의 선재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펜스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문짝프레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난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다른 문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또 다른 문양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3개의 선재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4개의 선재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는 수직하게 고정된 복수의 포스트 내측 사이에 설치된 2개의 고정바(40, 50)에 교차하여 결합되는 차단부재로서,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에는 결합홀(20, 30)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는 선재부(10)를 구성하게 되며,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의 접합은 용접 등의 접합작업에 의해 고정되며, 특히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합부위의 일부만 부분적으로 용접하는 스폿용접(spot welding)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의 상단부위, 하단부위 및 중간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다양한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선재(11)의 문양부는 제 1 선재(11)의 중간부위에 절반의 타원형상으로 제 1 문양부(11a)가 2개 형성되고, 상단부위 및 하단부의에 물결 형상으로 제 2 문양부(1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2 선재(12)의 문양부는 제 2 선재(12)의 중간부위에는 절반의 타원형상으로 제 3 문양부(12a)가 2개 형성되고,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에는 물결 형상으로 제 4 문양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의 선재부(10)의 문양부는 도 1의 선재부(10)의 문양부와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의 상단끼리 서로 접합되고 하단끼리 서로 접합되어 있는 부분만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 표시된 선재부(10)는 도 1에 표시된 선재부(10) 보다 지지강도가 향상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부(10)의 문양부는 상기 도 1의 선재부(10)의 문양부와 제 1 선재(11)의 중간부위에 사각형상으로 제 1´ 문양부(11a´)가 2개 형성되고, 제 2 선재(12)의 중간부위에 사각형상으로 제 3´ 문양부(12a´)가 2개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부(10)의 문양부는 상기 도 1의 선재부(10)의 문양부와 제 1 선재(11)의 중간부위에 삼각형상으로 제 1˝ 문양부(11a˝)가 2개 형성되고, 제 2 선재(12)의 중간부위에 삼각형상으로 제 3˝ 문양부(12a˝)가 2개 형성되어 있는 부분만 상이하고 다른 부분은 동일하다.
또한, 제 1 선재(11)의 문양부와 제 2 선재(12)의 문양부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의 접합시 문양부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문양부가 형성된 선재부(10)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나타내는 펜스, 출입문, 난간 등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 1 선재(11)의 문양부와 제 2 선재(12)의 문양부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비대칭의 문양부에 의해서 더욱 다양한 형상의 문양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선재의 문양부를 적절히 배치하여 글자, 기호 등과 같은 다양한 문양을 펜스, 출입문, 난간 등에 형성가능하게 된다.
결합홀(20, 30)은 선재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결합홀(20)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결합홀(30)로 이루어진다. 고정바(40, 50)는 인접한 포스트의 내측 사이에 설치된 상부 고정바(40)와 하부 고정바(50)로 이루어진다.
상부 결합홀(20)는 서로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 고정바(40)에 선재부(10)의 상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부 결합홀(20)은 서로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되어 있다. 상부 결합홀(20)은 선재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 고정바(40)와 결합시 선재부(1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하부 결합홀(30)는 서로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 고정바(50)에 선재부(10)의 하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하부 결합홀(30)은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되어 있다. 하부 결합홀(30)은 선재부(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부 고정바(50)와 결합시 선재부(1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펜스에서 고정바와 차단부재와의 결합시, 상부 고정바(40)에 상부 결합홀(20)을 통해 선재부(10)의 상부를 결합한 후, 하부 고정바(50)에 하부 결합홀(30)를 통해 선재부(10)의 하부를 결합하게 되므로, 하부 결합홀(30)은 상부 결합홀(20) 보다 길게 형성되어 차단부재의 결합위치 조절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결합홀(20)은 원형 홀과 같은 단공으로 형성되고, 하부 결합홀(30)은 선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과 같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부(10)는 변형예로서 3개의 선재를 접합한 차단부재이며,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가 접합된 동일 평면상에서 제 2 선재(12)에 제 3 선재(13)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접합한 것이다. 이때 결합홀(20, 30)은 접합된 선재(11, 12, 13)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재(11)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11a, 11b)가 형성되며, 제 3 선재(13)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13a, 13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재(11)와 제 3 선재(13) 사이에 접합된 제 2 선재(12)에는 제 1 선재(11)의 문양부(11a)와 제 3 선재(13)의 문양부(13a) 사이의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재부(10)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다양한 문양부가 형성된 선재부(10)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나타내는 펜스, 출입문, 난간 등을 형성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부(10)는 다른 변형예로서 4개의 선재를 접합한 차단부재이며,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와 제 3 선재(13)가 접합된 동일 평면상에서 제 3 선재(13)에 제 4 선재(14)를 평행하게 부분적으로 접합한 것이다. 이때 결합홀(20, 30)은 접합된 선재(11, 12, 13, 14)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재(11)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11a, 11b)가 형성되며, 제 4 선재(14)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14a, 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선재(11)와 제 4 선재(13) 사이에 접합된 제 2 선재(12) 및 제 3 선재(13)에는 제 1 선재(11)의 문양부(11a)와 제 4 선재(14)의 문양부(14a) 사이의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12a, 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선재부(10)에 더욱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다양한 문양부가 형성된 선재부(10)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나타내는 펜스, 출입문, 난간 등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제조공정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은 선재의 1차 문양부 형성단계, 선재의 2차 문양부 형성단계, 선재의 접합단계, 결합홀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부(10)의 1차 문양부 형성단계에서는 일자 형상의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의 각각의 중간부위에 일정 형상의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반타원 형상의 1차 문양부(11a, 12a)를 각각 2개씩 성형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부(10)의 2차 문양부 형성단계에서는 1차 문양부(11a, 12a)가 형성된 제 1 선재(11) 및 제 2 선재(12)의 각각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 일정 형상의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물결 형상의 2차 문양부(11b, 12b)를 성형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와의 선재 접합단계에서는 1차 문양부(11a) 및 2차 문양부(11b)가 형성된 제 1 선재(11)와, 1차 문양부(12a) 및 2차 문양부(12b)가 형성된 제 2 선재(12)를 평행한 상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이들의 접촉부위를 용접으로 접합하게 된다.
이때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의 용접접합은 이들 사이의 접촉부위의 일부만 부분적으로 용접하는 스폿용접(spot weld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홀 형성단계에서는 평행하게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와의 상부 접합부위 및 하부 접합부위에 일정 형상의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정 형상의 상부 결합홀(20)과 하부 결합홀(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부 결합홀(20) 및 하부 결합홀(30)은 접합된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하여 선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루어지며, 펜스의 고정바에 차단부재를 조립시 차단부재의 결합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 결합홀(30)은 상부 결합홀(20) 보다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결합홀(20)은 원형 홀과 같은 단공으로 형성되며, 하부 결합홀(30)은 선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홀과 같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선재부(10)에 문양부를 형성하지 않고서 서로 평행하게 접합된 일자형상의 제 1 선재(11)와 제 2 선재(12)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하여 상부 결합홀(20) 및 하부 결합홀(30)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설치한 적용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펜스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문짝프레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를 난간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는 건물의 외곽을 구획하는 통상의 펜스, 도로와 인도 사이를 구획하는 안전펜스, 난간의 차단펜스 등의 펜스에 적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를 구비한 펜스는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포스트(60) 사이에 설치된 2개의 고정바(40, 50)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차단부재가 결합되며, 차단부재의 선재부(10)의 상부는 상부 결합홀(20)을 개재해서 상부 고정바(40)에 결합되고 선재부(10)의 하부는 하부 결합홀(30)을 개재해서 하부 고정바(5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펜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문양부는 펜스에 차단부재의 설치시 문양부의 조합에 의해 문자, 도형 등과 같이 특유의 문양을 나타내도록 각각의 차단부재에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는 건물의 외곽을 구획하는 펜스에 설치된 출입문의 문짝프레임에 적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를 구비한 출입문의 문짝프레임(70)은 지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지주에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며, 문짝프레임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2개의 고정바(40, 50)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차단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차단부재의 선재부(10)의 상부는 상부 결합홀(20)을 개재해서 상부 고정바(40)에 결합되고 선재부(10)의 하부는 하부 결합홀(30)을 개재해서 하부 고정바(5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출입문의 문짝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문양부는 출입문의 문짝프레임에 차단부재의 설치시 문양부의 조합에 의해 문자, 도형 등과 같이 특유의 문양을 나타내도록 각각의 차단부재에 문양부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는 아파트의 베란다 난간에 적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부재를 구비한 베란다 난간은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지지대(80) 사이에 설치된 2개의 고정바(40, 50)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차단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고정바(40, 50)는 베란다의 바닥면 형상에 따라 만곡되어 있거나 절곡되어 있다. 즉, 바닥면의 형상이 만곡되어 돌출된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바(40, 50)가 만곡되어 있고, 바닥면이 사각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바(40, 50)가 절곡되어 있다.
차단부재의 선재부(10)의 상부는 상부 결합홀(20)을 개재해서 상부 고정바(40)에 결합되고 선재부(10)의 하부는 하부 결합홀(30)을 개재해서 하부 고정바(5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베란다 난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부재에 형성된 문양부는 베란다 난간에 차단부재의 설치시 문양부의 조합에 의해 문자, 도형 등과 같이 특유의 문양을 나타내도록 각각의 차단부재에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펜스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바와 차단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차단부재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며, 차단부재의 결합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차단부재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고, 차단부재의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되며,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결합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선재부 20: 상부 결합홀
30: 하부 결합홀 40: 상부 고정바
50: 하부 고정바

Claims (14)

  1. 평행하게 고정된 2개 이상의 고정바에 교차하여 결합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에 있어서,
    제 1 선재; 및
    상기 제 1 선재와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2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가 벌어진 결합홀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바와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시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재와 동일 평면상에서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3 선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합된 선재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선재와 동일 평면상에서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된 제 4 선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접합된 선재들 사이의 중심부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3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재에는 상기 문양부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4 선재에는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 절곡된 1 이상의 문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선재와 상기 제 3 선재에는 상기 문양부 내부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절곡된 내부 문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지면 또는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문짝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11. 제 1 항에 기재된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제 1 선재와 제 2 선재를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접합된 제 1 선재와 제 2 선재 사이에 결합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를 접합하기 전에, 상기 제 1 선재 및 상기 제 2 선재에 원하는 형상으로 선재가 외향으로 절곡된 문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와의 접합단계는, 스폿용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의 형성단계는, 상기 접합된 상기 제 1 선재와 상기 제 2 선재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금형에 의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의 제조방법.
KR1020100038509A 2010-04-26 2010-04-26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7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509A KR101271666B1 (ko) 2010-04-26 2010-04-26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509A KR101271666B1 (ko) 2010-04-26 2010-04-26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41A KR20110119041A (ko) 2011-11-02
KR101271666B1 true KR101271666B1 (ko) 2013-06-04

Family

ID=4539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509A KR101271666B1 (ko) 2010-04-26 2010-04-26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392B1 (ko) * 2019-12-16 2020-08-13 오웅배 휀스용 철망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064A (en) * 1977-07-22 1979-02-21 Toyo Satsushi Kk Extrusionnmol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6161061U (ko) * 1980-04-30 1981-12-01
KR20040004012A (ko) * 2002-07-05 2004-01-13 도아기업 주식회사 전기저항용접된 철망의 제조방법
KR100916235B1 (ko) 2007-07-05 2009-09-08 이대영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3064A (en) * 1977-07-22 1979-02-21 Toyo Satsushi Kk Extrusionnmold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6161061U (ko) * 1980-04-30 1981-12-01
KR20040004012A (ko) * 2002-07-05 2004-01-13 도아기업 주식회사 전기저항용접된 철망의 제조방법
KR100916235B1 (ko) 2007-07-05 2009-09-08 이대영 휀스용 복합무늬철망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392B1 (ko) * 2019-12-16 2020-08-13 오웅배 휀스용 철망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041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322Y1 (ko) 조립식 안전휀스
KR101271666B1 (ko) 선재를 이용한 차단부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063985A (ja) 壁面緑化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壁面緑化方法
KR101279719B1 (ko)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KR102171690B1 (ko) 화단용 경계판
KR101171933B1 (ko) 수직바를 이용한 조립식 펜스
KR102038009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KR100592633B1 (ko) 공동주택에 사용가능한 안전 펜스 조립체
KR101072007B1 (ko) 정자와 파고라를 포함하는 조경 시설물용 기둥
KR101281671B1 (ko) 수평바와 수직바의 용접식 펜스
KR101281674B1 (ko) 펜스의 상부 프레임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펜스
KR101347238B1 (ko) 조립식 포스트 및 이를 구비한 펜스
WO2007036231A1 (en) A noise absorbing element and a noise screen with such elements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110139969A (ko) 레이저 가공 판재를 이용한 조립식 펜스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442130Y1 (ko) 조립식 지주
KR102255288B1 (ko) 동물원 전시동물 방사장용 울타리
KR102247780B1 (ko) 펜스용 수직바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195B1 (ko) 펜스의 트위스트형 수직바 및 그 제조방법
KR200285587Y1 (ko) 조립식 울타리
RU60963U1 (ru) Панельное ограждение
JPH03156076A (ja) エアードーム用基礎構造
KR102069728B1 (ko)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20190001191U (ko) 건축공사용 가설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