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924B1 - 난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24B1
KR101952924B1 KR1020180129677A KR20180129677A KR101952924B1 KR 101952924 B1 KR101952924 B1 KR 101952924B1 KR 1020180129677 A KR1020180129677 A KR 1020180129677A KR 20180129677 A KR20180129677 A KR 20180129677A KR 101952924 B1 KR101952924 B1 KR 101952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railing
bracket
handrail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1452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간대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부속물의 삽입으로 인한 연결부위의 신장없이 난간지주와 난간대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난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는, 일측면은 난간지주에 면접되어 체결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2개의 힌지연결대이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과, 난간대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일측에는 상기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연결되는 힌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가능한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이 서로 교차되게 관통형성되는 난간대용 연결함체와,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의 힌지돌기를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사이에 힌지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간 연결장치{HANDRAIL COUP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난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난간지주 사이에 난간대를 연결하기 위한 난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공원, 등산로 등의 가장자리,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 데크 통행로의 가장자리 등에 설치되어 경계를 표시하거나 통행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일종의 휀스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난간은 설치되는 지형에 따라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지면이나 데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수직으로 연장되는 난간지주 사이에 다수의 난간대를 설치함에 있어서, 난간이 설치되는 장소가 평평한 곳에서는 시공작업이 용이하지만, 난간지주의 설치면이 서로 다른 경사 구간에서는 난간대의 양단을 경사각에 맞추어 절단하여 별도의 경사각에 맞는 연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친환경적인 소재의 개발로 금속성의 느낌보다는 나무와 같은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합성목재를 이용한 데크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합성목재는 재질 특성상 난간지주와 난간대의 결합부위에서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견디지 못하고 난간이 뒤틀리거나 난간을 설치한 지주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난간지주와 난간대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의 난간 연결장치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난간 연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38641호(2011.12.28. 공개)에는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연결되는 난간프레임과, 상기 지주와 난간프레임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간레일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이 상기 지주에 연결 고정되며, 타측에 그 정면에서 돌출되어 다수의 구멍들이 관통되는 제 1 연결부재와, 일측이 상기 난간프레임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에 그 정면으로 돌출되어 또 다른 다수의 구멍들이 관통되는 제 2 연결부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구멍들에 관통 연결되는 이음재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이음재의 외주변에 폴리우레탄이 발포되는 우레탄발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레일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9186호(2014.05.27. 공고)에는 상기 난간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기둥과, 기둥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와 힌지결합을 통해 방향 조절이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가로대를 포함하여 설치하되, 상기 연결부는 기둥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일측에 결합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트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트에는 힌지볼트가 결합되는 구멍을 관통시켜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는 "ㄷ"자형 또는 일측면이 개구된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져 난간의 가로대 단부를 3면 또는 전체면을 감싸는 홀더를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수직면의 일측에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트와 결합되는 결합부 브라켓트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 브라켓트에는 힌지볼트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 구멍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상기 홀더의 수직면 중앙에는 상기 가로대와 연결되는 결합구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난간의 가로대에는 양단부 중앙에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된 가시너트 또는 인써트 너트를 박아서 형성하여 상기 가시너트 또는 인써트 너트에 결합구를 결합하며, 상기 결합구에는 탄성부재를 장착하되, 홀더의 수직면과 가로대의 단부에 장착되는 가시너트 또는 인써트 너트 사이에 와셔를 포함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난간의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난간 연결장치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연결부위가 길어져 난간대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난간 연결장치의 경우에는 체결부재의 머리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타인에 의한 임의 분리가 가능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간 연결장치의 경우 난간지주와 난간대가 설치될 때, 전후 또는 좌우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거나, 복잡한 형태의 금형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38641호(2011.12.28. 공개)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9186호(2014.05.27.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간대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부속물의 삽입으로 인한 연결부위의 신장없이 난간지주와 난간대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난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부재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미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난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대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난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일측면은 난간지주에 면접되어 체결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2개의 힌지연결대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과, 난간대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일측에는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연결되는 힌지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가능한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이 서로 교차되게 관통형성되는 난간대용 연결함체와,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의 힌지돌기를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사이에 힌지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난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시에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보강후육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중 하나의 체결공은 상기 체결부재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중 다른 하나의 체결공은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위가 삽입안착되는 수용단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의 사이의 바닥면에는 중앙평면의 양측에 상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흔들림제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의 힌지돌기의 대응면에는 중앙평면의 사방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는 대응제동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의 힌지돌기는 모서리가 내측으로 함몰된 사각돌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에 의하면, 난간대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부속물의 삽입으로 인한 연결부위의 신장없이 난간지주와 난간대가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됨에 따라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에 의하면,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의 사이에 중앙평면의 양측에 상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흔들림제동면이 형성되고 난간대용 연결함체의 힌지돌기에 대응제동면이 형성됨에 따라 난간 설치 시에 난간대의 유동은 가능하되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에 의하면,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의 외측에 보강후육부가 형성됨에 따라 체결부재를 과도하게 강하게 체결하더라도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에 의하면, 체결부재의 머리부위가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의 힌지연결대 중 하나의 체결공 내에 삽입안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체결부재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미가 제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에 의하면, 난간지주용 힌지브라켓의 설치방향을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난간대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또 다른 사용상태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는 공원, 등산로 등의 가장자리, 사람이 통행하는 인도와 도로의 경계, 데크 통행로의 가장자리 등에 설치되어 경계를 표시하거나 통행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난간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난간지주(3)와 난간대(5) 사이에 개재되어 난간지주(3) 사이에 다수의 난간대(5)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 때 난간지주(3)와 난간대(5)는 나무와 같은 자연미가 제공되는 합성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는 난간 설치 시에 난간대(5)의 유동은 가능하되 난간 설치 이후에 난간대(5)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난간지주(3)에 면접되어 체결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체결공(11a, 11b)이 형성된 2개의 힌지연결대(11)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과, 난간대(5)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일측에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연결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형성되며 힌지돌기(21)에는 체결공(11a, 11b)에 대응가능한 제 1 힌지공(23)과 제 2 힌지공(25)이 서로 교차되게 관통형성되는 난간대용 연결함체(20)와,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를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힌지연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은 난간지주(3)에 난간대(5)의 단부가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면이 난간지주(3)에 면접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사각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타측면에는 2개의 힌지연결대(11)가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된다.
힌지연결대(11)에는 체결부재(3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1a, 11b)이 형성된다. 이 때 힌지연결대(11) 중 하나의 체결공(11a)은 체결부재(3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으로 형성되고,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중 다른 하나의 체결공(11b)은 체결부재(30)의 머리부위가 삽입안착되는 수용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체결부재(30)의 머리부위가 체결공(11b)의 수용단턱부 내로 삽입안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타인이 체결부재(30)를 임의로 분리하기 어려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외측에는 보강후육부(13)가 형성된다. 보강후육부(13)는 체결부재(30)가 과도하게 강한 체결력으로 체결될 때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힌지연결대(11)의 하단 폭보다 더 긴 길이의 직선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사이의 바닥면에는 흔들림제동면(15)이 형성된다. 흔들림제동면(15)은 차후에 설명될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의 대응제동면에 연동되어 난간 설치 시에 난간대의 유동은 가능하되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곡면이 아니라 중앙평면의 양측에 상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힌지연결대(11)가 좌우에 나란히 배열되도록 난간지주(3)에 결합되어 난간대용 연결함체(20)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대(5)가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된 상태로 연결조립될 수도 있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힌지연결대(11)가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난간지주(3)에 결합되어 난간대용 연결함체(20)를 통해 연결되는 난간대(5)가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된 상태로 연결조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에는 난간대용 연결함체(20)를 통해 난간대(5)가 연결된다. 난간대용 연결함체(20)는 난간대(5)의 단부가 삽입고정되도록 일측면만 개방형성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면에 대향되는 일측에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연결되는 힌지돌기(21)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힌지돌기(21)는 보강을 위해 모서리가 내측으로 함몰된 사각돌기로 형성되되, 측면에는 체결공(11a, 11b)에 선택적으로 대응가능한 제 1 힌지공(23)과 제 2 힌지공(25)이 서로 교차되게 관통형성된다. 따라서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에 난간대용 연결함체(20)를 조립연결함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체결공(11a, 11b)에 제 1 힌지공(23)이 대응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30)를 통해 힌지결합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난간대용 연결함체(20)체결공(11a, 11b)에 제 2 힌지공(25)이 대응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부재(30)를 통해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흔들림제동면(15)의 대응면에 대응제동면이 형성된다. 이 때 대응제동면은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유동(각도조절)을 위해 중앙평면의 사방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는 체결부재(30)에 의해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힌지연결된다. 체결부재(30)는 수용단턱부를 포함하는 체결공(11b)와, 제 1 또는 제 2 힌지공(23 또는 25)과, 체결공(11a)를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되는 일종의 힌지핀에 해당한다.
체결부재(30)는 수용단턱부에 대응되는 머리부위와 체결공(11a)에 나사결합되는 단부를 포함하고 머리부위에는 다각렌치홈이 함입형성되는 다각렌치볼트로 형성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난간대(5)의 유동을 위한 별도의 부속물의 삽입으로 인한 연결부위의 신장없이 난간지주(3)와 난간대(5)를 서로 연결함에 따라 난간 설치 후에 난간대(5)의 흔들림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의 경우에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사이에 중앙평면의 양측에 상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흔들림제동면(15)이 형성되고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에 대응제동면이 형성됨에 따라 난간 설치 시에 난간대(5)의 각도조절(유동)은 가능하되 난간 설치 후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외측에 보강후육부(13)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체결부재(30)를 과도하게 강하게 체결하더라도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연결장치(1)의 경우에는, 다각렌치볼트로 형성 가능한 체결부재(30)의 머리부위가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체결공(11b) 내에 삽입안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체결부재(3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미가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난간 연결장치
3 : 난간지주
5 : 난간대
10 :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
11 : 힌지연결대
11a, 11b : 체결공
13 : 보강후육부
15 : 흔들림제동면
20 : 난간대용 연결함체
21 : 힌지돌기
23 : 제 1 힌지공
25 : 제 2 힌지공
30 : 체결부재

Claims (5)

  1. 일측면은 난간지주(3)에 면접되어 체결고정되고 타측면에는 체결공(11a, 11b)이 형성된 2개의 힌지연결대(11)가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
    난간대(5)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일측에는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삽입되어 힌지연결되는 힌지돌기(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돌기(21)에는 상기 체결공(11a, 11b)에 대응가능한 제 1 힌지공(23)과 제 2 힌지공(25)이 서로 교차되게 관통형성되는 난간대용 연결함체(20); 및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를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사이에 힌지연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사이의 바닥면에는 중앙평면의 양측에 상향경사면이 형성되는 흔들림제동면(15)이 형성되고,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의 대응면에는 중앙평면의 사방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되는 대응제동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의 외측에는 상기 체결부재(30)의 체결시에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보강후육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중 하나의 체결공(11a)은 상기 체결부재(30)의 단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난간지주용 힌지브래킷(10)의 힌지연결대(11) 중 다른 하나의 체결공(11b)은 상기 체결부재(30)의 머리부위가 삽입안착되는 수용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용 연결함체(20)의 힌지돌기(21)는 모서리가 내측으로 함몰된 사각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장치.
KR1020180129677A 2018-10-29 2018-10-29 난간 연결장치 KR10195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7A KR101952924B1 (ko) 2018-10-29 2018-10-29 난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77A KR101952924B1 (ko) 2018-10-29 2018-10-29 난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924B1 true KR101952924B1 (ko) 2019-02-27

Family

ID=6556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77A KR101952924B1 (ko) 2018-10-29 2018-10-29 난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9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4589A (zh) * 2020-07-17 2020-10-20 泉州市汇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基用的安全防护支撑结构
WO2021189140A1 (en) * 2020-03-24 2021-09-30 Peak Innovations Inc. Railing systems and brackets for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24B1 (ko) * 2007-12-17 2010-06-29 조석송 울타리 연결장치
KR101054261B1 (ko) *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20110138641A (ko) 2010-06-21 2011-12-28 (합)현대철구산업 난간레일 연결구조
KR101127433B1 (ko) * 2009-11-26 2012-03-26 주식회사 아이엘티 건축구조물의 지주 고정용 브라켓 구조
KR101399186B1 (ko) 2013-12-05 2014-05-27 이진성 조립식 난간의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 설치 방법
KR101632033B1 (ko) * 2014-11-11 2016-06-21 김지용 휀스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624B1 (ko) * 2007-12-17 2010-06-29 조석송 울타리 연결장치
KR101127433B1 (ko) * 2009-11-26 2012-03-26 주식회사 아이엘티 건축구조물의 지주 고정용 브라켓 구조
KR20110138641A (ko) 2010-06-21 2011-12-28 (합)현대철구산업 난간레일 연결구조
KR101054261B1 (ko) * 2010-11-04 2011-08-08 (주)이건환경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399186B1 (ko) 2013-12-05 2014-05-27 이진성 조립식 난간의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 설치 방법
KR101632033B1 (ko) * 2014-11-11 2016-06-21 김지용 휀스용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9140A1 (en) * 2020-03-24 2021-09-30 Peak Innovations Inc. Railing systems and brackets for same
CN111794589A (zh) * 2020-07-17 2020-10-20 泉州市汇达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基用的安全防护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3790T3 (es) Un conjunto de escalera reutilizable
KR101176188B1 (ko) 데크로드 구조물
KR101876827B1 (ko)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952924B1 (ko) 난간 연결장치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101991026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090179183A1 (en) Slot Rail Assembly
KR101991294B1 (ko)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KR101973330B1 (ko) 조립성 및 미관성이 향상된 데크로드 시스템
US20100301295A1 (en) Crowd barrier
KR102075600B1 (ko) 수평바의 각도 설치가 용이한 펜스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948649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50032985A (ko) 계단 난간용 손받침대
KR101852139B1 (ko) 계단용 난간지주
KR200454218Y1 (ko) 핸드레일
US20140021423A1 (en) Decorative railing assembly
JPS58124407A (ja) 座席モジュールとこの座席モジュールを用いる座席構造物
KR102610484B1 (ko) 난간연결구
KR100740856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1668755B1 (ko) 난간 목재 구조물 결속장치
US6896229B1 (en) Hanger
KR200497105Y1 (ko) 캣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