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3060A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060A
KR20170143060A KR1020160075664A KR20160075664A KR20170143060A KR 20170143060 A KR20170143060 A KR 20170143060A KR 1020160075664 A KR1020160075664 A KR 1020160075664A KR 20160075664 A KR20160075664 A KR 20160075664A KR 20170143060 A KR20170143060 A KR 2017014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column
fastening
lid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9193B1 (ko
Inventor
강문식
송금석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16007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H17/142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73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using fixing devices encircling, partially or fully, the po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2017/147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체결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기둥과,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1덮개부를 구비한 제1 울타리, 및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2덮개부를 구비한 제2 울타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덮개부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하게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울타리의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ANGLE AND DITECTION ADJUSTING JOINT OF FENCE BETWEEN PARAPET AND RAIL}
본 발명은 기둥에 울타리를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과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울타리의 방향이 다양하게 다르더라도 하나의 체결장치만으로 울타리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는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보강재의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지주와 각 지주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가로부재 및 이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내부의 시설물을 보호함은 물론 외부와의 경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개 울타리는 기둥부와 펜스부가 용접 작업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기에 공장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진 울타리를 공장에서 설치장소로 운반하여 울타리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울타리를 설치 장소로 운반할 경우에는 울타리의 부피가 커서 차량에 적재함에 어려움이 있으며 그에 따른 물류비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울타리를 운반 차량에 적재함에 있어 울타리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일정 길이만큼만 공장에서 용접이 작업이 이루어진 후 설치 장소로 운반하여 설치 장소에서 울타리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에, 설치 장소에서 용접 기술자의 용접 작업에 의해 울타리를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기능공의 인건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울타리는 울타리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울타리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설치 장소에서 조립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직선형이 아니라 곡선구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울타리가 필요한 것이다.
KR 공개 특허 제10-2009-0064920호(2009.06.22)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접을 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나의 볼트 체결로 조립가능하며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는, 울타리와,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기둥과, 일측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를 타측은 상기 울타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 형성된 2개 이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결합수단의 체결구에 서로 다른 울타리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기 각각의 덮개부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는, 울타리와,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외주면 전부를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상기 울타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 2개 이상 형성된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체결구에 서로 다른 울타리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기둥과,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를 구비한 제1 울타리 및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를 구비한 제2 울타리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덮개부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의 덮개부는 2개로 구성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 외주면과 하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하고, 체결홀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체결홀과 상기 기둥의 관통홀을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기둥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둥과 상기 덮개부는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간격과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둥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30°~ 60°간격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에 의하면, 구성과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울타리의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기둥과 울타리의 조립 방향이 다양하게 다르더라도 하나의 체결장치만으로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수직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울타리의 연결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시공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시공의 편리함으로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체결장치의 일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울타리와 기둥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구성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울타리와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과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기둥과 결합수단의 여러 가지 체결 방법에 대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과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결합수단을 상세 구성도,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결합수단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체결장치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는 일단이 지면에 고정된 기둥(100)에 세로바(320)가 하나 이상 구비된 제1울타리(300)와 제2울타리(300a)를 결합수단(200)으로 체결고정되게 하여 경계망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수단(200)은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으로 구성하고,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의 일측은 기둥(100)과 제1체결수단(250)에 의하여 체결되고, 타측은 각각 제1울타리(300)와 제2울타리(300a)에 의하여 제2체결수단(240)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은 일측을 기둥(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를 각각 형성하고 타측은 제1울타리(300)와 제2울타리(300a)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의 도면을 참고하면, 기둥(100)을 중심으로 좌우에 제1울타리(300)와 제2울타리(300a)가 결합부재(20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의 본 발명의 울타리와 기둥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과, 도 4의 본 발명의 결합수단의 구성 분해도를 참고하면, 제1결합수단(210)의 체결구(211)에 제1울타리(300)를 체결하고, 제2결합수단(220)의 체결구(221)에 제2울타리(300a)를 체결하고, 각각의 덮개부(212,222)를 기둥(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한 다음 제1체결부재(250)가 각각의 덮개부(212,222)와 기둥(100)을 너트(251)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본 발명 울타리와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보면, 제2울타리(300a)에 형성된 결합홀(310)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221)를 삽입하고, 와셔(230)와 너트(240)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의 덮개부(212,222)를 기둥(100)에 결합하였을 때 기둥(100) 전체를 감싸도록 하여 기둥(100)을 중심으로 각각의 울타리(300,300a)가 대략 일자형(수평)으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도 3을 참고하면, 기둥(100)을 중심으로 제1울타리(300)와 제2울타리(300a)가 일자형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계망은 일자형을 비롯하여 특정 경사각을 갖게 조립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이 소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110)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기둥(100)과, 울타리(300)의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기둥(100)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1덮개부(212a)를 구비한 제1 울타리(300)와 다른 울타리(300a)의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기둥(100)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2덮개부(222a)를 구비한 제2 울타리(300a)를 포함하고, 각각의 덮개부(212a,222a)를 기둥(100)의 외주면에 체결하게 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6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과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제1덮개부(212a)는 체결홀(213a)을 하나 이상 구비함과 동시에 제2덮개부(222a)도 체결홀(223a)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각각의 체결홀(213a,223a)과 기둥(100)의 관통홀(100)을 통하여 제1체결부재(250)에 의하여 체결되어 기둥(100)에 결합되게 구성한다.
또한, 기둥(100)과 각각의 덮개부(212a,222a)는 하나의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울타리에 덮개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또 다른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단부에 체결구를 구비하고 각각 울타리에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을 참고하면, 제1덮개부(212a)와 제2덮개부(222a)를 기둥(100)의 외주면에 결합하였을 때 제1덮개부(212a)와 제2덮개부(222a)가 기둥을 모두 감싸지 않고, 하나 이상의 개방부(X1,X2)를 갖고 있도록 구성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1덮개부(212a)를 기준으로 제2덮개부(222a)의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6은 기둥을 기준으로 울타리(300,300a)가 180°즉 일자형으로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 7의 도 6의 기둥과 결합수단의 여러 가지 체결 방법에 대한 예시도를 참고하면, (a)도면은 제1체결부재(210a)와 제2체결부재(220a)가 대략 기둥을 중심으로 135°경사지게 결합한 상태도이고, (b)도면은 90° 그리고 (c)도면은 45°로 결합된 상태도이다.
또한, 225°, 270°, 315°의 결합수단이 필요할 경우에는 각각 (a), (b), (c)도면을 뒤집어 사용하면 해당 각도를 형성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a),(b) 그리고 (c)도면은 하나의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a)도면과 (b)도면 즉, 135°와 90°도면을 보면, 제2체결부재(220b)의 덮개부가 반대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결합함과 동시에 하나의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덮개부(212a)와 제2덮개부(222a)가 각각 반원의 형상이 아니라 반원보다 짧게 형성하여 기둥의 외주면에 결합하였을 때 개방부를 형성하게 하여 각도 조절과 하나의 체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체결홀(110)은 다양한 각도 형성을 위하여 기둥(100)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하되 10°~ 90°간격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상의 울타리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밀한 각도가 필요치 않으므로 30°~ 60°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체결홀(110)간의 간격이 30°미만일 경우에는 기둥에 형성된 체결홀의 간격이 조밀하게 때문에 그 부위가 견고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고, 60°를 넘길 경우에는 필요한 각도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가 있다.
또한, 기둥(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110)의 간격과 각 덮개부(212a,222a)에 형성되는 체결홀(213a,223a)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하여야 각도 조절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울타리의 상하부에 제1,2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게 상하로 결합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결합수단이 2개로 구성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결합수단을 일체로 성형하여 울타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둥과 결합수단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참고하면, 2개의 울타리(300,300a)와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110)이 등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기둥(100)과 기둥(100)의 외주면 전부를 감싸는 형상이며 중공홀(440)이 형성된 덮개부(410)와 덮개부(4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울타리(300,300a)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420,430)가 형성된 결합수단(400)으로 구성하고, 덮개부(410)의 중공홀(440)에 기둥(100)을 삽설하고, 체결부재(250)에 의하여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각각의 체결구(420,430)에 각각 울타리(300,300a)를 체결함으로써 경계망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덮개부(410)가 기둥(100)의 외주면 형상에 맞추어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덮개부(4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구(420,430)가 일정 각도를 이루게 하여 울타리를 연결할 때 필요한 각도의 결합부재(400)를 선택하여 결합하면 손쉽게 울타리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울타리를 일자형으로 조립할 경우의 결합수단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결합수단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a)도면은 225°, (b)도면은 270°그리고 (c)도면은 315°각도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45°, 90°, 135°의 결합수단이 필요할 경우에는 각각 (c), (b), (a)도면을 뒤집어 사용하면 해당 각도를 형성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기둥이 대략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기둥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으며, 다각형의 형상이나 기둥이 상하오 웨이브 지게 한 형상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는 당연히 덮개부의 형상도 기둥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경계망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울타리(300)를 설치할 공간을 설정한 다음, 기둥(100)을 지면에 고정한다.
기둥(100)의 외주면에 제1결합수단(210)과 제2결합수단(220)을 감싸게 한 다음, 관통홀(110)과 각각의 체결홀(213,223)을 제1체결부재(250)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후, 제1결합수단(210)의 체결구(211)와 제2결합수단(220)의 체결구(221)에 서로 다른 울타리의 일측을 결합하면 된다.
제1결합수단(210)의 체결구(211)와 제2결합수단(220)의 체결구(221)는 울타리에 형성된 결합홀(310)에 제1체결부재(240)을 관통되게 삽입한 다음, 와셔(230)와 너트(240)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으로 일자형 경계망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경계망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울타리(300)를 설치할 공간을 설정하고, 기둥(100)을 지면에 고정한다.
제1 울타리(300)의 제1덮개부(212a)를 기둥(10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고, 제2 울타리(300a)의 제2덮개부(222a)를 기둥(10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하고, 체결부재(250)를 이용하여 제1덮개부(212a)의 체결홀(213a)과 제2덮개부(222a)의 체결홀(223a) 그리고 기둥의 관통홀(110)을 따라 체결부재(250)로 체결하여 결합하면 된다.
또한, 기둥(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각 덮개부를 필요한 각도로 조립하면 된다.
이때도, 먼저 덮개부들을 필요한 각도로 기둥에 조립하고, 나중에 울타리를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경계망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울타리(300)를 설치할 공간을 설정하고, 기둥(100)을 지면에 고정한다.
먼저 결합수단(400)의 덮개부(410) 중공의 홀(440)에 기둥(100)을 삽설하고, 기둥(100)의 관통홀(110) 위치에 맞추어 덮개부(410)에 형성된 결합홀(450)이 일치하도록 조립한다.
이후, 체결부재(250)를 기둥(100)의 관통홀(110)과 덮개부(410)에 형성된 결합홀(450)에 삽입하고 너트(251)를 이용하여 기둥(100)에 결합수단(400)을 결합한다.
그리고, 각 결합수단의 체결구(420,430)에 울타리(300.300a)를 각각 결합하면 된다.
이때도 기둥(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각도로 구성된 결합수단을 사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울타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기둥 320 : 세로바
200 : 결합수단 210 : 제1결합수단
212,212a : 제1덮개부 222,222a : 제2덮개부
220 : 제2결합수단 250 : 제1체결수단
240 : 제2체결수단 300 : 울타리
300a : 제2울타리

Claims (8)

  1. 울타리;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기둥;
    일측은 상기 기둥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를 타측은 상기 울타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 형성된 2개 이상의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결합수단의 체결구에 서로 다른 울타리의 일측을 체결하고, 상기 각각의 덮개부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2.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기둥;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1덮개부를 구비한 제1 울타리;및
    일측에서 연장돌출되어 상기 기둥의 외주면 타측을 감싸는 형상의 제2덮개부를 구비한 제2 울타리;
    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덮개부를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3. 울타리;
    외주면을 따라 관통홀이 등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기둥;
    상기 기둥의 외주면 전부를 감싸는 형상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에 상기 울타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가 2개 이상 형성된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체결하고, 상기 각각의 체결구에 서로 다른 울타리의 일측을 체결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덮개부는
    2개로 구성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 외주면과 하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의 덮개부는
    체결홀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체결홀과 상기 기둥의 관통홀을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어 상기 기둥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과 상기 덮개부는 하나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간격과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체결홀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둥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30°~ 60°간격으로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20160075664A 2016-06-17 2016-06-17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193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64A KR101939193B1 (ko) 2016-06-17 2016-06-17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64A KR101939193B1 (ko) 2016-06-17 2016-06-17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060A true KR20170143060A (ko) 2017-12-29
KR101939193B1 KR101939193B1 (ko) 2019-01-18

Family

ID=6093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664A KR101939193B1 (ko) 2016-06-17 2016-06-17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5782A (zh) * 2021-07-16 2021-11-05 山东菏泽黄河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水利施工用围挡装置
KR20220066594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문호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KR102610183B1 (ko) 2023-04-21 2023-12-05 (주) 한길산업 다기능 가변 휀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723B1 (ko) 2020-02-11 2020-07-30 (주)신화 다방향 설치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
GB2609622A (en) * 2021-08-05 2023-02-15 Protectapet Ltd A brace mou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469U (ja) * 1992-03-17 1993-10-22 川建フエンス株式会社 パネルフェンス
JPH0618569U (ja) * 1992-02-07 1994-03-11 株式会社日本パーツセンター 溶接フェンスと支柱の取り付け装置
JPH1030366A (ja) * 1996-07-15 1998-02-03 Tooami:Kk フェンス用金網取付金具
KR20090064920A (ko) 2007-12-17 2009-06-22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울타리 연결장치
KR101477753B1 (ko) * 2014-10-22 2014-12-3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무천공 지주와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69U (ja) * 1992-02-07 1994-03-11 株式会社日本パーツセンター 溶接フェンスと支柱の取り付け装置
JPH0577469U (ja) * 1992-03-17 1993-10-22 川建フエンス株式会社 パネルフェンス
JPH1030366A (ja) * 1996-07-15 1998-02-03 Tooami:Kk フェンス用金網取付金具
KR20090064920A (ko) 2007-12-17 2009-06-22 이.우드강원 주식회사 울타리 연결장치
KR101477753B1 (ko) * 2014-10-22 2014-12-31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무천공 지주와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594A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문호 울타리 기둥의 확장연결장치
CN113605782A (zh) * 2021-07-16 2021-11-05 山东菏泽黄河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使用的水利施工用围挡装置
KR102610183B1 (ko) 2023-04-21 2023-12-05 (주) 한길산업 다기능 가변 휀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93B1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19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US8307605B2 (en) Dome kit, structure and method
US6779782B1 (en) Cornerpost and H-brace system
KR101867079B1 (ko)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2147260B1 (ko) 조립 방식의 전망 타워
JP2005248699A (ja) 柱鉄筋組立用治具
JP2007300826A (ja) パイプハウスの補強方法
JP2010013862A (ja) ビーム接続構造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US8651463B2 (en) Balustrade
JP2007020344A (ja) ケーブルクリート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KR101274317B1 (ko) 원통형 펜스의 시공시스템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200456278Y1 (ko)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180003644U (ko) 안전펜스의 결착구
JP5227145B2 (ja) 横桟の接続構造
KR20130036487A (ko) 모듈러 건축물의 코너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36480A (ko) 관형지지물용 하이브리드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316319B1 (ko) 유니트바닥판의 연결구조
JP2004285816A (ja) 柱の継手構造とそれに用いる接合部材
JP4110114B2 (ja) 木製ガードレール並びにその木製ビーム材及び接続金物
KR101998836B1 (ko) 밀착형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172758B1 (ko) 능형망 울타리
JP5830829B1 (ja) フェンス構築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