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78Y1 -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78Y1
KR200456278Y1 KR2020090001569U KR20090001569U KR200456278Y1 KR 200456278 Y1 KR200456278 Y1 KR 200456278Y1 KR 2020090001569 U KR2020090001569 U KR 2020090001569U KR 20090001569 U KR20090001569 U KR 20090001569U KR 200456278 Y1 KR200456278 Y1 KR 20045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groove
coupling groov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21U (ko
Inventor
이지태
한성우
Original Assignee
알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루텍 (주) filed Critical 알루텍 (주)
Priority to KR2020090001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7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작업조건에 맞게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와; 이 지주의 상부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 1,2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양측이면서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음판과, 제 1프레임의 양쪽 끝단부에 구비되는 엔드 프레임을 가지는 지붕과; 상기 복수의 지주의 상부와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부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지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1프레임의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제 1결합홈과, 상기 막음판이 결합되는 제 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프레임에는 제 1프레임과 연결되기 위한 체결홈과, 막음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각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주의 결합홈과 연통되어 지주와 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끼움홈과, 제 1프레임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제 1결합홈과 지지대의 연결홈을 통해 상기 지지대와 지붕을 이루는 제 1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은 캐노피 구조체를 구성하는 지주와 지지대의 측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미리 가조립한 상태에서, 현장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분리하여 가공,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캐노피, 구조체, 분해조립, 용이

Description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Prefabricated Canopy Structure}
본 고안은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강도 알루미늄 형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육교, 지하차도, 학교조회대, 파고라 및 기타 캐노피의 조립 및 시공에 있어서, 종래에는 작업현장에서 실측한 다음, 필요한 자재를 절단, 홀가공과 같은 현장가공 작업을 수행하여 시공하였는데, 보행이 잦은 현장에서 가공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고, 가공칩의 비산 및 교통 통제기간 등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1)는,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10)와, 이 지주(1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곡선으로 형성되는 지붕(20)과, 상기 복수의 지주(10)의 상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30)와, 이 지지대(30)의 사이에 갖추어지는 칸막이부재(4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복수의 지주(10)와, 이 복수의 지주(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0)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빔의 형태이고, 둘레면이 평활한 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지주(10)와 지지대(30)는 스틸(steel)재 또는 스테인레스(stainless)재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racket)(11)을 이용하여 직결나사(12)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0)와 후술하는 지붕(20)을 이루는 제 1프레임(21)도 외면에서 브래킷(31)을 이용하여 직결나사(32)를 통해 체결,고정된다(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함).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곡선형을 이루면서 종,횡으로 교차 결합되는 제 1,2프레임(2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2프레임(21)(22)의 상부면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막음판(23)이 갖추어지며, 제 1프레임(21)의 상부에는 몰딩부재(24)가 나사(25)와 같은 체결부재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결합되고, 몰딩부재(24)의 양쪽 가장자리는 용접처리하여 확실하게 고정시킨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2프레임(22)은 교차되는 제 1프레임(21)에 설치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21)의 양측면에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데, 먼저 브래킷(22a)을 나사(22b)를 통해 제 1프레임(21)의 양 측면에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제 2프레임(22)을 제 1프레임(21)의 양쪽에서 삽입한 다음, 외부에서 제 2프레임(22)의 내부방향으로 나사(22c)를 체결하여 결합한 구조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20)의 양쪽 끝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대(30)의 상부에는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 마감부재(50)가 나사(51)로 체결,고정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1)는 지주(10)와 지붕(20)을 이루는 프레임(21)(22)이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지지대(30)에 브래킷(11)(31) 및 직결나사(12)(32)를 통해 연결한 구조로서, 지지대(30)는 대략 사각형의 빔형태로서, 4면이 평활한 면으로만 형성되어 있어, 지붕(20)을 이루는 사이즈에 맞추어서 양쪽에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1)는 지붕(20) 전체를 미리 완성한 상태로 현장에 운반한 다음, 다른 구조물과 조립하여 전체적인 캐노피 구조체를 완성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막음판(23)과의 사이에 몰딩부재(24)를 결합한 구조로서, 이 몰딩부재(24)는 나사(25)를 통해 프레임(21)과 결합,고정되어 있으면서 몰딩부재(24)의 가장자리를 용접처리하므로, 실제 현장에 설치시, 조립치수가 맞지 않아 수정작업을 할때, 몰딩부재(24)의 분리가 거의 불가능하여 조립치수를 맞추는수정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하나의 지지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21)을 간격을 두고 복수,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지붕(20)을 미리 선 가공처리하여 제작한 다음, 그것으로 그대로 현장에 운반하여, 지지대(30)의 상부에 결합시켜서 조립을 완성하고자 하는 경우, 자칫 치수공차에 의해 조립치수를 맞추기 위한 수정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다시 지지대(30)의 다른 위치에 브래킷(31) 및 직결나사(32)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이 또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따라 미리 구조체를 조립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실측에 의한 절단, 홀 가공 등의 작업을 하게되는데, 이 경우에는, 현장에서 처음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마무리해야 하므로, 시공 납기가 지연되고, 절단가공작업 등으로 인해 소음발생 및 절단칩의 비산으로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으며, 공기오염등의 문제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장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캐노피구조체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와; 이 지주의 상부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 1,2프레임과, 상기 제 1프레임의 양측이면서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음판과, 제 1프레임의 양쪽 끝단부에 구비되는 엔드 프레임을 가지는 지붕과; 상기 복수의 지주의 상부와 상기 제 1프레임의 하부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지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1프레임의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제 1결합홈과, 상기 막음판이 결합되는 제 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프레임에는 제 1프레임과 연결되기 위한 체결홈과, 막음판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각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주의 결합홈과 연통되어 지주와 지지대를 연결하기 위한 끼움홈과, 제 1프레임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프레임의 제 1결합홈과 지지대의 연결홈을 통해 상기 지지대와 지붕을 이루는 제 1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프레임은, 제 1프레임의 양쪽 측면으로 구비되는 제 2프레임의 접하는 위치에 브래킷을 대고, 제 1프레임의 제 1결합홈을 통해 체결부재로 분리가능하게 제 1,2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면 및 측면에 대고 체결부재로 지지대의 연결홈에 결합되는 제 1,2연결편과, 상기 지붕의 제 1프레임에 형성된 제 1결합홈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제 3연결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연결편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지지대와 제 1프레임간의 간격에 따라 지지대와 제 1프레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캐노피 구조체를 구성하는 지주와 제 1,2프레임 및 지지대의 측면에 결합가능한 홈을 각각 형성하고, 체결부재 및 브래킷을 통해 서로 결합함으로써,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미리 가조립한 상태에서 현장으로 운반하여 신속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조립치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규격에 맞게 적절하게 분리하여 치수를 맞춘 다음, 다시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노피 구조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노피 구조체는 종래와 유사하게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100)와, 이 지주(100)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곡선으로 형성되는 지붕(200)과, 상기 지붕(200)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상기 복수의 지주(100) 상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300)와, 상기 복수의 지주(100) 사이에 갖추어지는 칸막이 부재(4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붕(2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곡선형을 이루면서 종,횡으로 교차되게 복수,결합되는 제 1,2프레임(210)(220)으로 구성되고, 이 제 1,2프레임(210)(220)의 사이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된 막음판(230)이 갖추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0)와, 지붕(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 1프레임(210)과, 상기 지주(100)와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300)는 통상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빔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지주(100)는 외부면의 수직방향 길이를 따라 결합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프레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결합홈(211)과 제 2결합홈(2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2결합홈(211)(212)은 서로 간격을 두고 제 1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의 둘레면중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01)과 연통되는 둘레면에는 끼움홈(301)이 형성되고, 다른 둘레면에는 연결홈(30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프레임(210)의 제 2결합홈(212)에는 막음판(230)이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삭제
상기 결합홈(101), 제 1,2결합홈(211)(212) 및 끼움홈(301)은 지주(100)와 제 1프레임(210)(220) 및 지지대(300)의 둘레면 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200)을 이루는 곡선형의 제 1프레임(210)과 지지대(300)의 결합시에는, 3갈래로 갈라져서 제 1,2,3연결편(311)(312)(313)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310)를 통해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삭제
상기 연결부재(310)를 이루는 제 1,2연결편(311)(312)은, 지지대(300)의 상면 및 측면에 대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20)로 지지대(300)의 연결홈(302)에 결합하고, 제 3연결편(313)에는 제 1프레임(210)과 지지대(3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절히 맞추어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313a)을 형성하여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21)로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에 체결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주(100)와 지지대(300)는 직선형의 브래킷(330)을 각각 결합홈(101) 및 끼움홈(301)에 대고 체결부재(340)(예를 들어 무두볼트)로 체결,고정한 구조이다.
상기 브래킷(330)은 한쪽 단부에 볼트와 같은 헤드부(331)가 형성되어서 지지대(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홈(301)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여 하부방향으로는 빠지지 않고 걸치게되고, 상기 헤드부(331)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32)는 지주(100)의 결합홈(101)안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340)를 통해 지주(100)에 결합된다. 이럼으로써, 지주(100)와 지지대(300)의 하부가 결합,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지붕(200)의 양 끝부분은 제 2프레임(220) 방향과 일치되는 엔드 프레임(end frame)(240)이 구비되어 마감처리되어 있는데, 이 엔드 프레임(240)의 양쪽 측면에 엔드 프레임(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241) 및 삽입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엔드 프레임(24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41) 및 삽입홈(242)은 한조를 이루어서 엔드 프레임(24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41)은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과 더불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브래킷(250)을 통해 체결부재(251)가 삽입되어 제 1프레임(210)과 엔드 프레임(240)을 연결해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삽입홈(242)은 상기 제 2결합홈(212)에 끼워지는 막음판(23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엔드 프레임(240)은 제 1프레임(210)과 단면상 동일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제 1프레임(210)과 엔드 프레임(240)간의 결합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 1프레임(210)의 양쪽 끝단부에 구비되는 엔드 프레임(240)은 절곡되어 "ㄱ"자형의 브래킷(250)을 외면에 대고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251)를 제 1프레임(210)과 엔드프레임(240)에 각각 형성된 제 1결합홈(211)과 체결홈(241)에 끼워서 조립한다.
상기 지주(100) 및 지지대(300)는 고강도 알루미늄 형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210)의 양쪽면에는 제 2프레임(220)을 대고 제 1프레임(210)과 제 2프레임(220)이 서로 접하는 하부 지점에, 절곡되어 "ㄱ"자형으로 형성된 브래킷(260)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70)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도 8에 따르면, 막음판(230)은 제 2프레임(220)의 상면에 구비되면서 제 1프레임(210)의 양쪽면에 형성된 제 2결합홈(212)에 끼워지고, 용접처리되어 제 1프레임(210)과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종래와 달리 지주(100), 제 1프레임(210) 및 지지대(300)의 적어도 한면 이상으로 결합홈(101), 제 1결합홈(211), 제 2결합홈(212) 및 끼움홈(301)과 연결홈(302)이 형성되어 있고, 브래킷(330) 및 연결부재(310)를 통해 체결부재로 결합하여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현장 출고후, 실측을 통해 요구되는 사이즈에 맞게 간편하게 분해하여 가공할 수 있다. 그에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200)의 양쪽 끝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대(300)에 지붕(200)을 구성하는 제 1프레임(210)이 연결부재(310)를 통해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재(310)의 제 1,2연결편(311)(312)은 체결부재(320)가 관통되어 지지대(300)의 연결홈(302)에 결합되어 있고, 더욱이 연결부재(310)의 제 3연결편(313)에는 장공(313a)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체결부재(321)로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안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므로, 만일, 지지대(300)의 설치규격과 지붕(200)을 이루는 제 1프레임(210)의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3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320)(321)들을 적당히 풀어서 지지대(300)의 끼움홈(301)과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을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맞추고, 제 3연결편(313)의 장공(313a)을 통해 간격을 적절히 조절한 다음, 다시 조이면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간편하게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현장에서 시공시 수정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지지대(300)의 끼움홈(301)을 통해 결합되므로, 평활면에 체결하는 것에 비해 체결력이 우수해져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미리 지붕(200)을 하나로 조립한 상태에서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이 가능한데, 지붕(200)을 전체적으로 조립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지붕(200)의 면적이 커져서 운반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프레임(210)의 양쪽면에 제 2프레임(220)이 끼워져서 조립되므로, 하나의 제 1프레임(210)의 양쪽면에 제 2프레임(220)이 조립된 상태를 하나의 단위체로 하여 총 2개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전체 조립하면 된다.
다시 말해서, 엔드 프레임(240)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2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삽입홈(242)에 막음판(230)을 끼우고, 브래킷(250)을 제 1프레임(210)의 외면에 대고 체결부재(251)를 통해 제 1결합홈(211) 및 체결홈(241)안에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되므로, 현장에서 일일이 모두 조립하는 것에 비해 그 만큼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같이 몰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 1프레임(210)에 형성된 제 1결합홈(211)에 브래킷(260)을 이용하여 체결부재(270)를 관통시켜 제 2프레임(220)을 체결하고, 제 2결합홈(212)에 막음판(230)이 조립되어 있어 구조가 단순해지고, 그 만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캐노피 구조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캐노피 구조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설명]
1 : 캐노피 구조체
10 : 지주
11 ; 브래킷
12 : 직결나사
20 : 지붕
21 : 제 1프레임
22 : 제 2프레임
22a : 브래킷
22b,22c,25 : 나사
23 : 막음판
24 : 몰딩부재
30 : 지지대
31 : 브래킷
32 : 직결나사
40 : 칸막이부재
50 : 마감부재
51 : 나사
100 : 지주
101 : 결합홈
200 : 지붕
210 : 제 1프레임
220 : 제 2프레임
211 : 제 1결합홈
212 : 제 2결합홈
230 : 막음판
240 : 엔드 프레임
241 : 체결홈
242 : 삽입홈
250,260 : 브래킷
270 : 체결부재
300 : 지지대
301 : 끼움홈
302 : 연결홈
310 : 연결부재
311 : 제 1연결편
312 : 제 2연결편
313 : 제 3연결편
313a : 장공
320,321 : 체결부재
330 : 브래킷
331 : 헤드부
332 : 몸체부
340 : 체결부재
400 : 칸막이부재

Claims (4)

  1.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세워지는 복수의 지주(100)와;
    이 지주(100)의 상부에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는 제 1,2프레임(210)(220)과, 상기 제 1프레임(210)의 양측이면서 제 2프레임(2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음판(230)과, 제 1프레임(210)의 양쪽 끝단부에 구비되는 엔드 프레임(240)을 가지는 지붕(200)과;
    상기 복수의 지주(100)의 상부와 상기 제 1프레임(210)의 하부 사이를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30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지주(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01)이 형성되고, 제 1프레임(210)의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제 1결합홈(211)과, 상기 막음판(230)이 결합되는 제 2결합홈(212)이 형성되며,
    상기 엔드 프레임(240)에는 제 1프레임(210)과 연결되기 위한 체결홈(241)과, 막음판(230)이 삽입되는 삽입홈(24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00)의 각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주(100)의 결합홈(101)과 연통되어 지주(100)와 지지대(300)를 연결하기 위한 끼움홈(301)과, 제 1프레임(210)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홈(3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과 지지대(300)의 연결홈(302)을 통해, 상기 지지대(300)와 지붕(200)을 이루는 제 1프레임(210)간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31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하는 제 1,2프레임(210)(220)은, 제 1프레임(210)의 양쪽 측면으로 구비되는 제 2프레임(220)의 접하는 위치에 브래킷(260)을 대고 제 1프레임(210)의 제 1결합홈(211)을 통해 체결부재로 분리가능하게 제 1,2프레임(210)(220)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10)는, 상기 지지대(300)의 상면 및 측면에 대고 체결부재로 지지대(300)의 연결홈(302)에 결합되는 제 1,2연결편(311)(312)과, 상기 지붕(200)의 제 1프레임(210)에 형성된 제 1결합홈(211)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제 3연결편(3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3연결편(313)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지지대(300)와 제 1프레임(210)간의 간격에 따라 지지대(300)와 제 1프레임(210)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3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20090001569U 2009-02-12 2009-02-12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20045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69U KR200456278Y1 (ko) 2009-02-12 2009-02-12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569U KR200456278Y1 (ko) 2009-02-12 2009-02-12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21U KR20100008321U (ko) 2010-08-20
KR200456278Y1 true KR200456278Y1 (ko) 2011-10-26

Family

ID=4445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569U KR200456278Y1 (ko) 2009-02-12 2009-02-12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59B1 (ko) 2016-03-29 2016-09-06 (주)한찬기업 개폐식 지붕구조를 갖는 캐노피
KR101673111B1 (ko) 2016-02-29 2016-11-16 (주)한찬기업 단계식 개폐구조를 갖는 캐노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434B1 (ko) * 2018-10-25 2020-06-18 주식회사 강성산업 지하철 역사용 캐노피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11B1 (ko) 2016-02-29 2016-11-16 (주)한찬기업 단계식 개폐구조를 갖는 캐노피
KR101655059B1 (ko) 2016-03-29 2016-09-06 (주)한찬기업 개폐식 지붕구조를 갖는 캐노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21U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20090001153A (ko) 콘크리트기둥 시공을 위한 가변형 거푸집장치
KR101678908B1 (ko)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JP4628212B2 (ja) 締結具
KR200456278Y1 (ko)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JP2007239388A (ja) ドーム構築用金具とドーム構築方法
JP2010180600A (ja)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926389B1 (ko) 철근 선조립 기둥
KR101422789B1 (ko) 조립식 한옥골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8528268B1 (en) Trilateral brac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building frame structure
EP3369869B1 (en) Column and beam unit for hut construction and hut structure using same
KR101828912B1 (ko) 조립식 휀스
KR102079030B1 (ko) 트러스형 거푸집 서포트 어셈블리
KR20080056152A (ko) 온실 및 온실의 축조공법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60696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JP2009221748A (ja) 柱梁の接合構造および屋外構造体
JP3138112U (ja)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KR20010069576A (ko) 교통신호등용 철주
JP6667273B2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KR20060002980A (ko) 입체구축물
KR20090131570A (ko) 꼬임메쉬휀스용 지주
KR20080006638U (ko) 지붕구조를 위한 조립형 브라켓
KR20160148163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