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980A - 입체구축물 - Google Patents

입체구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980A
KR20060002980A KR1020057019361A KR20057019361A KR20060002980A KR 20060002980 A KR20060002980 A KR 20060002980A KR 1020057019361 A KR1020057019361 A KR 1020057019361A KR 20057019361 A KR20057019361 A KR 20057019361A KR 20060002980 A KR20060002980 A KR 20060002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it
beams
flang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미쯔오 사사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오 사사키 filed Critical 미쯔오 사사키
Publication of KR2006000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4Connections between open and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3Connections to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2Elongated load-supporting part formed from a number of parallel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1Details of wal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84Details of floor panels 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6Shear brac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Pallets (AREA)
  • Revetment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프리패브(prefab)식 입체구축물은,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와 수평으로 연재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측빔 및 상단측빔과 측빔(12, 14)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빔을 갖춘 골조를 구비하고 있다.
골조는 지주와 측빔 및 상단빔, 및 측빔과 내측빔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internally threaded members)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프리패브(prefab), 입체구축물, 골조, 빔, 직방체상

Description

입체구축물 {THREE-DIMENSIONAL STRUCTURE}
본 발명은, 사무소, 작업소, 간이주택, 간이숙박시설, 점포, 창고, 공장, 상방이 내부공간(예를 들면, 사무소, 처소, 작업소)으로서 이용가능하고, 하방이 창고 등의 외부공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축물, 그 밖에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입체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체구축물(예를 들면, 입체주차장)로서는, 각용조립요소(角用組立要素), 변용조립요소(邊用組立要素) 및 중앙용조립요소(中央組立要素)를 각각 기둥으로서 소요위치에 배치하고, 이들 조립요소의 상단 사이에 빔(beams)을 연결하면서, 하단 사이에 블레이스(braces)를 연결하여 조립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특허공개 평06-0157869호 공보 및 미국특허 제4800694호 명세서참조). 이 입체구축물은 비교적 단기간에, 그리고 비교적 저가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매설기초구조(埋設基礎構造)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입체구축물로서 충분한 강도 및 강성(剛性)을 갖는다는 뛰어난 특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입체구축물에 있어서는, 각용조립요소, 변용조립요소, 중앙용조립요소 등의 중량이 각각 비교적 무겁다는 것 등에 기인하여, 조립작업이 비교적 대규모가 되기 때문에, 상기 입체구축물의 조립기간 및 전체비용은 그 이전의 입체 구축물보다는 개선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충분히 만족할만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각 조립요소의 중량이 각각 비교적 무거운데다가 각각의 구성이 심플하다 라고는 말할 수 없기 때문에, 보관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보관비용이 비싸져 조립현장까지의 운송이 비교적 곤란하여 운송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더욱이, 상기 입체구축물은 입체 주차장 혹은 자전거주차장 등에는 적당히 사용될수 있지만, 그 용도는 비교적 좁다는 면에 있어서도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현장에서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기간을 단축하고, 전체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현장에서 분해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있도록 하여, 분해철거기간을 단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구성요소 및 전체의 구성이 비교적 경량이고, 심플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트 및 암나사부재(internally threaded members)에 의해 모든 구성요소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공간이 적고, 보관비용도 절감가능한,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현장까지의 운송이 용이하고, 운송비용이 절감가능한,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사무소, 작업소, 간이주택, 간이숙박시설, 점포, 창고, 공장 등으로 다목적 사용이 가능한, 신규한 입체구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角)에 배열된 각지주(角支柱)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각지주의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직교하는 측 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면한 내측벽의 각각에는 웹(web), 상플랜지(upper flange) 및 하플랜지(lower flange)로 이루어진 H빔(h-beams)으로 구성된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각지주의 그 내측벽 중 편방(片方) 내측벽과, 편방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편방 외측벽의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一端部)에 암나사공(internally threaded holes)이 형성된 제 1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암나사공이 편방 내측벽으로 개구(開口)하도록 각각 매설(埋設)되고,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 축선에 수평으로 각각 직교하면서 동시에 서로 평행으로 연재하는 축선을 갖는 쌍의 관통공(貫通穴)이 형성되고,
각지주의 그 내측벽 중 타방(他方) 내측벽과, 타방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가 각각 형성된 쌍의 관통공이 축선과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으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 2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 쌍이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암나사공이 타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각지주에 연결된 그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그 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取付穴)이 각각 형성되고,
그 측빔 중 편방의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그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서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측빔 중 타방의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2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그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에 이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사이에 배치된 측지주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측지주의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그 측벽 각각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그 측벽으로 개구하도록 각각 매설되고,
그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그 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편방의 그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그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그 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 사이에 배치된 측지주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측지주의 골조의 입체공간의 내측에 면한 내측벽과,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1개의 내측빔 및 2개의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그 측벽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암나사공이 각각의 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 축선에 수평으로 각각 직교하면서 서로 평행으로 연재하는 축선을 갖는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지주의 그 내측벽과, 그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공부재에 형성된 쌍의 관통공이 축선과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으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 2 암나사부재의 쌍이,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 쌍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암나사공이 그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측지주에 연결된 그 내측빔 및 그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그 내측빔 및 그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편방의 그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그 측벽 중 편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편방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편방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그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그 측벽 중 타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타방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타방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그 내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그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2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그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그 내측빔 및 그 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내측빔 및 그 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지주 또는 측지주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각지주 또는 측지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의 적어도 상단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직교하는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내측벽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단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각지주에 있는 편방의 그 내측벽 및 타방의 그 내측벽의 상단면에는 각각 한 쌍의 취부공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지주에 연결된 그 상단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그 각각의 상단측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이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편방의 그 상단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암나사공이 각지주 편방의 그 내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각지주의 상단개구에서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편방의 그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그 상단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암나사공이 각지주의 타방의 그 내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타방의 그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각지주의 상단개구에서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타방의 그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을 제공한다.
각지주 및 그 상단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상단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사이에 배치된 측지주의 적어도 상단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골조의 입체공간의 내측에 면하는 내측벽에는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1개의 상단내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단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그 내측벽과, 그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한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의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암나사공 각각이 그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측지주의 그 측벽의 각각의 상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암나사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는 한 쌍의 취부공이 같은 위치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측지주의 그 내측벽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그 상단내측빔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그 상단내측빔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그 측벽의 각각에 연결되는 각각의 그 상단측빔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각각의 그 상단측빔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그 상단내측빔은, 연결판의 취부공이의 각각이 측지주의 그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그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해서 각 쌍의ㅏ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그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편방의 그 상단측빔은, 연결판의 암나사공의 각각이 측지주 편방의 그 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 편방의 그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해서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 편방의 그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그 상단측빔은, 연결판의 암나사공의 각각이 측지주 타방의 그 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 타방의 그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그 지주 타방의 그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그 상단측빔 및 그 상단내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상단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에 형성된 복수의 각각의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빔 및 수평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주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이, 1개 또는 복수개 형성되고, 골조에 있는 측테두리공간의 전부, 또는 적어도 1개를 제외한 다른 전부의 측테두리공간에는, 각각의 1개 또는 복수개의 구형의 측벽유니트가 감합(嵌合)되고,
측벽유니트의 각 및 측테두리의 각각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중공취부부재(中空取付部材)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두께 및 축방향폭을 갖는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중공취부부재가 일체로 배설되고,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축선이 측벽유니트의 양면으로 향하여 배설되고,
각각의 측벽유니트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두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側外方)에 면한 두 개의 측벽에는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의 각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한 한개의 측벽에는 취부공(取付穴)이 형성되고,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그 한 쌍의 측빔 및 그 한 쌍의 지주에 있어서, 측테두리공간에 감합된 1개 또는 복수개의 측벽유니트에 있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에 있어서 그 한 쌍의 측빔 및 그 한 쌍의 지주에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취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각각의 암나사공이 그 측테두리공간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그 측벽유니트가 그 측테두리공간 내에 감합되면, 그 중공취부부재의 각가의 취부공이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감합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그 측벽유니트는, 그 한 쌍의 측빔 및 그 한 쌍의 지주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측벽유니트의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하는 두 개의 측벽은 측벽유니트의 각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측벽유니트의 측벽의 일부를 규정하고,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에 배설된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1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하는 한 개의 측벽은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에 있는 측벽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유니트는,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서 양측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패널과, 두 개의 측패널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하는 브레이스패널을 갖추고, 측벽유니트를 평면에서 보아, 그 두 개의 측패널과 브레이스패널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각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각파이프의 절단품(切斷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용접이 가능한 주철로 일체로 형성되고,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4개의 각부는, 블레이스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사이에 가설된, 각각의 불레이스는 일정의 두께 및 그 두 개의 측벽과 같은 축방향폭을 갖으면서, 해당 중공취부부재를 축방향에서 보아 그 두 개의 측벽과의 사이에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상방의 그 측빔과 그 한 쌍의 지주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상방의 그 측빔과 그 한 쌍의 지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하방의 측빔은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지는 H빔으로 구성되고, 하방의 그 측빔의, 측벽유니트의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취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웹의 폭방향중심을 통해 상하플랜지에 직교하는 축선과 동심(同心)의 취부공에 있어서, 상플랜지의 상면에서 웹의 상단부까지 연재하는 취부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대응하는 취부공에, 암나사공이 상플랜지의 상면으로 개구하도록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측테두리공간에는 복수의 측벽유니트가 서로 인접하여 감합되고,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측벽유니트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측벽끼리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되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취부공끼리는 서로 정합하도록 위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측벽유니트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서로 정합된 그 취부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계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는 4개의 빔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바닥공간을 복수개 갖추고, 바닥공간의 각각에는 구형의 바닥유니트가 장착되고, 바닥유니트의 주위테두리는 연직벽(鉛直壁)과 연직벽의 상단에서 측외방 직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플래임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는, 바닥공간으로 상방에서 감합되고, 주위테두리의 플랜지가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4개의 빔의 상면에 재치(載置)되고, 각각의 연직벽이 대응하는 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각각의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각각 4개의 빔은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되고, 4개의 빔에 있는 바닥유니트의 연결부에는 지지판이 상플랜지와 하플랜지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사이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고, 지지판과 웹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그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지지판의 외면에 개구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착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에 있는 각각의 연직벽에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는, 대응하는 바닥공간에 상방에서 감합된 상태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4개의 빔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의하면,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는 서로 대향하는 지주 각각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평면에서 보아 각각의 지주와 함께 구형의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는 상단측빔과, 지주 및 상단측빔의 각각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상단공간을 갖추고, 골조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구형의 지붕유니트가 상단공간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고,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그 하면에서 수하(垂下)하는 단부(端部) 계지(係止)플랜지수단이 폭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각각의 지붕유니트는, 각각의 양단부가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적어도 각각 1개의 상단측빔의 위에 각각 재치되고, 동시에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이 대응하는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重合)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서로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에 인접하여 상단공간을 상방에서 덮도록 골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이 제공된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면 양단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一側)에 위치하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하면에는,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일측 지붕유니트는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를 한 쌍의 측테두리 중 일측테두리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으로 중합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하방 타측(他側)에 위치하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하면에는,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폭방향에서 수하하는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타측 지붕유니트는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타측테두리를 규정하는, 각각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그하면에서 수하하여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일측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고,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여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타측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 또는 일측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 및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 또는 타측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 및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에는 천정 패널부재가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유니트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근방위치에서 타단 근방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된 횡빔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배설되어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桶部材)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타단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지붕판을 갖추고,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일단은 통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붕유니트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開放端)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근방위치 및 타단 근방위치에서 각각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된 횡빔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설되어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편방 지붕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타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타방 지붕판을 갖추고, 편방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 및 타방의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은 각각 대응하는 통부재의 상방에 위치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테두리는,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일측테두리을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폭방향 중간 및 그 상단측빔의 연재상에 위치하는 지주의 각각의 폭방향 중간에 위치되고,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에는 밑에 배수구를 갖는 평면구형의 일측 통유니트의 타측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일측 통유니트는 일측 지붕유니트와 거의 같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형으로 배설된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일측 통유니트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규정되고,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에는, 그 채널판의 하면에서 수하하는 취부편(取付片)을 갖는 취부부재가 고착되고, 일측 통유니트는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 연직벽의 외면이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 연직벽의 외면에 중합되어 불트 및 너트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동시에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저면이 그 상단측 빔 및 그 지주의 각각의 상면에 재치되면서, 취부편이 그 상단측빔 및 그 각각의 지주의 외측벽에 중합되어 그 상단측 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공간의 각각의 지붕유니트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테두리는,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타측테두리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폭방향 중간 및 그 상단측빔의 연재상에 위치하는 지주의 각각의 폭방향 중간에 위치되고,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에는 밑에 배수구를 갖는 평면구형의 타측 통유니트의 일측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통유니트는 타측 지붕유니트와 거의 같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형으로 배설된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면서,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타측 통유니트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가설됨과 동시에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규정되고,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에는, 그 채널판의 하면에서 수하하는 취부편을 갖는 취부부재가 고착되고, 타측 통유니트는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연직면의 외면이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의 외면에 중합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동시에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저면이 그 상상단측빔 및 그 지주의 각각의 상면에 재치되면서, 취부편이 그 상단측빔 및 그 지주의 각각의 외측벽에 중합되어 그 상단측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그 한 쌍의 측테두리를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에 있는 각각의 지붕유니트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그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그 상단측빔의 상단공간에 면하는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길이방향에 있는 양단부에 배설된 1개의 그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그 단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에는, 그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지붕유니트 1개의 그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그 단부 계지플랜지는, 대응하는 그 상단측빔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그 타측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에 있는, 일측 지붕유니트 또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그 상단측빔의 상단공간에 면하는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일측 지붕유니트의 일측부에 배설된 1개의 그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그 일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 및 타단측 지붕유니트의 타측부에 배설된 1개의 그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그 타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에는, 그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일측 지붕유니트 1개의 그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그 일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 및 타측 지붕유니트의 타측부에 배설된 1개의 그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그 타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은, 대응하는 그 상단측빔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상단측빔의 각각의 일측 통유니트 및 타측 통유니트의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그 상단측빔의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동시에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 및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취부편에는, 그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취부편은 그 상단측빔에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상단측빔의 각각은,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그 상단측빔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간의 상단부에는 씰(seal)판부재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씰판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일정의 폭을 갖는 평판상의 씰기판과, 씰기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그 편면측으로, 그 편면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양단플랜지와, 씰기판의 폭방향 중앙에서 편면측으로, 그 편면측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중앙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중앙플랜지와 양단플랜지와 사이에 틈은,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상플랜지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씰판부재의 중앙플랜지가 상단에서 삽입되면서, 씰기판이 그 채널판의 각각의 상플랜지 상면에 재치된 상태로, 그 채널판끼리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서, 씰판부재의 양단 플랜지가 그 채널판의 각각의 상플랜지의 선단을 지점으로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이 바람직하다.
골조는, 지주와 빔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또는 지주와 빔 및 빔과 빔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의 완성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도 1에 있어서, 거의 우경사 하방으로 면하는 측면을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다른 측면도(도 1에 있어서, 거의 좌경사 하방으로 면하는 측면을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측벽유니트를 플레임 구조만으로 도시한 일측면도(一側面圖)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만을 나타낸 일측면도이 다.
도 6은, 도 5에 있는 A - 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골조에 바닥유니트를 장착한 평면도에 있어서,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있는 B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연결구조를 도 8에 있어서 아래에서 본 측단면도이고, 도 5에 있는 B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연결구조의 요부를 분해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있는 C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연결구조를 도 11에 있어서 아래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5에 있는 D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연결구조의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7에 나타낸 바닥유니트를 폭방향에서 본 측단면도에 있어서, 바닥유니트의 플레임구조만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7에 있어서, 바닥유니트와 중간빔 및 중간빔에 대향하는 측빔과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부호 M12로 나타낸 위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연결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4에 나타나있는 측벽유니트의 각부(도 4에 있어서 좌하각부(左 下角部) 및 그 근방의 측테두리에 배설되어 있는 중공취부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구성을 도 18에 있어서 좌방에서 본 측면도이고,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5 ~ 도 7에 있어서 부호 H로 나타나있는, 측빔의 측벽유니트에 대한 연결부의 구성을 조립상태 및 분해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나있는 측빔의 연결부(조립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4의 E - E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5 및 도 13에 있어서 부호 U로 나타나있는, 각지주의 측벽유니트에 대한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4에 있는 F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골조의 상단에 지붕유니트를 재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다.
도 27은, 중간 지붕유니트를 폭방향에서 본 측단면 개략도이고, 대응하는 상단측빔과 함께 나타낸 측단면 개략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중간 지붕유니트의 평면도이고, 구성부재의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의 G -G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4에 나타낸 각각의 지붕유니트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이고, 대응하는 상단측빔과 함께 나타낸 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 지붕유니트를 도 31에 있어서 좌방에서 본 측면도이고, 대응하는 상단측빔과 함께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도 33에 있어서 거의 좌경사 하방에 면한 측면을 본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를 단면에 나타내고, 측벽유니트를 플레임구조 만으로 도시하면서, 일부를 확대분해해서 나타낸 일측면도이다.
도 36은, 도 33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다른 측면도(도 33에 있어서, 거의 좌경사 상방에 면한 측벽을 본 다른 측면도)이다.
도 37은, 도 36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를 상방으로 분해하고, 측벽유니트를 플레임구조 만으로 도시하고, 또한 셔터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33에 나타낸 입체구축물의 완성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측면도( 도 33에 있어서, 거의 좌경사 하방에 면한 측벽을 본 도)에 있어서, 우단의 측벽유니트를 플레임구조 만으로 도시한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J - J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3에 나타낸 입체구축문에 포함된 골조의 상단만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M - M 화살표 단면도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면서, 일부를 확대분해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N - N 화살표 단면도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5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와 각지주 및 상단측빔과의 연결구조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4는, 도 33 및 도 40에 나타낸 골조의 상단에 지붕유니트를 재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P - P 화살표 단면도에 있어서, 지붕유니트의 골조의 상방으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냄과 동시에, 골조의 일부를 확대 분해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나타낸 지붕유니트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에 나타낸 지붕유니트의 좌단부를 확대해서 투시상태로 나타낸 사시개략도이다.
도 48은, 도 45에 나타낸 지붕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나타낸 지붕유니트를 폭방향에서 본 측면 개략도이다.
도 50은, 일측 지붕유니트의 일부와 일측 통유니트를 분해해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1은 , 도 50에 나타낸 일측 통유니트와 일측 지붕유니트와 상단측빔과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에 있어서, 도 44의 Q - Q 화살표 단면도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의 일부를 투시상태로 나타낸 사시개략도이다.
도 53은,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 사이에 배설된 씰판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4은, 도 53에 나타낸 씰판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적절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입체구축물은, 구성요소간의 신규한 연결구조(예를 들면, 지주와 빔 간의 연결구조, 빔과 빔 간의 연결구조, 측벽유니트와 골조와의 연결구조, 바닥유니트와 골조와의 연결구조, 지붕유니트와 골조와의 연결구조 등) 및 신규한 구성요소(예를 들면, 골조, 바닥유니트, 측벽유니트, 지붕유니트 등)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 앞에서 서술한 각 목적의 어느 것이든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한 입체구축물의 구성요소간의 연결구조 및 입체구축물의 구성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5, 도 6 및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은,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2)를 갖추고 있다. 골조(2)는 평면에서 보아 구형으로 배설된 4개의 지주(4, 6, 7 및 8)와 수평으로 각각 연 재하면서, 지주(4, 6, 7, 8) 사이를 연결하는 측빔(10, 12, 14, 16)과, 수평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측빔(12, 16) 사이를 연결하는 내측빔(18)과, 지주(4, 6, 7, 8)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단측빔(20, 22, 24, 26)을 갖추고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주(4, 6, 7, 8)는, 골조(2)의 4개의 각에 배설되기 때문에 이하 기재에 있어서, 각지주(4, 6, 7, 8)라고 각각 칭하는 것으로 한다.
각지주(4, 6, 7, 8)는, 각각 횡단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서로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각지주(4, 6, 7, 8)의 하단에는, 구형의 기판이 각각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고, 각지주(4, 6, 7, 8)는, 기판을 통해 기초상에 이탈가능하게 고착되는지, 또는 지면(G)상에 재치되든지 하여 직립하게 된다. 서로 대향하는 각지주(4, 6)의 상하방향의 중간은 측빔(10)에 의해 연결되고, 각지주(4, 6)의 상단부는 상단측빔(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각지주(6, 7)의 상하방향의 중간은 측빔(12)에 의해 연결되고, 각지주(6, 7)의 상단부는 상단측빔(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각지주(7, 8)의 상하방향의 중간은 측빔(14)에 의해 연결되고, 각지주(7, 8)의 상단부는 상단측빔(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각지주(4, 8)의 상하방향의 중간은 측빔(16)에 의해 연결되고, 각지주(4, 8)의 상단부는 상단측빔(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서로 수평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빔(12, 16)의 길이방향 중간은, 내측빔(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측빔(10, 12, 14, 16), 그리고 내측빔(18)은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이루어지 고, 서로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단측빔(20, 22, 24, 26)은 각각의 횡단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횡단면이 정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서로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골조(2)의 상기 각 구성요소는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재되는데, 이들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골조(2)에 형성된 복수의 측테두리영역,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4개의 측테두리영역은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즉, 제 1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단측빔(20)과 측빔(10) 및 수평방향에 대향하는 각지주(4, 6)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S1)이 형성된다. 제 2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단측빔(22)과 측빔(12) 및 수평방향에 대향하는 각지주(6, 7)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S2)이 형성된다. 제 3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단측빔(24)과 측빔(14) 및 수평방향에 대향하는 각지주(7, 8)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S3)이 형성된다. 제 4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단측빔(26)과 측빔(16) 및 수평방향에 대향하는 각지주(4, 8)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S4)이 형성된다. 각각의 측테두리공간(S1 ~ S4)에는 구형의 측벽유니트(30, 32, 34, 36)가 각각 감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측벽유니트(30, 32, 34, 36)의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골조(2)는, 4개의 빔으로, 측빔(10, 12, 16)과 내측빔(18)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바닥공간(F1)과, 4개의 빔으로, 측빔(12, 14,16)과 내측빔(18)에 의해 둘러 싸인 구형의 바닥공간(F2)을 갖추고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각각의 바닥공간(F1, F2)에는 실질적으로 각각 같은 형태 및 크기를 갖는 구형의 바닥유니트(38)가 장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닥유니트(38)의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골조(2)는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각지주(4, 6, 7, 8)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평면에서 보아 각각의 각지주(4, 6, 7, 8)와 함께 골조(2)에 있는 구형의 주위테두리을 규정하는 상단측빔(20, 22, 24, 26)을 갖추고 있다. 골조(2)는 각각의 각지주(4, 6, 7, 8)과 각각의 상단측빔(20, 22, 24, 26)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상단공간(R1)을 갖추고 있다.
골조(2)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구형 지붕유니트(40, 42, 44)가 상단공간(R1)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지붕유니트(40, 42, 44)의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골조(2)에 있는, 지주(4)에 대한 측빔(10, 16)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 도 10을 참조하여, 골조(2)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4)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정4각형의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각지주(4)의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46, 47)에 있어서, 골조(2)의 서로 직교하는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면하는 내측벽(46, 47)에는 웹(W), 상플랜지(UF) 및 하플랜지(LF)로 이루어진 H빔으로 각각 구성된 측빔(10, 16)의 선단이 연결된다.
각지주(4)의 내측벽(46, 47) 중 편방 내측벽(46)과, 편방 내측벽(46)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48)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52)가 형성된 제 1 암나사부재(50)의 쌍이, 상하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쌍)가, 암나사공(52) 각각 편방의 내측벽(46)의 외면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 및 크기를 갖는 각 쌍의 제 1암나사부재(50)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각 축선으로 평행하게 직교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축선을 갖는 관통공(54)의 쌍이 형성되어 있다.
각지주(4)의, 서로 대향하는 편방 내측벽(46) 및 편방 외측벽(48)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암나사부재(50)의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제 1 암나사부재(50)가 대응하는 각각의 그 관통공에 감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된다.
각각의 제 1 암나사부재(50)의 일단면은 편방 내측벽(46)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제 1 암나사부재(50)의 타단면은 편방 외측벽(48)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제 1 암나사부재(50)은, 금속제의 환봉(丸棒)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같다.
각지주(4)의 내측벽(46, 47) 중 타방 내측벽(47)과, 타방 내측벽(47)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방 외측벽(49)사이에는 각각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50)로 형성된 관통공(54)의 쌍의 축선과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으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55)이 형성된 제 2 암나사공부재(56)의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쌍)가, 각각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50)의 쌍의 관통공(54)을 관통하면서 암나사공(55)이 타방 내측벽(47)의 외면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각각의 제 2 암나사부재(56)는 대응하는 관통공(54)에 감합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지름의 환봉부(56a)와, 환봉부(56a)의 일단에 연결된 비교적 큰 지름의 원통부(56b)로 이루어지고, 원통부(56b)에 암나사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6b)는 환봉부(56a)와의 접속부에서 폐색(閉塞)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암나사부재(56)는, 금속제의 환봉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제 2 암나사부개(56)에 있는 원통부(56b)는 제 1 암나사부재(50)의 직경과 같게 형성되고, 원통부(56b)의 암나사공(55)은 제 1 암나사부재(50)의 암나사공(52)과 같은 내경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암나사부재(50) 및 제 2 암나사부재(56)에 대해, 같은 외경의 암나사를 갖는 볼트(나사의 호칭이 같은 암나사를 갖는 볼트), 즉 공통의 볼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JIS에 규정되어있는 나사의 호칭 M16의 볼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각지주(4)의, 서로 대향하는 타방 외측벽(47) 및 타방 외측벽(49)에 있어서, 제 1 암나사부재(50)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54) 각각의 축선상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타방 외측벽(49)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은, 제 2 암나사부재(56)의 환봉부(56a)가 감합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갖고, 타방 내측벽(47)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은 제 2 암나사부재(56)의 원통부(56b)가 감합할 수 있는 비교적 큰 지름을 갖고 있다.
각각의 제 2 암나사부재(56)는, 환봉부(56a)가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50)의 관통공(54)을 관통하면서, 타방 외측벽(49)에 형성된 관통공에 감합됨과 동시에 원통부(56b)가 타방 내측벽(47)에 형성된 관통공에 감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된다. 각각의 제 2 암나사부재(56)의 일단면(원통부(56b)의 일단면)은 타방 내측벽(47)의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제 2 암나사부재(56)의 타단면(환봉부(56a)의 타단면)은 타방 외측벽(49)에 외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H빔으로 이루어진 측빔(10, 16)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58)이 측빔(10, 16) 각각에 직교하여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판(58)의, 웹(W)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취부공(5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편방의 측빔(10)은, 각각의 연결부(58)의 취부공(59)가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 1암나사부재(50)의 암나사공(52)에 정합하도록 연결판(58)이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에 구형의 평판(60)을 통해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 되고, 볼트(62)를 와셔(64),취부공(59) 및 평판(60)의 관통공을 통하여 암나사공(52)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타방의 측빔(16)은, 각각의 연결부(58)의 취부공(59)이 각지주(4)의 타방 내측벽(47)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 2 암나사부재(56)의 암나사공(55)에 정합하도록 연결판(58)이, 각지주(4)의 타방 내측벽(47)에 구형의 평판(60)을 통해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 되고, 볼트(62)를 와셔(640, 취부공(59) 및 평판(60)의 관통공 을 통하여 암나사공(55)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4)의 타방 내측벽(47)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50) 및 각 쌍의 제 2 암나사부재(56)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하여, 각지주(4)에 있는 같은 높이 위치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단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H빔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편방 측빔(10) 및 타방 측빔(16)을, 각지주(4)의 서로직교하는 편방 측빔(10) 및 타방 측빔(16)에 대하여, 각각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볼트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조립작업의 용이화 및 신속화가 가능하게 되고, 더욱이 부품의 공통화 및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쌍의 제 1암나사부재(50) 및 각쌍의 제 2 암나사부재(56)는, 횡단면이 4각형의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각지주(4) 안을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지주(4)의 소요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조에 의하면 각지주(4)에 대해 측빔(10, 16)의 각각의 상면을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결과는 측빔(10, 16)의 횡단면의 높이가 서로 다르더라고, 같은 식으로 달성가능하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골조(2)에 있어서 각지주(4)와 측빔(10) 및 측빔(16)의 상기 연결구조는 각지주(6)와 측빔(10, 12), 각지주(7)와 측빔(12, 14), 각지주(8)와 측빔(14, 16)의 각각에 있어서도 적용되어 있다. 측빔(10, 12, 14, 16)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다음으로, 골조(2)에 있는 측빔(16)과 내측빔(18)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내측빔(18)의 일단은 각지주(4, 8) 사이를 연결하는 측빔(16)의 길이방향 중앙의 측부에 직교하여 연결된다.
측빔(16)에 있는 내측빔(18)과의 연결부에는 구형의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지지판(70)이, 측빔(16)의 상플랜지(UF)와 하플랜지(LF)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 사이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지지판(70)은 웹(W)의 측외방에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한다. 지지판(70)의 폭방향 중앙과 웹(W)과 상플랜지(UF) 및 하플랜지(LF) 사이에는,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판(補强坂)(71)이 상하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직교하도록 배설되고,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지지판(70)의 보강판(71)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의 취부공(72)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빔(18)의 선단에는 구형의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연결판(73)이 내측빔(18)에 직교하여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연결판(73)의 내측빔(18)의 웹(W)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2개의 취부공(74)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빔(18)은 각각의 연결판(73)의 취부공(74)이 측빔(16)의 지지판(70)의 취부공(72)에 정합하도록 연결판(73)이, 측빔(16)의 지지판(70)에 대하여 환상판(環牀坂)(75)을 통해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 되고, 볼트(76)를 와셔(77), 취부공 (74), 환상판(75), 취부공(72) 및 와셔(78)를 통해서, 측빔(16)의 지지판(70)의 내측으로 돌출시키고, 너트(79)를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빔(16)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내측빔(18)의 타단도 상기와 실질적으로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각지주(6, 7) 사이를 연결하는 측빔(12)의 길이방향 중앙의 측부에 직교하여 연결된다. 측빔(16, 12)의 상면과 내측빔(18)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내측빔(18)은 측빔(10, 12, 14, 16)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H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측빔(18)과 측빔(16, 12)의 연결도 볼트(76) 및 암나사부재인 너트(79)로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용의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76)는 앞의 볼트(62)와 같은 M16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골조(2)에 있는, 각지주(4)에 대한 상단측빔(20, 26)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각지주(4)의 상단부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46, 47)에 있어서 골조(2)의 서로 직교하는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면하는 내측벽(46, 47)에는, 각각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단측빔(20, 26)의 선단이 연결된다.
각지주(4)에 있는 편방 내측벽(46) 및 타방 내측벽(47)의 상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취부공(80)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지 주(4)에 연결된 상단측빔(20, 26) 각각의 선단에는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구형의 연결판(81)이 각각, 상단측빔(20, 26) 각각에 직교하여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상단측빔(20, 26) 각각의 선단개구(先端開口)는, 연결판(81)에 의해 폐색된다. 각각의 연결판(81)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82)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편방의 상단측빔(20)은 연결판(81)의 암나사공(82)의 각각이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의 취부공(80)에 정합하도록 연결판(81)이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에 대해 환상판(85)을 통해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 되고, 볼트(83)를 각지주(4)의 상단개구에서 와셔(84), 취부공(80) 및 환상판(85)을 통하여 암나사공(82)으로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4)의 편방 내측벽(46)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타방의 상단측빔(26)은 연결판(81)의 암나사공(82) 각각이 각지주(4)의 타방내측벽(47)의 취부공(80)에 정합하도록 연결판(81)이 각지주(4)의 타방 내측벽(47)에 대해 환상판(85)을 통해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 되고, 볼트(83)를 각지주(4)의 상단개구에서 와셔(84), 취부공(80) 및 환상판(85)을 통하여 암나사공(82)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4)의 타방 내측벽(47)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각지주(4)와 상단측빔(20) 및 상단측빔(26)은, 각지주(4)의 상단개구에서 볼트(83)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해 용의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히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볼트(83)는 앞의 볼트(62, 76)와 같은 M16이 사용되고 있다. 골조(2)에 있어서, 각지주(4)와 상단측빔(20, 26)의 상기 연결구조는 각각의 각지주(6)와 상단측빔(20, 22), 각지주(7)와 상단측빔(22, 24), 각지주(8)와 상단 측빔(24, 26)에 있어서도 적용되고 있다. 각지주(4, 6, 8, 10)의 상단면과, 상단측빔(20, 22, 24, 26)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도 1, 도 7, 및 도 15 ~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골조(2)는 바닥공간(F1, F2)를 갖추고, 각각의 바닥공간(F1, F2)에는 구형의 바닥유니트(38)가 장착된다. 바닥유니트(38)의 주위테두리는, 각각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4개의 플레임부재(86)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바닥유니트(38)의 4개의 측테두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플레임부재(86) 각각은 연직벽(87)과, 연직벽(87)의 상단에서 측외방으로 직교하여 연장하는 플랜지(88)로 이루어지고,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횡단면을 갖고 있다. 서로 바닥유니트(38)의 폭방향(도 7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플레임부재(88) 각각에 있는 연직벽(87) 사이에는 복수의 횡빔(90)이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도 7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고 있다. 횡빔(90)의 각각의 양단은, 각각 연직벽(87) 각각에 각각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횡빔(90)의 각각 사이,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위치하는 횡빔(90)과 이에 대향하는 플레임부재(86)의 연직벽(87)과의 사이, 및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위치하는 횡빔(90)과 이에 대향하는 플레이부재(86)의 연직벽(87)과의 사이에는, 복수의 종빔(92)이 각각 바닥유니트(38)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연재하여, 각각 대응하는 종빔(90) 및 연직벽(87)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진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횡빔(90)의 각각의 상면 및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종빔(92)의 각각의 상면은, 플랜지(88)의 각각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횡빔(90)의 높이는 플레임부재(86)의 높이와 거의 같고, 종빔(92)의 높이는 횡빔(90)의 높이보다고 낮게 형성되어 있다.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 양단에 있는 하단부에는 각각 횡빔(94)이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각각의 플레임부재(86)에 있는 연직벽(87) 내측을 따라 폭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횡빔(94)의 각각의 양단은, 바닥유니트(38)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플레임부재(86)의 각각에 있는 연직벽(87)에 용접에 의해 각각 고착되어 있다.
횡빔(94)의 각각의 양단간의 영역은, 적절의 위치에서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플레임부재(86)의 각각에 있는 연직벽(87) 내측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횡빔(94)의 각각은,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강철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의 양단영역에는 수평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블레이스(96)가 배설되어 있다.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의 일단영역에 배설된 블레이스(96)는, 바닥유니트(38)를 평면에서 보아 길이방향의 일단에 배치된 블레이스 부재(86)의 연직벽(87)의 폭방향 중앙내측에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불레이스부재(86)의 연직벽(87) 내측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연재하도록 배치되어있다.
또한 바닥유니트(38)의 길이방향의 타단영역에 배설된 블레이스(96)는, 바닥유니트(38)를 평면에서 보아 길이방향의 타단에 배치된 블레이스부재(86)의 연직벽(87)의 폭방향 중앙내측에서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불레이스부재(86)의 연직벽(87) 내측으로 향하여 비스듬히 연재하도록 배치되어있다. 금속제(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블레이스(96)의 각각은, 각각의 종빔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4각형의 횡단면을 갖고 있다.
블레이스(96)의 각각의 상면은, 플랜지(88)의 각각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바닥유니트(38)의 상면에는, 적어도 1개의 송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의 송판(98)이,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태핑 나사(tapping screw), 접착제 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진다.
1개의 바닥유니트(38)는 바닥공간(F1)에 상방에서 감합되어, 주위테두리의 플랜지(88)가, 바닥공간(F1)을 규정하는 4개의 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빔(10, 12, 16) 및 내측빔(18)의 상면에 재치되고, 각각의 연직벽(87)이 대응하는 측빔(10, 12, 16) 및 내측빔(18)에 대해, 볼트(100) 및 암나사부재(102)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바닥유니트(38)와 측빔(10, 12, 16) 및 내측빔(18)과의 연결구조는 실질적으로 각각 같기 때문에, 이하 이들을 대표해서 바닥유니트(38)와 측빔(10)과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빔으로 이루어진 측빔(10)의 바닥유니트(38)에 대한 연결부에는, 구형의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04)이, 측빔(10)의 상플랜지(UF) 와 하플랜지(LF)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 사이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지지판(104)은 웹(W)의 측외방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재한다.
지지판(104)과 웹(W)의 측면의 사이에는 일단부(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단에서 타단 근방까지의 영역)에 암나사공(106)이 형성된 암나사부재(102)가, 암나사공(106)이 지지판(104)의 외면으로 개구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암나사부재(102)는 웹(W)의 상하방향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암나사부재(102)는 금속제의 환봉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같다. 바닥유니트(38)에 있는 연직벽(86)에 있어서, 암나사부재(102)의 암나사공(10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취부공(108)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공(108)은 연직벽(86)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바닥유니트(38)는 바닥공간(F1)의 상방에서 감합, 재치된 상태로 볼트(100)를 와샤(110), 취부공(108) 및 환상판(112)을 통하여 암나사부재(102)의 암나사공(106)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측빔(10)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트(100)는 상기 M12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바닥공간(F1)에 장착된 바닥유니트(38)와 측빔(10)의 사이 및 바닥유니트(38)와 내측빔(18)의 사이에 각각 4개소, 바닥유니트(38)와 측빔(12)의 사이 및 바닥유니트(38)와 측빔(16)의 사이에 각각 2개소가 설치되어 있다(도 7에 있어서, 부호 M12로 나타나 있는 각소 참조).
또한 바닥공간(F1)에 장착된 바닥유니트(38)의 측빔(12) 및 측빔(16)에 대향하는 연직벽(86)의 하단부에는 횡빔(94)이 존재하기 때문에, 암나사부재(102) 등을 포함한 상기 연결구조는 횡빔(94)에 간섭하지 않고, 횡빔(94) 보다도 상방위치에 배설되지만, 연결구조 그 자체의 구성은 같다.
상기의 연결구조는 바닥공간(F2)에 장착된 바닥유니트(38)와 측빔(14)의 사이 및 그 바닥유니트(38)와 측빔(18)의 사이에, 각각 4개소, 그 바닥유니트(38)와 측빔(12)의 사이 및 그 바닥유니트(38)와 측빔(16)의 사이에 가각 2개소 설치된다.
상기 설명에서 확실하듯, 각각의 바닥유니트(38)는 바닥공간(F1, F2)에 상방에서 감합, 재치하여 볼트(100)를 암나사부재(102)에 나사결합만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측빔(10, 12, 16) 및 내측빔(18)에, 그리고 측빔(12, 14, 16) 및 내측빔(18)에, 각각 이탈가능하게 견고하고 더욱이 신속히 체결된다.
바닥유니트(38)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외관의 구성이 심플하다. 또한 바닥유니트(38) 내에는 수평 블레이스(96)가 일체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뛰어난 내진구조가 확보된다.
도 1, 도 2, 도 4,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해서,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골조(2)에 형성된 4개의 측테두리영역에는, 구형의 측테두리공간(S1 ~ S4)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측테두리공간(S1 ~ S4)에는 각각 측벽유니트(30,32, 34, 36)가 감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측벽유니트(30,32, 34, 36)의 각각의 기본적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는, 서로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이하 이들을 대표해서 측벽유니트(30)의 구성 및 측테두리공간(S1)에 있는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면구형을 이루는 측벽유니트(30)에 있는 4개의 각 및 4개의 측테두리의 각각에는 횡단면이 4각형(실시형태에 있어서 정4각형)의 중공취부부재(120)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은, 축선이 측벽유니트(38)의 양면으로 향해지게 배설된다.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공취부부재(120)는 4개의 각에 1개씩, 길이방향의 양측테두리에는 2개씩, 그리고, 폭방향의 양측테두리에는 2개씩, 각각 배설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측벽유니트(30)의 좌하각(左下角) 및 그 근방의 측테두리에 배설되어 있는 중공취부부재(120)가 나타나 있다. 각각의 중공취부부재(120)는 소정의 두께 및 축방향의 폭을 갖는 4개의 측벽,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같은 두께 및 같은 축방향폭을 갖는 4개의 측벽(121)으로 구성되고, 금속제 각파이프의 절단품, 구체적으로는 강철제 각파이프의 절단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측벽(121)에 있어서, 측벽유니트(30)의 측외방에 면한 두개의 측벽(121)에는 각각 취부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유니트(30)의 측테두리의 각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에 있는 측벽유니트(30)의 측외방에 면한 하나의 측벽, 즉 도 18에 있어서, 측벽유니트(30)의 좌측테두리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에 있는, 측벽유니트(30)의 좌측외방에 면 한 1개의 측벽(121) 및 측벽유니트(30)의 하측테두리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에 있는 측벽유니트(30)의 하측외방에 면한 1개의 측벽(121)에는 취부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유니트(30)의 다른 세 개의 각 및 다른 두 개의 측테두리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도, 각각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음과 동시에 같은 형태로 배설된다.
측벽유니트(30)에는, 측벽유니트(30)에 있는 4개의 측테두리의 각각을 따라 연재하는 복수개의 측패널(예를 들면, 측패널(124a, 124b, 124c) 등), 폭방향(도 4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연재하는 복수개의 횡패널(예를 들면, 횡패널(126a, 126b, 126c) 등), 길이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연재하는 복수의 종패널(예를 들면, 종패널(128a, 128b, 128c) 등)이 각각 적절한 레이아웃으로 배설되고, 서로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중공취부부재(120)는 상기 패널 중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진다. 각각의 종패널, 횡패널 및 측패널은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의 축방향폭은 측패널, 횡패널 및 종패널의 폭과 실질적으로 같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중공취부부재(120)의 축방향 일단면과, 측패널, 횡패널 및 종패널의 편면에 의해 형성된 측벽유니트(30)의 편면 및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DML 축방향 타단부와, 측패널, 횡패널 및 측패널의 타면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유니트(30)의 타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에 있어서 서로 평행인 평면상에 위치된다. 측벽유니트(30)의 4개의 측면은, 각각 실질적으로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된다.
측벽유니트(30)의 4개의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의 측벽(121) 중,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30)의 측외방에 면한 두 개의 측벽(121)은 각각의 측벽유니트(30)의 각에 서로 직교하는 측벽유니트의(30)의 측벽의 일부를 규정하고, 측벽유니트(30)의 측테두리의 각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에 있는 측벽(121) 중, 한 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30)의 측외방에 면한 한 개의 측벽(121)은 측벽유니트(30)의 측테두리에 있는 측벽의 일부를 규정한다.
측벽유니트(30)는 각의 각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120)에서 양측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패널(124a, 124b)과 두 개의 측패널(124a, 124b)에 대해서 비스듬히 이어진 블레이스패널(129)을 갖추고 있다.
측벽유니트(30)를 평면에서 보아 두 개의 측패널(124a, 124b)와 블레스패널(129)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각삼각형이 형성된다. 각각의 블레이스패널(129)은 종패널, 횡패널 및 측패널과 각각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골조를 갖는 측벽유니트(30)의 편면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보드(board)(130a, 130b, 130c, 130d)가 예를 들면 도시하지않은 태핑나사, 접착제 등의 적절한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됨과 동시에 2개의 창 (132)이 부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측벽유니트(30)는 측테두리공간(S1)에 감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골조(2)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도5, 도 13, 도 20, 도 21, 및 도 24를 참조하여, 측테두리공간(S1)을 규정하는 한 쌍의 측빔인 상단측빔(20) 및 상단측빔(20)의 하방에 위치하는 측빔(10)과 한 쌍의 각지주(4, 6)에 있어서, 측테두리공간(S1)에 감합된 1개 또는 복수개(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측벽유니트(30)에 있는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에 있어서, 상단측빔(20) 및 측빔(10)과, 한 쌍의 각지주(4, 6)에 대향하는 중공취주부재(120)의 각각의 취부공(1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일단부에 암나사공(134)이 형성된 암나사부재(135), 일단부에 암나사공(136)이 형성된 암나사부재(137) 및 일단부에 암나사공(138)이 형성된 암나사부재(139)가, 각각 암나사공(134, 136, 138))이 측테두리공간(S1)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암나사부재(135)는, 상단측빔(20)의 복수개소, 실질형태에 있어서는 6개소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상단측빔(20)의 연직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있어서, 각각의 암나사부재(135)의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공통의 축선을 각각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135)가 대응하는 그 관통공의 각각에 감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된다(도 13 참조).
암나사부재(135)의 각각의 일단면(암나사공 (134)이 개구하는 일단면)은 상단측빔(20)의 내측벽(측테두리공간(S1)에 면하는 내측벽)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 일면상에 위치되고, 암나사부재(135)의 각각의 타단면은 외측벽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되어 진다. 각각의 암나사부재(135)는 금속제의 환봉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같다.
상단측빔(20)에 있어서, 암나사부재(135)가 배설된 위치는, 도 5 및 도 13에 있어서 부호 U로 표시된 위치 중, 암나사부재(135)가 연직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나타나 있는 위치이다. 상단측빔(20)은 횡단면이 4각형읠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135)는 상단측빔(20)에 대해 연직방향으로 직교하도록 그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기 때문에 상단측빔(20)의 강도는 향상한다.
암나사부재(137)는, 각지주(4, 6)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각지주(4, 6)가 대향하는 방향에 수평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각지주(4, 6)의 그 수평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내측벽 및 외측벽에 있어서, 암나사부재(137)의 각각의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137)가 대응하는 그 관통공의 각각에 감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된다(도 13 및 도 24 참조).
암나사부재(137)의 각각의 일단면(암나사공(136)이 개구하는 일단면)은, 각지구(4, 6)의 내측벽(측테두리공간(S1)에 면하는 내측벽)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되고, 암나사부재(137)의 각각의 타단면은 외측벽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면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암나사부재(137)는 금속제 환봉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같다.
각지주(4, 6)에 있어서 암나사부재(137)가 배설된 위치는, 도 5 및도 13에 있어서 부호 U로 표시된 위치이다. 각지주(4, 6)는, 횡단면이 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137)는 각지주(4, 6)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도록 그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기 때문에, 각지주(4, 6)의 강도는 향상된다.
도 5, 도 6,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측빔(10)의 측벽유니트(30)의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의 취부공(12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웹(W)의 폭방향중심을 통해 상하플랜지(UF, LF)에 직교하는 축선과 동심의 취부공(140)에 있어서, 상플랜지(UF)의 상면에서 웹(W)의 상단까지 연재하는 취부공(14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암나사공(138)이 상플랜지(UF)의 상면으로 개구하도록 삽입되서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암나사부재(139)는 금속제 환봉을 절삭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지름이 같다.
각각의 암나사공(138)은 대응하는 암나사부재(139)의 일단에서 타단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상단측빔(20)에 대해 상하에 위치하는 측빔(10)에 있어서, 암나사부재(139)가 배설되는 위치는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부호 U으로 표시된 위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H빔으로 이루어진 측빔(10)에는 취부공(104)이 형성되는데,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것, 암나사부재(139)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용접되는 것 등에 의해 H빔의 소요의 강도는 확보된다.
도 4, 도 13, 도 22, 도 23 및 도 25를 참조하여, 측벽유니트(30)가 측테두리공간(S1) 내에 감합되면, 중공취부부재(120)의 각각의 취부공(122)이 대응하는 암나사부재(135, 137, 139)의 암나사공(134, 136 및 138)에 각각 정합된다. 이 상태에서 볼트(41)를 와셔(142), 취부공(122), 환상판(143)을 통하여 대응하는 암나사부재(135, 137, 139)의 암나사공(134, 136, 138)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측벽유니트(130)는, 상단측빔(20), 한 쌍의 각지주(4, 6) 및 측빔(10)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볼트(141)는 M12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공취부부재(120)와 암나사부재(135)와의 연결상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공취부부재(120)와 암나사부재(137)의 연결상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도 25 참조).
측벽유니트(30)를 측벽공간(S1) 내에 감합한 상태에서, 측벽유니트(30)의 외측면에 보드(130a ~130d)가 배설되어 있어도, 각각의 중공취부부재(120)는 골조(2)의 입체공간의 내측으로 개구하기 때문에 각각의 중공취부부재(120)를 이용하여 볼트(141)와 암나사부재(135, 137, 139)에 의해 골조(2)에 대해,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유니트(30)는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심플하고 운송이나 보관이 용이하다. 측벽유니트(30)의 각영역의 각각 내에는 블레이스패널(129)이 일체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뛰어난 내진구조가 확보된다. 측벽유니트(30)를 내연공간(S1) 내에 감합한 상태로, 측테두리공간(S1)을 규정하는 각지주(4, 6), 상단측빔(20) 및 측빔(10) 중, 각지주(4, 6)와 상단측빔(20)은, 암나사부재 (135, 137)의 매설에 의해 강도가 향상하고 있기 때문에 측벽유니트(30)가 볼트(141)에 의해 체결되면, 측벽유니트(30)와 각지주(4, 6)와 상단측빔(20) 및 측빔(10)이 협동(協動)하여 골조(2)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유니트(30)가 골조(2)에 체결된 후, 측벽유니트(30)의 내측면에 적절한 보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측벽유니트(32, 34, 36)의 기본적 구성(중공취부부재(120)를 포함하는 기본적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는, 상기 측벽유니트(30)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측벽유니트(32, 34, 36)의 골조의 구성은 창의 형상, 배치, 문의 배치 등에 의해 적절히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는 측벽유니트(36)이 나타나 있다. 측벽유니트(36)에는 창(132)과, 슬라이드식 도어(144)가 배치되고, 그 밖의 외면에는 보드(145a, 145b, 145c, 145d 등이 배설되어 있다. 측벽유니트(36)의 골조의 구성은, 이러한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되는데, 각 및 측테두리에 중공취부부재(120)가 배설되는 기본적 구성은 측벽유니트(30)와 다르지 않다.
도 1 및 도 26을 참조해서,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골조(2)에는 상단공간(R1)이 형성되고, 골조(2)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종의 길이가 긴 구형의 지붕유니트(40, 42, 44)가 상단공간(R1)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상단공간(R1)의, 지붕유니트(40, 42, 44)의 각각의 폭방향(도 26에 있어서 좌우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도 26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지붕유니트(40)는 일측 지붕유니트(40)라고 칭하고, 상단공간(R1)의 그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타측(도 26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지붕유니트(44)는 타측 지붕유니트(44)라고 칭하고, 일측 지붕유니트(40)와 타측지 붕유니트(44) 사이에 위치하는 지 붕유니트(42)는 중간 지붕유니트(42)라고 칭한다.
우선, 중간유니트(42)의 구성 및 골조(2)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 ~ 도 30을 참조하여, 중간 지붕유니트(42)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측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4개의 채널판(160)을 갖추고 있다.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채널판(160)은, 연직벽(160a)과, 연직벽(160a)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160b) 및 하플랜지(160c)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채널판(160)은 적절한 금속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42)의 폭방향(도 28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사이에는, 복수의 횡빔(162, 163)이 중간 지붕유니트(42)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중간 지붕유니트(4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도 28에 있어서 좌단부) 근방위치에서 타단(도 28에 있어서 우단부) 근방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가설되어 있다.
수평으로 현재하는 각각의 횡빔(162, 163) 중, 각각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설된 횡빔(162)을 제외한 다른 횡빔(163)은 서로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4각형(상하방향으로 세로의 길이가 긴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양단은 대응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횡빔(163)의 각각의 상면은 공통의 경사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설된 횡빔(162)은, 횡빔(163)보다 큰 4각형( 수평방향으로 폭이 넓은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양단은 대응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 길이방향의 타단부에서 2번째의 횡빔(163)보다 하방위치에는 동형의 횡빔(163)이 같은 형태로 배설되어 있다.
몇 개의 횡빔(162)의 하방에는 보강용 횡빔(164)이, 각각 그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횡빔(164)는, 횡빔(163)의 수평방향폭과 같은 폭을 갖는 정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횡빔(164, 163)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판(165)이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보강판(165)이 배설된 횡빔(163)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횡빔(163)의 하면에는 복수의 보강판(166)이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그 하면으로 수하하도록 배치되고,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보강판(166)의 하단에는, 그 폭방향에 수평으로 연재하는 보강판(167)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42)의 폭방향 중앙에는 복수의 종빔(168)이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종빔(168)의 각각은 중간 지붕유니트(42)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각각 횡빔(162) 횡빔(163), 그 길이방향의 타단에 존재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등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횡빔(162) 각각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영역에는, 각각의 횡빔(162) 양단에 있 는 그 내측에서 종빔(168)으로 향하여 평면에서 보아 비스듬히 이어진 복수의 블레이스(169)가 일체로 배설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42)를 평면에서 보아 각각의 횡빔(162)과 각각의 측내면에서 연장하는 각각의 블레이스(169)는, 삼각형을 형성한다. 각각의 블레이스(169)와 각각의 종빔(168)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정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실질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42)에는 이처럼 블레이스(169)가 일체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소요의 강도가 확보되고, 또한 외관도 단순해 진다. 블레이스(169), 보강판(167), 보강판용 횡빔(164), 횡빔(162) 및 종빔(168)의 각각의 하면에는 채널판(160) 각각의 하플랜지(160c)의 하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42)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통부재(170)가 배설되어 있다. 통부재(170)는, 상방으로 개방된 채널형상의 금속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판으로 이루어진,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배설된 횡빔(162)과 그 일단에 존재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사이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통부재(170)는 각각의 그 연직벽(160a) 및 횡빔(162)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통부재(170)의 밑에는 배수구(172)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횡빔(163) 상에는 적어도 1개의 지붕판(17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지붕판(174)이, 중간 지붕유니트(42)의 길이방향의 타단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지붕판(174)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공통의 경사 평면상에 존재한다. 각각의 지붕판(174)의 높이의 가장 낮은 길이방향의 일단은 통부재(170)의 상방에 위치되고, 그 일단을 포함한 일단부는 통부재(170)에 인접한 횡빔(162)의 상면에 재치된다.
도 26, 도 27 ~ 도 29 및 도 31을 참조하여, 중간 지붕유니트(4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는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이 폭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걸쳐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은 중간 지붕유니트(18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 상단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취부부(取付部)(181a, 182a)가 일체로 형서되고, 취부부(181a, 182a)는 대응하는 횡빔(162)의 하면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에 있는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에는,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는 복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취부공(18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에 있는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의 간격은, 각각 상단측빔(24, 20)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에 있는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26,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여, 일측 지붕유니트(4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이 폭방향의 일측부(도 26 및 도 31에 있어서 좌측부)에서 폭방향의 타측(도 26 및 도 31에 있어 서 우측)까지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일측 지붕유니트(40)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하면에는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은, 상기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이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과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로 호칭한다).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의 길이는, 상단측빔(26)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에 있는 일측부 계지플랜지(181, 182)의 간격은 상단측빔(26)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일측 지붕유니트(40)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은, 중간 지붕유니트(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타측지붕유니트(44)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폭방향의 타측부(도 26 및 도 31에 있어서 우측부) 폭방향의 일측(도 26 및 도 31에 있어서 좌측)까지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타측 지붕유니트(44)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하면에은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은 상기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이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과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로 호칭한다).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의 길이는, 상단측빔(2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고,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에 있는 타측부 계지플랜지(181, 182)의 간격은 상단측빔(22)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 타측 지붕유니트(44)에 있어서, 그 밖의 구성은, 중간 지붕유니트(42)와 실 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도 13, 도 14 및 도 26을 참조하여, 골조(2)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를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22, 24)에 있는 일측 지붕유니트(40), 중간 지붕유니트(42) 및 타측 지붕유니트(44)의 연결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재함과 동시에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단부에 암나사공(194)가 형성된 암나사부재(195)가, 암나사공(194)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4)의 상단공간(R1)에 면하는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또한, 골조(2)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26, 22)에 있는, 일측 지붕유니트(40) 또는 타측 지붕유니트(44)의 연결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단부에 암나사공(194)이 형성된 암나사부재(195)가, 암나사공(194)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6, 22)의 상단공간(R1)에 면하는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암나사부재(195)의 구성 및 장착형태는, 앞에 서술한 암나사부재(137)의 구성 및 장착형태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단측빔(20, 22, 24, 26)은, 횡단면이 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195)는, 상단측빔(20, 22, 24, 26)에 대해 수평방향에 직교하도록 그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기 때문에, 상단측빔(20, 22, 24, 26)의 강도는 향상된다.
각각의 일측 지붕유니트(40), 중간 지붕유니트(42) 및 타측 지붕유니트(44) 는,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각각 상단측빔(20, 24) 위에 각각 재치됨과 동시에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에 있는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가 각각 상단측빔(20, 24)의 내측 및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어 지면서, 볼트(196)(도 29참조) 및 암나사부재(195)에 의해 내측에서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일측지붕유니트(40)의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에 있는 일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상단측빔(26)의 내측 및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고, 타측 지붕유니트(44)의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에 있는 타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상단측빔(22)의 내측 및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고, 각각 내측에서 볼트(196)를 도시하지 않은 와샤를 통해 암나사부재(195)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일측 지붕유니트(40), 중간 지붕유니트(42) 및 타측 지붕유니트(44)는 서로 폭방향에 인접하여 상단공간(R1)을 상방에서 덮도록 골조(2)에 장착된다.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 전체의 구형의 주위테두리부는 골조(2)의 상단 주위테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하여 차양을 구성한다.
또한, 암나사부재(195)의 양단부에 암나사공(194)을 형성한 경우에는 암나사공(194)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2, 24, 26)의 상단공간(R1)에 면하는 내측벽의 외면과 외측벽의 외면으로 개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 및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은 그 내측벽 및 그 외측벽에 볼트(196)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은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로 구성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단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상단측빔(24, 20) 내측 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하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트(196)에 의해 체결된다. 같은 식으로,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 을 일측지붕유니트(40)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일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로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일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상단측빔(26)의 내측 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하고, 내측 또는 외측에서 볼트(196)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타측 계지플랜지수단(192)을 타측지붕유니트(44)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타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로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타측부 계지플랜지(181, 182)는 상단측빔(2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볼트(196)에 의해 체결된다.
도 29를 참조하여, 상기 중간 지붕유니트(42)의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의 내측영역에는 적어도 1개의 천정패널부재(197)가, 예를 들면 태핑나사(198)에 의해 고착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간 지붕유니트(42)의 길이방향 타단과 그 타단 근방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사이의 영역에도 천정 패널이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 지붕유니트(42)에 천정패널부재(197)를 배설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붕유니트와 천정을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용상 유용하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일측 지붕유니트(40)의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및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의 내측영역, 또는 타측지붕유니트(44)의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및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의 내측영역에는 도시하지 않은 적어도 1개의 천정패널부재가 배설된다.
도 53 및 도 54를 참조하여,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사이의 상단부에는 씰판부재(200)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씰판부재(200)는 탄성을 갖는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면서, 일정의 폭을 갖는 평판상의 씰기판(201)과 씰기판(201)의 폭방향 양단에서 편면측으로, 그 편면측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양단플랜지(202)와 씰기판(201)의 폭방향 중앙에서 편면측으로, 그 편면측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중앙플랜지(203)로 이루어진다.
씰기판(201), 양단플랜지(202) 및 중앙플랜지(203)는 각각 같은 두께를 갖으면서, 씰기판(201)의 그 편면에서의 연장길이는 서로 같다. 중앙플랜지(203)와 양단플랜지(202) 사이의 틈은,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상호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상플랜지(160b)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씰판부재(200)의 전체길이는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길이방향의 전체길이와 거 의 같다.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 사이에 씰판부재(200)의 중앙플랜지(203)가 상단에서 삽입됨과 동시에 씰기판(201)이 각각의 채널판(160)의 상플랜지(160b)의 상면에 재치된 상태에서 채널판(160)끼리느 볼트(204), 와샤(205), 연직벽(160a) 사이에 배치된 환상판(206) 및 너트(207)에 의해 체결된다(서로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연직벽(160a)에는 서로 정합하는 취부공이 복수개 배설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씰판부재(200)의 양단플랜지(202)가 채널판(160)의 각각의 상플랜지(160b)의 선단을 지점으로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 54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씰판부재(200)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지붕유니트(40, 42 및 44)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160)의 상플랜지(160b) 사이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40, 42, 44) 사이의 틈은 용이하고 확실히 밀봉되고, 누수가 방지된다.
씰판부재(200)의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40, 42, 44) 사이의 틈으로의 장착은, 끼움 및 구부림작업에 의해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분리도 용이하다.
도 1 및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에서 명확해진 바와 같이,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는 골조(2)의 상단공간(R1)을 상방에서 덮도록 골조(2)의 상단에 재치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4)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고(중간지붕유니트(42)), 또는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4)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됨과 동시에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6)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고(일측 지붕유니트(40)), 또는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4)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됨과 동시에 타측 계지플랜지수단(192)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2)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된다(타측 지붕유니트(44)). 그리고, 볼트(196) 및 암나사부재(195)(도 29참조)로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서로 인접하여 상단공간(R1)을 상방에서 덮도록 골조(20)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붕유니트(40, 42, 44)는 골조(2)에 대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하게 볼트(196) 및 암나사부재(195)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각각의 지붕유니트(40, 42, 44)는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0) 및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192), 천정패널부재(197)를 제외한 지붕 본체가, 거의 일정의 두께를 갖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심플하고, 운송, 보관에도 적합하다.
각각의 지붕 본체에는 수평으로 연재하는 블레이스(169)가 일체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뛰어난 내진구조가 확보된다. 그 각각의 지붕본체는 공통부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용절감에도 기여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2)는 각지주(4, 6, 7, 8), 측빔(10, 12, 14, 16), 내측빔(18), 상단측빔(20, 22, 24, 26)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너트 포함)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러한 구성은, 입체구축물의 조립현장에서 조립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기간이 현저히 단축가능하고, 전체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립현장에서 분해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해철거기간이 현저히 단축가능하다. 앞에서 서술한 골조(2)에 있는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구조는 각종의 입체구축물에 포함된 골조에 넓게 적용가능하고, 입체구축물의 조립현장에서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여 조립기간을 단축하고, 전체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측벽유니트(30, 32, 34, 36)는 각각 측테두리공간(S1 ~ S4)에 감합한 상태에서, 골조(2)에 대해,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더욱 촉진한다. 각각의 바닥유니트(38)는 각각 바닥공간(F1, F2)에 삽입된 상태로 골조(2)에 대해,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더욱 촉진한다. 지붕유니트(40, 42, 44)는 상단공간(R1)을 덮도록 골조(2)의 상단에 재치한 상태로, 각각 골조(2)에 대해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더욱 촉진한다. 각지주(4, 6, 7, 8), 측빔(10, 12, 14, 16), 내측빔(18), 상단측빔(20, 22, 24, 26), 측벽유니트(30, 32, 34, 36), 바닥유니트(38), 지붕유니트(40, 42, 44)의 각각의 구성 및 그 조립된 전체의 구성은 심플하고, 더욱이 충분한 강도가 확보가능하다. 상기 각 요소의 구성이 비교적 경량이면서, 심플하다는것으로 인해 보관장소가 적어지고, 보관비용이 절감가능하다. 그리고 또한, 조립현장까지의 운송이 현저히 용이하고, 운송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측벽유니트(30, 32, 34, 36) 및 골조(2)의 연결은 볼트 및 각각 대응하는 각지주(4, 6, 7, 8) 및 측빔(10, 12, 14, 16), 상단측빔(20, 22, 24, 26)에 매설된 암나사부재의 체결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골조(2)의 소요강도를 확보하면서(오히려 높이면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분해도 용이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빔(10, 12, 14, 16)을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예를 들면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도 있다.
지붕유니트(40, 42, 44)와 골조(2)의 연결은, 볼트 및 각각 대응하는 상단측빔(20, 22, 24, 26)에 매설된 암나사부재의 체결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골조(2)의 소요 강도를 확보하면서(오히려 높이면서), 용이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분해도 용이하고 확실하게, 더욱이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체구축물은, 예를 들면 사무소, 작업소, 간이주택, 간이숙박시설, 점포, 바닥유니트(38)의 각각에 의해 구분된 수단이 내부공간(예를 들면, 사무소, 처소, 작업소)으로 이용가능하고, 동시에 하방이 창고 등의 외부공간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구축물, 등으로 다목적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측빔(10, 12, 14, 16)을 각지주(4, 6, 7, 8) 하단부에 배설하고, 내측빔(18)을 제거하여 바닥유니트(38)를 배설하지않은 입체구축물로 한 경우에는, 간이창고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입체구축물에 있는 모든 구성요소는, 각각 사전에 공장에서 제조해서 설치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저비용이면서 단기간에 전체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33 ~ 도 5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3 ~ 도 52에 나타나 있는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는, 앞의 실시형태에 대해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있지만, 바닥유니트는 갖추고 있지않다. 또한 지붕유니트의 구성이 약간 상위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설명을 개략화하는 것으로 한다.
도 33, 도 39, 도 40 및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입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210)를 갖추고 있다. 골조(210)는 평면에서 보아 구형으로 배설된 4개의 각지주(212, 214, 216, 218)을 갖추고 있다. 각지주(212, 215) 사이에는 측지주(220, 222)가 배치되고, 각지주(214, 216) 사이에는 측지주(224)가 배치되고, 각지주(216, 218) 사이에는 측지주(226, 228)가 배치되고, 각지주(218, 212) 사이에는 측지주(230)가 배치되어 있다.
각지주(212), 측지주(220), 측지주(222) 및 각지주(214)에 있어서, 각각의 하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하단측빔(232)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상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상단측빔(2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지주(214), 측지주(224) 및 각지주(214)에 있어서, 각각의 하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하단측빔(232)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상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상단측빔(2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지주(216), 측지주(226), 측 지주(228) 및 각지주(218)에 있어서, 각지주(216) 및 측지주(226)의 각각의 하단부 사이와, 측지주(228) 및 각지주(218)의 각각의 하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하단측빔(232)에 의해 연결되고 있는데, 측지주(226) 및 측지주(228)의 하단부 사이는 연결되어 있지않다. 각지주(216), 측지주(226), 측지주(228) 및 각지주(218) 각각의 상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상단측빔(2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지주(218), 측지주(230) 및 각지주(212)에 있어서, 각각의 하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하단측빔(232)에 의해 연결되고, 각각의 상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상단측빔(2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측지주(220, 228)의 상단부 사이와 측지주(222, 226)의 상단부 사이는 각각 수평으로 연재하는 상단내측빔(2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측지주(230) 및 측지주(230)에 대향하는 상단내측빔(236)의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사이, 상단내측빔(236)의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사이, 측지주(224) 및 측지주(224)에 대향하는 상단내측빔(236)의 각각의 길이방향 중앙사이는, 각각 상단내측빔(2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40 및 도 44에 도시되어 있는, 각각 6개의 구형의 공간에 있어서 서로 크로스하도록 기재된 대각선은, 골조 상단부에 배설된 블레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각지주(212, 214, 216, 218)와 측지주(220, 222, 224, 226, 228,230)는 각각 서로 공통부품이고,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횡단면이 정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각지주(212, 214, 216, 218)와 측지주(220, 222, 224, 226, 228,230)의 하단에는 각각 구형의 기판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착되고, 각지주(212 ~ 218) 및 측지주(220 ~ 230)는 각각 기판을 통해 기초상에 이탈가능하게 고착되든지, 또는 지면(G) 상에 재치되든지 하여, 직립되게 된다.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하단측빔(232)은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단측빔(234)는, 각각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횡단면이 정4각형의 강철제 각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단내측빔(236)은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상단내측빔(238)은,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조(210)의 상기 각 구성요소 사이는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재되어 있는데, 그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앞의 실시형태와 같은 식으로, 골조(210)에는 4개의 측테두리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측테두리영역에는, 각각 2개의 구형 측테두리공간이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영역에는 각각 3개의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이 형성된다. 골조(210)에 형성된 합계 10개의 측테두리공간 중, 1개의 측테두리공간, 즉 수평방향에 대향하는 측지주(226, 228)과, 상단측빔(234)과, 지면(G)에 의해 둘러싸인 측테두리공간에는 셔텨(239)(도 36 및 도 39참조)가 배설되고, 측벽유니트는 배설되어 있지 않다.(이 측테두리공간은 입체구축물의 입구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그 이외의 9개의 측테두리공간에는, 각각 구형의 측벽유니트(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이 감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 부재에 의해 골조(210)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측벽유니트(240 ~248)의 구성 및 골조(210)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골조(210)는 각지주(212 ~ 218)와 측지주(220 ~ 230)와, 이들 상단부 사이 및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평면에서 보아 골조(210)에 있는 구형의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는 상단측빔(234) 및 하단측빔(232)과, 상단내측빔(236, 238)을 갖추고 있다. 골조(210)의 상단부에는 각지주(212 ~ 218), 측지주(220 ~ 230), 상단측빔(234), 상단내측빔(234, 238)에 의해 둘러싸인 합계 6개의 구형의 상단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골조(210)의 상단부에는 1개의 일측 지붕유니트(250)와 4개의 중간 지붕유니트(251, 252, 253, 254)와, 1개의 타측 지붕유니트(255)가, 상단공간의 전체를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 구형을 이루는 상기 지붕유니트(250 ~ 255)는 공통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측 지붕유니트(250)의 일측에는 구형의 일측통유니트(256)가 부착되고, 타측 지붕유니트(255)의 타측에는 구형의 타측통유니트(25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붕유니트(250~255), 상기 통유니트(256, 257)의 구성 및 골조(210)에 대한 연결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골조(210)에 있는 모든 각지주(212 ~ 218)에 대한 각각의 하단측빔(232)의 연결구조는, 도 8 ~ 도 10에 나타낸 연결구조(복수의 암나사부재를 교차시킨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측지주(230)와 하단측빔(232)의 각각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 및 도 35를 참조하여, 측지주(230)의 골조(210)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면에 각 각 면하는 측벽의 각각에, 하단측빔(232)의 선단이 연결된다. 측지주(230)의 그 측벽의 각각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재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260)의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쌍)가, 각각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그 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어 있다. 그 암나사부재 (260)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암나사부재(137)의 양단부에 암나사공(136)을 형성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용접에 의해 측지주(230)에 고착되어 있다. 하단측빔(232)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262)이 그 하단측빔(232)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262)의 웹(W)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각 복수의 취부공(264)이 형성되어 있다.
편방의 하단측빔(232)은, 연결판(262)의 취부공(264)의 각각이 측지주(230)의 편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262)이 측지주(230)의 편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되고, 볼트(266)를 취부공(264)을 통해서 암나사부재(260)의 일단부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230)의 편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타방의 하단측빔(232)은 연결판(262)의 취부공(264)의 각각이 측지주(230)의 타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262)이 측지주(230)의 타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게되고, 볼트(266)를 취부공(264)을 통해 암나사부재(260)의 타단부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230)의 타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다른 측지주(220, 222, 224)와 하단측빔(232)의 연결구조도 상기한 연결구조 와 실질적으로 같다. 측지주(226, 228) 사이에는 하단측빔(232)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단측빔(232)은 측지주(226, 228)의 각각의 편방 측벽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측지주(226, 228)에 매설된 암나사부재(260)에는 일단부 만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하단측빔(232)은 상면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 다시말하면 공통의 평면상에 위치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하단측빔(232)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측지주(230)의 골조(210)에 있는 입체공간의 내측에 면한 내측벽에 하단측빔(232)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는 도시하지 않은 내측빔의 선단이 연결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8 ~ 도 10에 나타낸 연결구조(복수의 암나사부재를 교차시킨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은 연결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8 ~ 도 10에 나타낸 연결구조에 있는 암나사부재(50)의 각각의 양단부에 설치된다. 그 결과, 그 내측빔의 상면을 하단측빔(232)의 각각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의 위치에서 측지주(230)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든 각지주(212~218)의 각각과 상단측빔(234)의 각각의 연결구조는 도13 및 도 14에 나타낸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측지주(228)와 각각의 상단측빔(234), 상단내측빔(236)과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 및 도 45를 참조해서, 측지주(228)의 상단부에 있는 골조(210)의 입체공간 내측벽에 면한 내측벽에 상단내측빔(236)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228)의 상단부에 있는 측벽에 있어서, 골조(210)의 측테두리을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한 측벽의 각각에 상단측빔(234)의 선단이 연결된다. 측지주 (228)와 상단측빔(234)과의 연결구조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은 연결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단측빔(20, 26)은, 각지주(4)에 있어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내측벽(46, 47)에 연결되어 있는 것에 대해, 도 45에 나타낸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상단측빔(234)의 각각은 측지주(228)의 상단부에 있는 측벽에 있어서, 골조(210)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한 각각의 측벽에 연결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지만, 볼트에 의한 연결구조 그 자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측지주(228)의 그 내측벽과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는 도 35에 나타난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35에 나타낸 연결구조에 있어서, 측지주(230)에 매설된 암나사부재(260)의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45에 나타낸 연결구조에 있어서 측지주(228)에 매설된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은, 알단부에 형성해두면 좋다. 또한, 상단내측빔(236)의 선단에 고착된 연결부(267)는, 상단내측빔(236)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크게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하면과 상단내측빔(236)의 하플랜지(LF) 사이에는, 거의 원호상의 보강판(268a), 거의 3각형상의 보강판(268b, 268c), 거의 구형상의 보강판(268d) 등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측지주(228)의 그 내측벽과 상단내측빔(236)과의 연결부의 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측지주(228), 각각의 상단측빔(234) 및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은 연결구조는, 측지주(220), 각각의 상단측빔(234) 및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 측지주(222), 각각의 상단측빔(234) 및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 및 측지주(226), 각각의 상단측빔(234) 및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에도 각각 적용되어 있다.
도 33을 참조해서, 측지주(230, 224)와 상단측빔(234)의 각각의 연결구조는 상술한 측지주(228)와 상단측빔(234) 각각의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측지주(230, 224)와 상단측빔(238)의 각각의 연결구조는 상술한 측지주(228)와 상단측빔(236) 각각의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단, 각각의 상단내측빔(228)의 선단에 고착된 연결판의 길이는, 각각의 상단내측빔(238)의 상플랜지(UF)와 하플랜지(LF)의 하면과의 간격에 거의 같게 규정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268a ~ 268d)은 배설되어 있지않다).
각각의 상단내측빔(238)과 상단내측빔(236)의 연결구조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같은 연결구조가 적용되어 있다. 도 41에는 상단내측빔(238)의 선단과 상단내측빔(236)의 측부와의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단내측빔(238)의 높이는 상단내측빔(236)보다 낮기 때문에, 그 부족분만큼 연결판(269)가 길게 형성되어 상단내측빔(238)의 하면에서 수하하고 있다.
도 33을 참조하여,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골조(210)의 9개의 측테두리공간에 각각 측벽유니트(240 ~248)가 감합되고,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골조(210)에 대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측벽유니트(240 ~ 248)의 기본적 구성은, 앞에 설명한 측벽유니트(30)와 실질적으로 같은데, 후술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270)가 용접가능한 주철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상위하다. 또한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벽유니트(30~36)는 각각 1개의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에 1개 씩 장착되어 있는데, 도 33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개의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에 두 개의 측벽유니트가 서로 인접해서 감합되면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골조(210)에 대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벽유니트(240, 241, 242)는 각각 측벽유니트(240a, 240b), 측벽유니트(241a, 241b), 측벽유니트(242a, 242b)를 연결한 측벽유니트이다. 다른 모든 측벽유니트도 이처럼 두 개의 측벽유니트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측벽유니트(247)는 측벽유니트(247a, 247b)를 연결한 측벽유니트이다).
도 33, 도 35 및 도 43을 참조해서, 측벽유니트(247)에 있는 측벽유니트 (247a)에는 측벽유니트(30)에 있는 것과 같은 식으로 해서, 측벽유니트(247a)의 각 및 측테두리에 중공취부부재(270)가 배설되어 있다. 중공취부부재(270)는 용접가능한 주철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일정의 두께 및 축방향폭을 갖는 4개의 측벽,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같은 두께 및 같은 폭방향을 갖는 4개의 측벽(271)을 갖추고 있다. 중공취부부재(270)의 4개의 각부에는 각각 블레이스(272)가,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271) 사이에 개설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스(272)는, 일정의 두께 및 그 2개의 측벽(271)과 같은 축방향폭을 갖으면서, 해당 중공취부부재(270)를 축방향에서 보아 그 2개의 측벽(271) 사이에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도록 일체로 배설되어 있다. 중공취부부재(270)의 측벽(271)에는 각 또는 측테두리에 배설된 레이아웃에 대응해서 측벽유니트(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취부공(273)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중공취부부재(270)는 간단한 구조로 위로부터의 하중, 횡방향의 하중 등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가능하다.
각각의 각지주(218), 측지주(230), 상다측빔(234) 및 하단측빔(232)으로 둘러싸이는 것에 의해 형성된 측테두리공간에는 2개의 측벽유니트(274a, 247b)가 서로 인접하여 감합된다. 각각의 서로 인접하는 측벽유니트(274a, 247b)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공취부부재(270)의 각각의 측벽(271)끼리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짐과 동시에 각각의 취부공(273)끼리는 서로 정합하도록 위치된다. 각각의 서로 인접하는 측벽유니트(274a, 247b)는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270)의 서로 정합된 그 취부공(273)에 볼트(274)를 삽입하여 너트(275)를 계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270) 사이에는 적절한 환상판이 개재되어 있다. 측벽유니트(274)가 감합된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각각의 각지주(218), 측지주(230), 상단측빔(234) 및 하다측빔(232)에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해서 암나사부재(277)가 매설되고, 측벽유니트(247)는 볼트(278)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다른 측벽유니트(240 ~ 246, 248)도 상기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식으로 구성되고, 같은 연결구조에 의해 각각의 유니트를 구성하는 2개의 유니트끼리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골조(210)에 대해서 연결된다.
도 34에는 도 35에 나타낸 측벽유니트(247, 248)에 보드나 창이 장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6에는 , 골조(210)에, 보드나 창이 장착된 측벽유니트(245, 246)가 부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 측면은 셔터(239)가 갖추어진 출입구를 구성한다 도 37에는 도 36에 나타낸 측벽유니트(245, 246)에서 셔텨(239), 보드나 창이 제거된 골조의 장착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8에는 도 33에 나타낸 측벽유니트 (240, 241, 242)가 골조(21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측벽유니트(240)는 보드 및 창이 부착된 상태, 측벽유니트(241)은 보드가 부착된 상태, 측벽유니트(242)는 골조의 상태가 각각 나타나 있다.
앞에 서술한 바와 같이, 골조(210) 상단에는, 1개의 일측 지붕유니트(250)와 4개의 중간 지붕유니트(251, 252, 253, 254)와, 1개의 타측 지붕유니트(255)가, 상단공간의 모두를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된다(도 38, 도 42 및 도 44 참조). 이들 지붕유니트(250 ~ 255)는 공통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이들을 대표하여 중간지붕유니트(252)의 구성 및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4, 도 45 ~ 도 49를 참조해서, 중간 지붕유니트(252)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치고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면서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복수의 채널판(280)을 갖추고 있다. 채널판(280)은 연직벽(280a)과, 연직벽(280a)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280b) 및 하플랜지(280c)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채널판(280)은 적절한 금속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채널판(280)의 연직벽(280a) 사이에는 복수의 횡빔(282)이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근방위치(도 45, 도 46 및 도 48에 있어서 좌단부 근방위치) 및 타단부 근방위치(도 45, 도 46 및 도 48에 있어서 우좌단부 근방위치)에서 각각 중간 지붕유니트(255)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가설되어 있다. 수평으로 연재하는 횡빔(282)은 4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금속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제의 각파이프로 구성된 각각의 양단은 대응하는 채널판(280)의 연직벽(380a)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각각의 횡빔(282)의 상면은, 각각 중앙에서 길이방향의 양단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하는 두 개의 경사평면상에 실질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각각 3개의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는 채널판(280)의 높이는,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길이방향 양단부를 제외하고 다른 영역에 있는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는 채널판(28)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길이방향 양단부의 상면(채널판(280)의 상플랜지(280b)의 상면)이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다른 영역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길이방향 양단부의 밑(채널판(280)의 하플랜지(280c)은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다른 영역의 밑보다 낮게 위치된다.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폭방향으로 연재하는 통부재(284)가 배설되어 있다. 통부재(284)는 상방으로 개방된 채널형상의 금속판,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판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폭방향 양측벽의 상단에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에 수평으로 구부러진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재(284)는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의 일단면에 배설된 채널판(280)의 서로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연직벽(280a) 사이에 가설되고,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통부재(284)의 밑에는 배수구(285)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재(284)의 밑은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그 길이방향 양단부의 밑과 거의 같은 높이에 배설된다.
횡빔(282)상에는 적어도 1개의 편방의 지붕판(286)이,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는 횡빔(282)상에는 적어도 1개의 타방의 지붕판(287)이 중간 지붕유니트(252)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타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편방의 지붕판(286)에 있는 높이의 가장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 및 타방의 지붕판(287)에 있는 높이의 가장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은 각각 대응하는 통부재(284)의 상방에 위치된다. 중간 지붕유니트(28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그 하면에서 수하하는 단부 계지플랜지수단(290)이 폭방향의 실질적으로 전역에 걸쳐서 연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290)은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180)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291, 292)로 구성되어 있다).
골조(210)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도 44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234)에 있는 일측 지붕유니트(250), 중간지붕유니트(251 ~ 254) 및 타측 지붕유니트(255)와의 연결부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상단측빔(234)의 상단공간에 면하는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 구성도 앞에 서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각각의 일측 지붕유니트(250), 중간 지붕유니트(251~254) 및 타측 지붕유니트(255)는 각각의 양단부가 각각 서로 대향하는 상기 상단측빔(234) 상에 각각 재치되면서,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290)에 있는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291, 292)가 대응하는 상단측빔(234)의 내측에 중합하여 위치됨과 동시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내측에서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33, 도 44, 도 50,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해서, 상단공간의 상기 각각의 지붕유니트(250 ~ 255)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도 44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는 일측지붕유니트(250)의 폭방향의 일측테두리(도 44에 있어서 좌측테두리)는 골조(210)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도 44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항도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 중 일측테두리(도 44에 있어서 좌측테두리)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상단측빔(234)의 폭방향 중간(도 44 도 51에 있어서 좌우방향 중간) 및 그 상단측빔(234)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지주(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지주(212, 218)와 측지주(230))의 상기 폭방향 중간에 위치된다(일측 지붕유니트(250)가 골조(210)의 상단에 있는 소정의 위치에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 일측 지붕유니트(250)의 폭방향의 일측에는 평면구형의 일측 통유니트(256)의 타측(도 44에 있어서 우측)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일측 통유니트(256)는 일측 지붕유니트(250)와 거의 같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형으로 배치되어 주위테두리을 규정하면서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한 채널판(294)과, 통부재(296)를 갖추고 있다. 채널판(294)은, 연직벽(294a)과, 연직벽(294a)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에 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294b) 및 하플랜지(294c)로 구성되어 있다. 채널판(294)은, 적절한 금속,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횡단면이 채널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방으로 개방된 통부재(296)는, 일측 통유니트(256)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294)의 연직벽 (294a) 사이에 가설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됨과 동시에 밑에 배수구(297)가 형성되어 있다. 일측 통유니트(256)의 폭방향에 대한 연직벽(294a) 사이에 있어서, 통부재(296)의 직상방에는, 복수의 횡빔(298)이 일측 통유니트(256)의 길이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설되고, 각각의 양단은 그 연직벽(294a)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일측 통유니트(256)의 폭방향의 타측(도 51에 있어서 우측)을 규정하는 채널판(294)의 높이는 일측 지붕유니트(250)의 폭방향의 일측(도 51에 있어서 좌측)을 규정하는 채널판(28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규정되어 있다. 일측 통유니트(256)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 (294)에는 그 채널판(290) 하면으로 수하하는 취부편(302)을 갖는 취부부재(300)가 고착되어 있다. 통부재(296)와 취부편(302) 사이에 있어서 횡빔(298)의 직하방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채널상의 보강부재(299)가 배설되고, 일측 통부재(256)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연직벽(294a), 인접하는 통부재(296) 및 취부편(302)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일측 통유니트(256)는, 일측 통유니트(256)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294)의 연직벽(294a)의 외면이 일측 지붕유니트(250)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280)의 연직벽(280a)의 외면에 중합되어 볼트(304) 및 너트(306)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일측 지붕유니트(250)가 골조(210)의 상단에 있는 소정의 위치에 재치된 상태에 있어서, 일측 통유니트(256)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294)의 저면(하플랜지(294c)의 저면)이 그 상단측빔(234), 각지주(212, 218) 및 측지주(230)의 각각의 상면에 있는 폭방향의 외측영역에 재치됨과 동시에 취부편(302)이, 그 상단측빔(234), 각지주(212, 218), 및 각각의 측지주(230)의 외측벽에 중합되어 그 상 단측빔(234)에 볼트(308) 및 암나사부재(310)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된다. 암나사부재(310)는, 그 상단측빔(234)에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것과 같은 식으로 해서 연결개소에 매설되어있다. 타측통부재(257)는, 일측통유니트(256)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고(단, 도 44 및 도 51에 있어서 좌우대칭의 구조가 된다), 타측 지붕유니트(255)의 타측에 대하여 앞에 서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설명에서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도 33 ~ 도 52를 참조해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1 ~ 도 32를 참조해서 설명한 앞의 실시형태가 갖추고 있는 기본적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앞의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3 ~ 도 52를 참조해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구축물의 다른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창고 공장 등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5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입체구축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55에 나타난 입체구축물의 실시형태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상하는 골조(400)를 갖추고 있다. 골조(400)는 평면에서 보아 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각지주(402, 404 ...)와 측지주(410, 412...)와, 측빔(420, 422, 424, 426, ...)과 내측빔(430 ...), 상단측빔(440, 442, 444, ...)과 바닥유니트(450 .. .)와, 측벽유니트(460, 462, 464 ...)와, 지붕유니트(470, 472 ...)를 갖추고 있다. 골조(400)를 구성하는 각지주(402, 404 ...)와, 측지주(410, 412...)와, 측빔(420, 422, 424, 426, ...)과 내측빔(430 ...)과, 상단측빔(440, 442, 444, ...) 등의 구성 및 상호 연결구조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바닥유니트(450 .. .)의 구성 및 골조(400)에 대한연결구조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바닥유니트(38)에 있는 그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또한, 측벽유니트(460, 462, 464 ...)의 구성 및 골조 (400)에 대한 연결구조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측벽유니트(30 ~ 34), 측벽유니트(242 ~248) 등에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고, 지붕유니트(470, 472 ...)의 구성 및 골조(400)에 대한 연결구조는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지붕유니트(250 ~ 255)에 있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다. 도 55에 있어서 앞의 실시형태에 있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주요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앞의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기본적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앞의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골조(2, 210, 400)는 각각 강철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일부 혹은 전부를 철근 콘크리트로 제조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지주(4)를 횡단면이 4각형의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한 경우, 제 1 암나사부재(50)의 각 쌍 및 제 2 암나사 부재(56)의 각 쌍은 암나사공(52, 44)을 각각 편방 측벽(46) 및 타방 측벽(47)의 외면에 개구시킨 상태로 콘크리트 안에 매설된다. 또한 각지주(4)를 횡단면이 4각형의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각지주(4)에 상단측빔(20, 26)을 연결하는 경우, 도13 및 도 14에 나타낸 연결구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지주(4)의 적어도 상단부를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상단부를 구성하는 금속제 각파이프는 철근 콘크리 트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각지주 및/또는 측지주를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한 경우, 횡단면은 다각형에 있어서도 본 발명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8각형, 12각형 등). 각지주의 횡단면을 다각형으로 한 경우, 측벽의 외면을 연장하면 서로 직교하는 것처럼 한 쌍의 측벽(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러한 측벽을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직교하는 측테두리을 따라 수평방향에 면한 내측벽」이라고 표현하고 있다)을 갖추고 있는 다각형인 것이 필순이다. 왜냐하면 그 한 쌍의 측벽에 측빔이 연결되기 때문이다(측빔의 각각을 연장하면 서로 직교한다). 측지주의 횡단면을 다각형으로 한 경우, 측벽의 외면을 연장하면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는 것처럼 한 쌍의 측벽(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러한 측벽을 「골조의 측테두리을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측벽」이라고 표현하고 있다)을 갖추고 있는 다각형인 것이 필순이다. 왜냐하면, 그 한 쌍의 측벽에 측빔이 연결되기 때문이다(측빔의 각각을 연장한면 서로 선단이 바로 접하게된다). 또한 각지주 및/또는 측지주의 횡단면을 4각형으로 한 경우 철근 콘크리트제든, 금속제 각파이프제든, 4각형의 각에 직선상 또는 곡선상의 모따기를 한 것 같은 횡단면형상도 포함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횡단면이 4각형이라는 것은 이런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41)

  1.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角)에 배열된 각지주(角支柱)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각지주의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직교하는 측 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면한 내측벽의 각각에는 웹(web), 상플랜지(upper flange) 및 하플랜지(lower flange)로 이루어진 H빔(h-beams)으로 구성된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각지주의 상기 내측벽 중 편방(片方) 내측벽과, 편방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편방 외측벽의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一端部)에 암나사공(internally threaded holes)이 형성된 제 1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암나사공이 편방 내측벽으로 개구(開口)하도록 각각 매설(埋設)되고,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 축선에 수평으로 각각 직교하면서 동시에 서로 평행으로 연재하는 축선을 갖는 쌍의 관통공(貫通穴)이 형성되고,
    각지주의 상기 내측벽 중 타방(他方) 내측벽과, 타방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방의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가 각각 형성된 쌍의 관통공이 축선과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으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 2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 쌍이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암나사공이 타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각지주에 연결된 상기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상기 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取付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측빔 중 편방의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서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측빔 중 타방의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각 쌍의 제2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상기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타방 내측벽에 이탈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사이에 배치된 측지주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측지주의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웹 ,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상기 측벽 각각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상기 측벽으로 개구하도록 각각 매설되고,
    상기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상기 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편방의 상기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상기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5.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 사이에 배치된 측지주는 횡단면이 다각형을 이루고, 측지주의 골조의 입체공간의 내측에 면한 내측벽과,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각각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1개의 내측빔 및 2개의 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상기 측벽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양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1 암나사부재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각각 암나사공이 각각의 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각 축선에 수평으로 각각 직교하면서 서로 평행으로 연재하는 축선을 갖는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각 쌍의 제 1 암나사공부재에 형성된 쌍의 관통공이 축선과 각각 공통의 축선을 갖으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제 2 암나사부재의 쌍이, 대응하는 제 1 암나사부재 쌍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암나사공이 상기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측지주에 연결된 상기 내측빔 및 상기 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상기 내측빔 및 상기 측빔의 각각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편방의 상기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상기 측벽 중 편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편방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편방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편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상기 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상기 측벽 중 타방 측벽으로 개구하는 타방의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1 암나사부재의 타방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타방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내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취부공이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각 쌍의 제 2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빔 및 상기 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 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빔 및 상기 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8. 제 1항에 있어서, 각지주 또는 측지주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각지주 또는 측지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9.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의 적어도 상단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내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직교하는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내측벽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단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각지주에 있는 편방의 상기 내측벽 및 타방의 상기 내측벽의 상단면에는 각각 한 쌍의 취부공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지주에 연결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상기 각각의 상단측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이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편방의 상기 상단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암나사공이 각지주 편방의 상기 내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편방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각지주의 상단개구에서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편방의 상기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상기 상단측빔은, 각각의 연결판의 암나사공이 각지주의 타방의 상기 내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각지주의 타방의 상기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각지주의 상단개구에서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각지주의 타방의 상기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0. 제 9항에 있어서, 각지주 및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2.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의 각에 배치된 각지주사이에 배치된 측지주의 적어도 상단부는 횡단면이 다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골조의 입체공간의 내측에 면하는 내측벽에는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된 1개의 상단내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측벽에 있어서, 골조의 측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에 각각 면하는 각각의 측벽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상단측빔의 선단이 연결되고,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과, 상기 내측벽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한 외측벽과의 사이에는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의 쌍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암나사공 각각이 상기 내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측지주의 상기 측벽의 각각의 상단부에 있어서, 각각의 암나사부재보다 높은 위치에는 한 쌍의 취부공이 같은 위치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기 상단내측빔의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상기 상단내측빔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의 웹에 의해 나누어지는 좌우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측지주의 상단부에 있는 상기 측벽의 각각에 연결되는 각각의 상기 상단측빔 선단에는 구형의 연결판이 각각의 상기 상단측빔에 직교하여 고착되고, 연결판에는 한 쌍의 암나사공이 같은 높이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상단내측빔은, 연결판의 취부공이의 각각이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으로 개구하는 암나사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에 실질적으로 바 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해서 각 쌍의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의 상기 내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편방의 상기 상단측빔은, 연결판의 암나사공의 각각이 측지주 편방의 상기 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 편방의 상기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해서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측지주 편방의 상기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방의 상기 상단측빔은, 연결판의 암나사공의 각각이 측지주 타방의 상기 측벽의 취부공에 정합하도록 연결판이 측지주 타방의 상기 측벽에 실질적으로 바로 접하면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주 타방의 상기 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빔 및 상기 상단내측빔의 각각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같은 형상 및 크기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5.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에 형성된 복수의 각각의 측테두리영역에는, 상하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측빔 및 수평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주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측테두리공간이, 1개 또는 복수개 형성되고, 골조에 있는 측테두리공간의 전부, 또는 적어도 1개를 제외한 다른 전부의 측테두리공간에는, 각각의 1개 또는 복수개의 구형의 측벽유니트가 감합(嵌合)되고,
    측벽유니트의 각 및 측테두리의 각각에는, 횡단면이 4각형의 중공취부부재(中空取付部材)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두께 및 축방향폭을 갖는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중공취부부재가 일체로 배설되고,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축선이 측벽유니트의 양면으로 향하여 배설되고,
    각각의 측벽유니트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서로 직교하는 두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側外方)에 면한 두 개의 측벽에는 취부공이 각각 형성되고,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의 각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한 한개의 측벽에는 취부공(取付穴)이 형성되고,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한 쌍의 측빔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있어서, 측테두리공간에 감합된 1개 또는 복수개의 측벽유니트에 있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빔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취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각각의 암나사공이 상기 측테두리공간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상기 측벽유니트가 상기 측테두리공간 내에 감합되면, 상기 중공취부부재의 각가의 취부공이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감합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대 응하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측벽유니트는, 상기 한 쌍의 측빔 및 상기 한 쌍의 지주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하는 두 개의 측벽은 측벽유니트의 각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측벽유니트의 측벽의 일부를 규정하고,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에 배설된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에 있는 1개의 측벽에 있어서, 측벽유니트의 측외방에 면하는 한 개의 측벽은 측벽유니트의 측테두리에 있는 측벽의 일부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측벽유니트는, 각에 배설된 중공취부부재에서 양측테두리를 따라 직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측패널과, 두 개의 측패널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하는 브레이스패널을 갖추고, 측벽유니트를 평면에서 보아, 상기 두 개의 측패널과 브레이스패널에 의해 실질적으로 직각삼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8. 제 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공통부품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각파이프의 절단품(切斷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19. 제 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공취부부재는, 용접이 가능한 주철로 일체로 형성되고,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4개의 각부는, 블레이스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측벽사이에 가설된, 각각의 불레이스는 일정의 두께 및 상기 두 개의 측벽과 같은 축방향폭을 갖으면서, 해당 중공취부부재를 축방향에서 보아 상기 두 개의 측벽과의 사이에 직각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상방의 상기 측빔과 상기 한 쌍의 지주는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상방의 상기 측빔과 상기 한 쌍의 지주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측테두리공간을 규정하는 하방의 측빔은 웹,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지는 H빔으로 구성되고, 하방의 상기 측빔의, 측벽유니트의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취부공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웹의 폭방향중심을 통해 상하플랜지에 직교하는 축선과 동심(同心)의 취부공에 있어서, 상플랜지의 상면에서 웹의 상단부까지 연재하는 취부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암나사부재는 대응하는 취부공에, 암나사공이 상플랜지의 상면으로 개구하도록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측테두리공간에는 복수의 측벽유니트가 서로 인접하여 감합되고,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측벽유니트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공취부부재의 각각의 측벽끼리는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되어짐과 동시에 각각의 취부공끼리는 서로 정합하도록 위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측벽유니트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중공취부부재의 서로 정합된 상기 취부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를 계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3.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는 4개의 빔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바닥공간을 복수개 갖추고, 바닥공간의 각각에는 구형의 바닥유니트가 장착되고, 바닥유니트의 주위테두리는 연직벽(鉛直壁)과 연직벽의 상단에서 측외방 직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지는 플래임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는, 바닥공간으로 상방에서 감합되고, 주위테두리의 플랜지가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4개의 빔의 상면에 재치(載置)되고, 각각의 연직벽이 대응하는 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각각의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각각 4개의 빔은 웹, 상플랜 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H빔으로 구성되고, 4개의 빔에 있는 바닥유니트의 연결부에는 지지판이 상플랜지와 하플랜지의 서로 대향하는 선단부사이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고, 지지판과 웹의 측면과의 사이에는,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지지판의 외면에 개구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착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에 있는 각각의 연직벽에는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바닥유니트는, 대응하는 바닥공간에 상방에서 감합된 상태로 볼트를 취부공을 통하여 암나사부재의 암나사공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바닥공간을 규정하는 4개의 빔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5. 평면에서 보아 구형(矩形)으로 배열된 지주(支柱) 및 수평으로 연재(延在)되면서,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빔(beam)을 갖춘 골조로서 실질적으로 직방체상의 입체공간을 형성하는 골조를 구비한 입체구축물에 있어서,
    골조는 서로 대향하는 지주 각각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평면에서 보아 각각의 지주와 함께 구형의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는 상단측빔과, 지주 및 상단측빔의 각각에 의해 둘러싸인 구형의 상단공간을 갖추고, 골조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구형의 지붕유니트가 상단공간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고,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는 하면에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垂下)하는 단부(端部) 계지(係止)플랜지수단이 폭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각각의 지붕유니트는, 각각의 양단부가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적어도 각각 1개 의 상단측빔의 위에 각각 재치되고, 동시에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이 대응하는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重合)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에 의해, 서로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에 인접하여 상단공간을 상방에서 덮도록 골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6. 제 25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면 양단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단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一側)에 위치하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하면에는,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는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일측 지붕유니트는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를 한 쌍의 측테두리 중 일측테두리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으로 중합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하방 타측(他側)에 위치하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하면에는, 폭방 향의 타측부에 있는 폭방향에서 수하하는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재하도록 배설되고, 타측 지붕유니트는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이,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타측테두리를 규정하는, 각각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중합하여 위치되면서,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폭방향의 일측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여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일측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고,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은,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는 1개의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폭방향의 타측부에 있는 상기 하면에서 수하하여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재하는 한 쌍의 타측부 계지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29. 제 25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 또는 일측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 및 일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 또는 타측 지붕유니트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계지플랜지수단 및 타측부 계지플랜지수단의 내측영역에는 천정 패널부재가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0. 제 25항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근방위치에서 타단 근방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된 횡빔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배설되어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桶部材)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타단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지붕판을 갖추고,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일단은 통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1. 제 25항에 있어서, 지붕유니트는 구형을 이루도록 배설되어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開放端)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근방위치 및 타단 근방위치에서 각각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위치까지 점점 높이가 증가하도록,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가설된 횡빔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배설되어 지붕유 니트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와,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일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편방 지붕판과, 지붕유니트의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타단부까지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재하도록 각각의 횡빔 위에 부착된 적어도 1개의 타방 지붕판을 갖추고, 편방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 및 타방의 지붕판에 있는 높이의 최고 낮은 길이방향의 하단은 각각 대응하는 통부재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단공간의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테두리는,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일측테두리을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폭방향 중간 및 상기 상단측빔의 연재상에 위치하는 지주의 각각의 폭방향 중간에 위치되고,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에는 밑에 배수구를 갖는 평면구형의 일측 통유니트의 타측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되고, 일측 통유니트는 일측 지붕유니트와 거의 같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형으로 배설된 주위테두리를 규정함과 동시에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일측 통유니트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 사이에 가설되면서,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3. 제 32항에 있어서,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는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규정되고,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에는, 상기 채널판의 하면에서 수하하는 취부편(取付片)을 갖는 취부부재가 고착되고, 일측 통유니트는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 연직벽의 외면이 일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 연직벽의 외면에 중합되어 불트 및 너트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동시에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저면이 상기 상단측 빔 및 상기 지주의 각각의 상면에 재치되면서, 취부편이 상기 상단측빔 및 상기 각각의 지주의 외측벽에 중합되어 상기 상단측 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단공간의 각각의 지붕유니트의 폭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테두리는,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측테두리 중 타측테두리를 규정하는, 적어도 1개의 상단측빔의 폭방향 중간 및 상기 상단측빔의 연재상에 위치하는 지주의 각각의 폭방향 중간에 위치되고,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에는 밑에 배수구를 갖는 평면구형의 타측 통유니트의 일측이 이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통유니트는 타측 지붕유니트와 거의 같은 길이방향의 길이를 갖는 구형으로 배설된 주위테두리를 규정하면서, 개방단이 내측으로 향해진 채널판에 있어서, 연직벽과 연직벽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직각으로 구부러진 상플랜지 및 하플랜지로 이루어진 채널판과, 타측 통유니트의 길이방향에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가설됨과 동시에 밑에 배수구가 형성된 통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5. 제 34항에 있어서,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규정되고,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에는, 상기 채널판의 하면에서 수하하는 취부편을 갖는 취부부재가 고착되고, 타측 통유니트는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연직면의 외면이 타측 지붕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의 외면에 중합되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되고, 동시에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저면이 상기 상상단측빔 및 상기 지주의 각각의 상면에 재치되면서, 취부편이 상기 상단측빔 및 상기 지주의 각각의 외측벽에 중합되어 상기 상단측빔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6. 제 26항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측테두리를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에 있는 각각의 지붕유니트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상기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빔의 상단공간에 면하는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지붕유니트의 각각의 길이방향에 있는 양단부에 배설된 1개의 상 기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단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에는, 상기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지붕유니트 1개의 상기 단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단부 계지플랜지는,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빔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7. 제 27항에 있어서, 골조의, 서로 대향하는 상기 타측의 측테두리을 규정하는 각각의 상단측빔에 있는, 일측 지붕유니트 또는 타측 지붕유니트의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 및/또는 타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빔의 상단공간에 면하는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일측 지붕유니트의 일측부에 배설된 1개의 상기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일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 및 타단측 지붕유니트의 타측부에 배설된 1개의 상기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타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에는, 상기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일측 지붕유니트 1개의 상기 일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일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 및 타측 지붕유니트의 타측부에 배설된 1개의 상기 타측부 계지플랜지, 또는 한 쌍의 상기 타측부 계지플랜지의 편방 또는 양방은,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빔의 내측벽 및/또는 외측벽에 이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8.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의 일측 통유니트 및 타측 통유니트의 연결부에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재하면서, 일단부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암나사부재가, 암나사공이 대응하는 상기 상단측빔의 외측벽으로 개구하도록 매설되고, 동시에 일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타측 및 타측 통유니트의 폭방향의 일측을 규정하는 채널판의 취부편에는, 상기 암나사부재에 대응하여 취부공이 형성되고, 볼트를 취부편을 통해서 대응하는 암나사부재의 나사공에 계합하는 것에 의해 취부편은 상기 상단측빔에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39.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은, 횡단면이 4각형의 금속제 각파이프로 구성되고, 암나사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단측빔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40. 제 30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간의 상단부에는 씰(seal)판부재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씰판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으로 형성되면서, 일정의 폭을 갖는 평판상의 씰기판과, 씰기판의 폭방향 양단에서 상기 편면측으로, 상기 편면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양단플랜지와, 씰기판의 폭방향 중앙에서 편면측으로, 상기 편면측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중앙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중앙플랜지와 양단플랜지와 사이에 틈은, 서로 인접하는 지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상플랜지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는 지 붕유니트의 서로 대향하는 채널판의 연직벽사이에 씰판부재의 중앙플랜지가 상단에서 삽입되면서, 씰기판이 상기 채널판의 각각의 상플랜지 상면에 재치된 상태로, 상기 채널판끼리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서, 씰판부재의 양단 플랜지가 상기 채널판의 각각의 상플랜지의 선단을 지점으로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41. 제 1항에 있어서, 골조는, 지주와 빔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고, 또는 지주와 빔 및 빔과 빔을 모두 볼트 및 암나사부재에 의해 이탈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축물.
KR1020057019361A 2003-04-11 2004-04-08 입체구축물 KR200600029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7179 2003-04-11
JP2003107179A JP3635467B2 (ja) 2003-04-11 2003-04-11 立体構築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80A true KR20060002980A (ko) 2006-01-09

Family

ID=3329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361A KR20060002980A (ko) 2003-04-11 2004-04-08 입체구축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85296A1 (ko)
EP (1) EP1614819A1 (ko)
JP (1) JP3635467B2 (ko)
KR (1) KR20060002980A (ko)
MY (1) MY141639A (ko)
TW (1) TW200506162A (ko)
WO (1) WO2004092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288B2 (ja) * 2006-05-18 2012-03-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吹抜け補強構造
WO2008000035A1 (en) * 2006-06-29 2008-01-03 Pluscreate Pty Ltd A building
JP5139094B2 (ja) * 2008-01-11 2013-02-06 大成建設株式会社 再利用可能な鉄骨架構
BR112020006721A2 (pt) 2017-10-03 2020-10-06 Patco Llc conector de cedência sísmica, painel de cedência sísmica, e, método para conectar um painel de cedência sísmica a uma coluna estrutural utilizando um conector de cedência sísmica.
CN114232796B (zh) * 2021-12-23 2023-09-05 苏州中晟盛金属材料制造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的钢结构房屋拼装连接部件
BE1030825B1 (nl) * 2022-08-30 2024-03-26 Koutermolen nv Logistiek gebouw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0404U (ja) * 1982-09-06 1984-03-15 株式会社田窪工業所 屋根の破風板
JPS6016635A (ja) * 1984-05-31 1985-01-28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架構材結合装置
JPH046461Y2 (ko) * 1985-11-01 1992-02-21
JPH0615786B2 (ja) * 1986-04-17 1994-03-02 ジャストジャパン株式会社 組立及び載置式立体駐車場構造体
JPH09287203A (ja) * 1996-04-19 1997-11-04 Misawa Homes Co Ltd 突出ユニットの支持構造
JP3688511B2 (ja) * 1998-06-15 2005-08-3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床パネルの支持構造
JP3384784B2 (ja) * 1999-04-28 2003-03-10 株式会社オオタ ガレージデッキ
JP3546374B2 (ja) * 2000-03-06 2004-07-28 晧 杉山 構造材同士の接合工法及び金物
JP3604645B2 (ja) * 2001-04-24 2004-12-22 株式会社松田製作所 機器類収容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16076A (ja) 2004-11-11
MY141639A (en) 2010-05-31
WO2004092501A1 (ja) 2004-10-28
EP1614819A1 (en) 2006-01-11
US20060185296A1 (en) 2006-08-24
JP3635467B2 (ja) 2005-04-06
TW200506162A (en)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195B2 (en) Skeleton frame assembly for a tent
US10006212B2 (en) Assembled house
KR950002251B1 (ko) 다각형상 가옥
US20170198484A1 (en) Access Structure Integration Assembly and Integrated Acces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1501005A (ja) 防護柵
JPH11256687A (ja) 軸組構造及び軸組工法
KR20060002980A (ko) 입체구축물
GB2140058A (en) Demountable stand-type construction especially for temporary exhibitions
US20120102871A1 (en) Self-registering, modular out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082973B1 (ko) 조립식 부스
KR200456278Y1 (ko)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CN211007050U (zh) 一种装配式轻钢组装房
US4981397A (en) Lightweight sectional dock system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2251908A1 (en) Collapsible structural support and storage module
US4813201A (en) Platform system
JP2009221748A (ja) 柱梁の接合構造および屋外構造体
RU34190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арианты)
WO2006001222A1 (ja) 立体構築物
JP2019065656A (ja) 高床パネル構造及び高床パネルを用いた立体構造物
CN215368125U (zh) 一种预制拼装式楼盖
KR200255525Y1 (ko) 조립식 건물의 지붕 구조
CN114197697B (zh) 一种便于运输和安装施工的可伸缩装配式网格墙结构体系
HU207556B (en) Three-dimensional supporting structure and structural module
JP2508796Y2 (ja) 架台組立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