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51B1 - 다각형상 가옥 - Google Patents

다각형상 가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51B1
KR950002251B1 KR1019900007915A KR900007915A KR950002251B1 KR 950002251 B1 KR950002251 B1 KR 950002251B1 KR 1019900007915 A KR1019900007915 A KR 1019900007915A KR 900007915 A KR900007915 A KR 900007915A KR 950002251 B1 KR950002251 B1 KR 950002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undation
polygonal
beam fram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242A (ko
Inventor
미에코 고토
Original Assignee
미나미후지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수기야마 사다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나미후지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수기야마 사다히사 filed Critical 미나미후지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28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consisting of structures of pyramidal or conic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84Buildings with non right-angled horizontal layout grid, e.g. triangular or hexagonal
    • E04B2001/0092Small buildings with hexagonal or similar horizont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각형상 가옥
제 1 도는 기초 골조와 기둥의 구조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 2 도는 기본 골조 구조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개략적인 수직 종단면도이다.
제 3 도는 기초 골조의 형상에 대한 평면 설명도이다.
제4a도 내지 제 4c도는 기초 요소를 연결시키기 위한 한 방법에서 연결 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 및 제4b도의 C-C선 횡단면도이다.
제5a도와 제5b도는 기둥이 제4a도 내지 제4c도의 연결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한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와 제4b도에 유사한 횡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다각형상 가옥의 부분 절단 평면도이다.
제 7 도는 무게 지주 부재와 귓자보의 연결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각형상 가옥에서 지붕의 하중으로 인해 비임 골조상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설명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유형에 따른 다각형상의 2층 가옥에서 기본 골조 구조를 전체적으로 설명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 2 실시 유형의 변형에서 기본 골조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제11도 내지 제13도는 각각 통상적인 가옥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수직정단면도 및 개략적인 수직종단면도이다.
제14도a와 제14b도는 통상적인 가옥에서 지붕의 하중으로 인해 비임 골조 상에 가해진 힘에 대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골조 11 : 기초 요소
11A : 짧은 요소 11B : 긴요소
12, 32, 72 : 정점 20, 25 : 기둥
30 : 비임골조 31 : 비임 요소
40 : 귓자보 41 : 장부 구멍
42 : 돌출부 43 : 리세스
50 : 무게 지주부재 61 : 중도리
62 : 서까래 63 : 지붕 보오드
70 : 중간 비임 골조 71 : 중간 비임 요소
본 발명은 골조 구성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구조의 다각형상 가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가옥 특히, 목재 가옥은 그들의 기초 골조 및 비임 골조의 형상이 기본적으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옥은 지붕 고유의 사하중(dead load)과 눈하중(눈등으로 인해 지붕에 부가된 하중)을 충분히 견디어 내기 위해 비임 골조를 보강하기 위한 보조 비임을 필요로 한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가옥에 있어서,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기초 골조(90)는 도시되지 않은 기초위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기초 골조(90)의 정점에서 각각 수직으로 총 4개의 기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기초 골조(9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인 비임 골조(93)는 해당하는 기둥(92)의 상단부에 대해 그의 정점에서 연결되므로, 비임 골조(93)는 기초 골조(90)에 대해 평행하게 제공된다.
부가하여, 다수의 보조 비임(95)은 서로 평행하게 비임 골조(9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비임 요소(93A)와 (93B) 사이에서 다리를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으로 연결가능하게 제공되는데, 그로인해 비임 골조(93)가 보강된다. 부호 "96,97,98"는 각각 중도리, 왕대공 및 귓자보를 표시한다.
즉, 지붕하중 P(사하중과 눈하중을 포함)는 서로 평행하게 비임 골조(93)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비임 요소(93A)와 (93B)상에, 제14a도와 제14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팽창 및 확장하는 외부 방향으로 강한 힘 F가 가해질 것이다. 따라서, 보조 비임(95)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강한 힘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비임 골조(93)는 손상되거나 붕괴될 것이다. 그러나 보조 비임은 힘 F를 충분히 견디어 낼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비임 골조에 있어서 다수의 보조 비임은 이러한 통상적인 가옥에 필요한 것이기 때문에, 그의 구조는 복잡해질 것이며, 그의 건조는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건조비용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부가하여, 비임 골조 내부에서 보조 비임의 존재는 비임 골조 내부의 비교적 넓은 전체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서 이용될 수 없는 문제를 동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조 구성이 간단하여 건조가 용이하고 충분히 높은 강도의 다각형상 가옥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임 골조 내부에 어떤 보조 비임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비임 골조 내부의 넓은 공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다각형상 가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서, 적어도 6개의 선형 기초 요소로 형성되고 대칭적인 다각형상을 보유하는 기초 골조 ; 한단부가 기초 골조의 정점에서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다각형상 기초 골조에 연결되어 있는 기둥 ; 기초 골조와 평행하게 그위에 배치되며, 선형 비임 요소들로 형성되고 기초 골조의 형상에 유사한 다각형상을 보유하는 비임 골조, 상기 비임 골조는 해당하는 기둥의 상단부에 대해 그의 정점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하단부들은 비인 골조의 정점에서 각각 비임 골조에 결합되어 있고 그의 상단부들은 비임 골조의 중앙부 위치로 함께 도달하는 방식으로 상기 비임 골조의 중앙부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상향 연장되어 있는 귓자로 ; 및 귓자보의 상단부-지주 부재에 연결되어 있음-에 의해 지지되고 그 자체의 두께에 인해 귓자보의 상단부에 하향 힘을 가하는 무게 지주 부재로 구성되는 다각형상 가옥이 제공된다.
상기한 구조에 부가하여, 중간 비임 골조가 기초 골조에 평행하도록 기초 골조와 비임 골조 사이에서 건조될 수 있고, 기초 골조와 동일한 다각형상을 보유하도록 기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층용 마루면이 중간 비임 골조를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기초 골조, 비임 골조 및 부가적인 중간 비임 공조는 바람직하기로는 사각형의 각벽이 균등하게 3등분으로 나뉘어진 총 8개의 위치에서 정점을 보유하는 8각형상을 보유한다.
상기된 구조로 인해, 기초 골조와 비임 골조는 적어도 6각형의 대칭적인 다각형상을 보유하고, 하단부는 해당하는 정점에서 비임 골조에 연결되어 있는 귓자보의 상단부가 무게 지주 부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붕의 하중으로 인해 비임 골조에 가해진 힘 F는 적어도 총 6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각 비임 요소에 의해 수용된 힘은 현저하게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비임 골조를 보강하기 위해 어떤 보조 비임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부가하여, 가옥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따라서, 가옥의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
부가하여 보조 비임이 상기된 바와 같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임 골조 내부의 넓은 전체 공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의 하중에 기인한 힘은 특별한 구조로 인해 다수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분산된 상태로 비임 골조의 비임 요소에 가해지기 때문에, 각 비임 요소에 의해 수용된 힘은 현저하게 약화될 것이다.
따라서, 비임 골조에서 어떤 보조 비임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가옥의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고, 가옥의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건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전체적으로 현저히 높은 강도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에 어떤 기둥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넓은 내부 공간이 제공된다.
또한, 무게 지주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하단부가 비임 골조에 연결되어 있는 귓자보의 상단부들을 무게 지주 부재에 연결시키므로써, 간단한 연결 수단이 사용되었을 때라도 충분히 높은 강도가 무게 지주 부재, 귓자보와 비임 골조의 세가지 부재로 형성된 구조에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수평면에 대한 각 귓자보의 기울기를 60도 또는 그 이하로 조절하므로써 성취된다.
또한, 기초 골조와 비임 골조를 사각형의 각벽이 균등하게 3등분으로 나뉘는 총 8 위치에서 정점을 보유하는 8각형상으로 형상시키므로써, 원주 길이에 대해 보다 넓은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건조 요소가 표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 설명과 청구범위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유형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8각형상을 보유하는 기초 골조(10)는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총 8개의 선형 기초 요소(11)로서 건조되어 있다. 기초 골조(10)는 적절한 구조의 기초(도시되어 있지 않음) 위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다. 목재 기둥(20)은 직립하도록 기초 골조(10)의 총 8개의 정점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된다.
제 3 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골조(10)의 형상은 사각형 S의 각 변이 균일하게 3등분으로 분리되는 총 8개의 위치에서 정점(12)를 보유하는 대칭적인 8각형상이며, 상기 사각형 S의 각변의 길이는 3a이다.
따라서, 사각형 S의 한 변 위에서 인접한 2개의 정점(12) 사이의 거리는 a이며, 사각형 S의 두개로 상호 인접한 변들위에서 상호 인접한 정점(12)들 사이의 거리는
Figure kpo00001
이다.
따라서, 기초 골조(10)는 길이가 a인 4개의 짧은 요소(11A)와 길이가
Figure kpo00002
인 4개의 긴요소(11B)를 교대로 연결시키므로써 건조되고 각 연결부에서 내부 각도의 크기는 135도가 되도록 건조된다.
기초 골조(10)에서 긴 요소(11B)에 대한 짧은 요소(11A)의 연결은 예를들어, 제4a도 내지 제4c도에서 도시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짧은 요소(11A)의 긴요소(11B)는 그들의 종방향에 대해 45도 경사진 평면으로 구성된 단면 EA와 EB를 각각 보유한다. 짧은 요소(11A)의 단면 EA에서, 사다리꼴의 단면을 보유하는 장부 구멍 M은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긴요소(11B)의 단면 EB에서, 장부구멍 M에 결합하기에 적절한 장부 T는 그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1/2부분위에 돌출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장부 구멍 M에 유사한 장부 구멍 N은 그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1/2 에 형성되어 있다.
제4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 T는 장부 구멍 M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1/2 부분에 공정되어, 그로 인해 짧은 요소(11A)와 긴 요소(11B)가 그들의 단면 EA와 EB가 서로 접촉하고 그 연결부에서 내부 각도 Q의 크기는 135도가 되도록 서로 연결되고, 기둥을 연결시키기 위한 장부 구멍 R은 짧은 요소(11A)에서의 장부 구멍 M의 상부 1/2부분과 연결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1/2부분에서 긴 요소(11B)에서의 장부 구멍 N에 의해 정의된다.(제5b도 참조).
상기 설명에서, 장부 구멍 M이 긴 요소(11B)의 단면 EB에서 형성되고 장부 T와 장부 구멍 N이 짧은 요소(11A)의 단면 EA에서 형성될때, 상기된 바와 같은 동일한 연결상태가 이루어 질 수 있고, 동일한 기둥-연결 장부 구멍 R이 정의된다.
한편, 제5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둥(20)은 5각형상의 단면을 보유하며 상기 5각형의 각도는 135도이다. 각각의 기둥(20)에서, 상기 기둥-연결 장부구멍 R에 고정기에 적절한 유형의 돌출 장부 W는 그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5a도와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장부 W는 상기 기둥-연결 장부 구멍 R에 고정되고, 그로인해 기둥(20)의 하단부는 골조의 해당 정점(12)에서 기초 골조(10)에 연결되어, 기둥(20)은 수직으로 제공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각 기둥(20)의 하단부를 기초 골조(10)에 연결하기 위해 기초 골조(10)에서 기초 요소(11)의 각 연결부에서 기초 요소의 장부 구멍 이음을 위해 장부 구멍의 일부를 이용하므로써 하나의 연결부에서 두개의 기초 요소(11)와 하나의 기둥(20)의 3개의 부재를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 6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선형의 목재 비임 요소(31)는 상기된 기초 골조(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 즉, 기초 골조(10)의 형상과 동일한 8각 형상을 보유하는 비임 골조(30)를 건조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비임 골조(30)에 대해, 상기 8개의 기둥(20)의 상단부가 그들의 해당정점(32)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비임 골조(30)는 기초 골조(10)에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비임 골조(30)를 건조하기 위해 비임 요소(31)를 건조할 때, 상기된 바와 같이, 기초 골조(10)에서 기초 요소(11)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 또는 이 수단에 유사한 어떤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부가하여, 비임 골조(30)의 해당 정점(32)에서 기둥(20)의 상단부에 대한 비임 골조(30)의 연결은 기초 골조(10)와 기둥(20)의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수단 또는 이 수단에 유사한 어떤 수단을 이용하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초 골조(1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 기둥(20)의 상단부를 비임 골조(30)에 연결하기 위해 비임 골조(30)에서 비임 요소(31)의 각 연결부에서 비임 요소와 장부 구멍이음을 위해 장부 구멍의 일부를 이용하므로써 한 연결부에서 두개의 비임 요소(31)와 하나의 기둥(20)의 3개의 부재를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40"는 귓자보를 도시한다. 총 8개의 귓자보(40)의 각 하단부는 8각형상의 비임 골조(30)의 해당하는 정점(32)에서 비임 골조(30)에 연결된다. 부가하여, 귓자보(40)는 그들의 상단부들이 함께 도달하는 방식으로 비임 골조(30)의 중앙부위를 향하여 비스듬히 상향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큰 중량과 8각 기둥 형상을 보유하는 목재의 무게 지주 부재(50)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지주 부재(50)는 귓자보(4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귓자보(40)의 상단부를 무게 지주 부재(50)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인 장부 구멍 형성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은 이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귓자보-연결 장부 구멍(41)은 무게 지주 부재(50)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고, 장부구멍(41)에 수용되기에 적절한 돌출부(42)는 각 귓자보(4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부 구멍과 돌출부가 서로 결합하도록 고정된다.
각 귓자보(40)의 하단부를 비임 골조(30)에 연결하기 위하여, 단지 상기 하단부가 실시예에 의해 비임 골조(30)의 각 정점(32)에서 형성된 해당하는 리세스(43)에 수용되는 상태로 적절한 연결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필요하다면, 중도리(61)와 서까래(62)가 상기된 방식으로 제공된 인접한 귓자보(40)들 사이에서 연결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해 내수성 합판으로 형성된 지붕 보오드(63)가 그위에 제공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호-인접 기둥(20)들 사이에서 개구부가 적절한 패널, 예를들어, 인접 기둥(20)들 사이에서 비-지지 패널 또는 지지 패널을 부착시키므로써 차단된다. 개구부를 한정하는 창-또는 출구/입구는 필요에 따라 이들 패널중 일부에서 제공된다.
상기된 방식으로 건조된 다각형상 가옥은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가 그들의 형상이 동일하며 대칭적인 8각형이고, 하단부가 비임 골조(30)의 해당 정점(32)에서 각각 비임 골조(30)에 연결되어 있는 귓자보(40)의 상단부가 무게 지주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보유한다.
따라서, 지붕의 하중은 제 8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임 골조(30)상에 팽창 및 확장 힘 F를 가하지만, 힘 F는 비임 골조(30)의 모든 비임 요소(31) 즉, 귓자보(40)를 통해 8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분산된다.
결과적으로, 비임 골조(30)에서 각 비임 요소(31)가 견디어 내어야 할 힘의 크기는 지붕의 하중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약화된다. 따라서, 비임 골조(30)는 그 자체가 다각형상의 골조라는 사실과 관련하여, 충분히 큰 강도가 비임 골조(30)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상 가옥의 비임 골조(30)에서 보조 비임의 제공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가옥구조로서 골조를 현저하게 간소화시킬 수 있고, 그와 동시에, 건조를 용이하게 하여 건조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부가하여, 단위 비임 요소(31)의 길이는 면적에 있어서 동일한 폭을 보유하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비임 골조가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보다 짧을 수 있기 때문에, 비임 요소(31) 그 자체에 의해 보다 큰 요곡 강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옥은 기초 골조(10), 기둥(20), 비임 골조(30), 귓자보(40) 및 무게 지주 부재(50)로 형성된 전체 기본 골조 구조가 소위 새장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충분히 높은 강도를 보유한다.
따라서, 구조의 내부에 어떤 부가적인 기둥을 제공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부가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어떤 보조 비임을 제공하는 것 또한 불필요하다. 따라서, 구조 내부의 공간은 비임 골조(30)에 의해 상,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지 않은 넓은 연속 자유공간이며 어떤 구조적인 요소로부터 자유롭다. 따라서, 구조물의 내부 공간은 매우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기본 골조 구조는 큰 강도를 보유하기 때문에, 기둥(20)들 사이에 제공된 패널은 보강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패널로서 비-지지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패널로서 지지 패널의 사용을 금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상기된 바와 같은 유용한 장부 구멍 수단은 귓자보(40)의 상단부를 무게 지주 부재(5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귓자보(40)에 대한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즉, 무게 지주 부재(50)에 대한 귓자보(40)의 상단부의 연결과 비임 골조(30)에 대한 귓자보(40)의 하단부의 연결은, 그들의 연결이 어느정도 느슨할지라도, 무게 지주 부재(50), 귓자보(40) 및 비임 골조(30)의 각 연결부에서의 느슨함은 무게 지주 부재가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해 하향 변위하기 때문에 흡수되어, 충분히 큰 강도로서 연결된 상태가 제공된다. 따라서, 무게 지주 부재(50), 귓자보(40) 및 비임 골조(30)에 의해 건조된 구조물은 충분히 큰 강도로서 서로 결합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비교적 간단한 연결 수단에 의해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귓자보(40)에 관련된 연결을 만족스럽게 실시할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해 무게 지주 부재(50)와 비임 골조(30) 사이를 연결하는 각 귓자보(40)의 경사각
Figure kpo00003
(제 2 도 참조)는 60도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는 무게 지주 부재(50), 귓자보(40) 및 비임 골조(30)의 3가지 부재로서 형성된 구조에 대해 충분히 큰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는 사각형의 각 변을 균일하게 3등분으로 분리한 총 8개의 위치에서 정점을 보유하는 8각형상을 보유하기 때문에, 원주 길이에 대해 보다 넓은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땅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부가하여, 사각형의 각벽의 길이가 3a라고 가정하면, 기초요소, 비임 요소 및 기둥(20) 사이에 제공된 패널용 부재로서 단지 2종류의 표준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한 종류는 길이 또는 폭이 a인 것이고, 나머지 한 종류는 길이 또는 폭이
Figure kpo00004
인 것이다. 따라서, 이들 부재의 공업적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는 건조 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유형을 도시한다. 이 실시유형은 2-층의 다각형상 가옥이 건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 2 실시 유형에서, 전체적인 구조는 상기된 제 1 실시 유형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충분히 긴 기둥(25)이 기둥(20) 대신에 사용된다는 것과 중간 비임 골조(70)가 기둥(25)의 중간 높이에서 제공된다는 것이 상이다.
중간 비임 골조(70)는 그것을 따라서 2층용 마루면을 제공하며, 그리하여 전체적으로 2층의 다각형상 가옥이 제공된다.
충분히 긴 목재 기둥(25)은 직립을 위해 골조의 해당정점(12)에서 각각 기초 골조(10)에 연결되어 있다. 기둥(25)의 상단부에는, 비임 골조(30)가 해당정점에서 각각 연결되어 있다. 비임 골조(30)의 정점(32)에서 8개의 귓자보(40)의 하단부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귓자보(40)의 상단부들은 무게 지주 부재(50)에 연결되어 있다.
기둥(25)의 중간 높이에서, 상기된 바와 같이, 목재로서 이루어진 총 8개의 선형 중간 비임 요소가 상호-인접 기둥(25)들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가 동일한 8각형상을 보유하고 그들의 해당 정점(72)에서 각각 기둥(25)에 연결된 중간 비임 골조(70)는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 사이의 거리가 평행한 상태로 균일하게 2등분되는 높이에서 건조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서, 실시예에 의한 장부구멍은 바람직하기로는 중간 비임 요소(71)를 기둥(25)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 유형에서, 효과는 제 1 실시 유형에서와 같이 우수하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며, 건조가 용이하고, 건조 비용을 감소시킨 2층의 다각형상 가옥이 제공된다.
제10도는 제 2 실시유형의 변형을 도시한다. 제 2 실시 유형과 비교하여 이 실시 유형은 각각의 긴 기둥(25)이 상부(25A)와 하부(25B)의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기초 골조(10) 또는 비임 골조(30)의 형상과 동일한 8각형상을 보유하는 중간 비임 골조(70)가 기초 골조(10) 또는 비임 골조(30)의 건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목재로 이루어진 8개의 선형 중간 비임 요소를 연결시키므로써 건조되고, 중간 비임 골조(70)는 그들의 해당 기둥(25)의 상부(25A)와 하부(25B) 사이에서 그의 정점(72)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상이하다.
상기 설명에서, 중간 비임 요소(71)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기초 골조(10)의 건조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연결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제 5 도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어떤 수단 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이 기둥(25)의 상부(25A)와 하부(25B)에 중간 비임 골조(70)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에서는 상기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며, 건조가 용이하고 건조 비용을 감소시킨 2층의 다각형상 가옥이 제공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을 충분히 기술하였지만,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이 그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변경 및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기초 골조에 세워진 기둥의 상부에 지붕을 형성하여서 된 공지의 다각형상 가옥에 있어서, 기초 골조의 정점(12)에서 각각 직립을 위해 하단부가 다각형상 기초 골조(10)에 연결되어 있는 기둥(20), 기초 골조(10)와 평행하게 그 위에 배치되고 선형의 비임 요소로서 형성되고 기초 골조(10)의 형상과 유사한 다각형상을 보유하는 비임 골조(30), 비임 골조(30)는 해당되는 기둥(20)의 상단부에 대해 정점(12)에서 연결되며, 그의 하단부들은 비임 골조(30)의 정점(12)에서 각각 비임 골조(30)에 연결되고 상단부들은 그들이 함께 도달되는 방식으로 비임 골조(30)의 중앙부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상향 연장된 귓자보(40), 귓자보(40)의 상단부 지주부재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그 자체 무게에 의해 귓자보(40)의 상단부에 하향되는 힘을 가하는 무게지주부재(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가옥.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비임 골조(70)가 기초 골조(10)에 평행하게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사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중간 비임 골조(70)는 기초 골조(10)의 형상과 동일한 다각형상을 보유하고 기둥(25)에 의해 지지되며, 2층용 마루면이 중간 비임 골조(7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는 대칭적인 8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4. 제 3 항에 있어서, 기초 골조(10)와 비임 골조(30)는 사각형의 각변이 균일하게 3등분으로 분리된 총 8개의 위치에서 정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초 골조(10)는 각각의 기초 요소(11)에 장부 구멍 이음하므로써 건조되고 기둥(20,25)의 하단부는 기초 골조(10)의 해당하는 정점에서 기초 요소(11)의 장부 구멍 이음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임 골조(30)는 각각의 비임 요소(31)를 장부 구멍 이음하므로써 건조되고 기둥(20,25)의 상단부는 비임 골조(30)의 해당하는 정점에서 비임 요소(31)의 장부 구멍 이음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평면에 대한 각 귓자보(40)의 경사각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기둥들(20,25) 사이의 공간은 비-지지 패널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9.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비임 골조(70)는 상호인접한 기둥들 사이에 다리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된 다수의 선형 중간 비임 요소(71)에 의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10.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둥(25)은 상부(25A)와 하부(25B)의 두개로 분리되어 있으며, 중간 비임 골조(70)는 각각의 선형 중간 비임 요소(71)를 인접한 2개의 중간 비임 요소(71)에 연결시키므로써 건조되고 중간 비임 골조(70)는 그들의 해당 기둥(25)의 상부(25A)와 하부(25B) 사이의 그의 정점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형상 가옥.
KR1019900007915A 1989-10-20 1990-05-31 다각형상 가옥 KR950002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1446A JP2921882B2 (ja) 1989-10-20 1989-10-20 多角形状家屋
JP271446 1989-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242A KR910008242A (ko) 1991-05-30
KR950002251B1 true KR950002251B1 (ko) 1995-03-15

Family

ID=1750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915A KR950002251B1 (ko) 1989-10-20 1990-05-31 다각형상 가옥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29420A (ko)
JP (1) JP2921882B2 (ko)
KR (1) KR950002251B1 (ko)
CN (1) CN1023336C (ko)
AU (1) AU628184B2 (ko)
BR (1) BR9005189A (ko)
CA (1) CA2016934C (ko)
DE (1) DE4021062A1 (ko)
DK (1) DK171472B1 (ko)
FI (1) FI93251C (ko)
FR (1) FR2653477A1 (ko)
GB (1) GB2237042B (ko)
NL (1) NL192625C (ko)
NO (1) NO179111C (ko)
SE (1) SE50173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1495B1 (fr) * 1992-05-22 1996-05-15 Vulin Jean Charles Abri polygonal en bois de grande dimension, a poteaux peripheriques.
US5383313A (en) * 1992-08-03 1995-01-24 Deeke; Ronald V. Mini Storage silo
DE9417083U1 (de) * 1994-10-26 1995-02-16 Buechner Axel Dipl Ing Wohnhausgrundriß und -Gestaltung
FR2731451B1 (fr) * 1995-03-07 1997-04-11 Coulon Francois Patrick Jean C Systeme de construction modulaire de batiments prefabriques, et batiment prefabrique obtenu
GB2332610B (en) * 1997-12-23 2003-01-22 Trevor Anthony Hollida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of arrangements
US6453624B1 (en) * 2000-02-29 2002-09-24 Creative Playthings, Ltd. Playset tower assembly arrangement
US6944996B1 (en) * 2001-03-23 2005-09-20 Drawings Plus, Llc Hurricane resistant structure
US20030188775A1 (en) * 2001-09-24 2003-10-09 Connelly Kevin T. Fitting for a shade canopy
US6843026B2 (en) * 2002-02-22 2005-01-18 Steven Hoehn Cone shaped polygon roof structure
NL1028052C2 (nl) * 2005-01-17 2006-07-18 Jacob Alexander Casparis Laag Verblijfseenheid.
DE202005020095U1 (de) * 2005-12-23 2006-05-11 Knoop, Gerhard Hygienehaus
GB0812042D0 (en) * 2008-07-02 2008-08-06 Boughton Andrew An ornamental construction system for large and small structures
WO2010099423A1 (en) * 2009-02-27 2010-09-02 Reeves Jerry C Chi-builder
CN103015528B (zh) * 2012-12-10 2014-10-15 浙江大学 一种防台风住宅的木结构
DE202016002565U1 (de) 2016-04-19 2016-05-13 Reinhardt Beton Gmbh Gebäude mit mehrstöckig angeordneten Gebäudeteilen, wenigstens einer Plattform, Dächern und wenigstens einer Treppe
CN106639378B (zh) * 2016-12-26 2023-09-15 埃瑞弗(上海)规划设计工程咨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穿插结构的景观廊架
CN107178147A (zh) * 2017-07-13 2017-09-19 云南省玉溪市红塔铝型材厂 铝型材中式框架组装房
RU178919U1 (ru) * 2017-07-27 2018-04-23 Тимур Андреевич Ивкин Строительное сооружение
CN108915151A (zh) * 2018-06-25 2018-11-30 重庆赛欧机电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屋面桁架施工结构
DE202019102287U1 (de) * 2019-04-23 2019-05-21 Christian Egger Modularer Bausatz für ein Gebäude
CN110736573B (zh) * 2019-10-28 2020-07-17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雪载荷作用下柔性体承载重量预测方法及系统
CN111070365B (zh) * 2019-12-31 2021-08-10 美克国际家私(天津)制造有限公司 一种实木家具八边形框类零件的加工方法
CN111779318B (zh) * 2020-07-20 2021-08-27 赵国亮 一种基于园林景观的可展开式凉亭
CN114991106B (zh) * 2022-07-01 2024-01-16 湖北海洋工程装备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外飘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427A (en) * 1904-12-12 1905-11-14 Isaac S Mcnamee Self-supporting conical roof.
US1533905A (en) * 1923-12-18 1925-04-14 Henry M Stauffer Brooder house
US2256050A (en) * 1939-08-28 1941-09-16 Mand M Wood Working Company Building
AU519922B2 (en) * 1977-07-29 1982-01-07 J Kallstrom Floor brackets for building frames
US4335558A (en) * 1980-08-22 1982-06-22 Domain Building Systems Corporation Prefabricated polygonal building
US4501099A (en) * 1982-07-26 1985-02-26 Boaz Premakaran T Structure for a modular greenhouse and the like
JPS60261844A (ja) * 1984-06-06 1985-12-25 南富士産業株式会社 組立住宅
DE8510083U1 (de) * 1985-04-04 1986-05-15 Tranziska, Bruno, 8601 Seßlach Bauelementesatz für ein Bauwerk
US4676037A (en) * 1985-07-02 1987-06-30 Toshio Nakason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FR2589183B1 (fr) * 1985-10-29 1988-01-08 Druesne Rene Ossature metallique specialement concue pour la construction de kiosque, abri de jardin, de loisirs et de commerce
US4739594A (en) * 1986-12-12 1988-04-26 Langford John D Gazebo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GB8721080D0 (en) * 1987-09-08 1987-10-14 Roudette C F Building unit
DE8807754U1 (ko) * 1988-06-15 1988-08-18 Engelhorn, B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25690A (da) 1991-04-21
NO179111C (no) 1996-08-07
CN1023336C (zh) 1993-12-29
AU5756990A (en) 1991-04-26
JPH03137342A (ja) 1991-06-11
CA2016934C (en) 2000-07-11
NL192625B (nl) 1997-07-01
FR2653477A1 (fr) 1991-04-26
FI93251C (fi) 1995-03-10
JP2921882B2 (ja) 1999-07-19
FI904557A0 (fi) 1990-09-17
NL9001766A (nl) 1991-05-16
NO179111B (no) 1996-04-29
GB2237042B (en) 1993-12-15
BR9005189A (pt) 1991-07-09
FI93251B (fi) 1994-11-30
SE9002826L (sv) 1991-04-21
AU628184B2 (en) 1992-09-10
NO903841D0 (no) 1990-09-03
DK225690D0 (da) 1990-09-19
DK171472B1 (da) 1996-11-11
GB2237042A (en) 1991-04-24
NO903841L (no) 1991-04-22
US5029420A (en) 1991-07-09
DE4021062A1 (de) 1991-04-25
GB9014495D0 (en) 1990-08-22
SE501737C2 (sv) 1995-05-02
CN1051222A (zh) 1991-05-08
SE9002826D0 (sv) 1990-09-05
KR910008242A (ko) 1991-05-30
CA2016934A1 (en) 1991-04-20
NL192625C (nl) 1997-11-04
FR2653477B1 (ko) 199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51B1 (ko) 다각형상 가옥
CA1297260C (en) Construction device for connecting building elements
US5117607A (en) Sectional hollow metal pole structure
US11566412B2 (en) Building construction
US4480414A (en) Building construction
US4640412A (en) Self-containing package system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pre-fabricated portions of a building structure and the assembly thereof
US3942291A (en) Artificial land structure framework
US11732460B2 (en) Building construction
US3681888A (en) Jointed structural member
US4676037A (en)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3604165A (en) Panelled deck construction for building
US4573294A (en) Frame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CS214899B2 (en) Construction of at least single-story particularly provisional constructions
RU1838555C (ru) Дом многоугольной формы в плане
JP4072262B2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GB2044830A (en) Latticed constructions
JP2920751B2 (ja) 鉄骨構造部材が混在する木造軸組構造の建築物
KR0143060B1 (ko) 역피라미드형 기초부에 의한 건축구조개선
JP4602031B2 (ja) 壁用パネル
CA2017983C (en) Sectional hollow metal pole structure
JP2000064427A (ja) 建物躯体およびその建築方法
ES1285265U (es) Estructura de portico con dintel a dos aguas
JPH10317500A (ja) L字形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l字形建物ユニットを使用したユニット式建物
JPH01315540A (ja) 小屋組
CS237666B1 (cs) Prostorová stavebnicová buň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