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955A -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955A
KR20170121955A KR1020160050893A KR20160050893A KR20170121955A KR 20170121955 A KR20170121955 A KR 20170121955A KR 1020160050893 A KR1020160050893 A KR 1020160050893A KR 20160050893 A KR20160050893 A KR 20160050893A KR 20170121955 A KR20170121955 A KR 20170121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d
insertion groove
fasten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응섭
Original Assignee
배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응섭 filed Critical 배응섭
Priority to KR102016005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955A/ko
Publication of KR2017012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쉽게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형태 부재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결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므로 경제적이며, 철근, 파이프 등 다양한 봉-형태의 부재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체결판을 회전시켜 봉-형태 부재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고, 연장 프레임을 사용하여 봉-형태 부재 조립체를 종방향으로 다단 배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포함하며, 제1체결판은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1삽입홈을 갖고, 제2체결판은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2삽입홈을 갖는다. 그리고, 각 삽입홈에 각 봉-형태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의 저면이 서로 맞닿으며 결합된다.

Description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Connecting Apparatus for Rod Type Member}
개시된 내용은 봉-형태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서 철근의 교차점에 사용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은 그 내부에 보강을 위한 철근 구조물을 구축하게 되고, 철근 구조물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뼈대가 된다. 즉, 철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골격에 해당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복합체로 되어 구조물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 철근은 일정 길이로 규격화되어 제공되므로 적정한 길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수의 철근을 연결시켜야 한다.
종래 철근 구조물은 철근들을 종, 횡 방향으로 설치한 다음 이들의 교차 부분을 철사를 구부려 만든 연결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방법은 교차 부분을 결속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까다로우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무엇보다 철근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철근의 교차점을 별도의 클립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좋지 못하여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철근을 정해진 각도로만 고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4342호 (2000.03.22.)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268호 (2000.04.07.)
봉-형태 부재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도 간편하고,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봉-형태 부재와 제2봉-형태 부재가 서로 각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적용되며,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포함하는 연결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제1체결판은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1삽입홈을 갖고, 제2체결판은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2삽입홈을 갖는다. 그리고, 각 삽입홈에 각 봉-형태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의 저면이 서로 맞닿으며 결합된다.
개시된 연결장치는 서로 결합되는 2개의 체결판을 이용해 어느 방향에서도 봉-형태 부재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조가 간결하여 생산 단가가 저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철근, 파이프 등 다양한 봉-형태의 부재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성이 뛰어나다.
특히, 체결판을 회전시켜 봉-형태 부재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연장 프레임을 사용하여 봉-형태 부재 조립체를 종방향으로 다단 배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조립도.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조립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 '봉-형태 부재'는 봉 형태를 갖는 부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봉-형태 부재는 철근, 파이프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봉-형태 부재로 철근을 예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 배열되는 철근은 제1철근(S1) 및 제2철근(S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철근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제1체결판(110) 및 제2체결판(120)을 포함한다.
제1체결판(110)의 제1삽입홈(111)은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삽입홈(111)에는 제1철근(S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이때, 제1체결홀(114)은 제1체결판(110)의 절곡되지 않고 남은 평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체결판(120)의 제2삽입홈(121)은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삽입홈(121)에는 제2철근(S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이때, 제2체결홀(124)은 제1체결홀(114)의 위치와 대응하여 제2체결판(120)의 절곡되지 않고 남은 평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철근(S1, S2)이 각 삽입홈(111, 1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체결판(110) 및 제2체결판(120)은 저면이 서로 맞닿으며 결합된다. 이때, 체결판(110, 120)은 제1 및 제2체결홀(114, 124)을 관통하는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B)로는, 예를 들어,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조립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판(110)은 제3삽입홈(112)을 더 가지고, 제2체결판(120)은 제4삽입홈(122)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체결판(110)의 제3삽입홈(112)은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체결판(120)의 제4삽입홈(120)은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판(110)의 제1삽입홈(111)과 제3삽입홈(112)은 서로 교차하여 십자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체결판(120)의 제2삽입홈(121)과 제4삽입홈(122) 또한 서로 교차하여 십자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각 체결판(110, 120)에 형성된 삽입홈의 위치와 무관하게 철근(S1, S2)이 횡, 종 어느 방향으로도 삽입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조립도, 도 5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판(210)의 평판 부분에는 체결홈(21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체결판(220)의 단부에 걸림구(226)가 부분 절개되고, 아래로 돌출되어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226)는 체결홈(21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216)에 걸림구(226)가 삽입되면, 걸림구(226)가 체결홈(216)을 관통하여 제1체결판(210)에 걸림으로써 제1체결판(210) 및 제2체결판(220)이 서로 중첩되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밀착되지 않은 각 체결판(210, 220)의 맞은편은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는 제1 및 제2체결판(310, 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홀(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는 제1 및 제2체결판(310, 320)과 연결홀(330)을 포함하고, 연장 프레임(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340)은 양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연결홀(33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철근 구조체를 종 방향으로 2단 이상 다단으로 배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연장 프레임(340)에 의한 철근 구조체의 2단 구조는 다음과 같다.
1단에 배치되는 연결장치는 오직 제2결합판에만 연결홀이 형성되고, 2단에 배치되는 연결장치는 오직 제1결합판에만 연결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각 연결장치의 연결홀에 연장 프레임이 결합되어, 철근 구조체를 2단으로 배열할 수 있다.
2단 이상 다단으로 배열하기 위한 구조는 위와 동일하다.
한편, 연장 프레임(340)의 외주면에는 공구 삽입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구 삽입홀(342)에 공구(344)를 끼워 용이하게 연장 프레임(340)을 체결판(310, 320)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체결판(310, 320)가 체결부재(B)에 의해 결합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체결부재(B) 중 일부는 걸림구(미도시) 및 체결홈(미도시)을 이용한 결합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8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구성도이다.
제1체결판(410)의 제1체결홀(414) 및 체결홈(416)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416)은 연결홀(43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의 일측에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체결판(410)의 연결홀(43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의 타측에도 제1체결홀(414)이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판(420)을 회전시킴으로써 걸림구(426)는 제1체결판(41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416)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제1체결홀(414) 중 어느 하나와, 이와 대응되는 제2체결홀(424)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판(410, 420)이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철근(S1, S2)이 직각으로 교차되지 않는 경우에도 체결판(410, 420)이 결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철근(S1, S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체결홈(416)과 제1체결홀(414)이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홈(416) 없이 제1체결홀(414)이 연결홀(43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서로 마주보며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 체결판에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체결판의 삽입홈은 철근(S1, S2)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F)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연결장치는, 각 철근을 삽입홈에 끼워 넣고 볼트를 돌려 결합시키기만 하면 교차되는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후에는 연장 프레임을 사용하여 2단 이상 다단으로 배열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S1 : 제1철근 S2 : 제2철근
B : 체결부재 F : 돌기
110 : 제1체결판
111 : 제1삽입홈 112 : 제3삽입홀 114 : 제1체결홀
120 : 제2체결판
121 : 제2삽입홈 122 : 제4삽입홀 124 : 제2체결홀
210 : 제1체결판
214 : 제1체결홀 216 : 체결홈
220 : 제2체결판
224 : 제2체결홀 226 : 걸림구
310 : 제1체결판
320 : 제2체결판
330 : 연결홀
340 : 연장 프레임
342 : 공구 삽입홀 344 : 공구
410 : 제1체결판
414 : 제1체결홀 416 : 체결홈
420 : 제2체결판
424 : 제2체결홀 426 : 걸림구
430 : 연결홀

Claims (11)

  1. 제1봉-형태 부재와 제2봉-형태 부재가 서로 각을 이루며 교차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1삽입홈을 갖는 제1체결판; 및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2삽입홈을 갖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에 상기 제1봉-형태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상기 제2봉-형태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판과 상기 제2체결판의 저면이 서로 맞닿으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의 절곡되지 않고 남은 평판 부분에 제1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판의 절곡되지 않고 남은 평판 부분에 제2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은 중앙부가 가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하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3삽입홈 더 가지고,
    상기 제2체결판의 중앙부가 세로 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대해 반원형으로 상향 절곡되어 형성된 제4삽입홈을 더 가지며,
    상기 제1삽입홈과 제3삽입홈 및 제2삽입홈과 제4삽입홈은 각각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의 평판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제2체결판의 단부에 부분 절개되고, 아래로 돌출되어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는 걸림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에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체결판이 서로 중첩되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체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홀;을 더 포함하는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양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프레임의 외주면에는 공구를 끼울 수 있는 공구 삽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의 체결홈 및 제1체결홀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의 체결홈은 상기 연결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의 일측에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제1체결홀이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의 제1체결홀은 상기 연결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서로 마주보며 하나 이상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11.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은 상기 봉-형태 부재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KR1020160050893A 2016-04-26 2016-04-26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170121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93A KR20170121955A (ko) 2016-04-26 2016-04-26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893A KR20170121955A (ko) 2016-04-26 2016-04-26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55A true KR20170121955A (ko) 2017-11-03

Family

ID=6038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893A KR20170121955A (ko) 2016-04-26 2016-04-26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95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029A (zh) * 2017-12-29 2018-05-08 无锡星亿智能环保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连接结构
KR20200030271A (ko) * 2018-09-12 2020-03-20 정기찬 봉재 지지장치
KR102105141B1 (ko) * 2019-11-07 2020-04-27 황영태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CN114775911A (zh) * 2022-04-08 2022-07-22 东南大学 钢筋砼板式构件钢筋笼、网片层级连接器及墙楼板施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6029A (zh) * 2017-12-29 2018-05-08 无锡星亿智能环保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型材连接结构
KR20200030271A (ko) * 2018-09-12 2020-03-20 정기찬 봉재 지지장치
KR102105141B1 (ko) * 2019-11-07 2020-04-27 황영태 테이퍼형 체결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CN114775911A (zh) * 2022-04-08 2022-07-22 东南大学 钢筋砼板式构件钢筋笼、网片层级连接器及墙楼板施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20180047130A (ko) 철근 이음 장치
KR20190140297A (ko) 전단보강용 조립식 철근헤드
KR200412859Y1 (ko) 철근 결속구.
KR101781260B1 (ko) 확대 헤드가 형성된 분기형 정착철근을 이용한 병렬 전단벽 연결보 보강 구조
KR101508004B1 (ko) 구조물용 파이프 및 형강재 보강구조체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230169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KR101752279B1 (ko)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KR101997169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190002186A (ko) 철근 커플러
KR20130143331A (ko) 철근 커플러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55038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456392B1 (ko) 보강 철근 결속용 고정클립
KR101722021B1 (ko) 시스템 거푸집
KR101992938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JP653272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90031075A (ko) 볼충진 이음방식 철근커플러
KR101264573B1 (ko) 보강철근 결속용 고정클립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KR101931581B1 (ko) 결속조리개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보강 구조
JP2017040147A (ja) フェンス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