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44U - 안전펜스의 결착구 - Google Patents

안전펜스의 결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44U
KR20180003644U KR2020170003120U KR20170003120U KR20180003644U KR 20180003644 U KR20180003644 U KR 20180003644U KR 2020170003120 U KR2020170003120 U KR 2020170003120U KR 20170003120 U KR20170003120 U KR 20170003120U KR 20180003644 U KR20180003644 U KR 20180003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pipe
horizontal pipe
hous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하
Original Assignee
황석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하 filed Critical 황석하
Priority to KR2020170003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3644U/ko
Publication of KR20180003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일단에 기둥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확대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착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착구의 안착부에 의해 수평파이프와 기둥파이프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안전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기둥파이프(110)에 수평파이프(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끝단에 결착구(30)가 구성되며; 상기 결착구(30)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구성되는 너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2); 및 상기 삽입부(312)에서 구성되어 수평파이프(120)의 외측에 마련되는 안착부(314)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312)의 일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320)가 삽입되면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너트고정홈(316)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314)에는 볼트(40)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너트고정홈(316)에 연통되는 삽입공(318)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14)는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밀착될 때 밀착면적이 확대되어 기둥파이프(110)와 수평파이프(120)의 고정력이 확고해지도록 원호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펜스의 결착구{Fence Structure}
본 고안은 안전펜스의 결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일단에 기둥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확대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착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착구의 안착부에 의해 수평파이프와 기둥파이프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안전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안전펜스의 결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장이나 도로공사와 같은 토목공사장에 사람이나 차량 또는 가축 등의 접근 및 출입을 통제하기 위험지역임을 표시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시설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펜스를 설치한다. 이러한 안전펜스는 망으로 형성하여 설치 및 철거와 아울러 운반이 용이하고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펜스(100)는 프레임(110)과 망(120)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0)은 2개의 기둥파이프(111) 사이에 3개의 수평파이프(112)를 용접(W)으로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망(120)은 프레임(11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설치되면 기둥파이프(111)와 수평파이프(112)에 용접(W)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펜스(100)는 분리가 불가능한 용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10)을 구성하는 기둥파이프(111)나 수평파이프(112)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 안전펜스(100) 전부를 폐기해야 하는 자원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망(120)이 훼손된 경우에도 망(120)이 프레임(11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가 불가능하여 안전펜스(100) 전체를 폐기해야만 하였다.
또한, 종래의 안전펜스(100)는 용접을 이용하여 조립하므로 용접시 발생하는 가스 등에 의해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용접시 발생하는 유해 빛에 의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특히 용접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망이 쉽게 녹아내려 제작 불능 상태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펜스(100)는 프레임(110) 및 망(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10)은 2개의 기둥파이프(111) 사이에 수평파이프(112)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파이프(111)에는 복수의 체결공(1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파이프(112)에는 끝단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볼트(113)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둥파이프(111)의 체결공(111a)에 상기 수평파이프(112)의 볼트(113)를 삽입시킨 후 외측으로 돌출된 너트(114)를 조임함으로써, 상기 기둥파이프(111)와 수평파이프(112)가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방법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구조를 통해 기둥파이프(111)와 수평파이프(112)가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분해 및 조립 가능하여 자원재활용성과 운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조립식의 안전펜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12)의 끝단에 볼트(113)를 고정하기 위해서 평판형의 마감판(115)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수평파이프(112)를 기둥파이프(111)의 일측에 밀착시키면 수평파이프(112)의 마감판(115)과 기둥파이프(111)의 일측이 선접촉을 이룸으로써, 상기 기둥파이프(111)와 수평파이프(112) 사이의 밀착면적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기둥파이프(111)와 수평파이프(112)의 확고한 조립 고정력을 발휘할 수 없어 프레임(11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둥파이프(111)의 외측으로 볼트(113)의 일단이 불필요하게 돌출되어,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작업자 또는 통행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둥파이프(111)의 끝단에 마감판(115)을 고정시키기 위해 용접할 때, 상기 용접 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기둥파이프(111)에서 열적변형이 발생되어 수평파이프(112)와의 조립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5028호(2005.09.0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59937호(2012.04.2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일단에 기둥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확대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착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착구의 안착부에 의해 수평파이프와 기둥파이프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안전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안전펜스의 결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둥파이프와 수평파이프가 볼트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망이 구성되어 안전펜스를 구성하고; 상기 기둥파이프에 수평파이프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의 끝단에 결착구가 구성되며; 상기 결착구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구성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평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서 구성되어 수평파이프의 외측에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가 삽입되면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너트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볼트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너트고정홈에 연통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기둥파이프의 일측이 밀착될 때 밀착면적이 확대되어 기둥파이프와 수평파이프의 고정력이 확고해지도록 원호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착구의 하우징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사출방식으로 제조되고; 상기 너트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너트는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착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제조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너트를 생략하고, 볼트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공을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평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일단에 기둥파이프와의 접촉면적을 확대되도록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착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착구의 안착부에 의해 수평파이프와 기둥파이프의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켜 안전펜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안전펜스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례를 보인 안전펜스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기둥파이프와 수평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펜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착구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착구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례를 보인 결착구의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안전펜스(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망(20)과, 상기 프레임(10) 상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지지하는 결착구(30) 및 상기 결착구(30)에 체결되어 프레임(10)에 고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볼트(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기둥파이프(110), 및 수평파이프(12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파이프(110)는 양단 각각에 세워지도록 복수로 구성되어 지지력을 발휘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기둥파이프(110)에는 볼트(40)가 삽입되는 체결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파이프(120)는 상기 복수의 기둥파이프(110) 사이에 구성되어 간격유지 및 망(2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양단 각각에는 볼트(40)에 의해 기둥파이프(110)에 수평파이프(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착구(30)가 구성된다.
상기 결착구(30)는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양단 각각에 삽입되어 볼트(40)의 일단이 체결됨으로서, 기둥파이프(110)에 수평파이프(120)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결착구(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20)의 끝단에서 일정깊이 삽입되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구성되는 너트(3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상시 수평파이프(1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312) 및 상기 삽입부(312)의 일단에 형성되어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밀착되는 안착부(31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312)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너트(320)가 삽입되는 너트고정홈(316)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고정홈(316)은 너트(320)가 삽입된 후 상기 너트(32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볼트(40)와 체결될 때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너트(320)는 기성품인 육각너트 또는 사각너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볼트(40)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면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312)의 삽입깊이는 너트고정홈(316)에 삽입된 너트(320)를 통해 볼트(40)가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면 된다.
상기 안착부(314)는 상기 삽입부(312)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312)의 삽입깊이를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312)의 지름보다 다소 큰 지름으로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단턱에 의해 수평파이프(120)의 끝단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312)의 지름은 수평파이프(120)의 내부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상기 안착부(314)의 지름은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외부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312)는 수평파이프(120)와 억지끼워 맞춤으로 삽입되어,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성하지 않고도 상기 수평파이프(120)에 결착구(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314)에는 볼트(40)가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가지면서 너트고정홈(316)과 연통되는 삽입공(318)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공(318)을 통해 삽입된 볼트(40)의 일단이 상기 너트고정홈(316)에 구성되는 너트(320)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안착부(314)는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밀착되고, 이러한 밀착에 의해 밀착면적이 확대되도록 상기 기둥파이프(110)의 외주연과 동일 또는 유사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314)의 원호형상에 의해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완전 밀착됨에 따라 볼트(40)로 체결할 때 기둥파이프(110)와 수평파이프(120) 사이에 밀착면적 확대로 인한 고정력이 향상됨으로써, 결국 안전펜스(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결착구(30)의 하우징(31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사출방식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춤에 따라 제품경쟁력을 강화한다.
즉, 상기 하우징(310)은 너트(320)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출방식으로 하우징(310)을 제조한 후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형성된 너트고정홈(316)에 너트(32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너트(320)는 볼트(4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예컨대, 상기 볼트(40)가 금속재이면 너트(320)도 금속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착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20)를 생략하고, 하우징(310)을 사출방식으로 제조할 때 너트고정홈(318)을 생략하며, 이 부분에 볼트(40)가 체결되는 너트공(319)을 일체형으로 제조한다. 이 경우, 볼트(40)는 하우징(3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금속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볼트(40)는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에 수평파이프(120)가 위치되면 상기 기둥파이프(110)의 체결공(112)으로 일단을 삽입시켜 상기 수평파이프(120)에 구성된 결착구(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기둥파이프(110)에서 수평파이프(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볼트(40)는 기둥파이프(110)의 외측으로 머리부분만 노출됨으로서, 불필요한 노출에 의한 작업자 또는 통행자가 상해를 입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볼트(40)의 머리부에 안전캡을 씌워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망(20)은 끝단 부분에 기둥파이프(110) 및 수평파이프(1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기둥파이프(110) 및 수평파이프(120)으로 구성된 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망(20)은 종래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종래와 같이 망(20)을 이루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안전펜스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파이프(120)의 양단 각각에 결착구(30)를 고정한다.
즉, 상기 결착구(30)의 하우징(310)이 수평파이프(120)의 내측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기둥파이프(110) 및 수평파이프(120)를 망(20)에 형성된 공간으로 각각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둥파이프(110)의 체결공(112)이 형성된 부분에 수평파이프(120)가 위치되도록 한 후, 볼트(40)를 체결공(112)으로 삽입시켜, 상기 볼트(40)가 결착구(30)에 구성된 너트(32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기둥파이프(110)에 수평파이프(12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수평파이프(120)에 구성된 결착구(30)의 안착부(314) 전체 면적에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밀착됨에 따라 기둥파이프(110)와 수평파이프(120) 사이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안전펜스의 결착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안전펜스 10: 프레임
110: 기둥파이프 120: 수평파이프
20: 망 30: 결착구
310: 하우징 312: 삽입부
314: 안착부 316: 너트고정홈
318: 삽입공 320: 너트
40: 볼트

Claims (3)

  1. 기둥파이프(110)와 수평파이프(120)가 볼트(40)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프레임(10)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에 망(20)이 구성되어 안전펜스(1)를 구성하고;
    상기 기둥파이프(110)에 수평파이프(1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끝단에 결착구(30)가 구성되며;
    상기 결착구(30)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구성되는 너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수평파이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312); 및
    상기 삽입부(312)에서 구성되어 수평파이프(120)의 외측에 마련되는 안착부(314)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312)의 일단에는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320)가 삽입되면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너트고정홈(316)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314)에는 볼트(40)의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너트고정홈(316)에 연통되는 삽입공(318)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314)는 기둥파이프(110)의 일측이 밀착될 때 밀착면적이 확대되어 기둥파이프(110)와 수평파이프(120)의 고정력이 확고해지도록 원호형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의 결착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의 하우징(310)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사출방식으로 제조되고;
    상기 너트(320)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10)과 너트(320)는 인서트 사출방식에 의해 일체형;
    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의 결착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10)을 제조되고;
    상기 하우징(310)의 일단에 너트(320)를 생략하고, 볼트(4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공(319)을 일체형;
    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펜스의 결착구.
KR2020170003120U 2017-06-16 2017-06-16 안전펜스의 결착구 KR201800036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20U KR20180003644U (ko) 2017-06-16 2017-06-16 안전펜스의 결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20U KR20180003644U (ko) 2017-06-16 2017-06-16 안전펜스의 결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44U true KR20180003644U (ko) 2018-12-27

Family

ID=6495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20U KR20180003644U (ko) 2017-06-16 2017-06-16 안전펜스의 결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36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CN112878798A (zh) * 2021-03-10 2021-06-01 东莞市众乐乐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围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28Y1 (ko) 2005-06-02 2005-09-07 주식회사 오투테크 건설용 유도 안전방망
KR200459937Y1 (ko) 2009-11-19 2012-04-20 주식회사 무마루 이동식 펜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028Y1 (ko) 2005-06-02 2005-09-07 주식회사 오투테크 건설용 유도 안전방망
KR200459937Y1 (ko) 2009-11-19 2012-04-20 주식회사 무마루 이동식 펜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09Y1 (ko) * 2020-03-19 2020-10-28 힐링플레이 주식회사 그물망 벤치
CN112878798A (zh) * 2021-03-10 2021-06-01 东莞市众乐乐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围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3644U (ko) 안전펜스의 결착구
KR10193919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1223976B1 (ko) 울타리 지주 결합구조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JP2017141542A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JP4420290B2 (ja) 横桟取付金具及び防護柵
JP6504731B2 (ja) 防護柵用横ビーム取付金具
KR101919809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EP1999006B1 (en) Bicycle child seat mounting assembly
KR0135580Y1 (ko) 울타리 부재의 지지체
JP4420289B2 (ja) 横桟取付金具及び防護柵
KR200423525Y1 (ko) 조립식 안전통로
KR101794075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울타리 및 설치방법
JP5122870B2 (ja) フェンス及びフェンス用接続部材
JPH11152718A (ja) 道路用防護柵
JP5826424B1 (ja) 防護柵用横材取付金具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102208208B1 (ko)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JP5486875B2 (ja) 道路用防護柵及び支柱とビームパイプの接合構造並びにナット保持部材
JP3204707U (ja) ガードフェンス
JP4424613B2 (ja) 横桟取付金具及び防護柵
JP7249225B2 (ja) 接続金具、及びその接続金具を用いた防護柵
US11732481B2 (en) Cantilever stair assembly
JP2012052323A (ja) 防護柵における抜止具及び該抜止具を備える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