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08B1 -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 Google Patents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08B1
KR102208208B1 KR1020170105562A KR20170105562A KR102208208B1 KR 102208208 B1 KR102208208 B1 KR 102208208B1 KR 1020170105562 A KR1020170105562 A KR 1020170105562A KR 20170105562 A KR20170105562 A KR 20170105562A KR 102208208 B1 KR102208208 B1 KR 10220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fastening
connector
socke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511A (ko
Inventor
신동오
Original Assignee
신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오 filed Critical 신동오
Priority to KR102017010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디자인과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분할된 파이프를 상호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차단봉을 포함하여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재 혹은 수평으로 배치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평재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CONNECTOR FOR CONNECTING PIPE MEMBER AND BARRIER POST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을 지지하는 수직재용 파이프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는 연결구,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봉의 수직재(post)를 상호 견고하게 연결하는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수직재는 대상물이 중량인 경우 지지강도가 우수한 강판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대상물이 경량인 경우에는 가벼운 관형 구조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파이프로 제작된 수직재는 복수 개의 분할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데, 보통 용접 체결을 통해 상호 연결하거나, 혹은 분할 파이프들 중 하나를 다른 분할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나사 또는 볼트 체결하여 상호 연결한다. 또한 분할 파이프의 종단부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구로 상호 연결하고 있다.
용접체결방식은 분할 파이프의 종단부를 상호 정렬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함에 따라 작업이 불편하고, 1인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나사 또는 볼트체결방식은 각 분할 파이프에 나사산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고, 서로 다른 구경을 갖는 분할 파이프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웠다. 이에 반해, 연결구를 이용한 체결방식은 용접체결방식과 나사체결방식에 비해 연결 부위의 견고성은 덜 하지만 이들 체결 방식에 비해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연결구는 용접체결방식과 마찬가지로 각 분할 파이프의 종단을 상하로 상호 정렬시킨 상태에서 연결구를 각 분할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1인 작업이 어렵고, 연결구가 분할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에게 노출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차단봉과 같은 수직재에 적용하는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과 장식성이 저하되어 실질적으로 차단봉의 수직재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020061 B1, 2011. 02. 28., p3~p4, 도면 1 KR 10-0568879 B1, 2006. 04. 03. 도면 1~3 KR 10-1281743 B1, 2013. 06. 27. 도면 1~2 KR 20-0479229 Y1, 2015. 12. 30. 도면 1~2
따라서,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수직재용 파이프를 간편하게 상호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는 볼트가 용접된 제1 부재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부재의 볼트가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확장캡과, 상기 확장캡의 상부에서 상기 확장캡과 상기 소켓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확장캡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상기 제2 부재의 내측벽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캡의 내부로 삽입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외측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정렬바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는 중앙부에 상기 제1 부재의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공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조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캡은 상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부와, 상기 지지턱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웃하게 형성된 것끼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정렬바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는 복 수개의 확장편과, 상기 지지턱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지지턱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나사 관통공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편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정렬바의 하부가 걸림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이 상기 확장캡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 관통공과 상기 나사 조임공은 상기 가이드 정렬바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하로 정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은 볼트가 용접된 제1 부재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수직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볼트가 결합된 상기 관 부재 연결구와,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체결된 받침대와, 상기 제1 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차단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봉은 수직재와, 볼트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수직재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의 볼트가 결합되는 상기 관 부재 연결구와, 상기 수직재의 상부에 결합된 차단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는 디자인과 장식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분할된 파이프를 상호 간편하게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차단봉을 포함하여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재 혹은 수평으로 배치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평재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4는 도 3의 (b)에 도시된 조립체가 제2 부재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가 제2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에 제1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에 제1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차단봉의 수직재에 적용한 사례를 도시한 도면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차단봉의 수직재에 적용한 다른 사례를 도시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하지만 하기에서 기술될 실시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10)는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재 혹은 수평재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차단봉의 차단벨트를 받침대에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직재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관 부재 연결구(10)는 일례로, 도 6과 같이, 볼트(1a)가 구비된 제1 부재(1)와, 관 형상의 제2 부재(2)를 상호 연결한다. 이를 위해, 관 부재 연결구(10)는 도 2 및 도 6과 같이, 제2 부재(2)와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소켓(11)과, 소켓(11)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제2 부재(2)의 내측으로 일부가 삽입되는 확장캡(12)과, 확장캡(12)의 상부에서 확장캡(12)과 소켓(11)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재(13)를 포함한다.
소켓(11)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확장캡(12)의 내부로 삽입되어 확장캡(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상에 대응하여 확장캡(12)을 외측으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소켓(11)은 도 2와 같이, 중앙부에 제1 부재(1)의 볼트(1a)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111a)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 체결공(111a)의 양측에는 확장캡(12)에 관통 결합된 체결부재(13)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조임공(111b)이 형성된 쐐기(111)를 포함한다.
볼트 체결공(111a)은 쐐기(111)의 중앙부에 쐐기(111)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혹은 쐐기(1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를 갖는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주면에는 제1 부재(1)의 볼트(1a)가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혹은 쐐기(111)가 합성수지(플라스틱)로 이루어진 경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볼트 체결공(111a)의 내부에 별도로 금속재질의 너트를 설치할 수도 있다.
나사 조임공(111b)은 볼트 체결공(111a)을 중심으로 볼트 체결공(111a)의 양측에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나사 조임공(111b)은 쐐기(111)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 깊이로 함몰된 결합홈부(113)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는 체결부재(13), 예를 들면 나사(피스)가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11)은 쐐기(111)의 외측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정렬바(112)를 포함한다.
가이드 정렬바(112)는 소켓(11)과 확장캡(12)를 상호 정렬시키기 위한 것으로, 쐐기(111)의 외측부에 한 깨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쐐기(111)의 양측부에 각각 한 개씩 총 2개가 서로 대칭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정렬바(112)는 확장캡(12)에 마련된 가이드 홈(12a)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장캡(1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2 부재(2)의 단부에 걸림되어 제2 부재(2)의 단부를 덮는 복수 개의 지지턱부(121)와, 지지턱부(121)로부터 각각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제2 부재(2)의 내부로 삽입되는 확장편(122)과, 지지턱부(12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123)과, 지지턱부(121)의 내측으로 둘출 형성되어 체결부재(13)가 관통 결합되는 나사 관통공(124a)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124)를 포함한다.
지지턱부(121), 확장편(122), 연결편(123) 및 나사 체결부(124)는 서로 동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지지턱부(121), 연결편(123) 및 나사 체결부(124)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고, 확장편(122) 또한 독립적으로 사출 성형된 후 지지턱부(121)에 접착제 혹은 열융착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지지턱부(121)는 확장캡(1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되, 확장편(122)의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확장편(122)이 제2 부재(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2 부재(2)의 단부(2a, 도 4참조)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지지턱부(121)는 제2 부재(2)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제2 부재(2)의 단부(2a)에 걸림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턱부(121)에는 각각 경량화를 위해 하부방향으로 확장되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보강편(121b)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홈부(12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확장편(122)은 도 2와 같이, 지지턱부(121)에서 하부로 연장된 구조로 이루지고, 확장캡(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11)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웃한 것끼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는 가이드 정렬바(112)가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12a)이 마련된다.
또한, 확장편(122)은 도 2와 같이, 하부에 가이드 홈(12a)에 삽입된 가이드 정렬바(112)가 소켓(11)의 자중에 의해 확장캡(12)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되는 이탈방지턱(1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탈방지턱(122a)은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정렬바(112)는 도 2와 같이, 상부가 쐐기(1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정렬바(112)는 가이드 홈(12a)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가 이탈방지턱(122a)에 걸림되도록 하부가 쐐기(111)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지 않고 쐐기(111)의 하부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형성한다. 즉, 가이드 정렬바(112)의 하부가 쐐기(111)의 하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가이드 정렬바(112)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이탈방지턱(112a)에 걸림되도록 한다.
연결편(123)은 이웃하게 형성된 지지턱부(121)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편(123)은 위에서 바라볼 때, 도 2와 같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 대략 '⊂'으로 이루어져 확장편(122)이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나사 체결부(124)는 체결부재(13)가 관통 결합되도록 나사 관통공(1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나사 관통공(124a)은 소켓(11)이 확장캡(12)의 중앙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쐐기(11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 조임공(111b)과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나사 관통공(124a)과 나사 조임공(111b) 간의 정렬은 가이드 정렬바(112)와 가이드 홈(12a)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 정렬바(112)가 가이드 홈(12a)에 삽입되면, 나사 관통공(124a)과 나사 조임공(111b)은 상하로 자동 정렬된다.
나사 조임공(111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쐐기(1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함몰된 결합홈부(113)에 형성됨에 따라 쐐기(111)가 체결부재(13)에 의해 확장캡(12)의 나사 체결부(124)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승하고, 이에 따라 나사 체결부(124)의 하부가 결합홈부(113)의 내부로 일부 삽입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확장캡이 확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에 도시된 조립체가 제2 부재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립체가 제2 부재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의 (a) 및 (b)와 같이, 소켓(11)을 확장캡(12)의 하부에서 확장캡(12)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쐐기(111)는 가이드 정렬바(112)를 확장편(122)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2a)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쐐기(111)의 하부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확장캡(12)의 내부, 즉 확장편(122)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쐐기(111)는 가이드 정렬바(112)의 하부가 확장편(122)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22a)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확장캡(12)의 내부로 밀어 삽입한다.
이후, 도 3의 (b)와 같이, 소켓(11)이 확장캡(12)의 내부에 조립된 조립체를 도 4와 같이, 제2 부재(2)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때, 소켓(11)은 가이드 정렬바(112)의 하단부가 이탈방지턱(122a)에 걸림 지지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확장캡(12)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장캡(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상기 조립체는 확장캡(12)의 지지턱(121)이 제2 부재(2)의 단부(2a)에 걸림되고, 일부만 제2 부재(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런 상태에서 도 3의 (c)와 같이, 체결부재(13), 예를 들면 나사를 나사 체결부(124)의 나사 체결공(124a)을 통해 쐐기(111)의 나사 조임공(111b)에 체결한 후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부재(13)의 조임력에 의해 쐐기(111)는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확장편(122)을 외측으로 밀어낸다. 즉, 확장편(122)은 쐐기(111)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된다.
도 3의 (c)와 같이, 체결부재(13)의 조임력에 대응하여 확장캡(12)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쐐기(111)에 의해 확장편(122)이 외측으로 밀려나 확장되면, 확장캡(12)은 쐐기(111)에 의해 확장된 확장편(122)으로 인해 제2 부재(2)의 내경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에 따라 관 부재 연결구(10)는 제2 부재(2)의 내부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에 제1 부재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 부재 연결구에 제1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관 부재 연결구(10)가 제2 부재(2)의 내부에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부재(1)의 볼트(1a)를 쐐기(111)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111a)에 삽입시킨 후 제1 또는 제2 부재(1, 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부재(1)를 관 부재 연결구(10)를 통해 제2 부재(2)의 단부에 안정적으로 체결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차단봉의 수직재에 적용한 사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차단봉(20)은 행사장, 전시장, 공사장, 연회장 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 및 통행을 차단하는 포스트로서, 볼트(21a)가 용접된 제1 부재(21)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22)를 포함하는 수직재와, 제2 부재(22)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볼트(21a)가 결합된 관 부재 연결구(10)와, 제2 부재(22)의 하부에 체결된 받침대(23)와, 제1 부재(21)의 상부에 결합된 차단벨트(24)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를 차단봉의 수직재에 적용한 다른 사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면, 차단봉(30)은 수직재(31), 받침대(32) 및 차단벨트(24)를 포함하고, 수직재(31)의 하부 내측으로 관 부재 연결구(10)가 결합되고, 받침대(32)에 구비된 볼트(32a)를 관 부재 연결구(10)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부재 연결구(10)는 차단봉을 포함하여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각종 장치(기기), 구조물 또는 물품 등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관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직재 혹은 수평으로 배치된 파이프로 이루어진 수평재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21 : 제1 부재 1a, 21a, 32a : 볼트
2, 22 : 제2 부재 10 : 관 부재 연결구
11 : 소켓 12 : 확장캡
12a : 가이드 홈 13 : 체결부재(나사)
20, 30 : 차단봉 23 : 받침대
24, 33 : 차단벨트 31 : 수직재
111 : 쐐기 111a : 볼트 체결공
111b : 나사 조임공 112 : 가이드 정렬바
112a : 이탈방지턱 113 : 결합홈부
121 : 지지턱부 121a : 홈부
121b : 보강편 122 : 확장편
123 : 연결편 124 : 나사 체결부
124a : 나사 관통공

Claims (7)

  1. 볼트가 용접된 제1 부재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부재의 볼트가 결합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소켓과,
    상기 소켓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 부재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확장캡과,
    상기 확장캡의 상부에서 상기 확장캡과 상기 소켓을 상호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체결부재의 조임력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여 상기 확장캡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상기 제2 부재의 내측벽에 결합하고,
    상기 소켓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또는 상면이 평평한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확장캡의 내부로 삽입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외측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정렬바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는 중앙부에 상기 제1 부재의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체결공의 양측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조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부재 연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캡은 상부 둘레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단부에 걸림 지지되는 복수 개의 지지턱부와, 상기 지지턱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웃하게 형성된 것끼리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정렬바가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마련하는 복 수개의 확장편과, 상기 지지턱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지지턱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 결합되는 나사 관통공이 형성된 나사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부재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편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정렬바의 하부가 걸림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이 상기 확장캡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부재 연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관통공과 상기 나사 조임공은 상기 가이드 정렬바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상하로 정렬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부재 연결구.
  6. 볼트가 용접된 제1 부재와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수직재와, 상기 제2 부재의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볼트가 결합된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관 부재 연결구와, 상기 제2 부재의 하부에 체결된 받침대와, 상기 제1 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차단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7. 수직재와, 볼트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수직재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의 볼트가 결합되는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관 부재 연결구와, 상기 수직재의 상부에 결합된 차단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KR1020170105562A 2017-08-21 2017-08-21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KR102208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62A KR102208208B1 (ko) 2017-08-21 2017-08-21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62A KR102208208B1 (ko) 2017-08-21 2017-08-21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11A KR20190020511A (ko) 2019-03-04
KR102208208B1 true KR102208208B1 (ko) 2021-01-27

Family

ID=6575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62A KR102208208B1 (ko) 2017-08-21 2017-08-21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03Y1 (ko) 2002-01-16 2002-05-01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0274473Y1 (ko) * 2002-01-29 2002-05-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길이 조절장치
KR200284867Y1 (ko) 2002-04-23 2002-08-13 송정식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879B1 (ko) 2005-06-29 2006-04-10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
KR101020061B1 (ko) 2010-08-06 2011-03-11 주식회사 창건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
KR101281743B1 (ko) 2013-02-06 2013-07-04 성기천 조립성과 기밀성 향상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방법
KR200479229Y1 (ko) 2015-05-21 2016-01-19 신동오 차단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003Y1 (ko) 2002-01-16 2002-05-01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0274473Y1 (ko) * 2002-01-29 2002-05-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다단식 지팡이용 연결관의 길이 조절장치
KR200284867Y1 (ko) 2002-04-23 2002-08-13 송정식 다단식 등산용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11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US20110073823A1 (en) Panel and kit for constructing fence
US20180360225A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stand pole and a beam of a bunk bed and a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KR102146338B1 (ko) 비노출형 체결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조립체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WO2016081973A1 (en) Mounting fixture of a connection fixture
KR10193919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KR101959670B1 (ko)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KR101920836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KR10190667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409637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102208208B1 (ko) 관 부재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차단봉
KR101743243B1 (ko) 관연결식 지주 및 이 시공 공법
KR101845008B1 (ko) 밴드와 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200397951Y1 (ko)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210000212U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101677423B1 (ko) 빔 연결 고정 장치
KR10155038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3644U (ko) 안전펜스의 결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