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951Y1 - 비계 파이프 구조물 - Google Patents

비계 파이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951Y1
KR200397951Y1 KR20-2005-0021935U KR20050021935U KR200397951Y1 KR 200397951 Y1 KR200397951 Y1 KR 200397951Y1 KR 20050021935 U KR20050021935 U KR 20050021935U KR 200397951 Y1 KR200397951 Y1 KR 200397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ost
coupling member
horizontal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택철
Original Assignee
권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택철 filed Critical 권택철
Priority to KR20-2005-0021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secured together by bolts or the like penetrating th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을 신축 또는 수리할 때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전망 등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을 따라 가설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포스트 파이프(1)들로 구성된 수직부(10)와 수평 파이프(2)들로 구성된 수평부(20)가 격자 형태로 연결된 비계 파이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1)는 일단에 결합부재(30)가 장착되고, 타단에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에 대응되는 너트부(35)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부(31)가 포스트 파이프(1)의 일단에 끼워진 후 용접되고, 상기 바디부(3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나선부(33)와 비나선부(34)로 구성되므로서, 상부 포스트 파이프의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의 너트부(35)가 체결된 후, 어느 한 포스트 파이프를 더 회전되어 결합부재의 비나선부(34)가 너트부(35)에 결합되어, 상부 포스트 파이프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 파이프 구조물{Scaffold pipe structure}
본 고안은 건축물을 신축 또는 수리할 때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안전망 등을 설치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을 따라 가설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트 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부재가 장착되고, 포스트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가 장착되고, 수평 파이프의 일단에 형성된 클램프가 상기 포스트 파이프에 클램핑되고, 상기 클램프에 용접된 브라켓과 수평파이프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부가 쐐기에 의해 연결되는 비계파이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2797호(2004.02.10 등록)에 "건축용 조립식 가설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건축용 조립식 가설재는 중공의 단위포스트가 상하로 연결되어 지면에 소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이 지주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조립식 가설재에 있어서, 상기 단위포스트는 그 일단부 둘레부에 보강링체가 용접 부착되고 타단부에 인접되는 단위포스트에 끼워지는 조인트부가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건축용 조립식 가설재는 포스트의 조인트부와 보강링체가 핀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핀이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고, 상부 포스트 또는 하부 포스트가 약간 구부러져 있을 경우, 상부 포스트에 대해 하부 포스트가 상대 회전할 수 없어, 수평바아를 연결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수평바아를 연결하기 위해 단위 포스트에 다수개의 브라켓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단위 포스트의 단가가 상승되고, 포스트에서 조인트부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수평바아를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포스트 파이프의 일단에 결합부재가 장착되고, 포스트 파이프의 타단에 결합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가 장착되어, 상부 포스트 파이프의 결합부재에 형성된 나선부가 하부 포스트 파이프의 너트부를 관통하여 결합부재의 비나선부가 하부 포스트 파이프의 너트부와 결합되므로서, 상부 포스트 파이프에 대해 하부 포스트 파이프가 상대 회전할 수 있고, 수평 파이프의 일단에 형성된 클램프가 상기 포스트 파이프에 클램핑되고, 상기 클램프에 용접된 고리와 수평파이프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부의 결합구멍이 일치된 후, 쐐기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수평 파이프의 배치높이설정이 간편하고, 수평파이프들의 연결이 용이한 비계파이프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계파이프 구조물은 포스트 파이프(1)들로 구성된 수직부(10)와 수평 파이프(2)들로 구성된 수평부(20)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포스트 파이프(1)는 일단에 결합부재(30)가 장착되고, 타단에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에 대응되는 너트부(35)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부재(30)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부(31)가 포스트 파이프(1)의 일단에 끼워진 후 용접되고, 상기 바디부(3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나선부(33)와 비나선부(34)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부재(30)와 너트부(35)를 갖는 포스트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도 1에 도시된 비계파이프 구조물의 수직부(10)를 만들 때, 먼저, 상부 포스트 파이프(1a)의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1b)의 너트부(35)를 체결하고, 체결이 완료되면, 상부 포스트 파이프(1a)를 더 회전시켜 결합부재(30)의 비나선부(34)가 너트부(35)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상부 포스트 파이프(1a)에 대해 하부 포스트 파이프(1b)가 또는 하부 포스트 파이프(1b)에 대해 상부 포스트 파이프(1a)가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비계 파이프 구조물을 설치할 때, 하부 포스트 파이프(1b)에 대해 상부 포스트 파이프(1a)가 상대 회전하여도 상기 포스트 파이프(1a, 1b)의 결합이 분리될 위험이 없다. 또한, 위와 같이 결합된 상부 포스트 파이프(1a)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1b)를 분리할 때는 상부 포스트 파이프(1a)를 하부 포스트 파이프(1b)에서 잡아당긴 후 결합시킬 때의 반대방향으로 상부 포스트 파이프(1a)를 회전시키면, 상부 포스트 파이프(1a)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1b)가 분리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 파이프(2)는 일단에 클램프(40)가 부착되고, 상기 클램프(40)에 결합구멍(41)이 형성된 2개의 연결고리(42)가 용접되고, "ㄷ" 형상의 결합부재(50)가 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50)의 상부 수평부(51)와 하부 수평부(53)에 각각 결합구멍(52, 54)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40)는 디귿자 형상의 바디부(45)에 개폐부(46)가 핀(47)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45)에 고정된 록킹볼트(48)가 개폐부(46)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상기 록킹볼트(48)에 너트(49)가 체결되고, 상기 바디부(45)의 어느 한 측면에 수평 파이프(2)의 일단이 용접되고, 다른 측면 및 개폐부(46)에 고리(42)가 각각 용접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파이프(1)들을 연결하여 도 1에 도시된 비계 파이프 구조물의 수평부(20)를 만들고자 할 때, 어느 한 수평 파이프(2a)의 클램프(40)를 비계 파이프 구조물의 수직부(10)에 클램핑하고, 다른 수평 파이프(2b)의 결합부재(51)의 상부 수평부(51)와 하부 수평부(53) 사이에 클램프(40)의 고리(42)를 끼운 후, 쐐기(55)로 상기 클램프(40)의 고리(42)와 결합부재(51)를 결합시킴으로서, 어느 한 수평 파이프(2a)와 다른 수평 파이프(2b)를 연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은 상기 수평 파이프들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수평 파이프의 배치높이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또한, 상기 수평 파이프(2)는 조임볼트(65)가 장착된 제 1 파이프(61)에 제 2 파이프(63)가 끼워진 후, 조임볼트(65)에 의해 제 1 파이프(65)에 끼워진 제 2 파이프(63)가 고정되므로서, 전체 길이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상기 수평 파이프(2)는 다수개의 핀구멍(75)이 형성된 제 2 파이프(73)가 제 1 파이프(71)에 끼워진 후, 제 1 파이프(71)의 핀구멍(77)과 제 2 파이프(73)의 핀구멍(75)에 끼워지는 핀(79)에 의해 제 2 파이프(73)가 제 1 파이프(71)에 고정되므로서, 전체 길이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비계 파이프 구조물은 어느 한 포스트 파이프에 대해 다른 포스프 파이프가 작업중에 상대회전되어도 결합이 분리되지 않으며, 포스트 파이프가 약간 구부러져 있어도 포스트 파이프를 돌려 수평 파이프를 포스트 파이프에 연결할 수 있고, 수평 파이프들을 임의의 높이로 간편하게 포스트 파이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수평 파이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어, 건물의 폭에 간편하게 대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계 파이프 구조물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포스트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포스트 파이프의 결합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수평 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수평 파이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다른 예의 수평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또 다른 예의 수평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포스트 파이프 10 : 수직부
2 : 수평 파이프 20 : 수평부
30 : 결합부재 35 : 너트부
40 : 클램프 42 : 고리
51 : 결합부 55 : 쐐기

Claims (4)

  1. 포스트 파이프(1)들로 구성된 수직부(10)와 수평 파이프(2)들로 구성된 수평부(20)가 격자 형태로 연결된 비계 파이프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파이프(1)는 일단에 결합부재(30)가 장착되고, 타단에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에 대응되는 너트부(35)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원기둥 형태의 바디부(31)가 포스트 파이프(1)의 일단에 끼워진 후 용접되고, 상기 바디부(3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32)가 나선부(33)와 비나선부(34)로 구성되므로서, 상부 포스트 파이프의 결합부재(30)의 나선부(33)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의 너트부(35)가 체결된 후, 어느 한 포스트 파이프를 더 회전되어 결합부재의 비나선부(34)가 너트부(35)에 결합되어, 상부 포스트 파이프와 하부 포스트 파이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이프(2)는 일단에 클램프(40)가 부착되고, 상기 클램프(40)에 결합구멍(41)이 형성된 2개의 연결고리(42)가 용접되고, "ㄷ" 형상의 결합부재(50)가 부착되고, 상기 결합부재(50)의 상부 수평부(51)와 하부 수평부(53)에 각각 결합구멍(52, 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이프(2)는 조임볼트(65)가 장착된 제 1 파이프(61)에 제 2 파이프(63)가 끼워진 후, 조임볼트(65)에 의해 제 1 파이프(65)에 끼워진 제 2 파이프(63)가 고정되므로서, 전체 길이조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이프(2)는 다수개의 핀구멍(75)이 형성된 제 2 파이프(73)가 제 1 파이프(71)에 끼워진 후, 제 1 파이프(71)의 핀구멍(77)과 제 2 파이프(73)의 핀구멍(75)에 끼워지는 핀(79)에 의해 제 2 파이프(73)가 제 1 파이프(71)에 고정되므로서, 전체 길이조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2005-0021935U 2005-07-28 2005-07-28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0397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935U KR200397951Y1 (ko) 2005-07-28 2005-07-28 비계 파이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935U KR200397951Y1 (ko) 2005-07-28 2005-07-28 비계 파이프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951Y1 true KR200397951Y1 (ko) 2005-10-10

Family

ID=4369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935U KR200397951Y1 (ko) 2005-07-28 2005-07-28 비계 파이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9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73Y1 (ko) * 2012-04-24 2013-09-26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KR101935875B1 (ko) * 2017-11-08 2019-01-07 박성임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KR20210108552A (ko) *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354737B1 (ko) * 2021-05-13 2022-01-21 이상호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접이식 비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73Y1 (ko) * 2012-04-24 2013-09-26 (주)의조산업 시스템비계의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구
KR101935875B1 (ko) * 2017-11-08 2019-01-07 박성임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KR20210108552A (ko) *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316416B1 (ko) * 2020-02-25 2021-10-25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102354737B1 (ko) * 2021-05-13 2022-01-21 이상호 복합적인 기능을 가진 접이식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637B2 (en) Concrete form system for low-clearance applications
KR200397951Y1 (ko) 비계 파이프 구조물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JP3962320B2 (ja) 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KR100885110B1 (ko) 낙하물 방지망 지지대
KR200491429Y1 (ko)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KR102219349B1 (ko) 메쉬망 체결구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6349732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鉄骨の柱又は鉄骨を備える柱との接合方法及び構造
US4160542A (en) Post and rail interconnection
KR10211079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지대
JPH0450352Y2 (ko)
KR200463380Y1 (ko) 철근난간대 결합부재
KR20190136394A (ko) 낙하물 추락방망의 와이어 연결부 파손방지 구조
KR200381302Y1 (ko) 흙막이벽용 h-파일의 스터드 부착구조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CN216141160U (zh) 一种组装式塔吊操作平台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JP7229634B2 (ja) 立坑内の作業足場の支持治具、支持治具ユニット、立坑内の作業足場、及び立坑内の作業足場の構築方法
KR20230149552A (ko) 안전 그물망 설치용 접이식 거치대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JPH0756444Y2 (ja) タンク内部の仮設足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