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75B1 -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75B1
KR101935875B1 KR1020170148385A KR20170148385A KR101935875B1 KR 101935875 B1 KR101935875 B1 KR 101935875B1 KR 1020170148385 A KR1020170148385 A KR 1020170148385A KR 20170148385 A KR20170148385 A KR 20170148385A KR 101935875 B1 KR101935875 B1 KR 10193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affold
scaffolding pipe
connecting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임
Original Assignee
박성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임 filed Critical 박성임
Priority to KR102017014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1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bars or members which are parallel or in end-to-end re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및 설치가 쉬우면서도 충분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계용 파이프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그 외경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축경부,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비계용 파이프 타단부에 결합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커넥팅 파이프, 상기 커넥팅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부,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Pipe connnector for archtectual scaffold}
본 발명은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비계용 파이프를 간편히 연결하면서도 충분히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용 파이프는 신축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필요한 자재와 장비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비계를 구성하는 자재로서, 이와 같은 비계용 파이프는 강관으로 제작되며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비계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비계용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18729호(2016.2.17.공개)는 제1 축방향 파이프 단부에 수용부를 형성하고 이와 연결되는 제2 축방향 파이프 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에 비교하여 감소된 단면을 가지고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수용부에 삽입하여 양 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양 비계용 파이프의 분리를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수용부의 내직경을 감소시키는 포지셔닝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어렵고 설치시에도 상기 포지셔닝 그루브로 인해 수용부의 삽입이 곤란해져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18729호(2016.2.17.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조 및 설치가 쉬우면서도 충분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비계용 파이프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그 외경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축경부,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비계용 파이프 타단부에 결합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너트 및
상기 너트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커넥팅 파이프,
상기 커넥팅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부,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슬릿부와 90°각도를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쉽고 설치시 복잡한 도구나 공정없이 간단히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이 가능하며 설치 후에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이며 해체시에도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쉽게 해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커넥팅 파이프, 고정볼트 및 내부 가압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커넥팅 파이프, 고정볼트 및 내부 가압부재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비계용 파이프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그 외경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축경부(11)와,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비계용 파이프 타단부에 결합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너트(13)와, 상기 너트(13)와 나사 결합하는 볼트(14)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제1 비계용 파이프의 축경부(11)를 제2 비계용 파이프의 타단부에 삽입한 후에 상기 볼트(14)를 조여 상기 볼트(14)가 상기 축경부(11)를 가압함으로써 결합된 한 쌍의 비계용 파이프는 상호 회전 및 분리가 어렵게 되며, 간단히 삽입하는 공정과 볼트(14) 조임 공정을 통해 비계용 파이프의 결합을 견고히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의 응용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넥팅 파이프(21)와,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부(22)와,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에 형성되는 관통공(23)과, 상기 관통공(23)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4)와, 상기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24)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압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업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의 내부에 상기 내부 가압부재(2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를 상기 관통에 삽입하여 상기 커넥팅 파이프(21)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가압부재(25)와 나사 결합시킨 후에 연결하고자 하는 한 쌍의 비계용 파이프의 단부에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의 양측을 삽입하여 연결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24)를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24)의 전단부와 상기 내부 가압부재(25)는 모두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의 내주면을 3곳에서 가압하여 상기 커넥팅 파이프(21)의 외경을 확장시키게 되고 확장된 상기 커넥팅 파이프(21)는 비계용 파이프의 내주면을 가압함으로써 한 쌍의 비계용 파이프는 견고히 연결되게 된다.
가압 효과를 증대시키게 위해 상기 관통공(23)은 상기 슬릿부(22)와 90°각도를 이루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릿부(22)는 상기 내부 가압부재(25)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으로서 기능도 수행하며, 상기 내부 가압부재(25)의 형상은 육면체, 반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인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쉽고 설치시 복잡한 도구나 공정없이 간단히 비계용 파이프의 연결이 가능하며 설치 후에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이며 해체시에도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쉽게 해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11: 축경부
13: 너트 14: 볼트
21: 커넥팅 파이프 22: 슬릿부
23: 관통공 24: 고정볼트
25: 내부 가압부재

Claims (1)

  1.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비계용 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커넥팅 파이프,
    상기 커넥팅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릿부,
    상기 커넥팅 파이프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비계용 파이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내부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볼트를 조이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부와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넥팅 파이프의 내주면 3곳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팅 파이프의 외경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KR1020170148385A 2017-11-08 2017-11-08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KR101935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85A KR101935875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85A KR101935875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75B1 true KR101935875B1 (ko) 2019-01-07

Family

ID=6501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85A KR101935875B1 (ko) 2017-11-08 2017-11-08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2510A1 (en) * 2020-03-17 2021-09-22 Enzo Catellani Heat sink for lamp and method of realization of said heat sink for lamp
KR102349315B1 (ko) * 2021-05-07 2022-01-11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배수파이프 화재확산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51Y1 (ko) * 2005-07-28 2005-10-10 권택철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0422797Y1 (ko) * 2006-05-03 2006-08-02 이상근 등 조립용 연결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951Y1 (ko) * 2005-07-28 2005-10-10 권택철 비계 파이프 구조물
KR200422797Y1 (ko) * 2006-05-03 2006-08-02 이상근 등 조립용 연결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2510A1 (en) * 2020-03-17 2021-09-22 Enzo Catellani Heat sink for lamp and method of realization of said heat sink for lamp
KR102349315B1 (ko) * 2021-05-07 2022-01-11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배수파이프 화재확산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20662B (zh) 水平配管4方向支撑装置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KR101935875B1 (ko)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EP3430299B1 (en)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ATE303544T1 (de) Anschlussarmatur
US10096981B2 (en) Integrated piping conduit with adaptor device and method
CA2871341A1 (en) A composite sliding gasket for high-pressure joints
JP2020075086A (ja) スプリンクラアダプタおよびパイププラグ
WO2015019623A1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20100127119A (ko) 셋트 앙카볼트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시공방법
EP1793153B1 (en) Pipe coupling
US20130255064A1 (en) Industrial-piping system attachment devices for seismic bracing and methods of use
EP2458251B1 (en) A composite sliding gasket for high-pressure joints
US10036497B2 (en) Joint restraint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same
RU2621429C2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EP3021028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6592757B2 (ja) 高圧用継手
JP2009278853A (ja) ステップボルト支持装置
US20140318064A1 (en) Press-on retainer for fire-stopping sleeve
KR20080006247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JP6630125B2 (ja) 異径鋼管同士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2014121107A (ja) ネジ無し電線管用継手
CN220225815U (zh) Alc条板隔墙防开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