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264B1 -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2264B1
KR101742264B1 KR1020150121931A KR20150121931A KR101742264B1 KR 101742264 B1 KR101742264 B1 KR 101742264B1 KR 1020150121931 A KR1020150121931 A KR 1020150121931A KR 20150121931 A KR20150121931 A KR 20150121931A KR 101742264 B1 KR101742264 B1 KR 10174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kler
coupling
pipe
ring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818A (ko
Inventor
이도경
장동욱
장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인터내셔널
장완수
(주)디아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인터내셔널, 장완수, (주)디아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5012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이는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스프링클러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클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제안하여,
스프링클러를 원하는 각도로 결정한 상태에서 끼우는 방식으로 설치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스프링클러의 설치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스프링클러를 손으로 잡고 끼우거나 또는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되므로 공구 없이도 설치와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Sprinkler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히 끼우는 동작 만으로 스프링클러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별도의 공구 없이도 분리 분해하여 줄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되고 있다. 스프링클러는 스프링클러는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면 이를 감지하여 배관 속에 가압되어 있는 물을 분출함으로써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천장에 배관을 매설하고 그 배관 끝단에 설치하게 되는바, 실용신안등록 제20-0340988호(2004. 1. 28.) "스프링클러의 레듀샤 고정장치"에서 그 설치구조를 볼 수 있는바, 스프링클러를 배관 끝단에 나사 결합을 통해 단순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나사결합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할 수 있고 결합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도 오래걸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클러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높낮이 조절 및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이는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스프링클러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클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며, 높낮이 조절 또한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클러에 형성된 결합관을 스프링클러가 설치되는 지점에서 관 입구에 끼우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므로 스프링클러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빠르게 완료될 수 있다. 더불어 밀폐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천장에 맞추어 스프링클러의 설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와 연결바디의 결합 및 압박링과 결합관의 결합 과 연결구와 체결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를 회전시켜 연결구에서 결합관을 분리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를 회전시켜 연결구에서 체결너트를 분리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클러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높낮이 조절 및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얻기 위해,
급수배관과 스프링클러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바디가 구비되어 천장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바디에 연결구가 형성되어 내부에 그랩링이 설치되어 이중관 구조를 가지고 연결구에 체결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상기 그랩링의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에 결합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관이 연결구에 끼워져 그랩링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스프링클러가 연결바디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그랩링이 결합관에 설치되는 압박링의 전진에 의해 확장되면 결합관을 연결구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되,
상기 압박링은 상기 스프링클러가 상기 체결너트가 조여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여지게 결합관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압박링과 체결너트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어, 스프링클러를 체결너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링이 전진하면서 그랩링을 확장시키켜 연결구에서 결합관을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한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너트가 맞물려 회전하며 풀릴 수 있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와 연결바디의 결합 및 압박링과 결합관의 결합과 연결구와 체결너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는 천장에 매립되어 수원지에서 용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400)에 연결바디(100)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배관(400)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를 배출하는 스프링클러(300)를 상기 연결바디(100)에 결합시켜 설치하는 구조이다.
연결바디(100)는 천장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매립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은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을 천장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수용공간 입구는 천장 슬라브와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천장판에 의해 막히게 된다.
연결바디(100)에는 연결구(120)가 형성되고, 스프링클러(300)에는 결합관(320)이 형성된다. 결합관(320)은 상기 천장판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구(120)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스프링클러(300)가 연결바디(100)에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연결구(120)에는 체결너트(260)가 체결되는데, 체결너트(260)는 지름이 다른 두 관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이루어 내부 관의 끝단이 연결구(120) 내부에 설치되는 그랩링(220)과 오링을 압박하여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그랩링(220)은 링 형태를 이루고 중심 쪽으로 돌출되는 톱니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톱니는 연결구(120)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구(120) 내부에 설치되는 그랩링(220)에는 스프링클러(300)에 형성되는 결합관(320)이 관통하게 된다. 결합관(320)이 상기 연결구(120)에 끼워지면 결합관(320)이 전진하면서 말단이 상기 톱니를 밀면서 그랩링(220)을 관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랩링(220)을 관통하는 결합관(320) 외주에는 걸림홈(322)이 형성되는바, 걸림홈(322)에 상기 톱니의 끝단이 걸려 결합관(320)이 연결구(12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반대로 그랩링(220)이 확장되면 상기 톱니가 걸림홈(322)에서 빠지게 되므로 결합관(320)을 연결구(120)에서 빼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홈(322)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톱니가 걸리는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스프링클러(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랩링(220)의 확장은 압박링(240)에 의해 달성된다. 압박링(240)은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결합관(320) 외주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결합관(320) 외주에 나사산(324)이 형성되어 상기 압박링(24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나사산(324)은 걸림홈(322) 후방(도면상 아래쪽 또는 왼쪽 방향, 이하 동일)에 형성된다.
압박링(240)은 결합관(320) 선단(도면상 위쪽 또는 오른쪽 방향, 이하 동일)에서 후단(도면상왼쪽 방향, 이하 동일)을 향해 끼워진 다음 나사산(324)에 체결되게 된다. 이렇게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관(320)이 연결구(120)에 끼워지면 압박링(240)도 자연스럽게 연결구(120)로 끼워지게 된다.
결합관(320)에 체결된 압박링(240)은 전진(도면상 위쪽 또는 오른쪽 방향, 이하 동일)을 하면 그 선단이 그랩링(220)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를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톱니가 눕혀지면서 걸림홈(322)에서 빠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결합관(320)을 후방으로 당기면 연결구(120)에서 빠져 나와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관(320)에 나사결합되는 압박링(240)은 스프링클러(300)가 체결너트(26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나사산(324)의 방향을 결정된다. 즉, 체결너트(2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조여지는 구성이라면 압박링(240)은 결합관(320)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조여지게 되는 구성이다.
압박링(240)은 상기와 같이 결합관(320)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외주가 체결너트(260)의 내주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체결너트(260)의 내주면 일부가 연결구(120) 입구보다 튀어나온 상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압박링(240)의 외주와 체결너트(260)의 내주에 맞물림돌기(242)(262)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맞물림돌기(262)는 톱니형태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결합관(320)을 연결구(120)에 단순히 끼우는 동작 만으로 스프링클러(30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연결구(120)에 체결너트(260)를 체결하여 그랩링(220)과 오링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압박링(240)이 설치된 결합관(320)을 연결구(120)에 끼워넣게 되면 압박링(240) 외주와 체결너트(260) 내주에 형성된 맞물림돌기(242)(262)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동시에 결합관(320)의 선단은 그랩링(220)과 오링을 관통하면서 복수의 걸림홈(322)중 하나에 그랩링(220)이 걸려 결합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를 회전시켜 연결구에서 결합관을 분리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라 결합관(320)이 연결구(12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링클러(300)가 연결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단순히 스프링클러(300)를 당기는 동작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랩링(220)이 걸림홈(322)에 걸려 있음에 따라 빠지지 않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클러(300)를 손으로 잡고 체결너트(260)가 조여지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링(240)이 전진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프링클러(3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너트(260)는 완전히 조여진 상태이므로 더 이상 회전을 하지 않게 되는데, 압박링(240)이 체결너트(260)와 맞물려 있음에 따라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결합관(320)만이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관(32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압박링(240)은 풀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그 결과 압박링(240)이 그랩링(220) 쪽으로 전진을 하게 된다.
상기에 따라 전진된 압박링(240)은 그랩링(220)을 밀어 확장시키고, 그랩링(220)이 걸림홈(322)에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클러(300)를 후방으로 당기면 결합관(320)이 연결구(120)에서 빠져나오면서 분리되고, 결과적으로 스프링클러(300)가 분리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클러를 회전시켜 연결구에서 체결너트를 분리하는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스프링클러(300)를 체결너트(260)가 풀리는 방향, 즉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너트(260)를 연결구(120)에서 분리하여 줄 수 있다. 스프링클러(300)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링(240)은 조여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헛돌지 않고 같이 회전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압박링(240)과 맞물린 체결너트(260)가 같이 회전되면서 풀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공구 없이 체결너트(260)를 분리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이는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스프링클러(3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프링클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그랩링(220)이 걸리는 거림홈(322)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스프링클러(300)의 높낮를 쉽게 조절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연결바디, 120 : 연결구,
220 : 그랩링, 240 : 압박링,
242 : 맞물림돌기, 260 : 체결너트,
262 : 맞물림돌기, 300 : 스프링클러,
320 : 결합관, 322 : 걸림홈,
340 : 작동너트, 400 : 급수배관.

Claims (4)

  1. 결합관(320)이 형성된 스프링클러(300)와, 천장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관(320)이 끼워지는 연결구(120)가 형성되고 내부에 그랩링(220)이 설치되어 상기 결합관(3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급수배관(400)과 상기 스프링클러(30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바디(100)와, 이중관 구조를 가지고 내부 관의 끝단이 상기 그랩링(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로 연결구(12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60) 및 상기 결합관(320)에 결합된 채로 연결구(120)에 끼워져 결합관(320)의 회전에 따라 전진과 후진을 하는 압박링(240)을 포함하되,
    상기 압박링(240)은 상기 스프링클러(300)가 체결너트(260)가 풀리는 방향으회전하게 되면 결합관(320)에서 조여지는 반면 스프링클러(30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풀리며 전진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한편, 외주에는 맞물림돌기(242)가 형성되어 체결너트(260) 내주에 형성된 맞물림돌기(262)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스프링클러(300)를 체결너트(26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링(240)이 결합관(320)을 따라 전진하여 그랩링(220)을 확장시켜 결합관(320)을 연결구(1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프링클러(300)를 체결너트(260)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박링(240)이 결합관(320)을 따라 후진하다가 끝까지 조여지면 체결너트(260)와 맞물려 회전하여 체결너트(260)가 풀리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320) 외주에는 걸림홈(32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22)에 그랩링(220)에 형성된 톱니가 걸려 결합관(320)이 연결구(120)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되,
    상기 걸림홈(322)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결합관(320)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50121931A 2015-08-28 2015-08-28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KR101742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31A KR101742264B1 (ko) 2015-08-28 2015-08-28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31A KR101742264B1 (ko) 2015-08-28 2015-08-28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18A KR20170026818A (ko) 2017-03-09
KR101742264B1 true KR101742264B1 (ko) 2017-06-02

Family

ID=5840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931A KR101742264B1 (ko) 2015-08-28 2015-08-28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90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정산애강 스프링클러 연결구
KR20230120464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난연 실리콘 에스커천이 구비된 스프링클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196B1 (ko) * 2019-03-04 2020-10-21 주식회사 파라텍 과조임 방지구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AU2022219437A1 (en) * 2021-02-15 2023-06-22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connect storage sprinkl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2B1 (ko) * 2006-05-11 2007-05-25 박강훈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502B1 (ko) * 2006-05-11 2007-05-25 박강훈 설치 대상물의 방향 조절 기능을 갖는 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90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정산애강 스프링클러 연결구
KR102226691B1 (ko) * 2019-03-13 2021-03-11 주식회사 정산애강 스프링클러 연결구
KR20230120464A (ko) 2022-02-09 2023-08-17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난연 실리콘 에스커천이 구비된 스프링클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818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AU2016300026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faucet
US9086180B2 (en) Quick connect fire and dust suppression system
US10435873B2 (en) Faucet coupling structure
EP2982808B1 (en) Coupling for connecting construction parts, a truss provided therewith and associated method and use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US20070056751A1 (en) Compact fire sprinkler attachment insert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JP5302996B2 (ja) 配線又は配管材の貫通部形成部材及び装置
KR101935875B1 (ko) 비계용 파이프 연결구
KR101645645B1 (ko)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수전의 결합구조
US7322615B1 (en) Adjustable plumbing fitting
KR20080006247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KR101799684B1 (ko) 직관의 금속파이프 연결수단
KR200436084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72519Y1 (ko) 원터치 니플용 어댑터
KR101614214B1 (ko) 길이 조정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헤드 조립체
KR20200131598A (ko) 관 연결구조
MX2014014553A (es) Accesorio para tuberías.
JP5917198B2 (ja) 伸縮可撓式継手とこれを用いたサドル付分水栓
JP2018048697A (ja) 樹脂管用管継手
JP2008011869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継手の構造
KR20100005265U (ko) 고정된 배관 파이프 연결구
KR101682486B1 (ko)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KR200222236Y1 (ko) 스프링쿨러의 연결관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