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486B1 -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486B1
KR101682486B1 KR1020150056676A KR20150056676A KR101682486B1 KR 101682486 B1 KR101682486 B1 KR 101682486B1 KR 1020150056676 A KR1020150056676 A KR 1020150056676A KR 20150056676 A KR20150056676 A KR 20150056676A KR 101682486 B1 KR101682486 B1 KR 101682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llet
housing
groov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775A (ko
Inventor
김의환
Original Assignee
(주)대인친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인친환경 filed Critical (주)대인친환경
Priority to KR102015005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8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5/00Special arrang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end fittings of hoses, e.g. safety or prote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회전을 하면 안 되는 호스에 적용시 자체적인 구조에 의해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원통형 관체로 되며 상부에 호스(A1)가 연결되고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된 플러그(10);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된 형태로 되며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고 상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의 내부는 플러그(10)의 삽입시 삽입부(11)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콜렛(20); 및 상기 플러그(10)의 일측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콜렛(20)의 일측에 결속부를 마련하여서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걸림부를 결속부를 통해 걸쇠로 걸어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장치(3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Quick couplers with anti-rotation feature}
본 발명은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회전을 하면 안 되는 호스에 적용시 자체적인 구조에 의해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대한 것이다.
퀵 커플러란 에어, 가스, 물, 유체(이하 '유체'라 함)를 공급하는 배관 또는 호스(이하 '호스'라고 함)의 중간에 설치되어 양측의 호스 또는 상부의 호스로부터 다른 호스를 쉽고 간편하게 연결해 주는 기구를 말한다.
통상 퀵 커플러는 일측의 호스와 연결되는 플러그와, 타측의 호스와 연결되는 콜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를 콜렛에 삽입하면 클램핑되며, 콜렛의 어느 한 부분을 조작하면 클램핑 된 플러그가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퀵 커플러는,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콜렛이 관체형태로 되고, 플러그의 외주 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부가 콜렛의 내부에서 걸려지는 방식으로 클램핑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잡고 다른 쪽을 돌리면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퀵 커플러는 회전은 회전하면 안 되는 곳에 적용시 별도의 회전방지수단을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예컨대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의 경우 작물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분사시 분출압에 의해 분사노즐의 방향이 엉뚱한 방향으로 돌아가 버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플러의 외주 면에 별도의 배관을 더 설치하고, 플러그와 콜렛을 배관에 결속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의 적용은 부가적인 배관의 설치로 비용낭비는 물론 설치가 번거로울 뿐 아니라, 커플러의 사용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는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1993-0026011호의 "회전가능한 퀵 커플러".
본 발명은 종래의 요구사항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별도의 회전방지수단 없이 퀵 커플러 자체가 회전방지기능을 갖도록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퀵 커플러는, 원통형 관체로 되며 상부에 호스가 연결되고 하부에 삽입부가 형성된 플러그와,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된 형태로 되며 하부에 다른 호스가 연결되고 상부에 플러그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의 내부는 플러그의 삽입시 삽입부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콜렛과, 상기 플러그의 일측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콜렛의 일측에 결속부를 마련하여서 콜렛에 클램핑된 플러그의 걸림부를 결속부를 통해 걸쇠로 걸어서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퀵 커플러는 플러그의 일측에 걸림부, 콜렛의 일측에 결속부를 마련하여서, 결속부를 통해 걸림부를 결속하여 플러그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에 회전을 하면 안 되는 호스에 적용시 별도의 회전방지수단 없이 호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구조적인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플러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콜렛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콜렛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서 플러그를 삽입하기 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서 플러그의 삽입 후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격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격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위치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특정 부분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지 않고 그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플러그(10), 콜렛(20), 회전방지장치(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러그(10)는 도면의 상부 그림으로써 원통형 관체로 되어 있고, 상부에 호스(A1)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에 길쭉한 형태로 되는 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의 상부에 플러그(10)를 글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홈(12)이 콜렛(20)에 삽입될 때 콜렛(20)의 내부에서 걸려져 클램핑된다.
상기 콜렛(20)은 도면의 하부 그림으로써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의 내부에는 플러그(10)의 삽입부(11)를 삽입하면 클램핑홈(12)을 다수의 볼(21)로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방지장치(30)는 도면상 플러그의 하부와 니플의 좌측에 형성된 그림으로 써, 상기 플러그(10)의 일측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콜렛(20)의 일측에 결속부를 마련하여서,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걸림부를 결속부를 통해 걸쇠로 걸어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 걸림부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는 절개홈(31)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삽입부(11)의 끝단을 개방하게 되면 걸림의 편의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결속부는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속부는 나사홈(32)으로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 이유는 나사 조임에 의해 걸쇠의 조임간격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상기 걸쇠는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는 볼트(3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나사 조임에 의해 삽입길이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장치(30)를 절개홈(31), 나사홈(32), 볼트(3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상기 절개홈(31)은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절개홈(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32)은 콜렛(20)에 형성되어 있고,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을 향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상기 볼트(33)는 끝단에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돌출봉(3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봉(330)이 최종적으로 절개홈(31)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이로써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콜렛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다. 이에 플러그와 회전방지장치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콜렛(20)은 도면상 상부에서부터 아래로 작동관(24), 작동탄성체(24a), 걸림링(23a), 하우징(23), 안내관(25), 안내탄성체(25a), 니플(2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나열된 순서대로 결합된다.
도 1과 함께 도 2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콜렛(20)은 하우징(23)을 기준으로 하부에 니플(22)이 결합되어 있고, 니플(22)의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어 있다. 외관상으로 도시되진 않지만 하우징(23)의 내부에 안내탄성체(25a)과 안내관(25)이 장착되고, 하우징(23)의 외부에 작동탄성체(24a)과 작동관(24)이 장착된다. 그리고 하우징(23)에 다수의 볼(21)과 걸림링(23a)이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콜렛(20)에 대략적인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였고, 더 구체적인 것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플러그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단락에서는 플러그(10)의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준비한 단락이다. 따라서 플러그에 형성되는 회전방지장치(30)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는 너트형 관체로 이루어진다. 플러그(10)의 몸체는 도면상 위에서부터 아래로 몸체의 외부에 플러그공구회전면(101), 플러그턱부(102), 클램핑홈(12), 삽입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플러그나사부(103), 플러그내관(100)으로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플러그공구회전면(101)은 외부의 상부 끝단에 다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공구회전면(101)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플러그(10)를 회전시켜 호스(A1) 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턱부(102)는 플러그공구회전면(101)으로부터 축소되게 하부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턱부(102)는 플러그(10)의 삽입시 콜렛(20)의 안내관(25)을 밀고 들어가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홈(12)은 플러그턱부(102)로부터 축소되게 플러그턱부(10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홈(12)은 플러그(10)의 삽입시 콜렛(20)의 볼(21)이 삽입되어 걸려지게 하기 위해 구성된다. 클램핑홈(12)은 볼(2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양측의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는 플러그턱부(102)로부터 축소되게 하부로 길쭉하게 연장되어 있다. 삽입부(11)는 플러그(10)를 콜렛(20)에 깊숙하게 삽입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내관(100)은 내부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내관(100)은 플러그(10)의 삽입시 콜렛(20)의 다른 호스(A2)와 관로를 연통시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나사부(103)는 플러그내관(100)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나사부(103)는 호스(A1)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로써, 플러그(10)는 콜렛(20)에 삽입시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콜렛(2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콜렛(20)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내부의 단면을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다. 이에 회전방지장치(30)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콜렛(20)은 도 2의 설명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면상 위에서부터 아래로 작동관(24), 작동탄성체(24a), 걸림링(23a), 하우징(23), 안내관(25), 안내탄성체(25a), 니플(2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큰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대략 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니플(22)은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어 있고, 플러그(10)의 삽입시 내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이 삽입되며, 삽입된 플러그(10)의 상부 호스(A1)와 하부의 다른 호스(A2)의 관로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3)은 니플(22)의 상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며, 플러그(10)의 클램핑홈(12)에 삽입되는 다수의 볼(21)이 장착되어 다수의 볼(21)로 플러그(10)를 클램핑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안내관(25)은, 하우징(23)의 내부 장착되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 되게 장착되며, 플러그(10)의 삽입시 탄성 슬라이딩 방향의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다수의 볼(21)로 플러그(1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플러그(1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작동관(24)은, 하우징(23)의 외부 장착되고, 하부로부터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 되게 장착되며, 안내관(25)의 안내시 하우징(23)에 장착된 다수의 볼(21)을 밀어서 내부로 탄성 가압하여 삽입된 플러그(10)를 클램핑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하 상기의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니플(22)의 몸체는 니플공구회전면(221), 니플나사부(222), 니플내관(220), 니플홈부(2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니플공구회전면(221)은 외부의 중간에 다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니플공구회전면(221)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니플(22)을 회전시켜 하부의 다른 호스(A2) 및 상부의 하우징(23)과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니플나사부(222)는 니플공구회전면(221)으로부터 축소되게 상부과 하부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있다. 니플나사부(222)는 하부의 다른 호스(A2)의 연결부 및 하우징(23)의 나사부(237)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니플내관(220)은 내부에 관통형성된다. 니플내관(220)은 하부의 다른 호스(A2)로부터 플러그(10)의 플러그내관(100)으로 연통되는 관로를 만들어 주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니플홈부(223)는 니플내관(220)으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형성된다. 니플홈부(223)는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이 삽입되어 플러그(10)를 지지해 주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23)의 몸체는 하우징외관(231), 하우징턱부(232), 하우징공구회전면(233), 하우징걸림홈(234), 볼삽입공(235), 하우징내관(230), 하우징홈부(236), 하우징나사부(23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외관(231)은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외관(231)은 작동관(24)을 슬라이딩시켜주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턱부(232)는 하우징외관(231)으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턱부(232)는 작동관(24)을 슬라이딩 및 작동탄성체(24a)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공구회전면(233)은 하우징턱부(232)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다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공구회전면(233)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하우징(23)을 회전시켜 니플(22)과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걸림홈(234)은 하우징외관(231)으로부터 축소되게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걸림홈(234)은 걸림링(23a)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볼삽입공(235)은 하우징외관(2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주 면을 따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그 구멍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형태로 형성된다. 볼삽입공(235)은 볼(21)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내관(230)은 내부에 관통형성된다. 하우징내관(230)은 플러그(10)의 플러그턱부(102)를 삽입함과 안내관(25)을 슬라이딩시켜주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홈부(236)는 하우징내관(230)으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홈부(236)는 안내관(25)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나사부(237)는 하우징홈부(236)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나사부(237)는 니플(22)의 니플나사부(222)와 결합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3)은 볼(21)과 걸림링(2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21)은 하우징(23)의 볼삽입공(235)에 삽입되고, 완전하게 삽입시 하우징(23)의 내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되되, 돌출된 반대면은 하우징(23)의 하우징외관(23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직경을 갖는 구체로 이루어져 있다. 볼(21)은 플러그(10)의 삽입시 하우징(23)의 작동관(24)에 의해 내부로 탄성 가압되어 플러그(10)의 클램핑홈(12)을 걸어서 클램핑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걸림링(23a)은 하우징(23)의 하우징걸림홈(234)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고, 장착시 하우징(23)의 하우징외관(231)으로부터 확장되는 스냅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걸림링(23a)은 하우징(23)에 장착되는 작동관(24)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관(25)의 몸체는 안내외관(251), 안내경사면(252), 안내턱부(253), 안내내관(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안내외관(251)은 외부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외관(251)은 하우징(23)의 하우징내관(230)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52)은 안내외관(251)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테이퍼형태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안내경사면(252)은 작동관(24)이 하부로 슬라이딩시 하우징(23)의 볼(21)을 외부로 밀어내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안내턱부(253)는 하우징외관(231)으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형성된다. 안내턱부(253)는 하우징(23)의 하우징홈부(236)에 걸려져 안내관(25)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안내내관(250)은 내부에 관통형성된다. 안내내관(250)은 플러그(10)의 삽입부(11)를 삽입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25)은 안내탄성체(2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탄성체(25a)는 안내관(25)의 하부 끝단에 탄설된다. 안내관(25)은 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안내탄성체(25a)는 안내관(25)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관(24)의 몸체는 파지부(241), 작동내관(240), 걸림홈부(242), 경사홈부(243), 탄설홈부(2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파지부(241)는 외부에 너어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241)는 수 조작에 의해 작동관(24)을 이송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작동내관(240)은 내부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작동내관(240)은 하우징(23)의 하우징외관(231)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걸림홈부(242)는 작동내관(240)으로부터 확장되게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걸림홈부(242)는 하우징(23)의 걸림링(23a)에 걸려져 작동관(24)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하우징(23)에 장착된 볼(21)이 외부로 돌출될 때 볼(21)을 수용하여 볼(21)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경사홈부(243)는 걸림홈부(242)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작동내관(240)으로 갈수록 축소되게 이어지는 테이퍼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부(243)는 하우징(23)의 볼(21)을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탄설홈부(244)는 작동내관(240)으로부터 확장되게 하부 끝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설홈부(244)는 작동탄성체(24a)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관(24)은 작동탄성체(24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탄성체(24a)는 작동내관(240)의 탄설홈부(244)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작동탄성체(24a)는 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작동탄성체(24a)는 작동관(24)에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에서 안내탄성체(25a)는 작동탄성체(24a)보다 탄성력이 더 강하다. 그 이유는 작동관(24)이 하우징(23)의 하부에 이송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콜렛(2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였다. 다음 단락에서는 이들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콜렛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콜렛(20)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단면으로 살펴보기 위해 첨부된 도면이다. 이에 회전방지장치(30)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작동관(24), 작동탄성체(24a), 걸림링(23a), 하우징(23), 안내관(25), 안내탄성체(25a), 니플(22)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플(22)은 니플(22)의 하부 니플나사부(222)에 다른 호스(A2)의 연결부가 결합 되어있다.
상기 니플(22)과 하우징(23)은 니플(22)의 상부 니플나사부(222)에 하우징(23)의 하우징나사부(237)가 결합 되어있다.
상기 하우징(23)과 안내관(25)은 하우징(23)의 하우징내관(230)으로 안내관(25)의 하우징외관(231)이 삽입되어있고, 하우징(23)의 하우징홈부(236)로 안내관(25)의 안내턱부(253)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안내관(24)은 하우징(23)에 결합되는 니플(22)을 일단으로부터 하우징(23)의 하우징홈부(236)에 안내관(25)의 안내턱부(253)가 걸리는 영역까지 슬라이딩 되고, 안내관(25)은 하우징(23)의 하부로 완전하게 슬라이딩 시 안내관(25)의 안내경사면(234)이 하우징(23)의 볼(21)을 외부로 밀어내고, 안내관(25)이 하우징(23)의 상부로 완전하게 슬라이딩 시 안내관(25)의 안내외관(252)이 하우징(23)의 볼(21)이 위치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 하우징(23)에 안내관(25)의 장착은 하우징(23)의 하우징내관(230) 하부로 안내관(25)을 삽입한 후, 안내관(25)의 하부로 안내탄성체(25a)을 삽입한 다음, 하우징(23)의 하부에 니플(22)을 결합함으로써, 하우징(23)의 내부 하부에서 상부로 안내관(25)이 탄성 슬라이딩 되게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23)과 작동관(24)은 하우징(23)의 하우징외관(231)에 작동관(24)의 작동내관(240)이 삽입되어 있고, 하우징(23)의 하우징턱부(232)에 작동관(24)의 탄설홈부(244)가 삽입되어 있으며, 하우징(23)의 하우징공구회전면(233) 일단에 작동관(24)의 하부 끝단에 걸려져 있고, 하우징(23)에 장착되는 걸림링(23a)에 작동관(24)의 걸림홈부(242)가 삽입되어 걸려진다. 이때 작동관(24)은 하우징(23)의 걸림링(23a)과 하우징공구회전면(233)의 일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며, 작동관(24)이 하우징(23)의 하부로 완전하게 슬라이딩시 작동관(24)의 경사홈부(243)가 하우징(23)의 볼(21)을 내부로 밀어넣게 되고, 작동관(24)이 하우징(23)의 하부로 완전하게 슬라이딩시 하우징(23)의 볼(21)은 작동관(24)의 걸림홈부(242) 내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23)에 작동관(24)의 장착은 하우징(23)의 볼삽입공(235)에 볼(21)을 삽입한 후, 하우징(23)의 하우징외관(231)의 상부로 작동탄성체(24a)와 작동관(24)을 삽입한 다음, 하우징(23)의 하우징걸림홈(234)에 걸림링(23a)을 끼워넣음으로써, 하우징(23)의 외부 하부에서 상부로 작동관(24)이 탄성 슬라이딩 되게 장착된다.
이로써, 콜렛(20)은 플러그(10)의 삽입시 클램핑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에서 플러그를 삽입하기 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본 단락에서는 플러그(10)와 콜렛(2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준비한 단락이다. 따라서 회전방지장치(30)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에 콜렛(20)은 작동관(24)이 하부로 이송된 상태로 되어 있고, 콜렛(20)의 안내관(25)은 상부로 이송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하우징(23)의 볼(21)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작동관(24)은 하우징(23)의 볼(21) 및 안내탄성체(25a)에 의해 하부에서 고정된 상태로 되어있다.
이로써 콜렛(20)은 플러그(10)를 삽입하면 클램핑할 준비를 마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에서 플러그의 삽입 후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단락에서는 플러그(10)와 콜렛(2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준비한 단락이다. 따라서 회전방지장치(30)의 설명은 다른 단락에서 따로 설명하기로 하고 배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를 콜렛(20)에 삽입하면 플러그(10)의 플러그턱부(102)가 콜렛(20)의 하우징(23) 내부의 안내관(25)을 밀고 들어가고, 상기 안내관(25)이 밀려 들어가면 하우징(23)의 볼(21)을 외부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하우징(23) 외부의 작동관(24)이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작동관(24)이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하게 되면 작동관(24)의 내부 안내경사면(252)이 하우징(23)의 볼(21)을 내부로 밀어 넣어 탄성 가압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23)의 볼(21)이 내부로 탄성 가압하게 되면 플러그(10)의 클램핑홈(12)에 볼(21)이 삽입되어 걸려진다.
이와 같이, 콜렛(20)에 플러그(10)를 삽입하면 콜렛(20)이 플러그(10)를 클램핑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6을 참조하여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이탈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3)의 작동관(24)을 수 조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시키면 하우징(23)의 볼(21)을 내부로 삽입하는 탄성 가압력이 소멸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3)의 볼(21)이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 가압력이 소멸되면 안내관(25)이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 되며, 상기 안내관(25)이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 되면 안내관(25)의 안내경사면(252)이 하우징(23)의 볼(21)을 외부로 밀어내어 탄성 가압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하우징(23)의 볼(21)이 외부로 탄성 가압 되면 하부로 슬라이딩 된 작동관(24)이 안내탄성체(25a)의 탄성력에 의해 그 자리에서 고정된다. 되돌아가 상기 안내관(25)이 상부로 탄성 슬라이딩 되면 플러그(10)의 플러그턱부(102)를 하우징(23)의 외부로 상부로 밀어냄으로써,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가 이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콜렛(20)의 작동관(24)을 조작하면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를 이탈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플러그와 콜렛의 구조 및 이들의 결합관계와 작동관계를 설명하였다. 이하부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플러그와 콜렛으로부터 연계하여 구성되는 회전방지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30)는 절개홈(31), 나사홈(32), 볼트(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개홈(31)은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 면을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절개홈(31)은 삽입부(11)의 끝단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32)은 콜렛(20)에 형성되어 있고,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을 향하도록 플러그(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나사홈(32)은 콜렛(20)의 니플(22)에 형성되어 있고, 니플(22)의 플러그공구회전면(101)으로부터 니플홈부(22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33)는 끝단에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돌출봉(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장치(30)는 콜렛(20)에 플러그(10)를 삽입하여 클램핑 되면 나사 조임에 의해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볼트(33)의 돌출봉(330)이 삽입되도록 하여 결속한다. 이때 나사 조임 시 볼트(33)의 돌출봉(330)이 플러그(10)의 삽입부(11) 주벽에 걸려져 삽입되지 않을 때에는 플러그(10)를 돌려주면서 나사 조임 하면 된다. 또 다르게는 콜렛(20)에 볼트(33)를 나사 조임을 한 상태로 내버려두고, 플러그(10)를 삽입할 때 플러그(10)를 돌려주면서 삽입해도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회전방지장치(30)에 의해 콜렛(20)으로부터 플러그(10)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볼트(33)의 돌출봉(330)이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걸려지지 않을 정도로 풀어주면 회전방지기능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회전방지기능의 선택이 자유롭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도 7의 결합단면도에서 상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된 플러그(10)과 콜렛(20)을 그대로 수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30)는 절개홈(31), 나사홈(32), 삽입공(320), 삽입핀(34), 볼트(33), 내측탄성체(35), 외측탄성체(3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개홈(31)은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31)은 제1 실시예의 절개홈(31)과 동일하다. 상기 나사홈(32)은 콜렛(20)에 형성되어 있고,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을 향하도록 콜렛(20)의 외부에 일정깊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32)은 제1 실시예의 나사홈(32)과 동일하나, 관통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삽입공(320)은 나사홈(32)의 내부로부터 축소되게 콜렛(20)의 내부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20)은 콜렛(20)의 내부와 나사홈(32) 사이를 분리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삽입핀(34)은 나사홈(32)의 내부로 삽입되는 두부(341)를 갖고, 두부(341)로부터 연장되어 삽입공(320)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봉(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돌출봉(340)은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돌출봉(340)은 제1 실시예의 돌출봉(330)과 동일하다. 다만 삽입돌출봉(340)은 제1 실시예의 볼트(33)로부터 분리되어 별개의 작동을 하기 위해 삽입핀(34)에 구성된다. 상기 볼트(33)는 통상의 볼트(33)로 이루어져 있다. 볼트(33)는 삽입핀(34)을 가압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내측탄성체(35)는 삽입핀(34)의 돌출봉(330)에 삽입되어 있고, 나사홈(32)의 내부 끝단과 삽입핀(34)의 두부(34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내측탄성체(35)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내측탄성체(35)는 삽입핀(34)을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내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외측탄성체(36)는 나사홈(32)에 삽입되어 있고, 삽입핀(34)의 두부(341)와 볼트(33)의 끝단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외측탄성체(36)는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외측탄성체(36)는 볼트(33)에 의해 삽입핀(34)을 외부에서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측탄성체(36)는 내측탄성체(35)보다 탄성력이 강하다. 그 이유는 볼트(33)로 조이지 않을 때 삽입핀(34)이 플러그(10)의 절개홈(11)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30)는 콜렛(20)에 플러그(10)를 삽입 전 볼트(33)를 풀어 놓으면 내측탄성체(35)에 의해 삽입돌출봉(340)이 콜렛(2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플러그(10)를 삽입 후 볼트(33)를 조이면 외측탄성체(36)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돌출봉(340)이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진다. 이는 회전방지기능을 적용할 때 플러그(10)를 돌리면서 볼트(33)를 삽입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볼트(33)로 조여놓으면 외측탄성체(36)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핀(34)의 삽입돌출봉(340)이 삽입된 플러그(10)의 삽입부(11)를 주벽을 가압하게 되고, 이때 콜렛(20)으로부터 플러그(10)가 회전하게 되면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돌출봉(340)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절개홈(31)이 삽입돌출봉(340)의 위치와 일치되면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걸려진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회전방지장치(30)에 의해 콜렛(20)으로부터 플러그(10)의 회전이 방지되며, 플러그(10)를 돌리지 않아도 되므로 회전방지기능의 적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격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포함되는 격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도 7의 결합단면도에서 상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된 플러그(10)과 콜렛(20)을 그대로 수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30)는, 절개홈(31), 격판(37)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개홈(31)은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절개홈(31)은 제1 실시예의 절개홈(31)과 동일하다. 상기 격판(37)은 콜렛(20)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움으로 고정되고,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어 있다.격판(37)은 콜렛(20)의 니플(22)의 니플홈부(223) 내부 하부 끝단에 삽입되어 있다. 격판(37)은 일자형태의 판이 니플홈부(223)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격판(37)은 콜렛(20)으로부터 니플(22)을 풀어 롱로우즈와 같은 집게를 이용하여 끼움 삽입 또는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판(37)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22)의 하우징홈부(236) 중심으로부터 일자형 격판(37)을 다수 교차 되게 형성한 교차형격판(38)으로 될 수 있다. 교차형격판(38)은 일자형 격판(37)에 비해 삽입이 용이하고 원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격판(37)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플러그내관(100)에 삽입되는 삽입관(390)과, 그 삽입관(390)의 외주 면을 따라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다수의 날개편(391);으로 이루어지는 관체형격판(39)으로 될 수 있다. 관체형격판(39)은 정 위치 및 플러그(10)의 삽입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에 포함되는 회전방지장치(30)는 콜렛(20)에 플러그(10)의 삽입 시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격판(37)이 삽입되도록 돌리면서 삽입하면 된다. 이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볼트(33)를 조이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렛(20)에 별개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체의 와류를 방지하여 분사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는 회전방지장치(30)에 의해 콜렛(20)으로부터 플러그(10)의 회전이 방지되며,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구성의 적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을 마치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1: 호스
A2: 다른 호스
10: 플러그
11: 삽입부
12: 클램핑홈
100: 플러그내관
101: 플러그공구회전면
102: 플러그턱부
103: 플러그나사부
20: 콜렛
21: 볼
22: 니플
220: 니플내관
221: 니플공구회전면
222: 니플나사부
223: 니플홈부
23: 하우징
230: 하우징내관
231: 하우징외관
232: 하우징턱부
233: 하우징공구회전면
234: 하우징걸림홈
235: 볼삽입공
236: 하우징홈부
237: 하우징나사부
23a: 걸림링
24: 작동관
240: 작동내관
241: 파지부
242: 걸림홈부
243: 탄설홈부
24a: 작동탄성체
25: 안내관
250: 안내내관
251: 안내외관
252: 안내경사면
253: 안내턱부
25a: 안내탄성체
30: 회전방지장치
31: 절개홈
32: 나사홈
33: 볼트
330: 돌출봉
34: 삽입핀
35: 내측탄성체
36: 외측탄성체
37: 격판
38: 교차형격판
39: 관체형격판

Claims (4)

  1. 원통형 관체로 되며 상부에 호스(A1)가 연결되고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된 플러그(10);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된 형태로 되며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고 상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의 내부는 플러그(10)의 삽입시 삽입부(11)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콜렛(20);
    상기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장치(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방지장치(30)는,
    상기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절개홈(31);
    상기 콜렛(20)에 형성되고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을 향하도록 관통형성된 나사홈(32);
    상기 나사홈(32)에 결합되고 끝단에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돌출봉(330)이 형성되며, 그 돌출봉(330)은 나사 조임에 의해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볼트(3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2. 원통형 관체로 되며 상부에 호스(A1)가 연결되고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된 플러그(10);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된 형태로 되며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고 상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의 내부는 플러그(10)의 삽입시 삽입부(11)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콜렛(20);
    상기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장치(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방지장치(30)는,
    상기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절개홈(31);
    상기 콜렛(20)에 형성되고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을 향하도록 일정깊이로 형성된 나사홈(32);
    상기 나사홈(32)의 내부로부터 축소되게 콜렛(20)의 내부로 관통형성되는 삽입공(320);
    상기 나사홈(32)의 내부로 삽입되는 두부(341)를 갖고 두부(341)로부터 연장되어 삽입공(320)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봉(340)이 형성되며 삽입돌출봉(340)은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형태를 갖춘 삽입핀(34);
    상기 나사홈(32)에 결합되는 볼트(33);
    상기 삽입핀(34)의 삽입돌출봉(340)에 삽입되고 나사홈(32)의 내부 끝단과 삽입핀(34)의 두부(341) 사이에 개재되는 내측탄성체(35);
    상기 나사홈(32)에 삽입되고 삽입핀(34)의 두부(341)와 볼트(33)의 끝단 사이에 개재되는 외측탄성체(3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3. 원통형 관체로 되며 상부에 호스(A1)가 연결되고 하부에 삽입부(11)가 형성된 플러그(10);
    다수의 원통형 관체가 중첩된 형태로 되며 하부에 다른 호스(A2)가 연결되고 상부에 플러그(10)의 삽입부(11)가 삽입되는 입구가 형성되며 입구의 내부는 플러그(10)의 삽입시 삽입부(11)를 탄성 가압하여 클램핑하는 콜렛(20);
    상기 콜렛(20)에 클램핑된 플러그(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장치(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방지장치(30)는,
    상기 플러그(10)의 삽입부(11) 끝단에 형성되고 외주 면으로 따라 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절개홈(31);
    상기 콜렛(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클램핑된 플러그(10)의 절개홈(31)에 삽입되는 격판(37);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4. 삭제
KR1020150056676A 2015-04-22 2015-04-22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KR10168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76A KR101682486B1 (ko) 2015-04-22 2015-04-22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76A KR101682486B1 (ko) 2015-04-22 2015-04-22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75A KR20160125775A (ko) 2016-11-01
KR101682486B1 true KR101682486B1 (ko) 2016-12-05

Family

ID=5748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676A KR101682486B1 (ko) 2015-04-22 2015-04-22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172A (ja) * 1998-12-28 2000-07-14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カプラ
JP2001082656A (ja) * 1999-09-16 2001-03-30 Bridgestone Corp ホース継手金具
JP2002114242A (ja) 2000-10-11 2002-04-16 Surpass Kogyo Kk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2004316710A (ja) 2003-04-14 2004-11-11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管継手部の回転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3172A (ja) * 1998-12-28 2000-07-14 Tokai Rubber Ind Ltd クイックカプラ
JP2001082656A (ja) * 1999-09-16 2001-03-30 Bridgestone Corp ホース継手金具
JP2002114242A (ja) 2000-10-11 2002-04-16 Surpass Kogyo Kk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2004316710A (ja) 2003-04-14 2004-11-11 Waterworks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 Co Ltd 管継手部の回転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75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71B1 (ko) 수전의 설치구조
KR101654858B1 (ko) 수전의 결합구조
KR20180001632U (ko)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101682486B1 (ko) 회전방지기능을 갖는 퀵 커플러
KR101742264B1 (ko) 스프링클러의 설치구조
US7419190B1 (en) Universal water meter connector assembly
US8408240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US10428980B2 (en) Sanitary line attachment
JP2003074779A (ja) 樹脂パイプと継手の接続構造
KR102323543B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KR102051587B1 (ko) 노즐 일체형 분사기를 연결한 장대형 넓은 면적 분사장치
KR20170054122A (ko) 정수기용 피팅장치
KR101122113B1 (ko) 전선관 커플링
US8408241B2 (en) Wall-mounted faucet that is available for water supply lin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sizes
US5299838A (en) Pipe connection with clip assembly having pivoting plates
KR101881210B1 (ko) 파이프 연결용 탑 조인트 링
JP2003343765A (ja) 継手装置
KR101710946B1 (ko) 피팅 장치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447122Y1 (ko) 스프링클러용 호스연결관
KR20039660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101483172B1 (ko) 호스 연결구
JP2010007862A (ja) パイプの連結構造
KR200401645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170004410U (ko) 밸브 일체형 스프링클러용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