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786Y1 -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786Y1
KR200399786Y1 KR20-2005-0018905U KR20050018905U KR200399786Y1 KR 200399786 Y1 KR200399786 Y1 KR 200399786Y1 KR 20050018905 U KR20050018905 U KR 20050018905U KR 200399786 Y1 KR200399786 Y1 KR 200399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aucet
connector
water supply
supply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5-0018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급수호스와 수도꼭지를 연결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가 개시된다. 홀더장치는 연결구와 고정구와 스프링과 걸이구 및 수도꼭지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연결구에는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내부에 작동부를 갖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작동부에는 패킹과 고정구가 연이어 설치된다. 고정구의 전방에는 제1,2슬리이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슬리이브의 제1이탈방지구요홈과 제2슬리이브의 제2이탈방지구요홈에는 이탈방지구가 설치된다. 제1슬리이브 외주연에는 제1,2슬리이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구가 설치된다. 수도꼭지에는 제1,2슬리이브가 끼워져 고정되고, 분리되는 수도꼭지결합구가 나사체결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수도꼭지에 결합된 수도꼭지결합구의 연결관에 홀더장치의 연결구를 원터치로 간편하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어 조립성 향상 및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홀더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더장치가 수도꼭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HOLDER DEVICE FOR CONNECTION OF A TAP AND WATER SUPPLY HOSE}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더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수도꼭지에 홀더장치를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홀더장치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더장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공급하는 수도꼭지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의 급수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수도꼭지와 급수호스를 견고하게 결합하고 이탈 및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수도꼭지와 급스호스 사이에는 별도로 구성된 홀더장치가 결합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장치(100)는 고정구(110), 결합구(120) 및 연결구(130)로 이루어진다.
고정구(110)는 수도꼭지(200)의 끝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 둘레에는 스크류(119)를 이용하여 수도꼭지(200)에 고정하도록 복수개의 스크류체결공(112)이 형성된다. 고정구(110)의 내측둘레면에는 수도꼭지(200)에 고정시 수도꼭지(200)의 끝단이 기밀접촉되도록 고무패킹(114)이 끼워져 있으며, 고정구(11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연결구(130)를 나사조임하도록 고정구 나사산(116)이 형성된다.
결합구(120)는 급수호스(140)의 끝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 둘레에는 복수개의 볼삽입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각 볼삽입공(121)에는 볼(122)이 삽입되어 있으며, 결합구(120)의 외측 상부에는 스프링(126)의 탄력을 받아 수직이동가능하게 작동부(125)가 설치된다. 작동부(125)의 내측둘레에는 작동부(125)가 상부로 수직이동될 때 각 볼(122)을 내측방향으로 수평가압시켜 주도록 돌기(127)가 형성된다.
연결구(130)는 고정구(110)와 결합구(120)를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상부 내측둘레면에는 고정구(110)에 형성된 고정구 나사산(116)에 나사조임되도록 연결구 나사산(132)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외측둘레면에는 결합구(120)의 각 볼삽입공(121)으로 삽입된 볼(122)의 일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홀더장치(100)는, 고정구(110)의 내측둘레면에 끼워진 고무패킹(114)에 수도꼭지(200)의 끝단이 접촉되도록 고정구(110)의 상부 내경으로 수도꼭지(200)의 끝단부를 끼운 다음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구(110)의 상부둘레에 형성된 각 스크류체결공(112)으로 스크류(119)를 체결하면 고정구(110)가 수도꼭지(200)에 고정되는데, 도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수도꼭지(200)에 고정구(110)를 고정한 상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수도꼭지에도 전술한 바와같은 과정에 의해 고정구를 고정함은 가능하다.
계속해서, 연결구(130)의 상부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연결구 나사산(132)의 상단을 고정구(110)의 하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고정구 나사산(116)의 하단에 가볍게 접촉시킨 다음 연결구(13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구 나사산(132) 및 고정구 나사산(116)으로 인하여 연결구(130)가 고정구(110)에 나사조임된다.
이와 같이, 수도꼭지(200)에 고정구(110)가 고정되고, 고정구(110)에 연결구(130)가 나사조임되면, 급수호스(140)에 고정된 결합구(120)를 연결구(13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결합구(120)에 스프링(126)으로 탄력설치된 작동부(125)를 하부로 밀으면 작동부(125)가 스프링(126)의 탄력을 받으면서 하부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결합구(120)를 연결구(130)가 있는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연결구(130)의 하부가 결합구(120)의 상부 내측둘레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부(125)의 하부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작동부(125)는 스프링(126)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다시 이동하는데, 이때에는 작동부(125)의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돌기(127)가 결합구(120)의 각 볼삽입공(121)에 삽입된 볼(122)을 내측방향으로 수평가압시키므로 각 볼(122)의 일부가 볼삽입공(121)을 통해 연결구(130)의 하부 외측둘레면에 형성된 걸림홈(136)으로 끼워져 걸리고, 이에따라 결합구(120)가 연결구(130)에 결합되면서 수도꼭지(200)에 급수호스(140)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급수호스(140)가 수도꼭지(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도꼭지(200)의 밸브를 열게되면 물이 수도꼭지(200)를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이 흘러나오는 물은 급수호스(140)에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급수호스(140)를 결합시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급수호스(140)를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구(130)에 결합된 결합구(120)만 분리시키면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결합구(120)에 설치된 작동부(125)를 하부로 밀어 이동시켜 볼(122)의 내측방향 수평가압력을 해제한 다음, 결합구(12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연결구(130)와 분리시키면 된다. 그리고, 연결구(130)와 분리된 결합구(120)는 결합구(120)에 설치된 작동부(125)를 별도의 걸림부재(도시안됨)에 걸어 보관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홀더장치(100)는, 결합구(120)를 연결구(130)에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 결합구(120)에 설치된 작동부(125)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결합구(120)를 연결구(130)가 있는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려 연결구(130)의 하부가 결합구(120)의 상부 내측둘레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결합구(120)와 연결구(130)의 조립작업이 오래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도꼭지(200)에 홀더장치(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 및 기타 물품과의 접촉에 의해 작동부(125)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에 의해 작동부(125)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부(125)의 이동에 의해 결합구(120)가 연결구(130)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홀더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도꼭지에 홀더장치를 원터치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홀더장치에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더장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급수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홀더장치로서,
급수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 및 끼움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결합부에는 내부에 작동부가 형성되고, 작동부의 내주연 일측 끝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걸림홈의 타측으로는 고정구홈과 패킹홈 및 밀착홈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구;
패킹홈에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작동부에 결합되며, 고정구홈에 밀착되고, 내부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스프링홈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이탈방지구수용홈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위치홈이 형성되며, 이탈방지구위치홈과 이탈방지구수용홈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구;
스프링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수도꼭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결합구; 및
상기 연결구의 상기 작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수도꼭지결합구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작동수단은, 작동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연결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지지단의 타측으로는 중앙 외주연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고정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편의 끝단부에는 제1이탈방지구요홈이 형성된 제1슬리이브;
제1슬리이브의 타단에 설치되며, 일측 전면에는 제1이탈방지구요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이탈방지구요홈이 형성되고, 중앙 내부에는 스프링이 지지될 수 있게 스프링지지홈이 단턱지게 형성된 제2슬리이브;
제1이탈방지구요홈과 상기 제2이탈방지구요홈 사이에 설치되며, 수도꼭지결합구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이탈방지구; 및
제1슬리이브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결합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결합편의 선단 내주면에는 이탈방지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연결구의 걸림홈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는 수도꼭지에 홀더장치를 산속하게 체결 또는 분해시킬 수 있고, 외력에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A)는 연결구(10), 고정구(20), 작동수단(30), 스프링(S) 및 수도꼭지결합구(90)로 이루어진다.
연결구(10)는 급수호스(H)와 수도꼭지(T)를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급수호스(H)에 삽입될 수 있게 외주연에 끼움돌기(12A)를 갖는 끼움부(12)가 형성된다. 끼움부(12)의 일단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된다. 결합부(13)의 내부에는 작동부(14)가 형성된다. 작동부(14)의 내주연 일측 끝단부에는 걸림홈(15)이 형성된다. 걸림홈(15)의 타측으로는 고정구홈(16)과 밀착홈(18)이 단차지게 연이어 형성된다. 고정구홈(16)과 밀착홈(18) 사이에는 패킹(P1)이 결합되는 패킹홈(17)이 형성된다. 결합부(13)의 외주연 일측 끝단부에는 걸이홈(19)이 형성된다.
고정구(20)는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구홈(16)에 타측면이 밀착되고 내부에는 스프링(S)이 설치되는 스프링홈(21)이 형성된다. 스프링홈(21)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수용홈(23)이 형성되고, 이탈방지구수용홈(23)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위치홈(25)이 형성된다. 이탈방지구위치홈(25)과 이탈방지구수용홈(23) 사이에는 후술할 작동수단(30)의 동작에 의해 이탈방지구(60)가 이탈방지구수용홈(23)에 안내되어 수용될 수 있게 경사부(27)가 형성된다. 이탈방지구위치홈(25)의 일측에는 이탈방지단(29)이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단(29)은 이탈방지구(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수단(30)은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 결합된 고정구(20)의 전방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S)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으로, 제1슬리이브(40)와, 제2슬리이브(50), 이탈방지구(60) 및 결합구(70)로 이루어진다.
제1슬리이브(40)는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연결구(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단(41)이 형성된다. 지지단(41)의 타측으로는 중앙 외주연에 이탈방지돌기(46)가 형성된 고정편(45)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편(45)의 끝단부에는 제1이탈방지구요홈(47)이 형성된다.
제2슬리이브(50)는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 설치된 제1슬리이브(40)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슬리이브(40)의 타단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일측 전면에는 제1이탈방지구요홈(47)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이탈방지구요홈(52)이 형성된다. 중앙 내부에는 스프링(S)이 지지될 수 있게 스프링지지홈(54)이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탈방지구(60)는 제1이탈방지구요홈(47)과 제2이탈방지구요홈(5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의 구로 형성되며, 제1슬리이브(40)의 제1이탈방지구요홈(47)과 제2슬리이브(50)의 제2이탈방지구요홈(52)에 각각 접촉되고,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슬리이브(40)에 의해 타측으로 밀리면서 경사부(27)를 따라 이동되어 제1,2슬리이브(40),(50)의 내부에 결합되는 수도꼭지결합구(90)를 걸림 또는 해제시킨다.
결합구(70)는 제1슬리이브(4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결합편(7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결합편(72)의 선단 내주면에는 이탈방지돌기(46)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73)가 형성된다. 결합편(72)의 선단 외주면에는 연결구(10)의 걸림홈(15)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74)가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홈(15)에 결합된 결합구(70)는 외부에서 외력을 가하여도 걸림홈(15)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스프링(S)은 제2슬리이브(40)의 스프링지지홈(54)과 고정구(20)의 스프링홈(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2슬리이브(40)의 스프링지지홈(54)에 설치되고, 타단은 고정구(20)의 스프링홈(21)에 설치되어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수단(30)을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한편, 연결구(10)의 걸이홈(19)에는 걸이구(80)가 결합된다.
걸이구(80)는 걸이홈(19)에 결합될 수 있게 내측면 중앙에 삽입돌기(82)가 형성된다. 외주면 일측에는 걸이부(84)가 일체로 형성된다.
수도꼭지결합구(90)는 수도꼭지(T)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부(91)와, 연결부(95)로 이루어진다.
고정부(91)는 수도꼭지(T)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주면에는 수도꼭지(T)에 형성된 숫나사부(T1)에 체결될 수 있게 암나사부(92)가 형성된다. 내부 중앙에는 관통공(9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회전손잡이(94)가 형성된다.
연결부(95)는 고정부(91)의 관통공(93)에 삽입되는 것으로, 관통공(93)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림부(96)가 형성된다. 걸림부(96)의 타단에는 제1,2슬리이브(40),(5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관(97)이 형성된다. 연결관(97)의 중앙에는 이탈방지구(60)가 끼워져 걸리도록 이탈방지구걸림홈(97A)이 형성된다. 걸림부(96)의 일단에는 패킹결합부(98)가 돌출 형성된다. 패킹결합부(98)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P2)이 결합된다.
한편, 급수호스(H)의 내부에 결합된 연결구(10)의 끼움부(12)는 급수호스(H)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압착구(H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수도꼭지결합구에 홀더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수도꼭지결합구에 홀더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수도꼭지결합구에서 홀더장치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 패킹(P1)과 고정구(20)와 스프링(S) 및 작동수단(30)을 결합시킨 다음, 연결구(10)의 결합부(13) 외주연에 걸이구(80)를 결합시킨다. 이때, 스프링(S)은 고정구(20)의 스프링홈(21)과 제2슬리이브(50)의 스프링지지홈(54)에 설치되어 작동수단(30)을 탄력지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구(10)의 끼움부(12)를 급수호스(H)의 내부에 삽입시킨 다음, 압착구(H1)로 끼움부(12)를 고정시킨다. 그러면, 끼움부(12)의 끼움돌기(12A)에 의해 끼움부(12)와 급수호스(H)가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연결구(10)의 끼움부(12)에 급수호스(H)가 압착구(H1)로 고정 설치되고, 수도꼭지(T)에는 수도꼭지결합구(9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도꼭지결합구(90)의 연결부(95)에 홀더장치(A)를 결합시킬 경우, 도 4a와 같이 수도꼭지(T)에 설치된 수도꼭지결합구(90)의 연결관(97)에 홀더장치(A)를 위치시킨다. 그러면, 작동부(14)에 설치된 제1,2슬리이브(40),(50)의 내부에 연결관(97)이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구(60)는 연결관(97)의 이탈방지걸림홈(97A)의 타측에 형성된 안내돌기(97B)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홀더장치(A)의 연결구(10)를 수도꼭지(T)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연결구(10)의 이동에 의해 안내돌기(97B)에 위치하고 있는 이탈방지구(60)는 안내돌기(97B)에 의해 제2슬리이브(50)와 같이 경사부(27)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였다가 이탈방지걸림홈(97A)에 위치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이탈방지걸림홈(97A)에 끼워져 걸리고, 이에 따라 연결구(10)가 연결관(97)에 결합되면서, 수도꼭지(T)에 급수호스(H)의 결합이 완료된다(도 4b참조).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급수호스(H)가 수도꼭지(T)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도꼭지(T)의 밸브를 열게되면 물이 수도꼭지(T)를 통해 흘러나오게 되고 이 흘러나오는 물은 홀더장치(A)를 통해 급수호스(H)에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도꼭지(T)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은 수도꼭지결합구(90)의 패킹(P1)과 연결구(10)에 결합된 패킹(P1)에 의해 누수 및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수도꼭지(T)에 급수호스(H)를 결합시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급수호스(H)를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수단(30)의 제1슬리이브(40)에 외력을 가한다. 그러면, 제1슬리이브(40)는 연결구(10)의 작동부(14) 내측으로 이동되고, 제1슬리이브(40)의 누름동작에 의해 제2슬리이브(50)도 같이 이동하게 되며, 제1이탈방지구요홈(47)과 제2이탈방지구요홈(52)에 설치되어 고정구(20)의 이탈방지구위치홈(25)에 위치하고 있는 이탈방지구(60)는 경사부(27)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구(20)의 이탈방지구수용홈(23)에 수용되어 연결관(97)의 이탈방지걸림홈(97A)에 걸려있던 이탈방지구(6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스프링홈(21)과 스프링지지홈(54)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S)은 작동수단(30)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는 상태가 된다(도 4c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수단(30)이 설치된 연결구(10)를 잡아당겨 수도꼭지결합구(90)의 연결관(97)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이렇게, 연결관(97)으로부터 연결구(10)가 분리되면, 제1슬리이브에 가해졌던 외력을 소멸시킨다. 그러면, 스프링홈(21)과 스프링지지홈(54) 사이에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S)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2슬리이브(40),(50)를 원래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제1,2슬리이브(40),(50)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고정구(20)의 이탈방지구수용홈(23)에 수용되어 있던 이탈방지구(60)는 경사부(27)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탈방지구위치홈(25)에 위치하고, 제1슬리이브(40)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6)은 결합구(70)의 결합돌기(74)에 걸려서 제1슬리이브(40)가 연결구(10)의 작동부(14)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관(97)에서 분리된 연결구(10)는 연결구(10)에 설치된 걸이구(80)의 걸이부(84)를 별도의 걸이부재(도시안됨)에 걸어 보관하면 된다.
이와 같은, 홀더장치는 수도꼭지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키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에서는,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연결구와, 연결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구와, 고정구의 전방에 설치되는 작동수단과, 작동수단이 결합되고 수도꼭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결합구로 구성하여 수도꼭지에 결합된 수도꼭지결합구의 연결관에 홀더장치의 연결구를 원터치로 간편하게 결합/분리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에 결합되어 있는 홀더장치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홀더장치가 수도꼭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로서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홀더장치 10 : 연결구
12 : 끼움부 13 : 결합부
14 : 작동부 15 : 걸림홈
16 : 고정구홈 17 : 패킹홈
18 : 밀착홈 19 : 걸이홈
20 : 고정구 21 : 스프링홈
23 : 이탈방지구수용홈 25 : 이탈방지구위치홈
27 : 경사부 30 : 작동수단
40 : 제1슬리이브 41 : 지지단
45 : 고정편 46 : 이탈방지돌기
47 : 제1이탈방지구요홈 50 : 제2슬리이브
52 : 제2이탈방지구요홈 54 : 스프링지지홈
60 : 이탈방지구 70 : 결합구
72 : 결합편 73 : 후크
74 : 결합돌기 80 : 걸이구
82 : 삽입돌기 84 : 걸이부
90 : 수도꼭지결합구 T : 수도꼭지
H : 급수호스

Claims (4)

  1. 수도꼭지와 급수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홀더장치로서,
    상기 급수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에는 내부에 작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내주연 일측 끝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의 타측으로는 고정구홈과 패킹홈 및 밀착홈이 연이어 단이지게 형성된 연결구;
    상기 패킹홈에 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상기 작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구홈에 밀착되고, 내부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홈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구수용홈의 일측으로는 이탈방지구위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구위치홈과 상기 이탈방지구수용홈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고정구;
    상기 스프링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수도꼭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결합구; 및
    상기 연결구의 상기 작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로 상기 수도꼭지결합구를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작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의 타측으로는 중앙 외주연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고정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고정편의 끝단부에는 제1이탈방지구요홈이 형성된 제1슬리이브;
    상기 제1슬리이브의 타단에 설치되며, 일측 전면에는 상기 제1이탈방지구요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제2이탈방지구요홈이 형성되고, 중앙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지지될 수 있게 스프링지지홈이 단턱지게 형성된 제2슬리이브;
    상기 제1이탈방지구요홈과 상기 제2이탈방지구요홈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도꼭지결합구를 걸림 또는 해제시키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제1슬리이브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결합편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선단 내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구의 걸림홈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결합부 외주연 일측 끝단부에는 걸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에는 내측면 중앙에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걸이부가 일체로 형성된 걸이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2005-0018905U 2005-06-29 2005-06-29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399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05U KR200399786Y1 (ko) 2005-06-29 2005-06-29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905U KR200399786Y1 (ko) 2005-06-29 2005-06-29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749 Division 2005-06-29 2005-06-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786Y1 true KR200399786Y1 (ko) 2005-10-28

Family

ID=437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905U KR200399786Y1 (ko) 2005-06-29 2005-06-29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7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94B1 (ko) 2010-04-21 2012-06-04 여신동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0469536Y1 (ko) 2012-02-14 2013-10-17 장한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94B1 (ko) 2010-04-21 2012-06-04 여신동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0469536Y1 (ko) 2012-02-14 2013-10-17 장한규 세탁기의 급수호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478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US6685230B1 (en) Rapid connection for tubes
US7770940B2 (en) Coupling part for a plug connector arrangement
KR101964019B1 (ko) 원터치식 연결니플 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JPS5949477B2 (ja) ユニオン継手
KR102134554B1 (ko)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EP1185815B1 (en) Rapid connection for tubes
KR20039660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401644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102086926B1 (ko) 원터치식 체결구조를 갖춘 샤워기 헤드
KR200401645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KR200482672Y1 (ko) 샤워기 호스 연결장치
KR102367069B1 (ko) 싱크대용 수전과 토출관의 원터치 연결장치
US5280963A (en) Coupler for appliance hose
JP3711246B2 (ja)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JPH05266947A (ja) 接続器の結合及び同解除装置
KR200351506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2002267080A (ja)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200351505Y1 (ko) 호스 연결구조물
KR101634506B1 (ko) 개량형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JP2002267076A (ja) 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101559545B1 (ko) 비데 급수관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