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505Y1 - 호스 연결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505Y1
KR200351505Y1 KR20-2004-0005479U KR20040005479U KR200351505Y1 KR 200351505 Y1 KR200351505 Y1 KR 200351505Y1 KR 20040005479 U KR20040005479 U KR 20040005479U KR 200351505 Y1 KR200351505 Y1 KR 200351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hose
coupled
connecting member
slee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4-0005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호스와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 연결구조물이 개시된다.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70) 및 호스 연결관(8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의 일단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타단에는 호스부재(70)가 나사 결합된다.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는 제 1슬리이브(20)와 제 2슬리이브(30)가 이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제 1슬리이브(20)와 제 2슬리이브(30)의 사이에는 이탈방지구(40)가 각각 설치된다. 이탈방지구(40)와 접촉되는 제 1슬리이브(20)의 단부에는 제 1경사부(26)가 형성된다. 제 1경사부(2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 2슬리이브(30)의 단부에는 이탈방지구(40)가 수용되는 이탈방지홈(32)이 각각 형성된다. 이탈방지홈(32)에는 제 1경사부(26)와 대응되는 제 2경사부(3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호스 연결구조물은 제 1,2슬리이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가 제 1,2슬리이브에 의해 이동되어 연결부재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 1,2슬리이브의 내부에는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을 강하게 조여 조임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호스 연결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이브를 제 1슬리이브와 제 2슬리이브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설치함으로써, 제 1,2슬리이브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연결부재를 경량화 할 수 있고, 결합시에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주로 싱크대 본체 및 세면대에 설치된 수도 본체와 연결되고, 외부 배관과 연결되어 싱크대 본체 및 세면대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와 외부 배관에 연결되는 호스의 사이에는 호스와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호스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구조물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연결구조물(100)은 연결부재(200)와 호스부재(300) 및 호스 연결관(40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00)는 슬리이브(210), 이탈방지구(220), 탄성부재(230) 및 안전구(24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00)는 호스부재(300)와 호스 연결관(400)을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00)의 일단에는 걸림단(201)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0)의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202)가 형성된다. 결합부(202)의 중간부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20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04)의 끝단에는 수용홈부(205)가 형성된다. 결합부(202)의 타측 끝단에는 안착단(206)이 형성된다. 안착단(206)의 타측으로는 패킹(P2)이 결합되는 패킹홈(20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0)의 타단 내측에는 수도 본체(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 호스부재(30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9)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이브(210)는 연결부재(200)의 결합부(202)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슬리이브(210)의 일단에는 지지단(2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단(212)의 타측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단(214)이 형성된다. 슬리이브(210)의 중간부에는 이탈방지공(216)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탈방지공(216)은 외측 직경보다 내측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슬리이브(210)의 타단 내부에는 탄성부재(230)가 설치되는 설치홈(2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이브(210)는 이탈방지단(214)이 연결부재(200)의 걸림단(201)에 걸려 결합부(202)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구(220)는 슬리이브(210)의 이탈방지공(216)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의 구로 형성되고, 슬리이브(210)의 이탈방지공(216)에 각각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10)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이탈방지공(216)에 수용되면서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400)을 걸림/해제시킨다.
그리고, 탄성부재(230)는 슬리이브(210)의 설치홈(218)과 결합부(202)의 안착단(20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슬리이브(210)의 설치홈(218)에 설치되고, 타단이 결합부(202)의 안착단(206)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안전구(240)는 연결부재(200)와 지지단(212)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슬리이브(21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개구된 일면에는 고정홈부(242)가 일정깊이의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홈부(242)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고정홈부(242)에 결합되는 고정구(24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부(242)에 결합된 고정구(244)는 외부에서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홈부(24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240)는 사용용도를 구별할 수 있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부재(300)는 연결부재(200)의 나사부(209)에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310)의 끝단에는 나사부(322)가 구비된 결합구(3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가 나사결합되었을 경우, 연결부재(200)와 호스부재(30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P1)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 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호스 연결관(400)은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410)의 끝단에는 압착구(420)에 의해 연결구(430)가 고정 결합된다. 연결구(430)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이탈방지턱(432)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연결구(430)의 이탈방지턱(432)이 슬리이브(210)에 설치된 이탈방지구(220)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은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호스 연결구조물(100)에는 수도 본체에 연결된 호스부재(300)와 외부 배관에 연결된 호스 연결관(400)이 각각 결합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가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200)의 타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209)에 호스부재(300)의 결합구(320)에 형성된 나사부(322)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200)와 결합구(32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P1)이 결합된다.
한편, 연결부재(200)에 호스 연결관(400)이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200)의 결합부(20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400)이 삽입된다. 이때, 호스 연결관(400)의 연결구(43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32)이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된 이탈방지구(220)를 밀면서 삽입되고, 연결구(430)의 이탈방지턱(432)에 의해 밀리는 이탈방지구(220)가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구(220)의 일부분이 이탈방지공(216)을 벗어나 수용홈부(205)에 수용되어 연결구(430)가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결합된다. 계속해서, 슬리이브(210)도 결합부(202)의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슬리이브(210)의설치홈(218)과 안착단(206)에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30)는 슬리이브(210)의 이동에 의해 수축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완전히 결합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23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슬리이브(210)가 원위치 된다. 이때, 연결부재(200)의 수용홈부(20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220)가 슬리이브(210)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공(216)에 다시 수용되고, 이탈방지공(216)에 수용된 이탈방지구(220)의 일부분이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연결구(430)의 이탈방지턱(432)에 걸리게 되므로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슬리이브(210)는 연결부재(200)의 걸림단(210)에 이탈방지단(214)이 걸리게 되어 결합부(20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은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이렇게,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와 호스 연결관(400)이 각각 결합되면 연결부재(200)와 슬리이브(210)의 지지단(212) 사이에 안전구(240)가 고정 설치되어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안전구(240)의 고정홈부(242)에 고정구(244)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구(244)가 고정홈부(24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 연결구조물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슬리이브를 제작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리이브에 이탈방지구가 수용될 수 있는 이탈방지공이 필요했기 때문에 슬리이브의 직경이 두꺼워져 상대적으로 연결부재의직경이 커져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슬리이브의 내부로 돌출되는 이탈방지구의 돌출부위가 작아져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에 일부 이탈방지구만이 걸리게 되어 조임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슬리이브를 제 1슬리이브와 제 2슬리이브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설치함으로써, 슬리이브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연결부재를 경량화 할 수 있고, 제 1,2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을 이탈방지구로 강하게 조여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a는 연결부재에 호스 연결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연결부재에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c는 연결부재에서 호스 연결관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연결부재 12 : 결합부
20 : 제 1슬리이브 26 : 제 1경사부
30 : 제 2슬리이브 32 : 이탈방지홈
34 ; 제 2경사부 40 : 이탈방지구
70 : 호스부재 80 : 호스 연결관
90 : 호스 연결구조물 S : 슬리이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을 이탈방지구로 제어하기 위한 슬리이브로 이루어진 호스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는 제 1슬리이브와 제 2슬리이브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제 1슬리이브와 상기 제 2슬리이브의 사이에는 이탈방지구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탈방지구와 접촉되는 상기 제 1슬리이브의 단부에는 일정 경사각도로 제 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슬리이브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수용되는 이탈방지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홈에는 상기 제 1경사부와 대응되어서 상기 제 1슬리이브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구가 외측으로 밀리도록 제 2경사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 연결구조물은 연결부재의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이브를 제 1슬리이브와 제 2슬리이브로 각각 분할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각각 설치하여 제 1,2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을 이탈방지구로 강하게 조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70) 및 호스 연결관(8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는 제 1슬리이브(20), 제 2슬리이브(30), 이탈방지구(40), 탄성부재(50) 및 안전구(6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는 호스부재(70)와 호스 연결관(80)을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연결부재(10)의 일단에는 걸림단(11)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중간부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4)의 끝단에는 수용홈부(15)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타측끝단에는 안착단(16)이 형성된다. 안착단(16)의 타측으로는 패킹(P2)이 결합되는 패킹홈(1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타단 내측에는 수도 본체(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 호스부재(7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슬리이브(20)는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지지단(22)이 돌출 형성된다. 제 1슬리이브(20)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단(24)이 형성된다. 제 1슬리이브(20)의 타단에는 일정한 경사각도로 제 1경사부(2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슬리이브(20)는 연결부재(10)의 걸림단(11)에 제 1슬리이브(20)의 이탈방지단(24)이 걸리게 되어 결합부(12)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 2슬리이브(30)는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설치된 제 1슬리이브(20)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슬리이브(20)의 타단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일단에는 안쪽으로 움푹들어가게 이탈방지홈(32)이 각각 형성된다. 이탈방지홈(32)에는 제 1경사부(26)와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는 제 2경사부(34)가 각각 형성된다. 제 2슬리이브(30)의 타단 내부에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되는 설치홈(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탈방지구(40)는 제 1슬리이브(20)와 제 2슬리이브(3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의 구로 형성되며, 제 1슬리이브(20)의 제 1경사부(26)에 접촉되고, 제 2슬리이브(30)의 이탈방지홈(32)에 수용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 1슬리이브(20)의 제 1경사부(26)와 제 2슬리이브(30)의 제 2경사부(34)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어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80)을 걸림/해제시킨다.
또한, 탄성부재(50)는 제 2슬리이브(30)의 설치홈(36)과 결합부(12)의 안착단(1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제 2슬리이브(30)의 설치홈(36)에 설치되고, 타단이 결합부(12)의 안착단(16)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 1,2슬리이브(20,3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안전구(60)는 연결부재(10)와 지지단(22)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제 1,2슬리이브(20,3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개구된 일면에는 고정홈부(62)가 일정깊이의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홈부(62)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고정홈부(62)에 결합되는 고정구(6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부(62)에 결합된 고정구(64)는 외부에서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홈부(6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60)는 사용용도를 구별할 수 있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부재(70)는 연결부재(10)의 나사부(19)에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72)의 끝단에는 나사부(75)가 구비된 결합구(74)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0)에 호스부재(70)가 나사 결합되었을 경우,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7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P1)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 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호스 연결관(80)은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82)의 끝단에는 압착구(84)에 의해 연결구(86)가 고정 결합된다. 연결구(86)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이탈방지턱(87)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호스 연결관(80)이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연결구(86)의 이탈방지턱(87)이 제 1,2슬리이브(20,30)의 사이에 설치된 이탈방지구(40)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8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80)은 연결부재(1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3a,3b,3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a에는 연결부재에 호스 연결관이 결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연결부재에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c에는 연결부재에서 호스 연결관이 분리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3b,3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의 타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9)에 호스부재(70)의 결합구(64)에 형성된 나사부(75)가 나사 결합되고, 연결부재(10)와 결합구(74)의 사이에 패킹(P1)이 결합되어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0)에 호스 연결관(80)이 결합되는 경우, 먼저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설치된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80)이 삽입되어 연결구(86)에 형성된 이탈방지턱(87)이 제 1,2슬리이브(20,30)의 사이에 설치된 이탈방지구(40)를 밀게 된다.
이때, 제 2슬리이브(30)의 이탈방지홈(32)에 수용된 이탈방지구(40)가 연결구(86)의 이탈방지턱(87)에 의해 밀리고, 이탈방지홈(32)에 형성된 제 2경사부(34)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어 이탈방지구(40)의 일부분이 이탈방지홈(32)을 벗어나 결합부(12)의 내주연에 형성된 수용홈부(15)에 수용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제 2슬리이브(30)가 결합부(12)의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제 2슬리이브(30)의 설치홈(36)과 안착단(16)에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0)가 제 2슬리이브(30)의 이동에 의해 수축되면서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80)의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호스 연결관(80)은 연결부재(10)의 내부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렇게,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80)의 삽입이 완료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5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 2슬리이브(30)를 제 1슬리이브(20)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0)의 수용홈부(1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40)가 제 2슬리이브(30)에 의해 이동되어 수용홈부(15)에서 이탈되고,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제 2경사부(34)를 따라 이탈방지홈(32)에 수용된다,
이때, 제 2슬리이브(30)의 이탈방지홈(32)에 수용된 이탈방지구(40)가 연결구(86)의 이탈방지턱(87)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80)이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서 강하게 조임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렇게,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80)의 결합이 완료되면 연결부재(10)와 제 1슬리이브(20)에 형성된 지지단(22)의 사이에 안전구(60)를 고정 설치시킨다. 즉, 안전구(60)에 형성된 고정구(64)가 고정홈부(62)에 끼움 결합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안전구(60)는 한번 설치하면 재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사용자 및 기타 외부의 물체가 접촉하여도 제 1,2슬리이브(20,30)가 안전구(60)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60)에 색채를 가지도록 하여 호스 연결작업시 호스(72)와 호스(82)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0)의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결합된 호스 연결관(8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부재(10)와 제 1슬리이브(20)의 지지단(22) 사이에 고정 설치된 안전구(60)를 제거시키고, 제 1슬리이브(20)에 외력을 가하면 제 1슬리이브(20)가 결합부(12)의 안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 1슬리이브(20)에 의해 이탈방지구(40)와 제 2슬리이브(30)가 같이 밀리면서 제 2슬리이브(30)의 설치홈(36)과 연결부재(10)의 안착단(16)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0)는 수축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밀리는 이탈방지구(40)가 제 1슬리이브(20)에 형성된 제 1경사부(26)와 제 2슬리이브(30)의 제 2경사부(34)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수용홈부(15)에 수용되어 연결구(86)의 이탈방지턱(87)에 걸려있던 이탈방지구(4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 연결관(80)을 분리시키면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서 호스 연결관(80)이 분리된다.
이렇게,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서 호스 연결관(80)이 분리되어 제 2슬리이브(30)에 가해졌던 외력이 소멸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5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 1,2슬리이브(20,30)가 원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연결부재(10)의 수용홈부(1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40)도 제 2슬리이브(30)에 의해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어 제 2슬리이브(30)의 이탈방지홈(32)에 수용되고, 제 1슬리이브(20)에 형성된 이탈방지단(24)이 연결부재(10)의 걸림단(12)에 걸려서 제 1슬리이부(20)가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연결부재(10)의 내부에 제 1슬리이브(20)와 제 2슬리이브(30)를 각각 분할 설치하고, 제 1,2슬리이브(20,30)의 사이에 이탈방지구(40)를 설치하여 제 1,2슬리이브(20,30)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80)을 강하게 조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호스 연결구조물은 연결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슬리이브를 분활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이탈방지구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슬리이브의 직경을 두껍게 제작하지 않고서도 이탈방지구로 호스 연결관을 강하게 조여 조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부재(70)가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재(10), 상기 결합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80)을 이탈방지구(40)로 제어하기 위한 슬리이브(S)로 이루어진 호스 연결구조물(90)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S)는 제 1슬리이브(20)와 제 2슬리이브(30)로 각각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 1슬리이브(20)와 상기 제 2슬리이브(30)의 사이에는 이탈방지구(40)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40)와 접촉되는 상기 제 1슬리이브(20)의 단부에는 일정 경사각도로 제 1경사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슬리이브(30)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구(40)가 수용되는 이탈방지홈(3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홈(32)에는 상기 제 1경사부(26)와 대응되어서 상기 제 1슬리이브(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탈방지구(40)가 외측으로 밀리도록 제 2경사부(3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조물.
KR20-2004-0005479U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KR200351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79U KR200351505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79U KR200351505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505Y1 true KR200351505Y1 (ko) 2004-05-24

Family

ID=4934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479U KR200351505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5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2437A (en) Pipe coupling
JP2559233Y2 (ja) 管継手
KR100683478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JP5054956B2 (ja) 管継手
KR101626968B1 (ko) 파이프 연결구
JP3955274B2 (ja) ガスホースの連結構造物
KR101497283B1 (ko) 누설 방지용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KR200351505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2008106920A (ja) 管継手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JPH1182849A (ja) 配管着脱装置
JP2009092100A (ja) 管継手
WO2023173309A1 (zh) 线缆连接结构及线缆防水连接器
KR101441548B1 (ko) 유압 호스의 커플링 결합체
KR200351506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2002098276A (ja) 管継手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KR20140098967A (ko) 가압식 패킹부재를 이용한 배관 커플러
KR20130004728A (ko)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JP2011231930A (ja) 管継手
JPH05266947A (ja) 接続器の結合及び同解除装置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473400Y1 (ko) 파이프와 연결관의 연결장치
KR102663718B1 (ko) 파이프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탈착식 배관연결 접속구
KR20039660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