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728A -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 Google Patents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728A
KR20130004728A KR1020110065967A KR20110065967A KR20130004728A KR 20130004728 A KR20130004728 A KR 20130004728A KR 1020110065967 A KR1020110065967 A KR 1020110065967A KR 20110065967 A KR20110065967 A KR 20110065967A KR 20130004728 A KR20130004728 A KR 2013000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pressing
receiving portion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670B1 (ko
Inventor
송호찬
박범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6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에 파이프가 설치되는 수용부와 타단에 유압기기가 설치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피팅몸체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파이프와 함께 삽입되는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 해제를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한 상기 잠금부를 밀어 상기 슬리브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해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피팅몸체의 수용부에 파이프를 끼우면 수용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파이프를 고정하고, 반대로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된 잠금해제부를 통해 피팅몸체에서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어,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이 간단하게 한번에 이루어져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능률은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One touch fitting for 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팅몸체의 수용부에 파이프를 끼우면 수용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파이프를 고정하고, 반대로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된 잠금해제부를 통해 피팅몸체에서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펌프, 유압실린더 등의 유압기기에는 유압을 전달하는 파이프가 설치되는데, 이 파이프의 양단에는 이 파이프를 유압기기에 고정되게 하는 피팅(fitting)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는 용도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팅(20)은 직선 또는 엘보 등의 형상으로, 일단에 단턱(21a)과 체결구(22)를 형성하면서 타단에 유압기기가 설치되는 결속부(24)를 형성하는 피팅몸체(21)와, 상기 피팅몸체(21)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구(22)에 체결되고 내경이 테이퍼진 소켓(23)과, 상기 소켓(23)의 내경과 피팅몸체(21)의 일단 사이에 개재되고 외경이 테이퍼진 링 형상의 슬리브(25)를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팅(20)과 파이프(10)의 조립은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파이프(10)의 단부를 소켓(23)의 내경을 관통시켜 피팅몸체(21)의 일단과 슬리브(25) 사이에 끼운 다음, 스패너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구(22)와 소켓(23)이 완전히 조여지도록 체결하면, 피팅몸체(21)는 소켓(23) 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외경이 테이퍼진 슬리브(25)는 피팅몸체(21)의 일단에 형성된 단턱(21a)에 밀려 소켓(23)의 테이퍼진 내경에 따라 하강하면서 피팅몸체(21)의 일단에 끼워진 파이프(1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슬리브(25)의 가압을 통해 파이프(10)의 단부는 피팅(20)은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피팅(20)과 파이프(10)의 조립은 작업자가 스패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구(22)와 소켓(23)를 직접 회전시켜 조여야만 피팅(20)에 파이프(10)가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육체적인 힘에만 의존되는 조립작업은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또 작업자의 근골격계 이상 등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파이프가 설치되는 수용부와 타단에 유압기기가 설치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피팅몸체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파이프와 함께 삽입되는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 해제를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한 상기 잠금부를 밀어 상기 슬리브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해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안착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의 내경에 상기 슬리브부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홈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링에는 이 연결링의 양측에 서로 대응하도록 끼워져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잠금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잠금부의 고정편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둘레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해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고정편의 후방을 밀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걸리게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의 선단은 이 가압부에 의해 밀쳐지는 상기 고정편을 들어올리기 위한 테이퍼진 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경 및 가압부의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 및 가압부의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와 수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부의 내경에는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의 둘레를 물기 위한 요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팅몸체의 수용부에 파이프를 끼우면 수용부에 설치된 잠금부가 파이프를 고정하고, 반대로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된 잠금해제부를 통해 피팅몸체에서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어,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이 간단하게 한번에 이루어져 협소한 공간에서도 작업능률은 향상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종래 발명에 따른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과 파이프의 조립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과 파이프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에 파이프(100)가 설치되는 수용부(210)와 타단에 유압기기가 설치되는 결속부(220)를 구비하는 피팅몸체(200)가 형성된다.
상기 피팅몸체(200)는 상기 수용부(210) 및 결속부(220)를 관통하도록 연결하기 위해 중공(23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0)의 단부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210)의 내부에 상기 파이프(100)와 함께 삽입되는 원추형상의 슬리브부(300)가 상기 파이프(100)에 가압으로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100)의 둘레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슬리브부(300)의 내경에는 복수 개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100)의 둘레를 물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3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부(30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슬리브부(300)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210)의 둘레에 잠금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400)는 상기 수용부(210)의 둘레에 안착하는 연결링(410)과, 상기 연결링(410)의 내경에 상기 슬리브부(300)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0)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홈(211)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300)의 후방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고정편(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링(410)에는 이 연결링(410)의 양측에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핀공(411)에 끼워져 상기 수용부(210)에서 상기 잠금부(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500)이 더 구비된다.
또, 상기 슬리브부(300)의 고정해제를 위해 상기 수용부(210)의 단부에는 상기 슬리브부(300)의 후방을 가압한 상기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을 밀어 상기 슬리브부(300)에서 이격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부(600)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해제부(600)는 상기 파이프(100)를 관통시키기 위해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610)과, 상기 고정편(420)의 후방을 밀기 위해 상기 수용부(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620)와, 상기 가압부(620)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0)의 단부에 걸리게 하는 스토퍼(6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압부(620)의 선단은 이 가압부(620)에 의해 밀쳐지는 상기 고정편(420)을 들어올리기 위한 테이퍼진 안착부(621)가 더 구비된다.
또, 상기 수용부(210)의 내경 및 가압부(620)의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210) 및 가압부(620)의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212)와 수나사(622)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0)의 내부에 삽입된 가압부(620)가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편(420) 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부(300)는 상기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둘레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몸체(200)에 파이프(100)를 조립하기 전인 경우, 작업자는 파이프(100)의 일단 둘레에 슬리브부(300)를 끼우고, 이 슬리브부(300)를 외부에서 가압하면, 슬리브부(300)의 내경에 형성된 요철부(310)는 슬리브부(300)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파이프(100)의 둘레를 물게 되므로, 상기 슬리브부(300)는 파이프(100)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피팅몸체(200)의 수용부(210) 둘레에 형성된 관통홈(211)으로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을 끼워 잠금부(400)를 수용부(210)의 둘레에 설치되게 한다.
이때, 잠금부(400)의 연결링(410)은 수용부(210)의 둘레에 안착하게 되고, 수용부(210) 내에 삽입된 고정편(420)은 상기 연결링(410)의 내경에 수용부(210) 안쪽으로 휘어진 상태로 절곡되었기 때문에 고정편(420)은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연결링(410)의 양측에 형성된 핀공(411)에 안전핀(500)을 각각 끼워 고정하면, 수용부(210)에 설치된 잠금부(400)는 피팅몸체(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 다음으로 작업자는 잠금해제부(600)의 삽입공(610)으로 파이프(100)를 관통시키고, 이 잠금해제부(600)의 가압부(620)를 피팅몸체(200)의 수용부(210) 내에 삽입시켜 수용부(210)의 단부에 잠금해제부(60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용부(210)의 내경에는 암나사(212)가 형성되고, 가압부(620)의 둘레에는 수나사(6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210)의 암나사(212)에 가압부(620)의 수나사(622)를 체결시키면, 잠금해제부(600)는 가압부(620)가 고정편 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부(210)의 단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몸체(200)에 파이프(100)를 조립하는 경우, 슬리브부(300)가 설치된 파이프(100)를 피팅몸체(200)의 수용부(210)에 삽입시키면, 슬리브부(300)는 파이프(100)와 함께 잠금해제부(600)의 삽입공(610)과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을 차례로 통과하여 수용부(210) 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100)의 단부가 중공(230)에 끼워지면, 슬리브부(300)는 중공(230)의 입구측에 밀착되면서 파이프(100)와 중공(230) 사이의 틈을 막게 된다.
이때, 슬리브부(300)의 삽입으로 잠시 들어 올려졌던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은 탄성에 의해 다시 복귀하여 슬리브부(300)가 피팅몸체(200)에 고정되도록 슬리브부(300)의 후방을 파이프(100)가 끼워진 중공(230)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피팅몸체(200)의 수용부(210)에 삽입된 파이프(100)는 슬리브부(300)를 고정한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에 의해 피팅몸체(200)에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팅몸체(200)에서 파이프(100)의 분리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피팅몸체(200)의 수용부(210)에 체결된 잠금해제부(600)를 회전시켜 수용부(210) 내에 삽입된 가압부(620)가 잠금부(400)의 고정편(420)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가압부(620)의 선단이 고정편(420)의 후방을 밀게 되면, 슬리브부(300)의 후방에 위치한 고정편(420)은 가압부(620)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슬리브부(300)와 이격되면서 가압부(620)의 선단에 테이퍼진 안착부(621)에 얹혀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잠금해제부(600)의 스토퍼(630)가 수용부(210)의 단부에 닿게 되어 잠금해제부(600)의 회전에 의한 가압부(620)의 이동은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편(420)과 슬리브부(300)가 수용부(210) 내에서 이격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용부(210)에 삽입된 파이프(100)를 빼내면 피팅몸체(200)와 파이프(100)는 분리된다.
10: 유압호스 20: 피팅
21: 피팅몸체 21a:단턱
22: 체결구 23:소켓
24: 결속부 25:슬리브
100: 파이프 200: 피팅몸체
210: 수용부 211: 관통홈
212: 암나사 220: 결속부
230: 중공 300: 슬리브부
310: 요철부 400: 잠금부
410: 연결링 411: 핀공
420: 고정편 500: 안전핀
600: 잠금해제부 610: 삽입공
620: 가압부 621: 안착부
622: 수나사 630: 스토퍼

Claims (8)

  1. 일단에 파이프가 설치되는 수용부와 타단에 유압기기가 설치되는 결속부를 구비하는 피팅몸체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 둘레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파이프와 함께 삽입되는 슬리브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을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잠금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고정 해제를 위해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한 상기 잠금부를 밀어 상기 슬리브부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잠금해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안착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링의 내경에 상기 슬리브부 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둘레에 형성된 관통홈에 끼워져 상기 슬리브부의 후방을 가압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에는 이 연결링의 양측에 서로 대응하도록 끼워져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잠금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잠금부의 고정편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둘레가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는,
    상기 파이프를 관통시키기 위해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과,
    상기 고정편의 후방을 밀기 위해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걸리게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선단은 이 가압부에 의해 밀쳐지는 상기 고정편을 들어올리기 위한 테이퍼진 안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7.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경 및 가압부의 둘레에는 상기 수용부 및 가압부의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와 수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의 내경에는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의 둘레를 물기 위한 요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KR1020110065967A 2011-07-04 2011-07-04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KR101296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67A KR101296670B1 (ko) 2011-07-04 2011-07-04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967A KR101296670B1 (ko) 2011-07-04 2011-07-04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728A true KR20130004728A (ko) 2013-01-14
KR101296670B1 KR101296670B1 (ko) 2013-08-14

Family

ID=4783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967A KR101296670B1 (ko) 2011-07-04 2011-07-04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9465A (zh) * 2021-08-06 2021-11-19 段其辉 一种排烟防火阀
CN116624683A (zh) * 2023-05-30 2023-08-22 荣瑞灭菌技术(沭阳)有限公司 一种预热室排气管连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559B1 (ko) * 2014-07-04 2021-01-19 세메스 주식회사 튜브 피팅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1998B1 (fr) * 2007-10-08 2012-03-16 Staubli Sa Ets Element femelle de raccord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element femel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9465A (zh) * 2021-08-06 2021-11-19 段其辉 一种排烟防火阀
CN113669465B (zh) * 2021-08-06 2023-08-01 广州市全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排烟防火阀
CN116624683A (zh) * 2023-05-30 2023-08-22 荣瑞灭菌技术(沭阳)有限公司 一种预热室排气管连接装置
CN116624683B (zh) * 2023-05-30 2023-11-21 荣瑞灭菌技术(沭阳)有限公司 一种预热室排气管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670B1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9267T3 (es) Aparato de bloqueo de tuercas.
CA2493695C (en) Pipe coupling
US4632437A (en) Pipe coupling
KR100665953B1 (ko) 관 조인트
KR101296670B1 (ko) 파이프연결용 원터치 피팅
KR101257766B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180015042A (ko) 파이프 이지 결속장치
KR101497283B1 (ko) 누설 방지용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CN108458190B (zh) 新型快插接头
JP6525636B2 (ja) バックアップリング、継手および管の接続方法
KR101066512B1 (ko) 고압호스용 커플링
JP4981783B2 (ja) 管継手構造用の流体管
CA2733285A1 (en) Pipe joint
US2694584A (en) Coupling
KR20060113128A (ko) 클러치 튜브 연결 구조
JP4045305B1 (ja) 管継手
JP3959666B2 (ja) スリーブ型管継手
KR20130006665A (ko) 반경 방향 밀봉부를 갖는 위생 클램프 커플러
KR20140098967A (ko) 가압식 패킹부재를 이용한 배관 커플러
KR101372931B1 (ko) 파이프 피팅 장치
KR200410072Y1 (ko) 안전 커플러
JP2005315384A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KR101239405B1 (ko) 급수호스 홀더
KR101735259B1 (ko) 너트 체결 장치 및 그 체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