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506Y1 - 호스 연결구조물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506Y1
KR200351506Y1 KR20-2004-0005481U KR20040005481U KR200351506Y1 KR 200351506 Y1 KR200351506 Y1 KR 200351506Y1 KR 20040005481 U KR20040005481 U KR 20040005481U KR 200351506 Y1 KR200351506 Y1 KR 200351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leeve
separation prevention
coupl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근
Original Assignee
오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근 filed Critical 오승근
Priority to KR20-2004-0005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5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호스와 호스를 연결시키기 위한 호스 연결구조물이 개시된다.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60) 및 호스 연결관(7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의 일단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타단에는 호스부재(60)가 나사 결합된다.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는 슬리이브(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리이브(20)에는 내부에 걸림턱(28)이 형성되는 이탈방지공(26)이 각각 형성된다. 이탈방지공(26)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걸림단(32)이 형성된 이탈방지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슬리이브(20)에 의해 이동되는 이탈방지구(30)가 결합부(12)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돌출되거나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어 슬리이브(20)의 내부에 결합된 호스 연결관(70)을 걸림/해제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호스 연결구조물은 슬리이브의 이탈방지공에 설치되는 이탈방지구로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을 걸림/해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 연결구조물{HOSE CONNECTING STRUCTURE}
본 고안은 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재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이브에 걸림턱을 구비한 이탈방지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 이탈방지공에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이탈방지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을 이탈방지구로 걸림/해제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스는 주로 싱크대 본체 및 세면대에 설치된 수도 본체와 연결되고, 외부 배관과 연결되어 싱크대 본체 및 세면대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와 외부 배관에 연결되는 호스의 사이에는 호스와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호스 연결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호스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구조물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연결구조물(100)은 연결부재(200)와 호스부재(300) 및 호스 연결관(40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00)는 슬리이브(210), 이탈방지구(220), 탄성부재(230) 및 안전구(24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00)는 호스부재(300)와 호스 연결관(400)을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00)의 일단에는 걸림단(201)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0)의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202)가 형성된다. 결합부(202)의 중간부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20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04)의 끝단에는 수용홈부(205)가 형성된다. 결합부(202)의 타측 끝단에는 안착단(206)이 형성된다. 안착단(206)의 타측으로는 패킹(P2)이 결합되는 패킹홈(20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00)의 타단 내측에는 수도 본체(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 호스부재(30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09)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이브(210)는 연결부재(200)의 결합부(202)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슬리이브(210)의 일단에는 지지단(2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단(212)의 타측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단(214)이 형성된다. 슬리이브(210)의 중간부에는 이탈방지공(216)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탈방지공(216)은 외측 직경보다 내측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슬리이브(210)의 타단 내부에는 탄성부재(230)가 설치되는 설치홈(2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이브(210)는 이탈방지단(214)이 연결부재(200)의 걸림단(201)에 걸려 결합부(202)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구(220)는 슬리이브(210)의 이탈방지공(216)에 설치되는 것으로, 원형의 구로 형성되고, 슬리이브(210)의 이탈방지공(216)에 각각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10)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이탈방지공(216)에 수용되면서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400)을 걸림/해제시킨다.
그리고, 탄성부재(230)는 슬리이브(210)의 설치홈(218)과 결합부(202)의 안착단(20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슬리이브(210)의 설치홈(218)에 설치되고, 타단이 결합부(202)의 안착단(206)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안전구(240)는 연결부재(200)와 지지단(212)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슬리이브(21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개구된 일면에는 고정홈부(242)가 일정깊이의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홈부(242)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고정홈부(242)에 결합되는 고정구(24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부(242)에 결합된 고정구(244)는 외부에서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홈부(24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240)는 사용용도를 구별할 수 있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부재(300)는 연결부재(200)의 나사부(209)에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310)의 끝단에는 나사부(322)가 구비된 결합구(3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가 나사결합되었을 경우, 연결부재(200)와 호스부재(30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P1)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 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호스 연결관(400)은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410)의 끝단에는 압착구(420)에 의해 연결구(430)가 고정 결합된다. 연결구(430)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이탈방지턱(432)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의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연결구(430)의 이탈방지턱(432)이 슬리이브(210)에 설치된 이탈방지구(220)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은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유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면, 호스 연결구조물(100)에는 수도 본체에 연결된 호스부재(300)와 외부 배관에 연결된 호스 연결관(400)이 각각 결합되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가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200)의 타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209)에 호스부재(300)의 결합구(320)에 형성된 나사부(322)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200)와 결합구(32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P1)이 결합된다.
한편, 연결부재(200)에 호스 연결관(400)이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200)의 결합부(20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400)이 삽입된다. 이때, 호스 연결관(400)의 연결구(43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32)이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된 이탈방지구(220)를 밀면서 삽입되고, 연결구(430)의 이탈방지턱(432)에 의해 밀리는 이탈방지구(220)가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구(220)의 일부분이 이탈방지공(216)을 벗어나 수용홈부(205)에 수용되어 연결구(430)가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결합된다. 계속해서, 슬리이브(210)도 결합부(202)의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 슬리이브(210)의 설치홈(218)과 안착단(206)에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30)는 슬리이브(210)의 이동에 의해 수축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의 내부에 완전히 결합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23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슬리이브(210)가 원위치 된다. 이때, 연결부재(200)의 수용홈부(20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220)가 슬리이브(210)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200)의 가이드부(20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공(216)에 다시 수용되고, 이탈방지공(216)에 수용된 이탈방지구(220)의 일부분이 슬리이브(21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호스 연결관(400)의 연결구(43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432)에 걸리게 되므로 호스 연결관(400)이 슬리이브(2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슬리이브(210)는 연결부재(200)의 걸림단(210)에 이탈방지단(214)이 걸리게 되어 결합부(20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400)은 연결부재(20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이렇게, 연결부재(200)에 호스부재(300)와 호스 연결관(400)이 각각 결합되면 연결부재(200)와 슬리이브(210)의 지지단(212) 사이에 안전구(240)를 고정 설치하면 연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안전구(240)의 고정홈부(242)에 고정구(244)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구(244)가 고정홈부(24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 연결구조물은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의 직경이 작을 경우 슬리이브에 설치된 이탈방지구에 호스 연결관이 제대로 걸림되지 않아 슬리이브에서 호스 연결관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을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이탈방지구로 걸림/해제시킬 수 있는 호스 연결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a는 연결부재에 일반적인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b는 연결부재에 직경이 작은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연결부재 12 : 결합부
20 : 슬리이브 26 : 이탈방지공
28 : 걸림턱 30 : 이탈방지구
32 걸림단 60 : 호스부재
70 : 호스 연결관 90 : 호스 연결구조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을 이탈방지구로 제어하기 위한 슬리이브로 이루어진 호스 연결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에는 걸림턱을 구비한 이탈방지공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공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걸림턱에 간섭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이탈방지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의 이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내주연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슬리이브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이탈방지공에 수용되면서 상기 호스 연결관을 걸림/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호스 연결구조물은 슬리이브에 내부에 걸림턱을 구비한 이탈방지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 이탈방지공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단차지는 걸림단이 형성된 이탈방지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을 걸림/해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호스 연결구조물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60) 및 호스 연결관(7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는 슬리이브(20), 이탈방지구(30), 탄성부재(40) 및 안전구(5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10)는 호스부재(60)와 호스 연결관(70)을 연결 설치하는 것으로, 연결부재(10)의 일단에는 걸림단부(11)가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중간부 내주연에는 단차지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4)의 끝단에는 수용홈부(15)가 형성된다. 결합부(12)의 타측 끝단에는 안착단(16)이 형성된다. 안착단(16)의 타측으로는 패킹(P2)이 결합되는 패킹홈(18)이 형성된다. 연결부재(10)의 타단 내측에는 수도 본체(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 호스부재(6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9)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이브(20)는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슬리이브(20)의 일단에는 지지단(2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단(22)의 타측 외주연에는 이탈방지단(24)이 형성된다. 슬리이브(20)의 중간부에는 이탈방지공(26)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탈방지공(26)의 내부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된다. 슬리이브(20)의 타단 내부에는 탄성부재(40)가 설치되는 설치홈(29)이 형성된다. 이러한 슬리이브(20)는 이탈방지단(24)이 연결부재(10)의 걸림단부(11)에 걸려 결합부(12)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구(30)는 슬리이브(20)의 이탈방지공(26)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이탈방지공(26)의 걸림턱(28)에 간섭되는 걸림단(32)이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0)가 결합부(12)의 내주연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구(30)가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면서 호스 연결관(70)을 걸림/해제시킨다. 이러한 이탈방지구(30)가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될 경우 이탈방지구(30)의 걸림턱(32)이 이탈방지공(26)의 걸림단(28)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부재(40)는 슬리이브(20)의 설치홈(29)과 결합부(12)의 안착단(1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슬리이브(20)의 설치홈(29)에 설치되고, 타단이 결합부(12)의 안착단(16)에 안착되어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리이브(2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안전구(50)는 연결부재(10)와 지지단(22)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제 슬리이브(20)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개구된 일면에는 고정홈부(52)가 일정깊이의 막힘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홈부(52)와 대응되는 타면에는 고정홈부(52)에 결합되는 고정구(5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홈부(52)에 결합된고정구(54)는 외부에서 어떤 외력을 가하여도 고정홈부(5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50)는 사용용도를 구별할 수 있게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도 본체에 연결되는 호스부재(60)는 연결부재(10)의 나사부(19)에 나사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62)의 끝단에는 나사부(65)가 구비된 결합구(64)가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0)에 호스부재(60)가 나사 결합되었을 경우, 연결부재(10)와 호스부재(60)의 사이에는 유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P1)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 배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되는 호스 연결관(70)은 슬리이브(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서 호스(72)의 끝단에는 압착구(74)에 의해 연결구(76)가 고정 결합된다. 연결구(76)의 중간부 외주연에는 이탈방지턱(77)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호스 연결관(70)이 슬리이브(2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경우, 연결구(76)의 이탈방지턱(77)이 슬리이브(20)에 설치된 이탈방지구(30)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70)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70)은 연결부재(10)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3a,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3a에는 연결부재에 일반적인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연결부재에 직경이 작은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3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호스 연결구조물의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를 참조하면, 연결부재에 일반적인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경우, 먼저 연결부재(10)의 타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부(19)에 호스부재(60)의 결합구(64)에 형성된 나사부(65)가 나사 결합되고, 연결부재(10)와 결합구(64)의 사이에 패킹(P2)이 결합되어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설치된 슬리이브(2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7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호스 연결관(70)의 연결구(76)에 형성된 이탈방지턱(77)이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되는 이탈방지구(30)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70)이 슬리이브(20)의 내부에서 이탈 방지되고, 호스 연결관(70)은 연결부재(10)의 패킹홈(18)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에 직경이 작은 호스 연결관이 결합된 경우,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에 설치된 슬리이브(2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70a)이 삽입된다.
이때, 호스 연결관(70a)의 연결구(76)에 형성된 이탈방지턱(77)이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된 이탈방지구(30)를 밀면서 삽입되고, 연결구(76)의 이탈방지턱(77)에 의해 밀리는 이탈방지구(30)가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어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구(30)의 일부분이 이탈방지공(26)을 벗어나 수용홈부(15)에 수용되어 호스 연결관(70a)이 슬리이브(20)의 내부에 결합된다.
계속해서, 슬리이브(20)도 결합부(12)의 안쪽으로 밀리게 되고,슬리이브(20)의 설치홈(29)과 안착단(16)에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40)는 슬리이브(20)의 이동에 의해 수축된다.
그리고, 호스 연결관(70a)이 슬리이브(20)의 내부에 완전히 결합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4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슬리이브(20)가 원위치 되고, 연결부재(10)의 수용홈부(1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30)가 슬리이브(20)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이탈방지공(26)에 다시 수용된다.
계속해서,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된 이탈방지구(30)가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되어 호스 연결관(70a)의 연결구(76)에 형성된 이탈방지턱(77)에 걸리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구(30)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이탈방지공(26)에 형성된 걸림단(28)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된 이탈방지구(30)가 연결구(76)의 이탈방지턱(77)에 걸리게 되어 호스 연결관(70a)은 슬리이브(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슬리이브(20)는 연결부재(10)의 걸림단부(11)에 이탈방지단(24)이 걸리게 되어 결합부(12)에서 이탈되지 않고, 호스 연결관(70a)은 연결부재(10)의 패킹홈(18)에 결합된 패킹(P2)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이렇게, 슬리이브(20)의 내부에 호스 연결관(70a)의 결합이 완료되면 연결부재(10)와 슬리이브(20)의 지지단(22) 사이에 안전구(50)를 고정 설치시킨다. 즉, 안전구(50)에 형성된 고정구(54)를 고정홈부(52)에 끼움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안전구(50)는 한번 설치하면 재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사용자 및 기타외부의 물체가 접촉하여도 슬리이브(20)가 안전구(50)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안전구(50)에 색체를 가지도록 하여 호스 연결작업시 호스(62)와 호스(72)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슬리이브(20)의 내부에 결합된 호스 연결관(70,70a)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부재(10)와 슬리이브(20)의 지지단(22) 사이에 고정 설치된 안전구(50)를 제거시키고, 슬리이브(20)에 외력을 가하면 슬리이브(20)가 결합부(12)의 안쪽으로 이동되고, 슬리이브(20)에 의해 이탈방지구(30)가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어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일부분이 수용홈부(15)에 수용되어 호스 연결관(70,70a)의 연결구(76)에 형성된 이탈방지턱(77)에 걸려있던 이탈방지구(30)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슬리이브(20)의 설치홈(29)과 연결부재(10)의 안착단(16)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40)는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스 연결관(70,70a)을 분리시키면 슬리이브(20)의 내부에서 호스 연결관(70,70a)이 분리된다.
이렇게, 슬리이브(20)의 내부에서 호스 연결관(70,70a)이 분리되어 슬리이브(20)에 가해졌던 외력이 소멸되면 수축되었던 탄성부재(40)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슬리이브(20)가 원위치로 이동되고, 연결부재(10)의 수용홈부(15)에 일부분이 수용되었던 이탈방지구(30)도 슬리이브(20)에 의해 연결부재(10)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어 슬리이브(20)의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며, 슬리이브(20)에 형성된 이탈방지단(24)이 연결부재(10)의 걸림단부(11)에 걸려서 슬리이부(20)가 결합부(1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호스 연결구조물(90)은 슬리이브(20)의 이탈방지공(26)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이탈방지구(30)를 설치하여 일반적인 호스 연결관(7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70a)도 이탈방지구(30)로 걸림/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호스 연결구조물은 연결부재의 설치되는 슬리이브에 걸림턱을 구비한 이탈방지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 이탈방지공에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이탈방지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슬리이브의 내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직경을 갖는 호스 연결관을 걸림/해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일단 내부에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호스부재(60)가 나사 결합되는 연결부재(10), 상기 결합부(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에 결합되는 호스 연결관(70)을 이탈방지구(30)로 제어하기 위한 슬리이브(20)로 이루어진 호스 연결구조물(90)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20)에는 걸림턱(28)을 구비한 이탈방지공(26)이 각각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공(26)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걸림턱(28)에 간섭되는 걸림단(32)이 형성된 이탈방지구(30)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슬리이브(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결합부(12)의 내주연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부(14)를 따라 이동되면서 슬리이브(20)의 내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이탈방지공(26)에 수용되면서 상기 호스 연결관(70)을 걸림/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연결구조물.
KR20-2004-0005481U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KR200351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81U KR200351506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481U KR200351506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1506Y1 true KR200351506Y1 (ko) 2004-05-24

Family

ID=4934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481U KR200351506Y1 (ko) 2004-03-02 2004-03-02 호스 연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83B1 (ko) 2014-08-01 2016-04-0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수도전과 온수 세정기 사이의 도관에 채택되는 도관 연결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83B1 (ko) 2014-08-01 2016-04-0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수도전과 온수 세정기 사이의 도관에 채택되는 도관 연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118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7686349B2 (en) Tube couplings
KR100683478B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US20060061101A1 (en) Connection device for fluid lines
KR102159804B1 (ko) 커넥터
JPH0712694U (ja) 管継手
US11732828B2 (en) Holding element and terminal connector having such a holding element
JP2003247685A (ja) 油圧導管接続用カップリング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KR200351506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5071771B2 (ja) プラグを備えたクイックコネクトカートリッジのアセンブリ
KR20030028702A (ko) 커플러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KR100235820B1 (ko)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JP5132992B2 (ja) 管継手
KR200351505Y1 (ko) 호스 연결구조물
JP5471235B2 (ja) 管継手構造
JP4515575B2 (ja) 固定具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JP2008164270A (ja) ビルトイン式ガスコンロ
JP2000088163A (ja) 管体接続構造
JP2002327885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KR20039660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401645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KR200401644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7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08

Effective date: 200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