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820B1 -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820B1
KR100235820B1 KR1019930029359A KR930029359A KR100235820B1 KR 100235820 B1 KR100235820 B1 KR 100235820B1 KR 1019930029359 A KR1019930029359 A KR 1019930029359A KR 930029359 A KR930029359 A KR 930029359A KR 100235820 B1 KR100235820 B1 KR 10023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leeve
locking
locking bal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504A (ko
Inventor
히토시 이마호리
마사테루 카바타
쇼우이치 니카
쯔요시 이시이
히로유키 에구찌
Original Assignee
이마호리히또시
죠프락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호리히또시, 죠프락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호리히또시
Publication of KR94002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일히 슬리이브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일이 없이 간단히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작업시 플러그의 이탈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테이퍼구멍(52)에 잠금볼(53)을 이동가능하게 끼워놓은 소켓(51)과, 상기 소켓(51)에 상기 잠금볼(53)을 끼움으로써 자유롭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구성된 플러그(64)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구멍(52)은 상기 소켓(5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기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 구멍(52)을 따라 상기 잠금볼(53)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소켓(51)의 외주부에 스프링(55)을 설치하여서 상기 잠금볼 작동용 제1슬리이브(54) 및 상기 제1슬리이브(54)의 앞쪽 외주부에 제공된 제2슬리이브(59)가 각각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관이음용 소켓(51)을 구성하는 잠금볼 작동용 슬리이브(54)의 기단부에 여유부(58)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이브(5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소켓(51)의 외주부에 환형으로 제공되어 있는 잠금부재(6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잠금부재(62)의 외주부에는 상기 여유부(58)에 끼워 맞출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잠금편(63)이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잠금장치이다.

Description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의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1도의 또 다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소켓 52 : 테이퍼구멍
53 : 잠금볼 54 : 제1슬라이브
55 : 스프링 56 : 작동편
57 : 정지부 58 : 여유부
59 : 제2슬리이브 60 : 작동부
62 : 잠금부재 63 : 감금편
64 : 플러그
본 발명은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종류의 관이음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실용신안 공개공보소 57-40398호에 개시된 것을 비롯하여 많은 관이음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 중 한가지 실시예를 제6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6도의 관이음장치에는, 통모양이 소켓(1)과, 이 소켓(1)의 앞부분에 형성된 몇 개의 작은 지름의 테이퍼구멍(2)과, 소켓(1)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각각의 테이퍼 구멍(2)안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잠금볼(3)과, 소켓(1)의 앞부분에 스프링(5)를 통해서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슬리이브(4)와, 이 슬리이브(4)의 앞쪽 끝단 테두리에 형성된 여유부(6)와, 이 여유부(6)에 연접하여 슬리이브(4)의 내부면에 돌설된 잠금볼 누름부(7)와, 여유부(6)에 걸려서 슬리이브(4)가 빠져나오는 것을 막아주도록 소켓(1)의 앞쪽 끝단부에 끼워 붙여진 스톱링(8)과, 소켓(1)의 거의 중앙부 내주면에 장착된 링(9)과, 소켓(1)에 스프링(11)을 통해서 내설된 밸브채(10)와, 이 밸브체(10)의 밸브시이트(12)와, 소켓(1)의 뒤쪽 끝단부에 나사식으로 끼워 맞춰진 통모양의 호스받이부(1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1)에 기밀하게 끼워 붙일수 있게 되어 있는 플러그(14)와, 이 플러그(14)의 앞쪽 외주부에 형성된 잠금 볼 걸이용 환형홈(15)과 플러그(14)의 뒷부분에 형성된 호스 접속부(16)도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관이음장치에 있어서, 소켓(1)과 플러그(14)를 연결할때에는, 먼저 슬리이브(4)를 스프링(5) 대항해서 소켓의 뒤쪽 끝단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서 잠금볼(3)을 여유부(6)상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에, 플러그(14)를 소켓(1)내에 삽입하고, 환형홈(15)이 잠금볼(3)과 서로 합쳐지는 지점에서 슬리이브(4)를 해방시킨다. 그렇게하면, 슬리이브(4)는 스프링(5)에 의해 밀려져서 원상태로 복귀되고, 잠금볼 누름부(7)가 잠금볼(3)을 구심방향으로 눌러서 소켓(1)과 플러그(14)를 확실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나서, 플러그(14)가 끼워져서 밸브체(10)를 뒤쪽끝단 방향으로 눌러주며, 이에 따라서 유체통로가 연이어 소통하게 된다.
반대로, 소켓(1)과 플러그(14)와의 연결을 풀어줄때에는, 연결시와 마찬가지로 슬리이브(4)를 뒤쪽 끝단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잠금볼 누름부(7)를 해방시키고, 잠금볼(3)을 여유부(6)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14)를 빼내어, 밸브체(10)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서 유체통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관이음장치는, 소켓(1)에 플러그(14)를 기밀하고도 확실하게 연결시킬수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작은 지름의 테이퍼구멍(2)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잠금볼(3)을 슬리이브(4)에 의해서 작동시키는 것이므로, 연결작업시에 있어서는 일일이 손으로 슬리이브(4)를 스프링(5)의 힘에 대항하여 소켓(1)의 기단부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하여서, 잠금볼(3)의 누름을 해방시키면서 플러그(14)를 삽입시켜야 하므로, 그 연결작업이 아주 번거로웠었다.
둘째, 종래의 관이음장치에 있어서는 소켓(1)과 플러그(14)와의 연결시에 잠금장치가 없고, 과실조작이나 부주의 등에 의해 연결이 플려져 버려서 불의의 사태를 초래할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일이 슬라이브를 손으로 작동시키는 일이 없이 단지 플러그를 강제적으로 소켓에 삽입하기만 하면 간단히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시에 플러그의 이탈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는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테이터구멍(52)에 잠금볼(53)을 이동가능하게 끼워놓은 소켓(51)과, 이 소켓(51)에 잠금볼(53)을 끼움으로써 자유롭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구성된 플러그(64)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구멍(52)은 소켓(5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기다란 구멍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테이퍼구멍(52)을 따라 잠금볼(53)을 작동시킬수 있도록 소켓(51)의 외주부에 스프링(55)을 설치하여서 잠금볼 작동용 제1슬라이브(54)와 제1슬라이브(54)의 앞쪽 외주부에 제공된 제2슬라이브(59)가 각각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깨워져 있는 관이음장치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관이음용 소켓(51)을 구성하는 잠금볼 작동용 슬리이브(54)의 기단부에 여유부(58)가 결절된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슬리이브(5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51)의 외주부에 대략 환형으로 제공되어 있는 잠금부재(62)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이 잠금부재(62)의 외주부에는 상기 여유부(58)에 끼워맞출 수 있는 잠금편(63)이 돌설되어 있는 관이음용 잠금장치이다.
플러그(64)를 소켓(51)에 삽입시켜서 잠금볼(53)을 누르면서, 기다란 구멍형상의 테이퍼 구멍(52)을 따라 소켓(51)의 기단부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연이어 제1슬라이브(54)를 스프링(55)의 힘에 대항하여 같은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한다. 그리고, 플러그(64)의 삽입이 완료되어서 잠금볼(53)의 누름이 해방되면, 스프링(55)의 힘에 의해 제1슬리이브(54)가 잠금볼(53)을 계속해서 누르면서 자동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여서 원상태로 복귀하고, 잠금볼(53)을 플러그(64)에 잠궈지게 연결시킨다. 이어서, 잠금부재(62)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잠금편(64)을 제1슬라이브(54)의 기단부에 맞붙여서 여유부(58)와 불일치되는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제1슬리이브(54)의 소켓(51)의 기단부 방향으로의 미끄럼이동을 확실하게 방시시킨다.
반대로, 플러그(64)와 소켓(51)의 연결을 해제시킬 때에는, 잠금부재(62)를 회전시켜서 잠금편(63)을 여유부(58)와 일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2슬리이브(59)를 스프링(55)의 힘에 대항하여 제1슬리이브(54)와 함께 소켓(51)의 가단부 방향으로 누르고, 여유부(58)에 잠금편(63)를 끼워 맞춤으로써 최대한 미끄럼이동하게 하여서, 잠금볼(53)로부터 플러그(64)를 해방시켜서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중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앞부분이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모양의 소켓(51)내에는, 소정의 밸브체(도시안함)을 내설하게 되어 있다. 소켓(51)의 중심선을 따라서 그 앞쪽끝단부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기다란 구멍형상의 테이퍼구멍(52)이 제공되어 있고, 소켓(51)내부에 일부돌출된 상태로 테이퍼구멍 (52)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잠금볼(53), 소켓(51)의 앞부분에 스프링(55)을 통해서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잠금볼 작동용 제1슬라이브(54), 각각의 잠금볼(53)에 맞붙여지게 되어 있는 제1슬리이브(54)의 앞쪽끝단 내주면에 안쪽으로 돌설되어서 그 앞쪽끝단 테두리가 경사면을 이룬 작동편(56), 제1슬리이브(54)의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돌설된 환형의 정지부(57) 이 정지부(57)의 소정의 부분에 결절된 형상으로 형성된 여유부(58)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슬리이브(54)의 앞쪽외주부에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 잠금볼 작동용 제2슬리이브(59)와, 각각의 잠금볼(53)에 맞붙여지게 구성되어 있는 제2슬리이브(59)의 앞쪽끝단부의 내주면에 안쪽으로 돌설된 환형의 작동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부(60)의 앞쪽 끝단 테두리는 소켓(51)의 앞쪽 끝단부의 외주면에 동심으로 돌설된 걸림편(61)에 걸려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슬리이브 (5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51)의 외주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대략 환형의 잠금부재(62)와, 정지부(57)의 여유부(58)에 대응하도록 잠금부재(62)의 외주부 테두리에 돌설된 잠금편(63)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51)에 기밀하게 끼워넣을 수 있게 되어 있는 플러그(64)와, 이 플러그(64)이 앞쪽 외주부에 형성된 잠금볼 걸이용 환형홈(65)과, 그리고, 플러그(64)이 뒷쪽 끝단부에 형성된 호스등의 접속부(65)도 제공되어 있다.
이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켓(51)과 플러그(64)를 연결시킬 때에는, 플러그(64)를 강제적으로 소켓(51)내에 삽입시켜서 잠금볼(53)을 눌러준다. 그러면, 잠금볼(53)은 작동편(56)을 누르면서 기다란 구멍형상의 테이퍼 구멍(52)을 따라 소켓(51)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55)의 힘에 대항하여 제1슬라이브(54)를 자동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한다(제2도 참조). 이때, 제2슬리이브(59)는 제1슬리이브(54)에 연이어 움직이는 일이 없이 원래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나서, 플러그(64)의 삽입이 완료되면, 잠금볼(53)의 누름을 중지하는데, 이에 따라서 스프링(55)의 힘에 의해 제1슬리이브(54)가 작동편(56)을 통하여 잠금볼(53)을 계속해서 누르면서 소켓(51)의 앞쪽 끝단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원상태로 복귀하며, 잠금볼(53)이 플러그(64)의 환형홈(65)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작동부(60)를 통해서 제2슬리이브(59)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제3도 참조). 그런 다음, 잠금편(63)이 제1슬리이브(54)의 정지부(57)에 맞붙여지도록 잠금부재(62)를 소정의 방향으로 화전시켜서 잠궈준다(제3도 참조). 이때, 잠금편(63)은 여유부(58)와 불일치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슬리이브(54)를 소켓(51)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도 잠금편(63)이 정지부(57)에 접하여서 미끄럼 이동할 수가 없다(제3도 참조).
반대로, 소켓(51)과 플러그(64)의 연결을 해제시킬 때에는, 잠금부재(62)를 회전시켜서 잠금편(63)을 여유부(58)와 일치시키면 된다(제4도 참조). 그런 다음에, 제2슬리이브(59)를 소켓(51)의 기단부 방향으로 누르고, 스프링(55)의 힘에 대항하여 제1슬리이브(54)와 함께 미끄럼 이동시킨다. 이때, 잠금편(63)이 여유부(58)에 끼워지기 때문에, 제1 및 제2슬리이브(54,59)를 그 한계지점까지 미끄럼 이동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나서, 제1 및 제2슬리이브(54,59)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한계점에 달한 지점에서, 잠금볼(53)을 해제시키고, 환형홈(65)과 플러그(64)의 결합을 분리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잠금부재(6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1)에도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슬리이브(4)의 기단부에 소정의 여유부를 형성함으로써 잠금작용을 유효하게 발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테이퍼구멍(52)에 잠금볼(43)을 이동가능하게 끼워놓은 소켓(51)과, 이 소켓(51)에 잠금볼(53)을 끼워서 자유롭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플러그(64)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구멍(52)은 소켓(5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기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테이퍼구멍(52)을 따라 잠금볼(53)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소켓(51)의 외주에 스프링(55)을 설치하여서 잠금볼 작동용 제1슬리이브(54) 및 제1슬리이브(54)의 앞쪽 외주부에 제공된 제2슬리이브(59)가 각각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러그(64)를 강제적으로 소켓(51)내에 삽입시켜서 잠금볼(53)을 눌러주면서 기다란 구멍 형상의 테이퍼 구멍(52)을 따라 소켓(51)의 기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연이어서 제1슬리이브(54)를 스프링(55)의 힘에 대항하여 같은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종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일이 손으로 슬리이브을 움직이는 일이 없이 단지 플러그(64)를 강제적으로 삽입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다. 또, 제1슬리이브(54)에 협동하여 2슬리이브(59)를 작동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플러그(64)와 소켓(51)을 끼우고 빼는 동작을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시에 잠금볼(53)을 양쪽에서 눌러서 지지함으로써 플러그(64)에 확실하게 걸려지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관이음용 소켓(51)을 구성하는 잠금볼 작동용 슬리이브(54)의 기단부에 여유부(58)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슬리이브(5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51)의 외주부에 대략 환형의 잠금부재(62)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으며, 이 잠금부재(62)의 외주부 테두리에는 여유부(58)에 자유롭게 끼워 맞출 수 있는 잠금편(63)이 돌설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62)를 적당하게 회전시켜서 잠금편(63)이 슬리이브(54)의 기단부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슬리이브(54)의 미끄러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여유부(58)에 잠금편(63)을 끼움으로써 그러한 잠금을 간단히 해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소켓(51)과 플러그(64)를 끼우고 빼는 동작을 극히 안전하게 실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테이퍼구멍(52)에 잠금볼(53)을 이동가능하게 끼워놓은 소켓(51)과, 상기 소켓(51)에 상기 잠금볼(53)을 끼움으로써 자유롭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게 구성된 플러그(64)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구멍(52)은 상기 소켓(5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기다란 구멍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테이퍼 구멍(52)을 따라 상기 잠금볼(53)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소켓(51)의 외주부에 스프링(55)을 설치하여서 상기 잠금볼 작동용 제1슬리이브(54) 및 상기 제1슬리이브(54)의 앞쪽 외주부에 제공된 제2슬리이브(59)가 각각 자유로이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장치.
  2. 관이음용 소켓(51)을 구성하는 잠금볼 작동용 슬리이브(54)의 기단부에 여유부(58)가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리이브(5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소켓(51)의 외주부에 환형으로 제공되어 있는 잠금부재(62)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잠금부재(62)의 외주부에는 상기 여유부(58)에 끼워 맞출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잠금편(63)이 돌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잠금장치.
KR1019930029359A 1993-02-22 1993-12-23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KR100235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57821A JP2630584B2 (ja) 1993-02-22 1993-02-22 管継手
JP1993-57821 1993-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504A KR940020504A (ko) 1994-09-16
KR100235820B1 true KR100235820B1 (ko) 1999-12-15

Family

ID=1306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359A KR100235820B1 (ko) 1993-02-22 1993-12-23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630584B2 (ko)
KR (1) KR100235820B1 (ko)
TW (1) TW2285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94B1 (ko) 2007-08-22 2009-07-03 연일화섬공업(주) 터널의 배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과 그것에 이용되는슬리브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931B2 (ja) * 1996-12-26 2007-06-13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3265251B2 (ja) * 1997-12-26 2002-03-1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用ソケット
KR200260578Y1 (ko) * 2001-08-02 2002-01-10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커플링
FR2889728B1 (fr) * 2005-08-10 2007-10-05 Staubli Faverges Sca Ensemble de raccord pour circuit fluidique
JP5074722B2 (ja) * 2006-08-11 2012-11-14 大阪瓦斯株式会社 ガス器具の接続部構造
JP6331577B2 (ja) * 2014-03-28 2018-05-30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濾過フィルタ用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592A (en) * 1979-06-12 1980-12-25 Nitta Moore Co Ltd Pipe jo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94B1 (ko) 2007-08-22 2009-07-03 연일화섬공업(주) 터널의 배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과 그것에 이용되는슬리브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30584B2 (ja) 1997-07-16
KR940020504A (ko) 1994-09-16
TW228564B (en) 1994-08-21
JPH06249381A (ja) 1994-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9712B2 (ja) 管継手の雌部材
US6257278B1 (en) High pressure fluidline connector
US3583667A (en) Quick-disconnect coupling
EP0905430B1 (en) Connector
JPH01153822A (ja) カップリングフィッティング
WO2005028940A1 (ja) 管継手及び管継手のソケット
KR950005554B1 (ko) 관 연결구
KR100235820B1 (ko)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JP2607649Y2 (ja) 管継手
JP3676498B2 (ja) ホースコネクター
JP3096386B2 (ja) 管継手
JPH0735282A (ja) 管継手
JPH05266947A (ja) 接続器の結合及び同解除装置
JP2004100911A (ja) 管継手用ソケット
US4118006A (en) Socket assembly
JPH0616206Y2 (ja) 管継手
JPH10299967A (ja) 管継手
JPS6330872Y2 (ko)
JP2999682B2 (ja) 急速継手
JP2000346265A (ja) 管継手
JP2002295767A (ja) 管継手
JPH0734293U (ja) 流体継手
JP2001289382A (ja) 管継手
KR930006023B1 (ko) 관이음매(管繼手)
JP4120728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