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023B1 - 관이음매(管繼手) - Google Patents

관이음매(管繼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023B1
KR930006023B1 KR1019890005567A KR890005567A KR930006023B1 KR 930006023 B1 KR930006023 B1 KR 930006023B1 KR 1019890005567 A KR1019890005567 A KR 1019890005567A KR 890005567 A KR890005567 A KR 890005567A KR 930006023 B1 KR930006023 B1 KR 930006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ircumferential groove
joint
tube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666A (ko
Inventor
하루기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유겐가이샤 닛다.무어컴퍼니
아시자와 가쯔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가이샤 닛다.무어컴퍼니, 아시자와 가쯔하루 filed Critical 유겐가이샤 닛다.무어컴퍼니
Priority to KR101989000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023B1/ko
Publication of KR90001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이음매(管繼手)
제1도는 본 발명의 관이음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반단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동 관이음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제5도는 슬리이브의 반단면 측면도.
제6도는 머리달린 핀의 사시도.
제7도는 코오킹여유부를 형성한 상태의 슬리이브의 반단면측면도.
제8도는 플랜지부축구멍에 보올을 끼워 놓은 상태의 슬리이브의 반단면 측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스냅링을 끼워 넣는 상태의 수컷이음매의 반단면도.
제11도는 종래의 관이음매를 표시한 반단면 측면도.
제12도는 종래의 관이음매의 사용상태를 표시한 반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2 : 수컷이음매
3 : 기기 4 : 암컷이음매
5 : 통구(通口) 6 : 둘레홈
7 : 둘레홈 8 : 결합부재
9 : 발지(拔止)수단 10 : 스프링
11 : 슬리이브 12 : 시일부재
13 : 스텝구멍 14 : 머리달린 핀
15 : 플랜지 부착구멍 16 : 보올
18 : 플랜지 19 : 후단구부러진 부
20 : 스냅링 21 : 통구
22 : 둘레홈
본 발명은, 유체의 압력전달 및 이송을 행하는 튜우브나 호오스등의 관체와, 각종의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기름, 물등의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에, 이들 유체를 공급하는 튜우브나 호오스등의 관체(管體)를 연결하는 관이음매로서, 예를들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구(通口)(31)를 가지고 관형상으로 하고, 관외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32)을 형성한 수컷이음매(33)을 기기(3)쪽에 돌출설치하고, 통구(34)를 가지고 관형상으로하고, 관내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35)을 형성하고, 출몰가능하게 한 보울(36)을 끼워넣는 구멍(37)을 형성하고, 스프링(38)의 탄력을 받아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이브(39)를 상기 보올(36)에 걸어맞추도록 해서 보올(36)의 위쪽 위치에 끼워넣고, 또 시일부재(40)를 상기 둘레홈(35)에 끼워넣은 암컷이음매(41)를 관체(1)쪽에 연결한 것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관이음매는,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이브(39)를 손가락으로 조작하므로서 스프링(38)을 축소시켜서, 슬리이브(39)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보올(36)와의 걸어맞춤을 완화하고, 암컷이음매(41)에 수컷이음매(33)를 삽입함과 동시에 수컷이음매(33)의 둘레홈(32)에 보올(36)을 끼워 넣고, 슬리이브(39)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므로서 스프링(39)을 신장시켜서, 슬리이브(39)를 원래 자리로 되돌려 재차 보올(36)에 걸어맞추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관이음매는, 슬리이브(39)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않되기 때문에, 슬리이브(39)의 조작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수컷이음매(33)를 기기(3)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해서 장착할 수 없다거나, 가공정밀도를 필요로하는 둘레홈(35)을, 관내면에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가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상기 종래의 관이음매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때문에,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관체(1)쪽에 연결한 수컷이음매(2)와, 기기(3)쪽에 매설한 암컷이음매(4)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컷이음매(2)는, 통구(5)를 가지고 관형상으로하고, 관외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6)을 형성하고, 또 이 둘레홈(6)의 앞쪽에 둘레홈(7)을 형성하고, 출몰가능하게한 결합부재(8)를 가짐과 동시에 발지(拔止)수단(9)을 가지고, 스프링(10)의 탄력을 받아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이브(11)을, 상기 둘레홈(6)의 바깥쪽위치에 끼워넣고, 또 시일부재(12)를 상기 둘레홈(7)에 끼워넣는 것으로하고, 상기 암컷이음매(4)는, 통구(21)을 가지고 관형상으로하고, 관내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22)을 형성한 것으로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상기 결합부재(8)를 슬리이브(1)에 형성한 스텝구멍(13)에, 머리달린핀(14)을 끼워넣어서 출몰가능하게 하거나, 슬리이브(11)에 형성된 플랜지부착구멍(15)에, 보올(16)을 끼워넣어서 출몰가능하게한 것으로 하거나, 발지수단(9)을, 관외면에 형성한 플랜지(18)에 스리이브(11)의 후단구부러진 부분(19)를 걸어맞추게 하거나, 관외면에 끼워 넣은 스냅링(20)에 슬리이브(11)을 걸어맞추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상기 수단을 실시한 결과, 슬리이브(11)을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고도, 수컷이음매(2)를 암컷이음매(4)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슬리이브(11)이 조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시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관체(1)쪽에 연결된 수컷이음매(2)와, 기기(3)쪽에 매설한 암컷이음매(4)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컷이음매(2)는, 통구(5)를 가지고 관형상으로하고, 관외면의 적당한위치에 둘레홈(6)을 형성하고, 또 이 둘레홈(6)의 앞쪽에 둘레홈(7)을 형성하고, 출몰가능하게한 결합부재(8)를 가짐과 동시에 발지수단(9)을 가지고, 스프링(10)의 탄력을 받아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이브(11)을, 상기 둘레홈(6)의 바깥쪽위치에 끼워 넣고, 또 시일부재(12)를 상기 둘레홈(7)에 끼워 넣은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8)는, 실시예에 표시한 것에 있어서는, 슬리이브(11)에 형성한 스텝구멍(13)에, 제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머리달린핀(14)을 끼워넣어서 출몰가능하게한 것이거나,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11)에 형성한 플랜지부착구멍(15)에, 보올(16)을 끼워 넣어 출몰가능하게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슬리이브(11)에 플랜지부착구멍(15)을 형성할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11)에 보통구멍을 뚫고, 이 구멍의 주위전체둘레 또는 일부에 코오킹여유부(17)를 형성하고, 이 코오킹여유부(17)를 안쪽으로 접어구부리면 된다.
또, 상기 발지수단(9)은,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있어서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외면에 형성한 플랜지(18)에 슬리이브(11)의 후단구부러진 부분(19)를 걸어맞춘 것으로 하거나,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외면에 끼워넣은 스냅링(20)에 슬리이브(11)을 걸어맞춘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암컷이음매(4)는, 통구(21)을 가지고 관형상으로하고, 관내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22)을 형성한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통구(21)의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수컷이음매(2)의 슬리이브(11)의 선단부가 접촉하기 위한 제1단부(23), 수컷이음매(2)의 선단이 접촉하기 위한 제2단부(24)를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해서 사용된다.
먼저, 수컷이음매(2)를 암컷이음매(4)의 통구(21)에 삽입하면,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이브(11)로부터 돌출한 결합부재(8)가 암컷이음매(4)의 단부에 접촉하지만, 더욱 이 수컷이음매(2)를 누르면 스프링(10)이 축소해서 둘레홈(6)이 결합부재(8)의 아래쪽위치로 이동해서, 결합부재(8)가 둘레홈(6)에 끼워들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슬리이브(11) 후단을 손가락으로 누르고 수컷이음매(2)로부터 손가락을 놓으면, 수컷이음매(2)가 스프링(10)의 탄력에 의해 되밀려서, 둘레홈(6)으로부터 결합부재(8)가 빠져나오는 동시에 이 결합부재(8)는 암컷이음매(4)의 둘레홈(22)에 끼워들어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수컷이음매(2)와 암컷이음매(4)는 접속된다.
본 발명의 관이음매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슬리이브(11)을 손가락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수컷이음매(2)를 암컷이음매(4)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슬리이브(11)가 조작되므로, 슬리이브911)의 조작스페이스는 불필요하게 되고, 암컷이음매(4)를 기기(3)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해서 장착할 수 있고, 또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하는 둘레홈(7)을, 관외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가공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등,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관체(1)쪽에 연결된 수컷이음매(2)와, 기기(3)쪽에 매설한 암컷이음매(4)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컷이음매(2)는 통구(5)를 가지고 관형상으로 하고, 관외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6)을 형성하고, 또 이 둘레홈(6)의 전방에 둘레홈(7)을 형성하고, 출몰가능하게한 결합부재(8)를 가짐과 동시에 발지수단(9)을 가지고, 스프링(10)의 탄력을 받아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슬리이브(11)을, 상기 둘레홈(6)의 바깥쪽위치에 끼워 넣고, 또 시일부재(12)를 상기 둘레홈(7)에 끼워넣는 것으로하고, 상기 암컷이음매(4)는, 통구(21)를 가지고 관형상으로 하고, 관내면의 적당한 위치에 둘레홈(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8)가, 슬리이브(11)에 형성한 스텝구멍(13)에, 머리달린핀(14)을 끼워 넣어서 출몰가능하게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3.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9)가, 슬리이브(11)에 형성한 플랜지부착구멍(15)에, 보올(16)을 끼워 넣어 출몰가능하게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4. 제1항에 있어서, 발지수단(9)이, 관외면에 형성한 플랜지(18)에 슬리이브(11)의 후단구부러진 부분(19)를 걸어맞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5. 제1항에 있어서, 발지수단(9)이, 관외면에 끼워 넣은 스냅링(20)에 슬리이브(11)을 걸어맞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KR1019890005567A 1989-04-27 1989-04-27 관이음매(管繼手) KR930006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567A KR930006023B1 (ko) 1989-04-27 1989-04-27 관이음매(管繼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5567A KR930006023B1 (ko) 1989-04-27 1989-04-27 관이음매(管繼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66A KR900016666A (ko) 1990-11-14
KR930006023B1 true KR930006023B1 (ko) 1993-07-01

Family

ID=1928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567A KR930006023B1 (ko) 1989-04-27 1989-04-27 관이음매(管繼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0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666A (ko) 1990-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292Y1 (ko) 관 이음구
ATE188282T1 (de) Schnellkupplung mit einem integrierten entriegelungselement
KR950005554B1 (ko) 관 연결구
JPS58109791A (ja) ホ−ス継手
KR950011900A (ko) 관이음구의 소켓
DE68916648D1 (de) Selbstspannende schlauchkupplung.
EP0425230A1 (en) Pipe joint
FR2775508B1 (fr) Raccord a sertir pour un tuyau en matiere synthetique
GB2146400A (en) Pipe coupling
KR930006023B1 (ko) 관이음매(管繼手)
US3901538A (en) Quick-connect coupling
KR100235820B1 (ko) 관이음장치 및 관이음용 잠금장치
ES2011759A4 (es) Dispositivo de empalme, con conexion y desconexion rapidas, de conductos tubulares
JP2002327885A (ja) 管継手のソケット
US1567324A (en) Hose coupling
KR200151400Y1 (ko) 유체이송용 호스의 플러그 및 소켓
JPH07208673A (ja) 管継手
JPH01206199A (ja) 管継手
KR890017482A (ko) 콜리트를 사용한 관이음매
JP3017586B2 (ja) 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
KR930004734B1 (ko) 관 이음매(管繼手)
KR940002498Y1 (ko) 관체와 관체와의 이탈방지구조
JP4259836B2 (ja) ワンタッチ継手
JPH0126956Y2 (ko)
JPH01269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