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702A - 커플러 - Google Patents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702A
KR20030028702A KR1020020045197A KR20020045197A KR20030028702A KR 20030028702 A KR20030028702 A KR 20030028702A KR 1020020045197 A KR1020020045197 A KR 1020020045197A KR 20020045197 A KR20020045197 A KR 20020045197A KR 20030028702 A KR20030028702 A KR 2003002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joint member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이또게이이찌로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70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16L37/3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at least one of the lift valves being of the sleeve type, i.e. a sleeve is telescoped over an inner cylindric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제 1 이음부재에 대하여 제 2 이음부재를 장착했을 때에 제 1 및 제 2 이음부재의 장착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 이음부재 (12), 상기 제 1 이음부재 (12) 의 외주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홀더 (16), 상기 홀더 (16) 의 내부에 결합 또는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 2 이음부재 (14), 상기 홀더 (16) 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장착되고 제 1 스프링부재 (18) 의 작용 하에 변위되는 슬리브 (20) 및, 제 1 이음부재 (12) 내부에 장착되고 제 1 이음부재 (12) 내부의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밸브 (28)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플러{COUPLER}
본 발명은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유로를 개폐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켓과 플러그의 장착상태 표시기능을 구비한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 또는 분리시킬 때에 자동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커플러가 채택되어 왔다. 상기 커플러에 의해 밸브체가 자동적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했을 때에 유로가 폐색되어 유체 누출이 방지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관련된 커플러에서는, 소켓에 대하여 플러그가 확실히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의 확인 작업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하였다. 그러나, 육안에의한 확인만으로는 소켓과 플러그의 장착이 불완전한 상태 (언로크 상태) 를 발견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그 결과 소켓과 플러그의 장착이 불완전하므로, 소켓측 배관에서 플러그측 배관에 대한 유체 유통이 저지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육안에 의한 확인 작업하는 대신에 작업자가 각 커플러의 소켓 및 플러그를 직접 만져서 장착상태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커플러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장착상태의 확인 작업이 번잡해지고 또 메인테넌스 작업의 복잡함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홀더에 대한 제 2 이음부재의 유지 상태 및/또는 유지 해제 상태를 쉽게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로부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에 제 2 이음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로부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에 제 2 이음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00: 커플러12: 제 1 이음부재
14: 제 2 이음부재16,102: 홀더
18: 제 1 스프링부재20: 슬리브
22a,22b: 걺부재24: 유지부재
26: 제 2 스프링부재28: 밸브
34: 제 1 가이드부40: 제 1 시일부재
42: 밸브시트부47: 경사부
48: 개구부50a,50b: 걸어맞춤구멍
58: 컬러부재60: 고리형 볼록부
62: 돌출부64: 밸브체부
66: 슬라이딩부80: 제 2 가이드부
82: 걸어맞춤홈84: 제 3 가이드부
85: 돌기부86: 제 2 포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 이음부재,
상기 제 1 이음부재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부에 결합 또는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 2 이음부재 및,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결합된 유지 상태 및/또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유지 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장착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결합된 유지 상태 및/또는 상기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유지 해제 상태일 때에 상기 슬리브를 축선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홀더의 외주면 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홀더의 걸어맞춤구멍에 장착되는 걺부재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홀더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걺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걺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 1 스프링부재의 작용 하에 상기 슬리브를 축선방향으로 변위시켜 상기 홀더의 외주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면 된다.
또,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슬리브의 변위 작용 하에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상기 일단부를 피복하는 동시에 반대측 상기 홀더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면 된다.
또한, 상기 걺부재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컬러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컬러부재의 변위 작용 하에 유지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걸어맞춤홈에 상기 걺부재를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제 1 이음부재와 제 2 이음부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변위가 자유롭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제 2 스프링부재의 작용 하에 상기 제 1 이음부재 내부의 밸브시트부에 맞닿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누름 작용 하에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부에서 이간시켜 상기 제 1 이음부재의 내부와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내부를 연통시키면 된다.
또,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착색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내부에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슬리브가 축선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홀더의 외주면 일부만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 결과, 홀더의 외주면 일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외부에서 제 2 이음부재의 유지 상태 및/또는 유지 해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상태의 확인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련된 커플러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를 나타낸다. 또, 여기에서는 제 1 이음부재 (12) 와 제 2 이음부재 (14) 가 일체적으로 장착된 상태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커플러 (10) 는 금속재료로 형성되고, 축선방향을 따른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 1 이음부재 (12), 타방측에 제 1 이음부재 (12) 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이음부재 (14), 상기 제 1 이음부재 (12) 의 중앙부보다 제 2 이음부재 (14) 측에 일체적으로 삽입되는 홀더 (16) 및, 이 홀더 (16) 의 외주면을 덮도록 장착되고 홀더 (16)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부재 (18) 의 작용 하에 축선방향으로 변위가 자유롭게 형성된 슬리브 (20) 를 포함한다.
또, 커플러 (10) 는 홀더 (16) 의 후술하는 걸어맞춤구멍 (50a,50b) 에 삽입되는 걺부재 (22a,22b), 제 1 이음부재 (12) 의 내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유지부재 (24) 및, 홀더 (16) 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 2 스프링부재 (26) 의 작용 하에 상기 제 1 이음부재 (12) 의 일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밸브 (28) 를 갖는다.
제 1 이음부재 (12) 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관 등이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30), 상기 제 1 접속부 (30) 와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6각기둥 형상의 제 1 조임부 (32) 및, 타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임부 (32) 보다 직경이 축소되며 축선방향을 향하여 소정 길이가 연장되는 제 1 가이드부 (34) 를 구비한다.
또, 제 1 이음부재 (12) 에는 일단부측 제 1 접속부 (30) 의 내부에 제 1 포트 (36) 가 형성되고, 제 1 조임부 (32) 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포트 (36) 보다 직경이 확대된 제 1 스텝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텝부 (38) 에는 외주면이 이 제 1 스텝부 (38) 의 스텝형상에 대응한 유지부재 (24) 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유지부재 (24) 의 외주면에는 고리형 홈을 사이에 두고 제 1 시일부재 (40) 가 장착되어 제 1 이음부재 (12) 와 유지부재 (24)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유지부재 (24) 의 제 1 포트 (36) 측 내주면에는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테이퍼형 밸브시트부 (42) 가 형성되고, 제 2 이음부재 (14) 측 내주면에는 홈부를 사이에 두고 밸브 (28) 의 후술하는 슬라이딩부 (66) 와의 사이에 제 2 스프링부재 (26) 가 장착되어 있다. 또, 제 1 가이드부 (34) 의 내주면과슬라이딩부 (66) 의 외주면은 각각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 (34) 의 외주면에는 수지제 재료로 형성된 홀더 (16) 의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홀더 (16) 의 일단부가 제 1 조임부 (32) 의 단면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홀더 (16) 의 외주면에는, 제 1 이음부재 (12) 측보다 직경이 축소되며 슬리브 (20) 와의 사이에 제 1 스프링부재 (18) 가 장착되는 제 2 스텝부 (44), 그리고 제 2 이음부재 (14) 측에 이 제 2 스텝부 (44) 보다 직경이 축소된 제 3 스텝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16) 의 타단부는 외주면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이퍼형 경사부 (47) 가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는 개구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스텝부 (46) 와 개구부 (48) 사이에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인 걸어맞춤구멍 (50a,50b) 이 2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참조). 상기 걸어맞춤구멍 (50a,50b) 은 홀더 (16) 의 축선에 대하여 거의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 이 걸어맞춤구멍 (50a,50b) 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원호형으로 소정 길이가 연장되고, 또 단면이 대략 8각 형상의 걺부재 (22a,22b) 가 각각 장착된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 (16) 의 내주면에는 제 1 가이드부 (34) 에 삽입된 내주면보다 직경이 축소된 제 4 스텝부 (54), 그리고 제 2 이음부재 (14) 측에 직경이 축소된 제 5 스텝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4 스텝부 (54) 에는 단면이 대략 T자형으로 형성되는 컬러부재 (58) 의 고리형 볼록부 (60) 가 걸어맞춰져 있다. 즉, 상기 컬러부재 (58) 는 고리형 볼록부 (60) 를 통해 제 4 스텝부 (54) 를 따라 자유롭게 변위된다. 또, 외부에서확인하기 쉽게 홀더 (16) 에는 예컨대 적색, 오렌지색 등의 색을 착색하면 된다.
홀더 (16) 외주에 장착되는 상기 슬리브 (20) 의 제 1 스프링부재 (18) 에 의한 변위 작용 하에 홀더 (16) 의 외주면의 피복상태를 전환하는 표시기구 (표시수단: 61) 가 제 1 가이드부 (34) 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 (20) 는 외주면이 거의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슬리브 (20) 의 내주면에는 반경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 (62) 는 상기 제 3 스텝부 (46) 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돌출부 (62) 와 상기 제 2 스텝부 (44) 사이에 제 1 스프링부재 (18) 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프링부재 (18) 는 슬리브 (20) 를 홀더 (16) 에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돌출부 (62) 의 내주면과 제 3 스텝부 (46) 의 외주면은 거의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 (62) 는 제 3 스텝부 (46) 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밸브 (28) 는 제 1 이음부재 (12) 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단부측에 거의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체부 (64), 타단측에 제 1 가이드부 (34) 의 내주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단면이 コ자형인 슬라이딩부 (66) 및, 상기 밸브체부 (64) 와 상기 슬라이딩부 (66) 를 접속하고 있는 소정 각도로 이간된 복수개의 플랜지부 (68) 로 구성된다 (도 1 참조).
상기 밸브체부 (64) 의 반경 외측방향의 외주면에는 고리형 홈을 통해 제 2 시일부재 (70) 가 장착되고, 슬라이딩부 (66) 에 장착되어 있는 제 2 스프링부재 (26) 의 작용 하에 상기 제 2 시일부재 (70) 가 유지부재 (24) 의 테이퍼형 밸브시트부 (42) 에 눌리게 되어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슬라이딩부 (66) 의 플랜지부 (68) 의 일단면에는 복수개의 연통구멍 (72) 이 형성되고, 밸브 (28) 의 밸브 열림시에 상기 연통구멍 (72) 을 통해 제 1 포트 (36) 와 제 2 이음부재 (14) 의 후술하는 제 2 포트 (86) 가 연통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 (66) 의 일단면과 컬러부재 (58) 의 일단면 사이에 제 3 시일부재 (74) 가 삽입되고, 밸브 (28) 의 변위 작용 하에 상기 제 3 시일부재 (74) 와 컬러부재 (58) 가 일체적으로 변위된다.
제 2 이음부재 (14) 는 제 1 이음부재 (12) 와 대향하는 동일축형 위치에 배치되고,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배관 등이 접속되는 제 2 접속부 (76), 상기 제 2 접속부 (76) 가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된 6각기둥 형상의 제 2 조임부 (78), 상기 제 2 조임부 (78) 보다 직경이 축소되며 소정 길이가 연장되는 제 2 가이드부 (80), 이 제 2 가이드부 (80) 의 외주면에 상기 걺부재 (22a,22b) 가 걸어맞춰지는 걺홈 (82), 상기 제 2 가이드부 (80) 보다 직경이 축소되며 소정 길이가 연장되는 제 3 가이드부 (84) 및, 걸어맞춤홈 (82) 과 제 3 가이드부 (84) 사이에 형성되는 돌기부 (85) 로 구성된다.
또, 상기 걸어맞춤홈 (82) 의 형상은 걸어맞춰지는 걺부재 (22a,22b) 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부 (80) 의 외주면 직경은 개구부 (48) 의 내주면 직경과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제 3 가이드부 (84) 의 외주면 직경은 컬러부재 (58)의 내주면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가이드부 (84) 의 외주면에는 컬러부재 (58) 가 맞닿고 있는 동시에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선단부가 슬라이딩부 (66) 의 내주면의 테이퍼형상으로 걸어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이음부재 (14) 에는 일단부측 제 2 접속부 (76) 의 내부에 제 2 포트 (86) 가 형성되고, 타단부측에 이 제 2 포트 (86) 와 연통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 (10) 는 기본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것으로, 다음에 그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2에 나타낸 제 2 이음부재 (14) 의 이탈 시기를 초기 상태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러 (10) 의 초기 상태에서는 제 1 스프링부재 (18) 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 슬리브 (20) 가 홀더 (16) 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슬리브 (20) 의 돌출부 (62) 의 경사면이 걸어맞춤구멍 (50a,50b) 에 장착된 걺부재 (22a,22b) 의 경사면에 맞닿으며 걸려 있다. 또, 슬리브 (20) 의 외주면의 축선방향을 따른 길이는 홀더 (16) 의 축선방향을 따른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이음부재 (14) 가 이탈된 초기상태에서는 홀더 (16) 는 슬리브 (20) 에 피복되어 있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또, 제 2 스프링부재 (26) 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 밸브 (28) 가 유지부재 (24) 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밸브체부 (64) 에 장착된 제 2 시일부재 (70) 가 밸브시트부 (42) 에 맞닿음으로써 제 1 포트 (36) 와 홀더 (16) 의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제 1 접속부 (30) 를 통해 연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제 2 이음부재 (14) 를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밸브체부 (64) 에 장착된 제 2 시일부재 (70) 가 밸브시트부 (42) 에 맞닿았을 때에 슬라이딩부 (66) 의 일단부가 제 3 시일부재 (74) 와 컬러부재 (58) 를 일체적으로 개구부 (48) 의 방향으로 눌러 고리형 볼록부 (60) 가 제 4 스텝부 (54) 의 단면에 맞닿으며 걸린 상태에 있다.
걺부재 (22a,22b) 는 걸어맞춤구멍 (50a,50b) 에 장착되고 외주면을 슬리브 (20) 의 내주면에 의해 유지되는 동시에, 내주면을 컬러부재 (58) 의 외주면에 의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구멍 (50a,50b) 으로부터 걺부재 (22a,22b) 가 탈락되는 경우가 없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튜브 등의 배관이 연결된 제 2 이음부재 (14) 를 홀더 (16) 의 개구부 (48) 를 따라 내부에 삽입하면, 제 3 가이드부 (84) 의 테이퍼형 선단부가 슬라이딩부 (66) 의 테이퍼형 내주면과 걸어맞추어져 밸브 (28) 를 누르는 동시에, 제 2 이음부재 (14) 의 돌기부 (85) 가 컬러부재 (58) 의 단면에 맞닿으며 제 3 시일부재 (74) 를 통해 슬라이딩부 (66) 의 일단면을 누른다. 그 결과, 밸브 (28) 가 제 2 스프링부재 (26)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 1 이음부재 (12) 의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눌린다. 또, 컬러부재 (58) 의 변위량은 제 4 스텝부 (54) 에 걸어맞춰지는 고리형 볼록부 (60) 가 제 1 가이드부 (34) 의 단면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그 결과, 밸브체부 (64) 의 제 2 시일부재 (70) 가 밸브시트부 (42) 에서 이간되고 제 1 포트 (36) 와 제 2 포트 (86) 가 밸브 (28) 의 연통구멍 (72) 을 통해 연통된 상태가 된다.
컬러부재 (58) 의 외주면에 의해 유지된 걺부재 (22a,22b) 는 제 2 이음부재 (14) 에 의한 이 컬러부재 (58) 의 변위 작용 하에 유지 상태가 해제되고, 내주측에 변위되어 제 2 가이드부 (80) 의 걸어맞춤홈 (82) 에 삽입된다.
그 결과, 초기 상태에서 걺부재 (22a,22b) 에 의해 걸린 슬리브 (20) 의 돌출부 (62) 의 걺상태가 해제되고, 제 1 스프링부재 (18) 의 탄성력의 작용 하에 슬리브 (20) 의 돌출부 (62) 가 걺부재 (22a,22b) 를 뛰어넘어 제 2 이음부재 (14) 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리고, 돌출부 (62) 가 개구부 (48) 의 외주에 형성된 경사부 (47) 에 맞닿으며 걸린다.
즉, 홀더 (16) 의 외주면에 피복되어 있던 슬리브 (20) 가 제 2 이음부재 (14) 의 방향으로 변위됨으로써, 내부 홀더 (16) 의 단부측 일부 (도 3에서 A부분 참조) 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걺부재 (22a,22b) 가 걸어맞춤홈 (82) 에 장착되기 때문에, 제 2 이음부재 (14) 가 축선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홀더 (16) 의 외주면을 착색함으로써 한층 더 외부에서의 확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 (100) 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또, 상기 기술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 (10) 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타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 (100) 에서는 제 2 이음부재 (14) 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홀더 (102) 의 일단부 (도 4에서 B 부분 참조) 가 외부로 노출되고, 제 2 이음부재 (14) 를 장착한 상태에서 홀더 (102) 의 타단부 (도 5에서 C 부분 참조) 가 외부로 노출된다는 면에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플러 (10) 와 다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음부재 (14) 가 홀더 (102) 의 내부에서 이탈된 상태에서는 홀더 (102) 의 개구부 (48) 가 형성되는 타단부 (도 4에서 B 부분 참조) 를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이음부재 (14) 의 이탈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때 홀더 (102) 의 타단부측 외주면에는 슬리브 (20) 가 피복되어 있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이음부재 (14) 를 장착한 상태에서 슬리브 (20) 의 제 2 이음부재 (14) 측 단면과 개구부 (48) 의 단면이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홀더 (102) 의 타단부측이 슬리브 (20) 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제 2 이음부재 (14) 의 장착 또는 이탈 상태에 따라 홀더 (102) 의 외주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위가 홀더 (102) 의 일단부측 (도 4에서 B 부분 참조) 에서 타단부측 (도 5에서 C 부분 참조) 으로 바뀌기 때문에, 제 2 이음부재 (14) 의 장착 또는 이탈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이음부재 (14) 의 장착시 또는 이탈시에 외부에서 착탈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또는 이탈 상태의 확인시에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한층 더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2 이음부재의 결합시 또는 이탈시에 표시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제 2 이음부재의 유지 상태 및/또는 유지 해제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만져서 결합 또는 이탈 상태를 확인하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메인터넌스 작업을 한층 더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이음부재,
    상기 제 1 이음부재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내부에 결합 또는 이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제 2 이음부재 및,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결합된 유지 상태 및/또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유지 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홀더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장착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결합된 유지 상태 및/또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된 유지 해제 상태일 때에 상기 슬리브가 축선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홀더의 외주면 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걸어맞춤구멍에 장착되는 걺부재 및
    상기 슬리브와 상기 홀더 사이에 장착되는 제 1 스프링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걺부재에 의한 상기 슬리브의 걺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 1 스프링부재의 작용 하에 상기슬리브가 축선방향으로 변위되어 상기 홀더의 외주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일단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슬리브의 변위 작용 하에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상기 일단부가 피복되는 동시에 반대측 상기 홀더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걺부재는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컬러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컬러부재의 변위 작용 하에 유지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걸어맞춤홈에 상기 걺부재가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이음부재와 제 2 이음부재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변위가 자유롭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이음부재가 이탈되어 있을 때에 제 2 스프링부재의 작용 하에 상기 제 1 이음부재 내부의 밸브시트부에 맞닿는 밸브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 상기 제 2 이음부재를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누름 작용 하에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시트부에서 이간되어 상기 제 1 이음부재의 내부와 상기 제 2 이음부재의 내부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홀더의 외주면은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KR1020020045197A 2001-10-02 2002-07-31 커플러 KR200300287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6819 2001-10-02
JP2001306819A JP2003113981A (ja) 2001-10-02 2001-10-02 カプラ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02A true KR20030028702A (ko) 2003-04-10

Family

ID=1912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197A KR20030028702A (ko) 2001-10-02 2002-07-31 커플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3113981A (ko)
KR (1) KR20030028702A (ko)
CN (1) CN1255642C (ko)
DE (1) DE10245026B4 (ko)
TW (1) TW54140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8B1 (ko) * 2005-08-30 2007-07-04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6775B1 (fr) * 2004-10-14 2006-12-08 Staubli Faverges Sca Partie male d'un raccord rapide, ce raccord rapide et jeu de deux tels raccords rapides
JP4378647B2 (ja) * 2006-09-20 2009-12-09 Smc株式会社 管継手
JP2010054041A (ja) * 2007-12-19 2010-03-11 Nifco Inc 結合確認機構
JP5438463B2 (ja) * 2009-10-28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FR2965887B1 (fr) * 2010-10-08 2012-11-30 Staubli Sa Ets Dispositif de raccord avec verrouillage par griffes filetees et raccord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JP6249993B2 (ja) 2014-06-26 2017-12-20 日東工器株式会社 高圧流体を扱うのに適した雌型継手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管継手
DE102015222640B4 (de) * 2015-11-17 2021-08-26 U.M. Gewerbeimmobilien Gmbh & Co. Kg Kupplungselement und Ventilstößel für eine Kupplung zur Verbindung von Druckmittelleitungen
JP2019143786A (ja) * 2018-02-23 2019-08-29 株式会社ハーマン ソケット、及びソケットを備える管継手
CN110206952B (zh) * 2018-11-30 2021-03-2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接接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4705A (en) * 1965-09-10 1968-10-08 Hansen Mfg Co Coupling and valve mechanism
JPS6230629Y2 (ko) * 1981-05-07 1987-08-06
JP3496977B2 (ja) * 1994-04-19 2004-02-16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4098384B2 (ja) * 1997-10-08 2008-06-1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3313675B2 (ja) * 1999-10-18 2002-08-12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用ソケット
DE60139421D1 (de) * 2001-01-19 2009-09-10 Nitto Kohki Co Muffe für rohrverbi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8B1 (ko) * 2005-08-30 2007-07-04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45026B4 (de) 2011-11-10
DE10245026A1 (de) 2003-05-08
JP2003113981A (ja) 2003-04-18
CN1255642C (zh) 2006-05-10
TW541409B (en) 2003-07-11
CN1419069A (zh)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0004B2 (en) Coupler
US7213845B2 (en) Tube joint
US5494073A (en) Fluid connector
TWI463089B (zh) 內孔耦接元件及包含此元件之快速耦接器
US20060061101A1 (en) Connection device for fluid lines
JP2005207591A (ja) 迅速管継手とその管継手の雄雌要素を離脱する方法
KR20030028702A (ko) 커플러
US20100212579A1 (en) Pressure state indicator
EP3705768B1 (en) Pipe joint
KR20010112075A (ko) 접속기구
JP5319507B2 (ja) 継手部材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JP5491840B2 (ja) 継手部材
JPH0642685A (ja) 流体導管結合用のプラグイン継手
ITMI20000715A1 (it) Dispositivo di raccordo rapido di un tuo ad un elemento rigido
JP4585407B2 (ja) 空気圧配管継手装置
JPH0972478A (ja) 管路接続用カプラ
JP4521713B2 (ja) 継手装置
JP2008057767A (ja) 管継手
JP4792372B2 (ja) ガス供給用接続具におけるプラグ
JP3011824B2 (ja) 管継手
KR200351506Y1 (ko) 호스 연결구조물
KR102663718B1 (ko) 파이프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탈착식 배관연결 접속구
EP0403474A1 (en) Instant hose coupling
JP4346325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