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868B1 -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 Google Patents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868B1
KR100733868B1 KR1020050079873A KR20050079873A KR100733868B1 KR 100733868 B1 KR100733868 B1 KR 100733868B1 KR 1020050079873 A KR1020050079873 A KR 1020050079873A KR 20050079873 A KR20050079873 A KR 20050079873A KR 100733868 B1 KR100733868 B1 KR 10073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oilet
pipe
connection unit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017A (ko
Inventor
조대우
Original Assignee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요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86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배출구와 바닥 배수관을 접속하는 접속유닛의 구조를 배출물이 잘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하면서 동시에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하도록 가변형으로 함으로써 배출효과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가 막혀있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관에 유출부의 끝부분이 끼워 넣어져 접속되는 유출관으로 이루어진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기, 가변형, 접속유닛, 배수관

Description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도 1은 종래의 변기용 접속유닛을 장착한 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변기용 접속유닛 102....유입관
104....유출관 110....유입부
120....유출부 130....고정부
200....슬라이드부 210....보조관
250....가이드부 260....하부 가이드
270....상부 가이드
본 발명은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배출 구와 바닥 배수관을 접속하는 접속유닛의 구조를 배출물이 잘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하면서 동시에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수평방향으로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가능하도록 가변형으로 함으로써 배출효과의 극대화와 함께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의 경우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 배수관까지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 1은 이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이 내부에 적용된 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유닛(100)은 그 일단부가 변기의 배출구(140)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140)에서 어긋난 바닥면에 위치한 상기 변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해서 설치된 배수관(150)에 타단부가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속유닛(100)은 통상 배수관(150)에 접속되는 바닥측 부분이 플랜지로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시일 부재를 끼워서 상호 체결되게 되는데, 그 결과 변기를 바닥면에다 설치할 경우 상기 배수관(150)에 플랜지를 미리 설치해 두어야 하고, 또한 변기접속부와 동시에 바닥측에다 고정시켜야 하므로 시공에 따른 불편함이 있어왔다.
더군다나, 그 구조상 변기의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높이도 낮을 뿐 아니라, 접속유닛의 내부 유로가 완만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접속유닛 내부의 유동저항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배출능력이 향상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변기용 접속유닛(등록실용 20-0329809호)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바가 있다.
도 2는 상기 변기용 접속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변기용 접속유닛(100)은 크게, 배출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102)과, 배수관측에 연결되는 유출관(104)으로 구분되어지며, 상기 유입관(102)은 일단부가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110)와, 그 타단부가 막혀있는 막힘부(111)로 구성되는 통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120)의 양측부에는 고정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30)에는 다수 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 본체가 나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100)은 변기의 배출구(140)에 유입관의 유입부(110)를 삽입고정하도록 한 다음, 다수 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부(130)를 변기 외측을 통하여 나사못으로 고정되도록만 하면 쉽게 장착이 되게 되며,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변기 유출관의 유출부(120) 끝부분을 설치될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150) 내로 끼워넣도록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속유닛은 최소 시공시에는 매우 편리하다고 할 수 있으나, 변기 교체시나 화장실을 개보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된다.
먼저, 변기가 설치될 장소의 벽면으로부터 변기의 배출물이 배출될 바닥 배수관과의 수평길이가 모두 일정하게 되어 있어 상기 길이가 조금이라도 달라질 경우 시공이 매우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통상 리모델링 작업시 화장실의 경우 기존의 타일을 제거하지 않고, 그 위에다 새로운 타일을 그대로 부착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이럴 경우 상기 벽면과 배수관과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종래 접속유닛으로는 정확한 시공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작업자는 그 차이에 해당되는 만큼 접속유닛을 짤라내어 시공하거나 아니면 변기가 설치될 부분의 벽면 타일을 다시 제거하여 원상태로 한 다음 시공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벽면과 배수관 사이의 수평거리가 접속유닛의 수평길이에 비하여 다소 여유가 있을 경우에도 종래의 접속유닛의 경우에는 변기를 벽면으로 밀착시킬 수가 없으므로 변기와 벽면사이의 비교적 넓은 틈이 존재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틈이 생길 경우 변기의 물탱크와 하부본체의 연결부분이 상기 틈에 해당하는 만큼 발생되는 움직임에 의해 반복적으로 굽힘응력을 받아서 쉽게 파손이 될 수도 있어 변기의 수명이 길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입관과 유출관으로 이루어진 접속유닛을 변기 내부의 고정부를 통하여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접속유닛에 슬라이드부와 가이드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유출관의 수평방향 길이를 가변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변기 외관의 돌출부위를 과감히 줄임과 동시에 시공시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가 막혀있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관에 유출부의 끝부분이 끼워 넣어져 접속되는 유출관으로 이루어진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유닛(100)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에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속유닛(100)은 크게, 배출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102)과, 배수관측에 연결되는 유출관(104)으로 구분되어지며, 또한 상기 접속유닛(100)은 상기 유출관(104)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250)와, 상기 가이드부(25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102)은 일단부가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110)와, 그 타단부가 막혀있는 막힘부(111)로 구성되는 통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부(110)와 변기의 배출구 사이에는 접속에 따른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시일재(105)가 끼워져 장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관(102)에서 유입부(110)와 막힘부(111) 사이의 일정한 위치에서 변기의 배출구를 배수관과 연통되게 하기 위한 유출관(104)이 분기되게 되어 상기 배수관과 유출부(120)를 통해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부(120)는 상기 유출관(10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관에 끝부분이 끼워넣어져 접속되게 되며, 이때 접속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부(120)의 외측둘레에는 오링 형태의 시일 부재(106)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유닛(100)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130)가 상기 가이드부(25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30)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 본체가 나 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변기 본체에 고정장착되는 본 발명의 접속유닛(100)은 슬라이드부(200)와 가이드부(25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유출관(104)이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되는데, 도 4는 상기 슬라이드부(200)와 가이드부(250)를 포함하여 보다 자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출관(104)을 두 부분(104', 104")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유출관 사이를 별도의 보조관(210)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드부(2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관(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유출관(104')과는 고정되고, 타측의 유출관(104")과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조로 되며, 이때 상기 유출관(104")과 슬라이딩이 되는 보조관(210)의 일단부 외측둘레에는 오링 형태의 시일 부재(220)가 구비되어 내부 유로를 흐르는 배출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출관(104)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200)를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250)가 별도로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유입관(102)의 타단부, 즉 막힘부(111)에 끼워지는 제 1 관통홀(262)과 상기 유출관(104)의 유출부(120)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 2 관통홀(264)로 이루어진 하부 가이드(260)와, 상기 유출관(104)의 유출부(120) 상부측으로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270)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유출부(120)의 외주연에는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 가이드(260)와 상부 가이드(미도시)의 테두리 부분에는 단턱부(26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122)는 유출부(120)의 끝부분이 배수관에 끼워지는 것을 감안하여 가능한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속유닛은, 먼저 하부 가이드(260)의 제 1 관통홀(262)과 제 2 관통홀(264)를 각각 막힘부(111)와 유출부(120)의 하부측에서 끼우고, 그 다음 유출관(104)의 유출부(120) 상부측에서 상부 가이드(270)을 끼워서 나사못(272)으로 상호 체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이때, 하부 가이드(260)과 상부 가이드(270)이 접하게 되는 테두리부근은 단턱부(266)가 형성되어 있어 그 결과 상하부 가이드가 체결될 경우에는 테두리부근의 내부에는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 내부를 따라서 유출부(120)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부(122)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104)의 유출부(120)에 끼워지는 제 2 관통홀(264)은 유출관(104)의 길이방향으로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어 그에 상응한 길이만큼 상기 유출관(104)을 신축가능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타측의 유출관(104")에 돌기(108)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돌기(108)에 끼워지는 가이드홀(274)이 상부 가이드(270)에 형성되어 있어 유출관(104)의 신축을 보다 정확하게 안내 및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5(a), (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속유닛(100)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를 토대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5(a)는 유출관(104)이 길이방향으로 최대한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반대로 최대한 줄어든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속유닛의 유입부(110)를 변기 내부 배출구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다음, 나사못에 의해 고정부(130)를 변기본체를 고정시키도록 하여 접속유닛(100)을 변기와 일체가 되도록 장착을 하게 되며, 이렇게 하여 장착된 변기를 유출부(120)의 끝부분이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끼워지도록 맞추어 안착시키면 간단하게 변기가 설치되게 된다.
이때 만약 리모델링시 타일부착 등으로 인하여 벽면이 배수구측으로 돌출된 경우라면 벽면에서 배수구 사이의 수평거리가 줄어들게 되므로, 이때에는 접속유닛(100)을 도 5(a)에서 도 5(b)의 상태가 되도록 그 거리를 줄이기만 하면 종래와 같이 접속유닛을 잘라내지 않고서도 무난하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배수구에 맞춰 변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변기 본체와 벽면과의 사이에 다소의 틈이 있을 경우에는 변기 본체를 그대로 벽면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도 5(b)에서 도 5(a)와 같이 유출관(104)이 늘어나게 되어 상기 틈을 충분히 메울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유출부(120)에 형성된 돌기부(122)가 유출부(120)의 상하부측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가이드부(250)에 의해 유출관(104)의 슬라이드부(200)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신축량에 해당되는 만큼 변기를 배수구로부터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그 만큼 시공에 따른 여유가 있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공간활용도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통상 벽면으로부터 배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일률적으로 규정된 상태에서 각종 리모델링을 통하여 변기를 교체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접속유닛은 작업자로 하여금 시공상 매우 큰 편리함을 부여할 수가 있다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접속유닛(100)은 변기의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높이도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유입관(102)과 유출관(104)이 분기되는 곳이나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유출부(120)의 형상은 유동에 따른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유닛은 최대한 변기의 배출구에서 배수관 사이의 내부 유로의 저항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설계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도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어 무엇보다 변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물이 배수관으로 쉽게 흘러 들어갈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기내부에다 형상에 따른 유동저항이 대폭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접속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은 변기의 배출구와 바닥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접속유닛이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시공시 매우 편리하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가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그 구조도 내부 유로의 저항이 최소한이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어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측 배수관으로 배출능력이 뛰어나며, 무엇보다 이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을 구비한 변기의 경우, 변기 외관의 돌출부위를 과감히 줄일 수가 있어 이로부터 제품의 구매력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변기 본체의 배출구(140)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150) 사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가 막혀있는 유입관(102)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관에 유출부(120)의 끝부분이 끼워 넣어져 접속되는 유출관(104)으로 이루어진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104)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유출관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보조관(210)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출관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가이드부(250)와;
    상기 가이드부(25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3. 삭제
  4. 변기 본체의 배출구(140)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150) 사이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고 타단부가 막혀있는 유입관(102)과, 상기 유입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관에 유출부(120)의 끝부분이 끼워 넣어져 접속되는 유출관(104)으로 이루어진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104)을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토록 연결하는 슬라이드부(20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신축을 안내함과 동시에 그 신축량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관의 타단부에 끼워지는 제 1 관통홀(262)과 상기 유출관의 유출부 하부측으로 끼워지는 제 2 관통홀(264)로 이루어진 하부 가이드(260)와, 상기 유출관의 유출부 상부측으로 끼워지는 상부 가이드(270)로 구성되어 상호 체결되는 가이드부(250)와;
    상기 가이드부(250)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유출부에 끼워지는 제 2 관통홀(264)은, 유출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경이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외주연에는 돌기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7. 삭제
KR1020050079873A 2005-08-30 2005-08-30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10073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873A KR100733868B1 (ko) 2005-08-30 2005-08-30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873A KR100733868B1 (ko) 2005-08-30 2005-08-30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631U Division KR200366541Y1 (ko) 2004-08-09 2004-08-09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17A KR20060014017A (ko) 2006-02-14
KR100733868B1 true KR100733868B1 (ko) 2007-07-04

Family

ID=3712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873A KR100733868B1 (ko) 2005-08-30 2005-08-30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3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88U (ko) * 2007-10-25 2009-04-29 김민철 변기용 접속유닛
KR200455834Y1 (ko) 2009-01-12 2011-09-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결합용 돌기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1243671B1 (ko)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8Y1 (ko) * 2012-01-31 2014-10-31 김정기 양변기용 배출관
KR102414708B1 (ko) * 2020-06-23 2022-06-28 신정섭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702A (ko) * 2001-10-02 2003-04-1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커플러
KR200329809Y1 (ko)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702A (ko) * 2001-10-02 2003-04-10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커플러
KR200329809Y1 (ko)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88U (ko) * 2007-10-25 2009-04-29 김민철 변기용 접속유닛
KR200455834Y1 (ko) 2009-01-12 2011-09-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결합용 돌기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1243671B1 (ko)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17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868B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EP2142716A1 (en) Shower drainage system having slimline waste conduit device
KR100922874B1 (ko) 수로관
JP6579373B2 (ja) 便器装置
EP2402516A1 (en) A plumbing for discharging waste water
KR200366541Y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US10309084B2 (en) Tub spout assembly
JP6120245B2 (ja) 配管接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水洗便器
JP3649022B2 (ja) 衛生設備機器の排水構造
JP2014105719A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0395486Y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200329809Y1 (ko) 변기용 접속유닛
JP579374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US2875453A (en) Siphon leg and water closet combination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JP5369397B2 (ja) 排水ソケット
CN214063910U (zh) 一种自力式定流量阀
US2022033336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CN211646590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KR200375988Y1 (ko)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 연결관
CN211395862U (zh) 枢转式排水塞连动装置
JP6351065B2 (ja) 排水ソケット
CN214784577U (zh) 同层排水地漏
JP4415687B2 (ja) バルコニー等の外部床の壁際の排水構造
KR20200093126A (ko) 좌변기와 배수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