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475B1 -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 Google Patents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475B1
KR101260475B1 KR1020110095320A KR20110095320A KR101260475B1 KR 101260475 B1 KR101260475 B1 KR 101260475B1 KR 1020110095320 A KR1020110095320 A KR 1020110095320A KR 20110095320 A KR20110095320 A KR 20110095320A KR 101260475 B1 KR101260475 B1 KR 10126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variable
long hole
uni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623A (ko
Inventor
김태호
이수종
이원석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4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은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변기 본체의 배출구 및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용 플랜지를 연결하는 트랩부와, 상기 트랩부 양측에 구비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연결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각각 슬라이딩 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장공이 형성되며 단부가 변기 본체의 내측과 결합되는 가변슬라이더와, 상기 각 제1장공과 연결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with variable fixing part}
본 발명은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배출구와 바닥 배수관을 접속하는 접속유닛의 양측에 구비된 고정부가 다양한 크기의 변기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는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의 경우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 배수관까지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는데, 접속유닛은 그 일단부가 변기의 배출구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어긋난 바닥면에 위치한 상기 변기 본체의 바닥면을 향해서 설치된 배수관에 타단부가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변기용 접속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 변기용 접속유닛(100)은 크게, 배출구 측에 연결되는 유입관(102)과, 배수관 측에 연결되는 유출관(104)으로 구분되어 지며, 상기 유입관(102)은 일단부가 배출구에 삽입 고정되는 유입부(110)와, 그 타단부가 막혀있는 막힘부(111)로 구성되는 통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부(120)의 양측부에는 고정부(1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130)에는 다수 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 본체가 나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100)은 변기의 배출구에 유입관(102)의 유입부(110)를 삽입 고정하도록 한 다음, 다수 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부(130)를 변기 외측을 통하여 나사못으로 고정되도록만 하면 쉽게 장착이 되게 되며,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변기 유출관(104)의 유출부(120) 끝 부분을 설치될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내로 끼워넣도록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속유닛은 최소 시공시에는 매우 편리하다고 할 수 있으나, 변기를 교체하거나 다른 종류의 변기에는 호환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고정부가 가변적이지 않고 고정된 형상이어서 정해진 규격의 변기만 시공할 수밖에 없다.
만일, 상기 고정부가 변기 본체에 딱 맞게 체결되지 않고 더 길거나 짧을 경우, 억지로 체결을 시도할 수는 있으나 상기 고정부나 변기 본체가 지속적인 응력을 받기 때문에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본체와 배수관을 연결하는 트랩부 양측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와 체결할 수 있는 고정부가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변기 본체와 고정할 수 있는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비하여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변기 본체의 배출구 및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용 플랜지를 연결하는 트랩부와, 상기 트랩부 양측에 구비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트랩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연결 부재와,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각각 슬라이딩 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장공이 형성되며 단부가 변기 본체의 내측과 결합되는 가변슬라이더와, 상기 각 제1장공과 연결 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슬라이딩홈 상에는 상기 가변슬라이더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장공과 수직으로 제2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가 상기 제1장공 및 제2장공을 관통하면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고정부의 가변슬라이더가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가변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변기 본체와 체결할 수 있어 시공시 호환성으로 인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좌우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시공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크다.
도 1은 종래 변기용 접속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트랩부(10), 고정부(20)로 이루어지는 변기용 접속유닛에서, 상기 고정부(20)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상기 고정부(20)가 연결 부재(22), 가변슬라이더(24) 및 체결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개시된다.
먼저, 상기 트랩부(10)는 유입구(12)와 유출구(14)가 형성된 긴 유로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유입구(12)는 변기 본체(미도시)의 배출구(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유출구(14)는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미도시)에 직접 결합되거나 플랜지(미도시)를 매개로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트랩부(1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변기 본체의 내측면과 체결되어 상기 트랩부(10)를 변기 본체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20)의 연결 부재(22)가 상기 트랩부(10)의 하단,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유출구(14)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변슬라이더(24)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상기 트랩부(10)가 일측으로 전복되지 않도록 받침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22)의 양측 상부면에는 슬라이딩홈(22a)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22a)은 후술하는 가변슬라이더(24)가 가이드 되면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가지며, 홈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고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레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 상기 가변슬라이더(24)는 상기 슬라이딩홈(22a)에 안착되어 왕복 이동할 수 있는 이동체이며, 한 쌍이 상기 슬라이딩홈(22a)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변슬라이더(24)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의 구멍인 제1장공(24a)이 형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상기 가변슬라이더(24)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장공(24a)에는 후술하는 체결구(26)가 관통된다.
또 상기 가변슬라이더(24)의 단부에는 변기 본체의 내측면과 결합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26)는 상기 가변슬라이더(24)가 상기 연결 부재(22)의 슬라이딩홈(22a)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너트 등의 체결구(26)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6)는 상기 제1장공(24a)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홈(22a)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22)에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상호 체결하는 구조이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각 슬라이딩홈(22a) 상에 긴 구멍 형상의 제2장공(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장공(22b)은 상기 제1장공(24a)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폭은 상기 체결구(26)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가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장공(24a)에 의해 상기 가변슬라이더(24)는 상기 체결구(26)에 걸린 상태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장공(22b)에 의해 상기 가변슬라이더(24)는 상기 체결구(26)에 걸린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적절하게 전후좌우로 이동시켜 조절하면 다양한 크기의 변기 본체에 무리 없이 체결할 수 있고 시공하기에 적당하지 못한 환경이나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인데, (a)는 가변슬라이더가 좌우로 완전히 이동하여 확장된 상태이고,(b)는 (a)를 하측에서 본 상태이다. 참고로, 도 2와 3은 가변슬라이더가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트랩부(10)의 유입구(12)를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다음으로 도 2와 3의 경우 변기 본체가 작은 경우 상기 체결구(26)를 풀고(이때, 느슨하게 한 상태를 유지하되, 완전히 해체하지는 않는다)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내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가변슬라이더(24)의 단부가 변기 본체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위치를 잡은 다음 상기 체결구(26)를 조여 체결한다. 이후 변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가변슬라이더(24)와 변기 본체()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만일, 변기 본체()가 클 경우 도 4와 같이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각각 좌우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단부가 변기 본체의 내측면에 적절하게 접촉하도록 위치한 후 상기 체결구(26)를 조여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고정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가변슬라이더(24)를 전후로 이동시켜 변기 본체와의 체결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트랩부 12 : 유입구
14 : 유출구
20 : 고정부 22 : 연결 부재
22a : 슬라이딩홈 22b : 제2장공
24 : 가변슬라이더 24a : 제1장공
26 : 체결구

Claims (2)

  1. 유입구(12)와 유출구(14)를 구비하여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변기 본체의 배출구 및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에 결합되는 배수용 플랜지를 연결하는 트랩부(10)와, 상기 트랩부(10) 양측에 구비되어 변기 본체와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20)를 포함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트랩부(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양측에 슬라이딩홈(22a)이 형성된 연결 부재(22)와,
    상기 슬라이딩홈(22a)에 안착되어 각각 슬라이딩 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장공(24a)이 형성되며 단부가 변기 본체의 내측과 결합되는 가변슬라이더(24)와,
    상기 각 제1장공(24a)과 연결 부재(22)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홈(22a) 상에는 상기 가변슬라이더(24)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장공(24a)과 수직으로 제2장공(22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6)가 상기 제1장공(24a) 및 제2장공(22b)을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20110095320A 2011-09-21 2011-09-21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126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20A KR101260475B1 (ko) 2011-09-21 2011-09-21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320A KR101260475B1 (ko) 2011-09-21 2011-09-21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23A KR20130031623A (ko) 2013-03-29
KR101260475B1 true KR101260475B1 (ko) 2013-05-06

Family

ID=4818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320A KR101260475B1 (ko) 2011-09-21 2011-09-21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6743B2 (ja) * 2019-05-23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排水ソケ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排水口接続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86Y1 (ko) 2005-06-15 2005-09-15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100894932B1 (ko) 2007-08-06 2009-04-27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486Y1 (ko) 2005-06-15 2005-09-15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100894932B1 (ko) 2007-08-06 2009-04-27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623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6033B2 (en) Wash stand
US9157223B2 (en) Lavatory system
BR112013002424B1 (pt) calha de escoamento para chuveiros no nível do piso
US20110303595A1 (en) Drain and inlet member for drain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US10352031B2 (en) Toilet with overflow protection
US9650778B2 (en) Urinal with splash guard
KR100922874B1 (ko) 수로관
JP6579373B2 (ja) 便器装置
KR100733868B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JP2014173390A (ja) 便器設置構造
US20090235449A1 (en) Base part for stalls
US9752311B2 (en) Anti-siphonic toilet
JP6351065B2 (ja) 排水ソケット
KR200463421Y1 (ko) 배수 트랜치
KR200395486Y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JP2011026907A (ja) 床下排水式水洗便器
JP7402666B2 (ja) 排水ソケットおよび水洗式便器
JP2019078096A (ja) 間接排水用継手
KR20100007292U (ko) 변기용 접속유닛
KR200329809Y1 (ko) 변기용 접속유닛
JP6538462B2 (ja) 排水接続管及びトイレ装置
JP2015071900A (ja) 小便器用スプレッダー
KR100894932B1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101064669B1 (ko) 흄관용 받침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