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809Y1 - 변기용 접속유닛 - Google Patents

변기용 접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809Y1
KR200329809Y1 KR20-2003-0022082U KR20030022082U KR200329809Y1 KR 200329809 Y1 KR200329809 Y1 KR 200329809Y1 KR 20030022082 U KR20030022082 U KR 20030022082U KR 200329809 Y1 KR200329809 Y1 KR 200329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utlet
connection unit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우
Original Assignee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요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배출구와 바닥 배수관을 접속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를 접속하여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일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로 이루어지고, 그 타단부는 막혀있는 막힘부로 구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유입부와 막힘부 사이의 일정위치에서 분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배수관과 접속되는 유출부로 구성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변기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출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출부가 상기 배수관에 끼워넣어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용 접속유닛{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의 배출구와 바닥 배수관을 접속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유로를 짧게 하고, 또한 형상에 따른 유동저항이 대폭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접속유닛을 변기내부에다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편리함을 도모하고, 변기 외관의 돌출부위를 과감히 줄일 수 있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에는 변기 본체 하면의 배출구를 건물 바닥측의 배수관에다 접속되도록 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기 내부에 수로가 형성될 경우, 변기 제작시 상기 수로에 의하여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내부의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도의 접속유닛이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 1은 이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이 내부에 적용된 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유닛(20)은 그 일단부가 변기의 배출구(12)에 접속되고, 상기 배출구(12)에서 어긋난 바닥면에 위치한 상기 변기 본체(10)의 바닥면을 향해서 설치된 배수관(14)에 타단부가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접속유닛(20)의 내부 유로는 변기의 배출구(12)측 일단부인, 유입부측은 'ㄴ'의 형상으로, 배수관(14)에 접속되는 타단부인, 유출부측은 'ㄱ' 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접속유닛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유닛(20)은 설치될 바닥면과 적어도 두군데에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즉, 변기의 배출구에 접속된 유입구(13)측의 하부에 위치한 변기접속부(16)가 바닥에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바닥의 배수관(14)에 접속되는 부분인 유출부(15) 역시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유닛(20)은 통상 배수관(14)에 접속되는 바닥측 부분이 플랜지(17)로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시일 부재(18)를 끼워서 상호 체결되게 된다. 즉, 건물 바닥측에 이와 같은 플랜지(17)가 미리 형성되어야만 상기 접속유닛(20)을 체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접속유닛(20)을 사용한 변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배수관(14)이 접속되는 바닥측 부분에 설치된 상기 플랜지(17)에 접속유닛의 유출부(15)를 위치시키고, 또한 변기의 배출구에 접속된 유입구(13)측의 하부에 위치한 변기접속부(16)를 바닥측에 위치시켜 두 군데가 동시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접속유닛의 유입구(13)측에다 변기의 본체 하면에 위치한 배출구(12, 도 1 참조)를 끼워서 고정시키도록 하여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유닛(20)을 구비한 변기를 바닥면에다 설치할 경우 배수관(14)에 플랜지(17)를 미리 설치해 두어야 하고, 변기접속부와 동시에 바닥측에다 고정시켜야 하므로 시공에 따른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그 구조상 변기의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높이도 낮을 뿐 아니라, 접속유닛의 내부 유로가 완만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접속유닛 내부의 유동저항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변기내부에다 형상에 따른 유동저항이 대폭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접속유닛을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편리함을 도모하고, 동시에 변기 외관의 돌출부위를 과감히 줄일 수 있는 변기용 접속유닛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기용 접속유닛을 장착한 변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변기용 접속유닛의 내부유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변기용 접속유닛 102....유입관
104....유출관 105....탄성 시일재
106....시일 부재 108....공간부
110....유입부 120....유출부
130....고정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은, 변기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를 접속하여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일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로 이루어지고, 그 타단부는 막혀있는 막힘부로 구성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유입부와 막힘부 사이의 일정위치에서 분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배수관과 접속되는 유출부로 구성되는 유출관과; 상기 유출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변기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출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출부가 상기 배수관에 끼워넣어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입관의 막힘부와 유출관이 분기되는 위치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본체가 나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면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유닛(100)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에 접속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속유닛(100)은 크게, 배출구측에 연결되는 유입관(102)과, 배수관측에 연결되는 유출관(104)으로 구분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102)은 일단부가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110)와, 그 타단부가 막혀있는 막힘부(111)로 구성되는 통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부(110)와 변기의 배출구 사이에는 접속에 따른 외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시일재(105)가 끼워져 장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관(102)에서 유입부(110)와 막힘부(111) 사이의 일정한 위치에서 변기의 배출구를 배수관과 연통되게 하기 위한 유출관(104)이 분기되게 되어 상기 배수관과 유출부(120)를 통해 접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부(120)는 상기 유출관(10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관에 끼워넣어져 접속되게 되며, 이때 접속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부(120)의 외측둘레에는 오링 형태의 시일 부재(106)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접속유닛(100)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130)가 상기 유출부(12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데, 상기고정부(130)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 본체가 나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접속유닛(100)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속유닛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변기 외관으로의 돌출되는 부위를 과감히 줄일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유닛(100)의 내부 유로를 도시한 것이다. 크게 유입관(102)과 유출관(104)으로 나누어지는 본 고안의 접속유닛(100)은 전체적으로 길이가 짧으면서 변기의 배출구와 배수관 사이의 높이도 다소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관(102)과 유출관(104)이 분기되는 곳이나 배수관으로 유출되는 유출부(120)의 형상은 유동에 따른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접속유닛(100)은 최대한 변기의 배출구에서 배수관 사이의 내부 유로의 저항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설계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도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어 무엇보다 변기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배출물이 배수관으로 쉽게 흘러 들어갈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굽힘관을 통하여 흘러가는 유체는 굽힘부분을 통과할 경우 굽힘에 의한 원심력을 받아서 관 중심의 속도가 큰 부분의 유체는 관벽으로 이동하고, 관벽 가까이의 유체는 관 중심으로 이동하는 볼텍스(vortex)가 형성되게 되어 직관에 비하여 압력손실이 크게 된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서는 이러한 점을 다소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곡관부, 즉 유출관(104)으로 흘러 들어가기 전에 일정한 크기를가지는 공간부(108)를 두도록 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08), 즉 유입관(102)의 막힘부(111)와 유출관(104)이 분기되는 위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상기 막힘부(111)에 의해 배출구에서 유입된 배출물의 섞임현상이 가속화되므로 유출관(104)을 통하여 이를 보다 잘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도 생기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은, 먼저 변기의 배출구에 유입관(102)의 유입부(110)를 삽입고정하도록 한 다음,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부(130)를 변기 외측을 통하여 나사못으로 고정되도록만 하면 쉽게 장착이 되게 되며,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변기 유출관의 유출부(120)를 설치될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내로 끼워넣도록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때 본원 고안에서 사용되는 접속유닛(100)에서 유입관(102)과 유출관(104)의 직경은 상호 동일하며, 크기 또한 상기 유출부(120)보다 다소 작도록 하여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기내부에다 형상에 따른 유동저항이 대폭 감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접속유닛을 내부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예상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접속유닛은 변기의 배출구에 유입관의 유입부를 삽입고정하도록 한 다음,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부를 변기 외측을 통하여 나사못으로 고정되도록만 하면 쉽게 장착이 되게 되며,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변기 유출관의 유출부를 설치될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내로 끼워넣도록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에 있어서도 내부 유로의 저항이 최소한이 되도록 설계가 되어 있어 무엇보다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측 배수관으로 배출물이 막힘없이 잘 흘러갈 수가 있으며, 또한 별도로 형성된 공간부에 의해 섞임효과가 가속화되기 때문에 배출능력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기용 접속유닛을 구비한 변기의 경우, 변기 외관의 돌출부위를 과감히 줄일 수가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제품의 구매력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5)

  1. 변기 본체(10)의 배출구(12)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14) 사이를 접속하여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변기용 접속유닛에 있어서,
    일단부가 개구되어 상기 배출구에 삽입고정되는 유입부(110)로 이루어지고, 그 타단부는 막혀있는 막힘부로 구성되는 유입관(102)과;
    상기 유입관의 유입부와 막힘부 사이의 일정위치에서 분기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배수관과 접속되는 유출부로 구성되는 유출관(104)과;
    상기 유출부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변기 본체와 고정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출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기 유출부(106)가 상기 배수관에 끼워넣어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접속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막힘부(111)와 유출관이 분기되는 위치 사이에는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공간부(10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접속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와 배출구 사이에는 탄성 시일재(105)가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접속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의 외측둘레에는 시일 부재(10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접속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0)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과 변기본체가 나사못에 의해 상호 고정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접속유닛.
KR20-2003-0022082U 2003-07-09 2003-07-09 변기용 접속유닛 KR200329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82U KR200329809Y1 (ko) 2003-07-09 2003-07-09 변기용 접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082U KR200329809Y1 (ko) 2003-07-09 2003-07-09 변기용 접속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809Y1 true KR200329809Y1 (ko) 2003-10-17

Family

ID=4933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082U KR200329809Y1 (ko) 2003-07-09 2003-07-09 변기용 접속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8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8B1 (ko) 2005-08-30 2007-07-04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100872283B1 (ko) * 2007-07-25 2008-12-05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100894932B1 (ko) * 2007-08-06 2009-04-27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868B1 (ko) 2005-08-30 2007-07-04 대림요업 주식회사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100872283B1 (ko) * 2007-07-25 2008-12-05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100894932B1 (ko) * 2007-08-06 2009-04-27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5184B2 (ja) 排水システム
KR200329809Y1 (ko) 변기용 접속유닛
KR100733868B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US6182306B1 (en) Side-mount toilet valve
US6698455B2 (en) Fluid multieconomizer device
EP3461959B1 (en) Overflow device
JP4399522B2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JP2014105719A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WO2001032996A1 (fr) Siege sanitaire, dispositif de vidange d'eau de ce siege et toilettes equipees de ce siege et du dispositif de vidange
RU2306390C2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промывочного клапана
JP4840032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31714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95486Y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CN210238662U (zh) 一种入墙龙头装置
CN216041552U (zh) 双槽菜盆防臭下水套件
KR200271257Y1 (ko) 절수용 키트
KR200366541Y1 (ko) 가변형 변기용 접속유닛
KR200359678Y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냉,온수 겸용 수도꼭지
JP2970649B2 (ja) 排水管継手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102341283B1 (ko) 경량 구조를 갖는 수전
KR20230134040A (ko) 이음관
CN216041551U (zh) 单槽菜盆防臭下水套件
US4323270A (en) Pipe fitting device for plumb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