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283B1 -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283B1
KR100872283B1 KR1020070074440A KR20070074440A KR100872283B1 KR 100872283 B1 KR100872283 B1 KR 100872283B1 KR 1020070074440 A KR1020070074440 A KR 1020070074440A KR 20070074440 A KR20070074440 A KR 20070074440A KR 100872283 B1 KR100872283 B1 KR 10087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utlet
inlet
horizontal extension
lock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배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직 연장부(14)와 수평 연장부(15)를 형성하여 수직연장부(14)에 의해서는 연결관이 허공에 뜨지 않고 바닥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수평연장부(15)에 의해서는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14)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 블록(154)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 연장부, 블록, 패킹, 유입구, 토출구

Description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Connecting tube for draining water of toilet stool}
본 발명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에 수직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를 형성하여 수직연장부에 의해서는 연결관이 허공에 뜨지 않고 바닥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수평연장부에 의해서는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의 경우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 배수관까지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종래에 사용된 접속유닛에서는 변기 자체에 수로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유닛을 사용하여 물을 배출하게되므로 변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되고 돌출부위가 사라지게되는 장점은 있었지만, 유닛이 안정감있게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사용도중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이 누적되어질 경우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접속유닛은 변기내에서 그 외벽에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설치시마다 위치가 조금씩 변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가변적인 작업환경에 맞춰 상기 접속 유닛을 설치하기위해서는 예기치않은 어려움이 뒤따르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직 연장부와 수평 연장부를 형성하여 수직연장부에 의해서는 연결관이 허공에 뜨지 않고 바닥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수평연장부에 의해서는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에 그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블럭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입구측 하부에는 수직 연장부를, 출구측의 좌우부에는 수평 연장부를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의 견고한 결합상태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직연장부는 화장실 바닥면에 닿게되어 상기 연결관이 허공에 뜨지 않고 바닥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도중에 연결관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결합부의 균열 및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수평연장부 역시 변기의 내벽에 닿아 지지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블럭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배수용 연결관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직 연장부(14)와 수평 연장부(15)를 형성하여 수직연장부(14)에 의해서는 연결관이 허공에 뜨지 않고 바닥에 안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수평연장부(15)에 의해서는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14)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 블록(154)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외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에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된다.
한편, 중간연결관(13)의 꺽임부에서는 유출물에 의한 마찰저항이 적게 발생되어지도록, 상기 "ㄴ"자 및 "ㄱ"자 형태 꺽임부의 외곽측에서는 완만한 형태의 곡선부로 형성되어진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합성수지재에 의한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데,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굴곡이 비교적 심한 편이므로 좌, 우측을 나눠 반단면의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열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기 본체 배출구(미도시함)와 유입구(11) 사이의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11) 상부에는 패킹(2)이 끼워진채로 변기 본체 배출구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패킹(2)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서, 내주면이 상기 유입구(11)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짧은 관의 형태이며,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태로 된 비스듬한 경사통공부가 형성되어, 변기 본체 배출구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1)는 변기 본체 배출구가 끼워져 결합되어야 하므로, 중간 연결관(13)보다는 큰 직경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구(12)는 화장실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미도시함)에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하고 설치시에 발생되는 가변성에 적절히 대처하 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에는 로테이터(4)가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12)는 로테이터 패킹(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로테이터(4)와 결합된다.
로테이터(4)는 중심축이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진 두 개의 짧은 관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진 형태로서, 상기 배수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전각도를 달리함에 의해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설치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배수관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된다.
상기 로테이터(4)와 토출구(12) 사이의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토출구(12) 하부에는 로테이터 패킹(3)이 끼워진채로 로테이터(4)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로테이터 패킹(3)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서, 내주면이 상기 로테이터(4)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짧은 관의 형태이며,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태로 된 비스듬한 경사통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12)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로테이터(4)에 끼워져 결합되어야 하므로, 중간 연결관(13)과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유입구측 중간연결관의 하부에 수직 연장부(14)가 화장실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하방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토출구측 중간연결관의 좌,우측에는 수평 연장부(15)가 설치시에 변기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양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 우의 수평 연장부(15)와 수직 연장부(14)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설치시에 이와 같이 수직 연장부(14)가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하부를 지지하게되므로, 하중에 의한 영향이나 상하방향의 충격에 대해서도 견딜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수직 연장부(14)는 직경이 비교적 넓은 형태로서 바닥에 안정감있게 설치될 것이므로, 사용중에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결합부에서 진동,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지고, 진동 누적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의 문제도 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 선단에는 블록 수용부(151)가 각각 형성되고, 변기 내벽면과 인접한 부위에는 창(1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 수용부(152)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록킹 블록(154)이 위치하고, 그 상부에는 상기 블록 수용부(152)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록킹 블록 커버(155)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록킹 블록(154)은 수나사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암나사가 형성되기위해서는 수나사보다 부드러운 재질이어야 하겠으나, 암나사가 형성된 후 그 형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록 수용부(151)의 상부에는 내측 모서리부에 단턱(153)이 여러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 블록 커버(155)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 우측의 수평 연장부(15)는 변기 내벽면에 닿을 정도로 신장되어진 형태 이며, 상기 수직 연장부(14)와는 각각 연결되어 위에서 보면 삼발이 형태로 구성되어지므로 더욱 안정감있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 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외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상기 수직 연장부(14)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므로 하중에 의한 영향 및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평 연장부(15)에 의해서는 변기의 내벽면에 닿아 그 양측부가 지지될 것이고 특히 상기 수직 연장부(14)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더욱 안정감있게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의 감소는 물론, 이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수용부(151)는 연질재이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볼트의 체결위치가 다소 가변되더라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수용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에 걸터앉아 좌우로 흔들게되면 록킹블록(154)은 볼트에 의해 변기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블록(154)은 변기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되는데, 상기 블록수용부(151)는 상부가 록킹블록커버(155)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블록(154)의 상부로의 움직임을 차단하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내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외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용 연결관 2 : 패킹
3 : 로테이터 패킹 4 : 로테이터
11 : 유입구 12 : 토출구
13 : 중간 연결관 14 : 수직 연장부
15 : 수평 연장부 151 : 블록 수용부
152 : 창 153 : 단턱
154 : 록킹 블록 155 : 록킹 블록 커버

Claims (4)

  1.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연결된 유입구측 중간연결관(13)의 하부에 수직 연장부(14)가 화장실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하방 으로 신장되어 있으며, 토출구측 중간연결관의 좌,우측에는 수평 연장부(15)가 변기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양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으며, 상기 좌, 우의 수평 연장부(15)와 수직 연장부(14)는 서로 연결되어, 위에서 보면 삼발이 형태의 일체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수평 연장부(15)의 외측 선단에는 상부가 개구된 블록 수용부(151)가 각각 형성되고, 변기 내벽면과 인접한 부위에는 창(15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 수용부(152)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록킹 블록(154)이 위치하고, 그 상부에는 상기 블록 수용부(152)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록킹 블록 커버(155)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블록 수용부(151)의 상부에는 내측 모서리부에 단턱(15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 블록 커버(155)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블록(154)은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
  4. 삭제
KR1020070074440A 2007-07-25 2007-07-25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10087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40A KR100872283B1 (ko) 2007-07-25 2007-07-25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440A KR100872283B1 (ko) 2007-07-25 2007-07-25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283B1 true KR100872283B1 (ko) 2008-12-05

Family

ID=4037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440A KR100872283B1 (ko) 2007-07-25 2007-07-25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60B1 (ko) * 2009-07-24 2011-02-22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목재 바닥판의 설치를 위한 일체식 복합소재 장선
KR101243671B1 (ko)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085U (ko) * 1989-05-11 1990-12-06
JPH10219801A (ja) * 1997-02-12 1998-08-18 Toto Ltd 汚物流し用高さ調整部材
JP2000064403A (ja) 1998-08-26 2000-02-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サイフォン式水洗便器の排水構造
KR200329809Y1 (ko) *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085U (ko) * 1989-05-11 1990-12-06
JPH10219801A (ja) * 1997-02-12 1998-08-18 Toto Ltd 汚物流し用高さ調整部材
JP2000064403A (ja) 1998-08-26 2000-02-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サイフォン式水洗便器の排水構造
KR200329809Y1 (ko) *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60B1 (ko) * 2009-07-24 2011-02-22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목재 바닥판의 설치를 위한 일체식 복합소재 장선
KR101243671B1 (ko)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0945B (zh) 盥洗台
TWI679328B (zh) 洗臉台
KR100872283B1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RU200911471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сливного бачка
JP6579373B2 (ja) 便器装置
KR100894932B1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0388701Y1 (ko) 양변기 배수관 체결용 플랜지
JP6351065B2 (ja) 排水ソケット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CN221030502U (zh) 一种挂墙马桶
JP6805411B2 (ja) 排水トラップ
KR102628507B1 (ko) 배수관 연결장치
JP4055899B2 (ja) 排水ヘッダー
KR200368183Y1 (ko) 싱크대의 배수구 패킹
JP2005105708A (ja) 排水装置
JPH07109753A (ja) 洗面台等の排水トラップ構造
JP5473013B2 (ja) 基礎貫通配管構造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JP2001234577A (ja)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および水洗便器
KR100578118B1 (ko) 밀폐형 양변기 및 그 시공방법
JP2003313925A (ja) 排水ソケット
JP2007039956A (ja) 浴室排水トラップ構造
KR200192991Y1 (ko) 배수전
JPH02378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