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932B1 -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932B1
KR100894932B1 KR1020070078743A KR20070078743A KR100894932B1 KR 100894932 B1 KR100894932 B1 KR 100894932B1 KR 1020070078743 A KR1020070078743 A KR 1020070078743A KR 20070078743 A KR20070078743 A KR 20070078743A KR 100894932 B1 KR100894932 B1 KR 10089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ipe
outlet
drainage
horizonta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654A (ko
Inventor
전영배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9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평 연장부(15)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1)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14)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 블록(153)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장실 바닥면에는 배수용 연결관(1)이 볼트(6)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웬만해선 결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 연장부, 블록, 패킹, 유입구, 토출구

Description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Connecting tube for draining water of toilet stool}
본 발명은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의 배수관 사에에 연결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관에 수평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되, 화장실 바닥면에 변기연결관이 볼트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웬만해선 결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변기 내벽에 대해서는 록킹블록에 볼트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치가 어느정도 가변되더라도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의 배수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세식 변기의 경우 변기의 배출구에서 바닥 배수관까지 내부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변기 외관이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그 결과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수로 형상에 따라서 유동저항이 다소 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기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는 대신 별 도의 접속유닛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었는데,
종래에 사용된 접속유닛에서는 변기 자체에 수로를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유닛을 사용하여 물을 배출하게되므로 변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되고 돌출부위가 사라지게되는 장점은 있었지만, 유닛이 안정감있게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사용도중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흔들림이 누적되어질 경우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접속유닛은 변기내에서 그 외벽에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는데, 설치시마다 위치가 조금씩 변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가변적인 작업환경에 맞춰 상기 접속 유닛을 설치하기위해서는 예기치않은 어려움이 뒤따르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변기 사용도중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흔들림이 누적될 경우 변기가 화장실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변기 내부에서는 배수용 연결관과 변기의 배출구 및 바닥 배수관과의 결합상태가 훼손되어 누수가 발생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평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에 첫 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록킹블록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두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화장실 바닥면에 변기연결관이 볼트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웬만해선 결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데에 세 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측부에는 수평 연장부를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서로간의 견고한 결합상태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평연장부는 변기의 내벽에 닿아 지지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블럭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배수용 연결관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화장실 바닥면에는 변기연결관이 볼트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웬만해선 결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수평 연장부(15)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의 위치가 변기내에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변기 배수용 연결관(1)이 사용중에 흔들리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흔들림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연장부(14)는 변기 내벽에 닿는 구조로서, 그 선단에 설치된 로킹 블록(153)은 가변위치에서 변기와의 나사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접속 유닛을 가변적인 작업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화장실 바닥면에는 배수용 연결관(1)이 볼트(6)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중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웬만해선 결합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 사이에서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된다.
변기 배수용 연결관은 합성수지재에 의한 사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는데, 내부구조가 복잡하고 굴곡이 비교적 심한 편이므로 좌, 우측 또는 상, 하측을 나눠 반단면의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열을 가해 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변기 본체 배출구(미도시함)와 유입구(11) 사이의 결합부에서 누수(漏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입구(11) 상부에는 패킹(2)이 끼워진채로 변기 본체 배출구에 결합되어진다.
상기 패킹(2)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서, 내주면이 상기 유입구(11)의 외주면에 밀착결합되는 짧은 관의 형태이며,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태로 된 비스듬한 경사통공부가 형성되어, 변기 본체 배출구의 직경이 균일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11)는 변기 본체 배출구가 끼워져 결합되어야 하므로, 중간 연 결관(13)보다는 큰 직경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토출구(12)는 화장실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미도시함)에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의 누수를 방지하고 설치시에 발생되는 가변성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에는 로테이터(4)가 결합되고, 상기 토출구(12)는 로테이터 패킹(3)을 사이에 두고 상기 로테이터(4)와 결합된다.
로테이터(4)는 중심축이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진 두 개의 짧은 관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진 형태로서, 상기 배수관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전각도를 달리함에 의해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설치간격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에 따라 다소 변경될 수 있는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배수관사이의 간격에 대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1)의 측부에는, 수평 연장부(15)가 설치시에 변기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양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 선단에는 하방이 개구되고 상부가 폐쇄된 형태의 블록 수용부(151)가 각각 형성되고, 변기 내벽면과 인접한 부위에는 창(15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 수용부(151)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록킹 블록(153)이 위치하는데, 상기 블록 수용부(151)의 하단 내측에는 단턱(15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 블록(153)을 블록 수용부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끝까지 밀어 넣으면 상기 단턱(156)에 걸려서 빠져 나올 수 없도록 결합된다.
상기 단턱(156)은 록킹 블록(153)의 블록 수용부(151) 내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 블록(153)은 수나사가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암나사가 형성되기위해서는 수나사보다 부드러운 재질이어야 하겠으나, 암나사가 형성된 후 그 형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강도(强度)가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목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좌, 우측의 수평 연장부(15)는 변기 내벽면에 닿을 정도로 신장되어진 형태이며, 상기 유입구 측에서 토출구의 좌, 우측까지 각각 연결되어서 위에서 보면 삼발이 형태로 구성되어지므로 더욱 안정감있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여기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1)은, 상기 수평 연장부(15)에 의해서는 변기(5)의 내벽면에 닿아 그 양측부가 지지될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더욱 안정감있게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의 감소는 물론, 이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연장부(15)의 좌, 우측 선단에 연결된 블록 수용부(151)는 변기(5)의 내벽면에 닿을 정도로 위치하며, 볼트(6)에 의해 상기 변기(5)를 관통하여 블록 수용부(151)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변기(5) 몸체와 배수용 연결관(1)이 일체로 결합될 것이므로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블록 수용부(151)는 연질재이므로, 설치환경에 따라 볼트(6)의 체결위치가 다소 가변되더라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수용 연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기에 걸터 앉아 좌우로 흔들게되면 록킹 블록(153)은 볼트(6)에 의해 변기(5)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 블록(153)은 변기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되는데 상기 블록 수용부(151)는 상부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 블록(153)의 상부로의 움직임을 차단하게된다.
한편, 상기 배수용 연결관(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연장부(15)에는 통공(154)이 형성되어 볼트(155)에 의해 화장실 바닥면에 견고히 결합되어지므로, 상기 배수용 연결관(1)은 상기 볼트(6)와 록킹 블록(153)에 의해 그 측부가 변기(5)와 결합되고, 볼트(155)에 의해서는 그 하부가 화장실 바닥면에 결합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이 변기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배수용 연결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용 연결관 2 : 패킹
3 : 로테이터 패킹 4 : 로테이터
5 : 변기 6 : 볼트
11 : 유입구 12 : 토출구
13 : 중간 연결관 15 : 수평 연장부
151 : 블록 수용부 152 : 창
153 : 록킹 블록 154 : 통공
155 : 볼트 156 : 단턱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변기 본체의 배출구와 연결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되어진 유입구(11)와, 건물 바닥에 형성된 배수관과 연결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되어진 토출구(12)와, 상기 유입구(11)와 토출구(12)사이에 연결된 관으로서 상기 유입구(11)측과 토출구(12)측에서는 각각 "ㄴ"자와 "ㄱ"자 형태로 구부러지고 그 중간은 수평되게 연결되어진 중간연결관(13)으로 구성되고, 변기 배수용 연결관(1)의 측부에는, 수평 연장부(15)가 변기 내벽에 닿을 수 있도록 양측을 향해 신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연장부의 외측 선단에는 하방이 개구되고 상부가 폐쇄된 형태의 블록 수용부(151)가 각각 형성되고, 변기 내벽면과 인접한 부위에는 창(15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록 수용부(151)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록킹 블록(153)이 위치하는데, 상기 블록 수용부(151)의 하단 내측에는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단턱(15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록킹 블록(153)을 블록 수용부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끝까지 밀어 넣으면 상기 단턱(156)에 걸려서 빠져 나올 수 없도록 결합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에 있어서,
    좌, 우측의 수평 연장부(15)는 변기 내벽면에 닿을 정도로 신장되어진 형태이며, 상기 유입구 측에서 토출구의 좌, 우측까지 각각 연결되어서 위에서 보면 삼발이 형태로 구성되고, 통공(154)이 다수 구비되어 볼트(155)에 의해 화장실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배수용 연결관.
KR1020070078743A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KR10089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3A KR100894932B1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43A KR100894932B1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4A KR20090014654A (ko) 2009-02-11
KR100894932B1 true KR100894932B1 (ko) 2009-04-27

Family

ID=4068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43A KR100894932B1 (ko) 2007-08-06 2007-08-06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5B1 (ko) 2011-09-21 2013-05-0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38Y1 (ko) * 2012-01-31 2014-10-31 김정기 양변기용 배출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530A (ja) * 1999-03-15 2000-09-26 Inax Corp 便器の排水口と排水配管との連結構造
KR200329809Y1 (ko) *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5530A (ja) * 1999-03-15 2000-09-26 Inax Corp 便器の排水口と排水配管との連結構造
KR200329809Y1 (ko) * 2003-07-09 2003-10-17 대림요업 주식회사 변기용 접속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5B1 (ko) 2011-09-21 2013-05-0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54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932B1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US8011029B2 (en) Drain socket
KR100872283B1 (ko) 변기의 배수용 연결관
US4389138A (en) Drain pipe
KR101989187B1 (ko) 루프드레인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12452964U (zh) 一种虹吸式坐便器
JP4757036B2 (ja) 作業口蓋の取付構造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200388701Y1 (ko) 양변기 배수관 체결용 플랜지
KR20100007292U (ko) 변기용 접속유닛
KR101517696B1 (ko)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KR200464194Y1 (ko) 좌변기용 세정장치의 고정장치
CN207537750U (zh) 一种洗衣机的底座组件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JP2010121312A (ja) 浴槽の排水構造
KR101260475B1 (ko) 가변형 고정부가 구비된 변기용 접속유닛
KR200211767Y1 (ko) 아파트 베란다 배수관용 소음 방지장치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TWM587666U (zh) 具存水隔離的排水裝置
CN216360764U (zh) 一种新型防溢横排下水管
KR20000019700U (ko) 배수트랩
JP2003313925A (ja) 排水ソケット
KR20090003988U (ko) 변기용 접속유닛
JP2001234577A (ja)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および水洗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