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632U -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632U
KR20180001632U KR2020160006824U KR20160006824U KR20180001632U KR 20180001632 U KR20180001632 U KR 20180001632U KR 2020160006824 U KR2020160006824 U KR 2020160006824U KR 20160006824 U KR20160006824 U KR 20160006824U KR 20180001632 U KR20180001632 U KR 20180001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nnection
clamp
plug body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김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균 filed Critical 김태균
Priority to KR2020160006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632U/ko
Publication of KR20180001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6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호스의 견고한 연결과 손쉬운 분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는 일단부에 호스연결부(1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1연결부(102)를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부(102)의 외주면에 토션스프링(105)으로 탄설된 클램프(104)를 설치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103)를 형성한 관 형태의 플러그보디(100)와; 일단부에 호스연결부(2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02)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202)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보디(100)와 연결, 분리 가능한 관 형태의 소켓보디(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보디와 소켓보디를 플러그보디에 구비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호스를 통한 고압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플러그보디와 소켓보디의 연결과 분리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고압호스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Connections for high pressure hoses}
본 고안은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호스의 견고한 연결과 손쉬운 분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호스는 유체를 고압으로 공급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농업용수의 공급 및 물, 약제, 비료 등의 고압 분사를 위해서 농업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넓은 면적의 농지나 비닐하우스, 잔디밭, 골프장 등에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스프링클러(sprinkler)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프링클러의 특성상, 고압으로 물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고압호스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넓은 면적에 일정 간격으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 스프링클러의 연결 설치를 위한 고압호스의 연결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고압호스의 연결 편의성을 위해서 다양한 고압호스용 연결구가 개발된 바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927호에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분기관 몸통(1)과 접속관(2)에 고압호스를 각 결합하고 분기관 몸통(1)과 접속관(2)을 연결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분기관 몸통(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환상의 요홈(10)을 형성한 내주면에 내향되는 핀(11)을 형성하고, 접속관(2)은 삽입관(20)과 연결관(21)으로 구분하면서 삽입관(20) 외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오링삽지홈(22)과 경사부(25)를 구비하고, 나선부(31)와 경사부(32)를 갖는 고압호스 고정나사(30)를 연결관(21)의 나선부(24)와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이 게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649486호에는 첨부도면 도 2와 같이 입구측 본체(10)와 출구측 본체(20)를 결합하여 상기 입구측 본체(10)와 출구측본체(20)의 각 끝단에 호스(H)가 결합되는 호스연결구(30)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본체(1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연결관(11)과 외주연으로 다수의 끼움공(14)이 형성되는 몸체(13)로 구성되고, 상기 출구측본체(20)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연결관(21)과 외주연으로 상기 몸체(13)에 형성되는 다수의 끼움공(14)과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끼움돌기(24)가 형성되는 몸체(23)로 구성되며, 상기 입구측본체(10)와 출구측본체(20)는 상기 몸체(23)의 일측단에 오링(25)을 결합시켜 상기 몸체(23)가 상기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의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연결구가 게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992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49486호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 중에서 전술한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은 연결하고자 하는 고압호스의 단부에 접속관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접속관의 타단부에 분기관을 연결하되, 분기관 양측에 접속관을 대칭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압호스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접속관과 분기관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서, 분기관 몸통(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접속관(2)의 삽입관(20)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환상의 요홈(10)을 형성한 내주면에는 내향되는 핀(11)을 형성하고, 접속관(2)은 삽입관(20)과 연결관(21)으로 구분하면서 삽입관(20) 외면에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오링 삽지홈(22)과 외면으로는 핀고정요홈(2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기관(1)의 핀(11)이 접속관(2)의 핀고정요홈(23)에 끼워지게 하여 접속관과 분기관이 연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분기관(1)과 접속관(2)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분기관(1)을 잡고, 다른 손으로 접속관(2)을 잡은 상태에서 접속관(2)의 삽입관(20)을 분기관(1)의 환상 요홈(10)에 내향되는 핀(11)에 위치시켜 접속관(2)의 핀고정요홈(23)으로 끼운 다음 이를 고정방향으로 돌리면 분기관(1)과 접속관(2)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분기관(1)과 접속관(2)의 연결을 위해서는 분기관(1)과 접속관(2)의 위치를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관(1)의 요홈(10) 내부에 접속관(2) 일단부의 삽입관(20)을 밀어넣어 끼운 후, 일측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야 최종 연결이 완료되기 때문에 분기관(1)과 접속관(2)의 연결이 다소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접속관(2)의 핀고정요홈(23)에 분기관(1)의 핀(11)이 끼워지게 하되, 핀고정요홈(23)의 형태를 대략 직각으로 형성하여 핀고정요홈(23)에 끼워진 분기관(1)의 핀(11)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분기관(1)과 접속관(2)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핀고정요홈(23)에 끼워진 분기관(1)의 핀(1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별도로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 중, 호스(60)의 움직임이나 흔들림 등에 의해 핀고정요홈(23)에 끼워진 분기관(1)의 핀(11)이 빠지면서 분기관(1)과 접속관(2)이 분리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호스연결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일측 호스의 단부를 입구측본체(10)의 연결관(11)으로 끼워 고정하고, 출구측본체(20)의 연결관(21)에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 내부로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를 억지끼움하여 밀어넣으면,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에 설치된 걸림돌기(24)가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에 형성된 끼움공(14)에 상기 걸림돌기(24)가 끼워지면서 입구측본체(10)와 출구측본체(20)의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호스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돌기(24)가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누수 방지를 위해서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의 외경은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 내경과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를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데 상당한 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단 입구측본체(10)와 출구측본체(20)의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는 바깥쪽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안쪽 면은 직각으로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24) 및 입구측본체(10)의 몸체(13) 내경과 출구측본체(20)의 몸체(23) 외경간 긴밀한 결합으로 인해 연결된 입구측본체(10)와 출구측본체(20)를 다시 분리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워 반복적인 연결,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1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101)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호스연결부(10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1연결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제1연결부(102)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103)를 형성하여 일단부에 걸림돌부(104c)를 형성한 클램프(104)를 상기 지지부(103)에 지지핀(104b)으로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상기 지지핀(104b)에는 토션스프링(105)을 설치하여 상기 클램프(104)의 탄력 작동이 가능케 한 플러그보디(100)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2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201)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02)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202)를 형성하되, 상기 제2연결부(202)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202a)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202a) 내측에는 환상의 걸림홈(202b)을 형성한 소켓보디(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부(103)의 내면은 상기 제1연결부(102)에서 상기 호스연결부(10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내면(103c)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내면(103c)의 상단에는 클램프(104)의 내측면이 연접되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플러그보디(100)와 이격되고, 클램프(104)의 누름부(104e)가 플로그보디(100)와 근접될 수 있게 받침턱(103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해서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고압호스의 견고한 연결과 손쉬운 분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는 분리된 호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된 플러그보디와, 소켓보디를 플러그보디에 구비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호스를 통한 고압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보디와 소켓보디의 연결과 분리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클램프에 의해 상호 연결된 플러그보디와 소켓보디를 분리할 때 적은 힘으로도 신속한 분리가 가능하여 고압유체의 공급을 위한 고압호스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도 2는 종래기술의 호스 연결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상태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는 일단부에 호스연결부(1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제1연결부(102)를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부(102)의 외주면에 토션스프링(105)으로 탄설된 클램프(104)를 설치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103)를 형성한 관 형태의 플러그보디(100)와; 일단부에 호스연결부(201)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02)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202)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보디(100)와 연결, 분리 가능한 관 형태의 소켓보디(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플러그보디(100)는, 연결을 필요로 하는 고압호스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1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101)를 일단부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환상걸림턱(101a)의 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호스연결부(101)에 고압호스의 단부를 손쉽게 연결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환상걸림턱(101a)은 바깥쪽이 경사면이고, 안쪽이 수직인 직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연결부(101)의 외경은 사용 목적에 따른 다양한 고압호스의 내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외경을 가지게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플러그보디(100)의 타단부에는 상기 소켓보디(2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호스연결부(10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제1연결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제1연결부(102)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103)를 형성하여 일단부에 걸림돌부(104c)를 형성한 클램프(104)를 지지핀(104b)으로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상기 지지핀(104b)에는 토션스프링(105)을 설치하여 상기 클램프(104)의 탄력 작동이 가능케 한다.
상기 지지부(103)는 상기 호스연결부(101)의 외주면에 복수의 지지편(103a)을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되, 각 지지편(103a)에는 통공(103b)을 형성하고, 복수의 지지편(103a) 사이에는 상기 제1연결부(102)에서 상기 호스연결부(10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내면(103c)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내면(103c)의 상단에 받침턱(103d)을 형성한다.
상기 받침턱(103d)은, 경사내면(103c)의 하측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서 클램프(104)의 내측면이 연접되어 걸림돌부(104c)가 제1연결부(102)와 연접되지 않고 이격되어 제2연결부(20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 클램프(104)의 벌어짐을 최소화하여 제2연결부(202)와의 해제작동을 용이하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104)는 양측에 회동부(104a)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104a)를 관통하는 지지핀(104b)이 상기 지지편(103a)의 통공(103b)에 고정 설치되도록 클램프(104)를 지지부(103)에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되, 상기 지지핀(104b)에는 토션스프링(105)을 설치하여 토션스프링(105)의 일단부는 상기 경사내면(103c)에 지지되게 하고, 토션스프링(105)의 타단부는 상기 클램프(104)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클램프(104)의 탄력 작동이 가능케 한다.
또한, 클램프(104)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플러그보디(100)와 상기 소켓보디(200)의 연결을 위한 걸림돌부(104c)를 형성하되, 상기 걸림돌부(104c)가 형성된 일단부 외측면에는 경사외면(104d)을 형성하여 관체로 된 플러그보디(100)의 중공부와 수평 방향으로 경사외면(104d)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경사외면(104d)에 의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상기 제1연결부(102)의 외주면에 일시적으로 이격된다.
상기 클램프(104)의 타단부 외측면에는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된 클램프(104)를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눌러 회동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면을 형성하거나, 논슬립소재 등을 피복한 누름부(104e)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104)가 상기 토션스프링(105)에 의해 상기 지지부(103)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됨에 따라서 클램프(104)의 내면이 상기 지지부(103)의 경사내면(103c)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는 받침턱(103d)에 닿게된다.
그러므로, 상기 호스연결부(101, 201) 쪽으로 형성된 누름부(104e)와 상기 호스연결부(101) 외주면이 근접하기 때문에 플러그보디(100)가 연결되는 고압호스의 단부를 잡고, 누름부(104e)를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누를 때, 누름부(104e)가 바깥쪽으로 많이 벌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누름부(104e)를 눌러서 클램프(104)를 회동시키는 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켓보디(200)는, 연결을 필요로 하는 고압호스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2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201)를 일단부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환상걸림턱(201a)의 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호스연결부(201)에 고압호스의 단부를 손쉽게 연결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환상걸림턱(201a)은 바깥쪽이 경사면이고, 안쪽이 수직인 직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연결부(201)의 외경은 사용 목적에 따른 다양한 고압호스의 내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외경을 가지게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소켓보디(200)의 타단부에는 상기 플러그보디(1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1연결부(10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연결부(10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제2연결부(202)를 형성하되, 제2연결부(202)에 내부에 제1연결부(102)를 삽입하였을 때, 제1연결부(102)의 외주면과 제2연결부(202)의 내주면간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2연결부(202)의 내주면에는 환상의 패킹설치홈(203b)을 형성하여 누수 방지를 위한 패킹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202)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202a)를 형성함으로써 제2연결부(202)에 내부에 상기 플러그보디(100)의 제1연결부(102)를 삽입하였을 때, 플러그보디(100)에 설치된 클램프(104)의 경사외면(104d)이 상기 테이퍼부(202a)와 접촉하면서 테이퍼부(202a)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고, 그로 인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테이퍼부(202a) 내측에는 환상의 걸림홈(202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제2연결부(202)에 내부에 상기 플러그보디(100)의 제1연결부(102)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테이퍼부(202a)와 접촉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진 걸림돌부(104c)가 테이퍼부(202a)를 통과하여 환상의 걸림홈(202b)에 다다르면, 클램프(104)가 벌어짐에 따라서 압축된 토션스프링(105)의 복원력에 의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상기 걸림홈(202b)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102)가 상기 제2연결부(202)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로 인해 플러그보디(100)와 소켓보디(200)의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고압호스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하고자 하는 복수의 고압호스 중 하나의 고압호스(H1) 단부에 플러그보디(100)를 고정하고, 또 다른 고압호스(H2)의 단부에는 소켓보디(200)를 고정한다.
그리하여 상기 두 고압호스(H1, H2)를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 고압호스(H1)에 고정된 플러그보디(100)의 제1연결부(102)를 타측 고압호스(H2)에 고정된 소켓보디(200)의 제2연결부(202) 내부로 삽입하면, 제1연결부(102)의 삽입 과정에서 플러그보디(100)에 토션스프링(105)의 탄력 작동하게 설치된 클램프(104)가 제2연결부(202)에 형성된 테이퍼부(202a)에 접촉하면서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제1연결부(102)가 제2연결부(202) 내부로 완전 삽입되면, 상기 토션스프링(105)에 의해 탄력적으로 벌어진 클램프(104)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04c)가 상기 제2연결부(2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202b)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걸림홈(202b) 내면에 걸려 플러그보디(100)와 소켓보디(200)의 연결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고압호스의 연결 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된 고압호스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러그보디(100)에 토션스프링(105)으로 탄력 작동 가능케 설치된 클램프(104)의 누름부(104e)를 누르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소켓보디(200)의 걸림홈(202b)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그 상태에서 플러그보디(100)와 소켓보디(20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소켓보디(200)의 제2결합부 내부에 삽입된 플러그보디(100)의 제1결합부가 상기 제2결합부에서 배출되면서 플러그보디(100)와 소켓보디(200)가 각각 연결된 고압호스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104)는 플러그보디(100) 외주면의 지지부(103)에 형성된 경사내면(103c)의 상단에 형성되는 받침턱(103d)에 클램프(104)의 내측면에 연접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인해 누름부(104e)가 플러그보디(100)의 외주면과 근접한 상태 즉, 클램프(104)가 종래와 같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한 손으로 고압호스를 잡고 클램프(104)의 누름부(104e)를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누를 때, 클램프(104)의 설치 각도로 인해 클램프(104)를 누르는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연결된 고압호스의 분리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소켓보디(200)의 제2연결부(202)에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형성하는 테이퍼부(202a)를 제2연결부(202)의 선단부에 전체적으로 형성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클램프(104)가 진입할 수 있는 곳에만 다수 개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플러그보디(100)에 클램프(104)가 한 쌍으로 구비됨으로서 이에 대응되는 소켓보디(200)의 테이퍼부(202a)도 한 쌍 또는 두 쌍과 같이 한 쌍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플러그보디 101: 호스연결부
101a: 환상걸림턱 102: 제1연결부
103: 지지부 103a: 지지편
103b: 통공 103c: 경사내면
103d: 받침턱 104: 클램프
104a: 회동부 104b: 지지핀
104c: 걸림돌부 104d: 경사외면
104e: 누름부 105: 토션스프링
200: 소켓보디 201: 호스연결부
201a: 환상걸림턱 202: 제2연결부
202a: 테이퍼부 202b: 걸림홈
203b: 패킹설치홈

Claims (2)

  1.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1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101)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호스연결부(10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1연결부(102)를 형성하되, 상기 제1연결부(102) 외주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부(103)를 형성하여 일단부에 걸림돌부(104c)를 형성한 클램프(104)를 상기 지지부(103)에 지지핀(104b)으로 회동 가능케 피벗 결합하고, 상기 지지핀(104b)에는 토션스프링(105)을 설치하여 상기 클램프(104)의 탄력 작동이 가능케 한 플러그보디(100)와;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환상걸림턱(201a)을 구비한 호스연결부(201)를 일단부에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부(102)가 내부로 삽입되는 제2연결부(202)를 형성하되, 상기 제2연결부(202)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부(202a)를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부(202a) 내측에는 환상의 걸림홈(202b)을 형성한 소켓보디(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3)의 내면은 상기 제1연결부(102)에서 상기 호스연결부(10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내면(103c)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내면(103c)의 상단에는 클램프(104)의 내측면이 연접되어 클램프(104)의 걸림돌부(104c)가 플러그보디(100)와 이격되고, 클램프(104)의 누름부(104e)가 플로그보디(100)와 근접될 수 있게 받침턱(103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2020160006824U 2016-11-24 2016-11-24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201800016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24U KR20180001632U (ko) 2016-11-24 2016-11-24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824U KR20180001632U (ko) 2016-11-24 2016-11-24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632U true KR20180001632U (ko) 2018-06-01

Family

ID=6259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24U KR20180001632U (ko) 2016-11-24 2016-11-24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632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575B1 (ko) * 2020-07-03 2020-11-30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N112065825A (zh) * 2020-09-11 2020-12-11 浙江华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分离式扳机结构
KR20210123840A (ko) * 2020-04-06 2021-10-14 김기홍 고압의 송수호스 연결용 연결구
WO2021235918A1 (ko) * 2020-05-22 2021-11-25 손영삼 호스커넥터
KR20210157129A (ko) * 2020-06-19 2021-12-28 손영삼 호스커넥터
KR20220001897U (ko) 2021-01-26 2022-08-02 서한호 튜브형 호스 커플러의 레버 장착부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3236A1 (fr) * 1993-03-26 1994-10-13 Matzuzzi Jean Antoine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e tuyauterie pour fluide sous pression
KR960015000U (ko) * 1994-10-19 1996-05-17 사이로 연결용 원터치 커플링의 후크 이탈 방지장치
KR200165061Y1 (ko) * 1999-06-12 2000-02-15 새한합성산업주식회사 스프링쿨러배관구조
KR200259927Y1 (ko) 2001-10-08 2002-01-0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
KR100649486B1 (ko) 2005-05-02 2006-11-27 유해철 호스연결구
KR20070049356A (ko) * 2005-11-08 2007-05-11 도영화 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3236A1 (fr) * 1993-03-26 1994-10-13 Matzuzzi Jean Antoine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e tuyauterie pour fluide sous pression
KR960015000U (ko) * 1994-10-19 1996-05-17 사이로 연결용 원터치 커플링의 후크 이탈 방지장치
KR200165061Y1 (ko) * 1999-06-12 2000-02-15 새한합성산업주식회사 스프링쿨러배관구조
KR200259927Y1 (ko) 2001-10-08 2002-01-09 태광농자재주식회사 농업용 고압호스의 연결관
KR100649486B1 (ko) 2005-05-02 2006-11-27 유해철 호스연결구
KR20070049356A (ko) * 2005-11-08 2007-05-11 도영화 관 연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840A (ko) * 2020-04-06 2021-10-14 김기홍 고압의 송수호스 연결용 연결구
WO2021235918A1 (ko) * 2020-05-22 2021-11-25 손영삼 호스커넥터
KR20210157129A (ko) * 2020-06-19 2021-12-28 손영삼 호스커넥터
KR102184575B1 (ko) * 2020-07-03 2020-11-30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N112065825A (zh) * 2020-09-11 2020-12-11 浙江华东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分离式扳机结构
KR20220001897U (ko) 2021-01-26 2022-08-02 서한호 튜브형 호스 커플러의 레버 장착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632U (ko)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US7445247B2 (en) Irrigation coupling apparatus
JP5054930B2 (ja) 急速継手用の冗長ラッチ/確認機構
US8898876B2 (en) Barbed fittings, fitting insertion tools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6988747B2 (en) Multi-diameter tube coupling
EP1909016B1 (en) Quick connector coupling
US10975983B2 (en) Wireform clip for use with supply valves
MX2007000498A (es) Valvula de cierre de suministro de agua con conexion rapida que tiene regulacion de flujo.
JP2006189156A (ja) ワイヤーリテイナーを有する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
CN106122634B (zh) 自闭锁快插接头及防脱落快速插接器
US10030799B2 (en) Pipe joint
RU2008108174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20090256348A1 (en) Multi-attachment fitting
US7419190B1 (en) Universal water meter connector assembly
JP2004340208A (ja) 配管接続構造
US20070046023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water transfer pipeline
US20140001755A1 (en) Coupling with locking collar for coupling together two tubular members
US20230096609A1 (en) Quick connector
KR200431138Y1 (ko) 원터치식 호스연결용 커플링
US20200237164A1 (en) Air injectors for bathing installations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CN203847873U (zh) 一种管件连接结构
KR200188526Y1 (ko) 농업용 분기관연결구
JP2005539183A (ja) ねじ留めされた流体用部品のための流体用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2106771A (ja) ホース用継手及びホース用中間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