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575B1 -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575B1
KR102184575B1 KR1020200082230A KR20200082230A KR102184575B1 KR 102184575 B1 KR102184575 B1 KR 102184575B1 KR 1020200082230 A KR1020200082230 A KR 1020200082230A KR 20200082230 A KR20200082230 A KR 20200082230A KR 102184575 B1 KR102184575 B1 KR 102184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g
support member
locking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철
Original Assignee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철 filed Critical 김두철
Priority to KR102020008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47B2009/14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with pin moving in a sliding trombon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덮개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덮개는 원터치 식으로 구속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의 탈착이 편리하고, 상기 덮개가 강제로 구속되지 않으므로 힘이 약한 학생들도 쉽게 덮개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높이조절에 어려움이 없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의 상단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핀을 갖는 조절부가 놓이고, 상기 받침부재를 감싸서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덮개가 상기 상부다리에서 승강되게 구비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측면에는 서로 떨어진 한쌍의 막대형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지지부 상측에는 일직선상으로 핀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에 놓이는 누름부는 상기 각 핀구멍으로 끼워지는 힌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의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누름부 밑으로 들어가는 걸림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덮개의 하강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누름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legs of desk and chair}
본 발명은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덮개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덮개는 가볍게 누르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의 탈착이 편리하여 높이조절에 어려움이 없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판과 측판이 고정되기 때문에 앉은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된다. 예컨데 학교에서 사용하는 책상의 경우 학생들의 키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고정된 책상을 사용하게 되면 키가 큰 학생과 작은 학생의 경우 표준키에 비하여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 실용등록 제336861호에는 책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책상의 측판 역할을 하는 한쌍의 지주를 이중관으로 제작하여 안테나식으로 출입되도록 함으로써, 책상 상판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지주를 이중관으로 만들다 보니 재료비가 증가되고 또한 이중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다단의 홈과 볼트 및 너트를 구비해야 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종래 실용등록 제221850호는 책상 측판의 하단에 마련되는 다리에 높이조절볼트를 받침으로 사용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이조절볼트는 볼트의 높이에 한계가 있는 것이므로 책상의 높이조절량이 작아 학교의 책상에는 적합하지 않는 등의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종래 특허 제1862656호는 책상 또는 걸상의 다리를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로 분리구성하고 상부다리에는 다수의 구멍을 천공하여 고정핀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특허의 경우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핀을 상부다리에서 분리시켜야 되므로 높낮이 조절이 원터치 식으로 이뤄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분리된 고정핀을 분실할 경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핀이 다리의 한쪽만 체결되므로 체결력이 약하고 반대쪽의 헐거움으로 인하여 상하부다리의 유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를 감안하여 특허 제2088223호로 책걸상 높이조절장치를 등록한 바 있다. 이는 상부다리가 하부다리에 끼워진 상태에서 단계적으로 조절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다리에 구비되는 고리형의 슬리브가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슬리브의 핀이 다리의 높이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높낮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 후 슬리브는 덮개에 씌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특허는 상기 덮개를 강제로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다 보니 힘이 약한 학생들은 덮개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헐겁게 덮개가 끼워져 있을 경우 쉽게 빠져서 슬리브가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이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다리와 하부다리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덮개를 통하여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덮개는 원터치 식으로 구속 및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덮개의 탈착이 편리하고, 상기 덮개가 강제로 구속되지 않으므로 힘이 약한 학생들도 쉽게 덮개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높이조절에 어려움이 없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의 상단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핀을 갖는 조절부가 놓이고, 상기 받침부재를 감싸서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덮개가 상기 상부다리에서 승강되게 구비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측면에는 서로 떨어진 한쌍의 막대형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지지부 상측에는 일직선상으로 핀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에 놓이는 누름부는 상기 각 핀구멍으로 끼워지는 힌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의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누름부 밑으로 들어가는 걸림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덮개의 하강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누름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다리 상단의 받침부재에 좌우로 왕복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부다리에는 상기 받침부재에 끼워져 상기 걸림부를 가려주는 덮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힌지핀을 통하여 회동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부는 상단에 "ㄱ"자형 걸림구가 마련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부는 탄성편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덮개를 내려서 상기 받침부재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턱이 걸림구에 탄성적으로 걸린다. 또한 누름부를 누르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걸림부가 걸림턱에서 벗어나므로 덮개를 위로 들어올리기 편리하다. 따라서 덮개로 가려진 조절부가 쉽게 노출되므로 다리의 높낮이 조절이 편리한 등의 이점이 있으며, 누름부를 누르는 동작은 큰 힘을 요하지 않으므로 누구나 쉽게 사용가능 한 등의 편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립상태 측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조절장치는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10)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고 하단에는 상기 책상 또는 걸상을 지탱하는 "T"자형 구조물이 결합되는 하부다리(11)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다리(10) 및 하부다리(11)는 양쪽이 반원형인 장방형의 중공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다리(11)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다리(10)와 대응되게 양쪽이 반원형인 장방형의 중공상으로 받침부재(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부재(20)는 하단 내주면이 상기 하부다리(11)의 상단 외주면에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별도의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다리(11) 및 받침부재(20)는 결합된 상태에서 이들의 내주면은 동일면으로 일치되고, 이들 내주면으로 상기 상부다리(10)의 외주면이 끼워진다.
상기 상부다리(10)는 양쪽이 반원형인 장방형의 중공상으로 조절부(30)가 승강되게 구비되는데, 상기 슬리브(30)는 한쪽 반원형부가 상부다리(10)의 대응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반대쪽 반원형부는 상부다리(10)의 대응면에서 떨어진 여유공간부를 갖는다. 그리고 밀착된 한쪽 반원형부에 핀(31)이 형성되고, 상부다리(10)에는 상기 핀(31)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높이조절구멍(12)이 다단으로 다수개 떨어져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조절부(30)가 끼워져 들어가는 테두리(2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테두리(21)에는 상기 조절부(30)의 여유공간부가 끼워지는 밀착부(21)가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는 한쪽 측면에 서로 떨어진 한쌍의 막대형 지지부(23)가 돌출 구비되고, 이들 지지부(23)의 위쪽에는 동일선상에 핀구멍(23a)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부(23) 사이에 놓이는 누름부(24)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부(24)의 위쪽에는 상기 각 핀구멍(23a)으로 끼워지는 힌지핀(24a)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부(23) 사이에는 반원호형으로 돌출된 탄성편(26)이 상기 받침부재(20)와 일체로 사출되어서 상기 누름부(24)를 탄성적으로 밀어낸다. 상기 탄성편(26)은 상기 힌지핀(24a) 보다 아래쪽에 놓이므로 상기 누름부(24)는 힌지핀(24a)을 중심으로 위로 힘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덮개(40)에는 상기 누름부(24) 밑으로 들어가는 걸림부(41)가 구비되는데, 상기 누름부(24) 상단에는 "ㄱ"형 걸림구(2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41)에는 상기 걸림부(41)에 걸리는 걸림턱(42)이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부(41)가 누름부(24)에 탄성적으로 탈착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는 덮개(40)에 걸림부(41)가 구비되고 받침부재(20)에 누름부(24)가 구비되므로 상기 덮개(40)가 받침부재(20)에 포개지면 걸림부(41)가 누름부(24)내부로 들어가 탄성적으로 걸리는 것으로서,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걸림부(41)가 누름부(24) 밑으로 들어가서 걸림턱(42)이 걸림구(25)에 걸리면 상기 덮개(40)가 분리되지 않으므로 상기 조절부(30)는 테두리(21)에 놓인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핀(31)은 어느 한 높이조절구멍(12)으로 끼워지고 밀착부(22)를 통하여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고 상부다리(10)와 하부다리(11)의 높이가 고정된다.
높이조절시 상기 누름부(24)를 눌러주면 탄성편(26)이 압축되므로 힌지핀(24a)을 중심으로 누름부(24)가 회동되는데, 이때 걸림구(25)는 걸림턱(42)에서 벗어나므로 걸림부(41)의 구속이 해제된다. 따라서 덮개(40)를 위로 들어올린 뒤 상부다리(10)를 위로 살짝 들어주면 조절부(30)가 테두리(21)에서 벗어나게 되는데, 이때 조절부(30)를 밀어서 핀(31)이 높이조절구멍(12)에서 빠지도록 한 뒤 다른 높이조절구멍(12)으로 들어가도록 반대로 밀어준다.
이후 위의 역순으로 상부다리(10)를 내리면 조절부(30)가 테두리(21)로 들어가 놓인 상태로 걸리므로 상부다리(10)의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덮개(40)를 내려서 받침부재(20)를 덮으면 되는데, 이때 누름부(24)를 살짝 눌러서 걸림구(25)가 들리도록 한 뒤 걸림부(41)가 누름부(24) 밑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이후 놓으면 걸림턱(42)이 걸림구(25)에 걸린 상태로 덮개(40)가 고정된다.
10 : 상부다리 11 : 하부다리
12 : 높이조절구멍 20 : 받침부재
21 : 테두리 22 : 밀착부
23 : 지지부 23a : 핀구멍
24 : 누름부 24a : 힌지핀
25 : 걸림구 26 : 탄성편
30 : 조절부 31 : 핀
40 : 덮개 41 : 걸림부
42 : 걸림턱

Claims (2)

  1. 책상의 상판 또는 걸상의 좌판에 상단이 고정되는 상부다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다리가 내부로 끼워져 승강되는 하부다리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의 상단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다리에 형성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핀을 갖는 조절부가 놓이고, 상기 받침부재를 감싸서 상기 조절부를 고정하는 덮개가 상기 상부다리에서 승강되게 구비된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측면에는 서로 떨어진 한쌍의 막대형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지지부 상측에는 일직선상으로 핀구멍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에 놓이는 누름부는 상기 각 핀구멍으로 끼워지는 힌지핀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 사이의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누름부 밑으로 들어가는 걸림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덮개의 하강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누름부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단에 "ㄱ"형으로 꺾인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구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은 사출과정에서 상기 받침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누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상기 걸림구가 걸림턱에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0200082230A 2020-07-03 2020-07-03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18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230A KR102184575B1 (ko) 2020-07-03 2020-07-03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230A KR102184575B1 (ko) 2020-07-03 2020-07-03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575B1 true KR102184575B1 (ko) 2020-11-30

Family

ID=7364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230A KR102184575B1 (ko) 2020-07-03 2020-07-03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5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90Y1 (ko) * 2005-11-08 2006-01-25 도영화 관 연결장치
KR101862656B1 (ko) * 2017-11-24 2018-05-31 (주)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80001632U (ko) * 2016-11-24 2018-06-01 김태균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102088223B1 (ko) * 2019-08-08 2020-03-12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90Y1 (ko) * 2005-11-08 2006-01-25 도영화 관 연결장치
KR20180001632U (ko) * 2016-11-24 2018-06-01 김태균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KR101862656B1 (ko) * 2017-11-24 2018-05-31 (주)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88223B1 (ko) * 2019-08-08 2020-03-12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5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US6581528B2 (en) Table with telescopic leg unit
KR102184575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N211323648U (zh) 学生课桌椅的按压杠杆式升降调节机构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US5816556A (en) Adjustable chair stand
KR102088223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210396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US5432962A (en) Adjusting means for a railing side of a child's cot
KR102330492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206072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200442728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구
KR102168844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KR102525338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N208941201U (zh) 亚克力桌
KR200372261Y1 (ko) 조립식 서랍
KR20090008070U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54238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CN214855190U (zh) 一种便于调高的边几
CN211431493U (zh) 一种高度可调且移动方便的多用途桌子
CN218277039U (zh) 一种一体化安装的麦克风
CN218528081U (zh) 一种课桌用倾斜装置
JP2006034475A (ja) 脚柱長さ調整装置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