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888B1 -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888B1
KR100823888B1 KR1020070112942A KR20070112942A KR100823888B1 KR 100823888 B1 KR100823888 B1 KR 100823888B1 KR 1020070112942 A KR1020070112942 A KR 1020070112942A KR 20070112942 A KR20070112942 A KR 20070112942A KR 100823888 B1 KR100823888 B1 KR 10082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screw
screw portion
height
coupling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88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281 priority patent/WO200906102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47B2009/06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having rack and pin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4Table leg assembly held in folded position by 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6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or inclined toothed rack; with peg-and-notch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각종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절 후에는 임의적인 유동이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상 및 걸상의 외관도 매우 우수한 디자인을 갖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상 및 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케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 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다.
책걸상, 높낮이조절, 상부부재, 하부부재, 회전축, 암나사부, 숫나사부

Description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AND CHAIR}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나 가정,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 및 걸상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책상 및 걸상의 이용자에 따라 그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 및 걸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되는데, 특히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용 책상 및 걸상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용 책상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96473호에는 학생용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생용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는, 파이프로 된 책,걸상(1)(1')의 다리(2)에 나사구멍(301)을 형성한 지지캡(3)의 고정 홈(302)을 끼워 고정하고, 전기의 나사구멍(301)에 받침구(5)를 형성한 볼트(4)를 나사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책상 및 걸상을 구성하는 다리 4개 모두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해야만 함과 아울러 조절시에는 책걸상을 뒤집어 놓거나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작업을 해야만 하므로 그 조절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증가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절 후에는 임의적인 유동이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상 및 걸상의 외관도 매우 우수한 디자인을 갖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상 및 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 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케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숫나사부의 결합몸체는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그 상측에는 원판형상의 안착가이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숫나사부의 결합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브라켓트에는 상기 안착가이드가 결합되는 요홈과 상기 육각형상의 몸체가 결합되도록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는 설치홈 및 숫나사부의 중심축이 관통되는 중심축관통홀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의 결합홀 상측에는 그 일측에 고정나사가 구비된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안착가이드 상부에는 원판형상을 갖는 회전가이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한 후 상기 회전가이드가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나사를 조절하여 상기 숫나사부의 회전가이드를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의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부재의 관통홀과 연통되게 홀이 천공된 금속재질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숫나사부 및 조절브라켓트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따르면, 각종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각급 학교의 교구용 책걸상에 이를 적용하여 학생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걸상의 규격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는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여 매우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고품질을 갖는 높낮이 조절구조를 갖는 책상 및 걸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 수직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조절브라켓트만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걸상의 외관도 깔끔하고 우수한 디자인을 갖도록 이루어지게 되므로, 매우 뛰어난 신미감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책상의 상판(70) 및 걸상의 좌 판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는 다리부분의 높낮이를 책상 및 걸상의 사용자나 사용환경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책상이나 걸상의 다리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10)는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로 분리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부측이 상기 하부부재(14)의 상부측 내부에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됨에 따라 수직부재(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참조부호 18은 상기 수직부재(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받침부재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되는 책걸상의 수직부재(10)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넓적한 봉형상의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22)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20)가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부부재(12)를 하단부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부재(20)는 상기 상부부재(12) 단면과 동일한 대략 타원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그 몸체의 하부측 둘레에는 걸턱(24)이 형성되어 그 상측부분이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턱(24)이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 맞닿음에 따라 고정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에는 상기 마감부재(20)의 암나사부(22)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3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게 되는 데, 상기 숫나사부(30)는 상기 암나사부(22)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봉형상의 스크류부(32)와, 상기 스크류부(32)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그 상측에 각각 원판형상의 안착가이드(38) 및 회전가이드(39)가 형성된 결합몸체(34) 및, 상기 숫나사부(3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보강부재의 기능을 수행하는 중심축(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내부의 빈공간에 상기 숫나사부(30)가 설치되는 상기 하부부재(14)에는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와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홀(16)이 관통된 형태로 천공되고, 상기 결합홀(16)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지지부재(50) 및 안착부재(6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50) 및 안착부재(60)는 각각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60)는 상기 결합홀(16)의 하측에 해당되는 하부부재(14) 몸체 내부에 수평으로 끼워져 안착 설치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50)는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 구성되어 상기 결합홀(16) 상단부 측의 전면 및 후면을 통해 삽입된 후 한 쌍의 결합나사(54)가 관통 결합됨에 따라 상호 일체형 몸체가 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결합홀(16)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부재(50)에는 그 일측에 고정나사(52)가 관통 설치되고 그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관통홀(50a)이 천공되어, 상기 숫나사부(30)가 상기 지지부재(50)의 관통홀(50a)을 관통한 후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 상측에 구비된 회전가이드(39)가 상기 지지부재(50)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나사(52)를 선택적으로 체결함에 의해 상기 고정나사(52)가 상기 숫나사부(30)의 회전가이드(39)를 가압하면서 상기 숫나사부(30)의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16)의 하부에 설치되는 안착부재(60)는 그 중앙에 관통홀(60a)이 천공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60)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몸체(34)가 상기 안착부재(60) 상면에 안착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안착부재(60)의 관통홀(60a) 주위에는 베어링(도시안됨)을 설치하여 상기 숫나사부(30) 중심축(36)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안착부재(60)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부재(60)의 관통홀(60a)과 연통되도록 중앙에 홀이 천공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판 형상의 보강부재(60)가 구성되는데, 상기 보강부재(60)는 책상의 상판(70) 및 상부프레임(12) 등에서 발생되어 숫나사부(30) 및 조절브라켓트(40)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는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 조절브라켓트(40)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과 대응되는 지점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몸체(34)는 그 평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조절브라켓트(40)에는 상기 안착가이드(38)가 끼워져 결합되는 요홈(42)과, 상기 육각형상의 결합몸체(34)가 결합되도록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요입되는 설치홈(44) 및, 상기 숫나사부(30)의 중심축(36)이 관통되도록 몸체하부의 가운데 부분에 천공되는 중심축관통홀(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에 구비되는 조절브라켓트(40)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그 회전력은 육각형상의 평단면을 갖는 설치홈(44) 및 결합몸체(34)를 통해 숫나사부(30)에 전달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12)의 하단부에 설치된 암나사부(22)가 구비된 마감부재(20)가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매개로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상기 상부부재(12)를 상기 하부부재(14)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책상 및 걸상의 다리를 구성하는 수직부재(10)를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로 나누어 구성하고, 그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치한다.
즉, 상기 수직부재(10)를 구성하는 상부부재(12)의 하단부 측에는 암나사부(22)를 포함하는 마감부재(20)를 고정 설치하는 한편,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에는 숫나사부(30)를 내장된 상태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14)에 형성된 결합홀(16)에는 상기 숫나사부(3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가 결합된 조절브라켓트(40)를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숫나사부(30) 상부 측에 구비되는 스크류부(32)에는 상기 마감부재(20)의 암나사부(22)를 결합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 일부분이 상기 하부부재(14)의 상측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12) 및 하부부 재(14)가 일체형 몸체로 책상 또는 걸상의 수직부재(10)를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높낮이 조절구조를 책상 및 걸상에 적용시킨 후, 이를 매개로 상기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부재(50)에 체결된 고정나사(52)를 풀어 상기 숫나사부(3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에 설치된 조절브라켓트(40)를 일방향(하강)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상기 조절브라켓트(40)에 내장된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가 일체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감부재(20)의 암나사부(22)는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타고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하측부분을 상기 하부부재(14)의 내부로 인입시켜 상기 책상 및 걸상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4)의 결합홀(16)에 설치된 상기 조절브라켓트(40)를 역방향(상승)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숫나사부(30)의 결합몸체(34)가 상기 조절브라켓트(40)와 일체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암나사부(22)는 상기 숫나사부(30)의 스크류부(32)를 타고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상기 상부부재(12)의 일부분이 상기 하부부재(14)의 상단부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책상 또는 걸상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을 통해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에는 상기 지지부재(50)에 구비된 고정나사(52)를 다시 체결하여 그 단부가 상기 숫나사부(30)의 회전가이드(39) 외주면 일측을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30) 의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는, 상기 상부부재(12) 및 하부부재(14)의 길이와, 상기 하부부재(14)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부(32)의 길이를 변경하여 설계함에 따라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범위를 가변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상 및 걸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가 적용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직부재, 12: 상부부재,
14: 하부부재, 16: 결합홀,
18: 받침부재, 20: 마감부재,
22: 암나사부, 24: 걸턱,
30: 숫나사부, 32: 스크류부,
34: 결합몸체, 36: 중심축,
38: 안착가이드, 39: 회전가이드,
40: 조절브라켓트, 42: 요홈,
44: 설치홈, 46: 중심축관통홀,
50: 지지부재, 50a: 관통홀,
52: 고정나사, 54: 결합나사,
60: 안착부재, 60a: 관통홀,
62: 보강부재, 70: 상판.

Claims (4)

  1. 삭제
  2. 한 쌍의 수직부재는 각각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중앙에 암나사부가 관통 형성된 마감부재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구동축 역할을 하는 숫나사부가 설치되되,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숫나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중심축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부재의 상기 결합몸체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후 상기 결합홀의 하부에는 안착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숫나사부는 중심축 하단이 상기 안착부재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몸체가 그 상측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결합몸체의 외면에는 조절브라켓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절브라켓트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가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암나사부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부재가 하부부재 내부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이루어진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부의 결합몸체는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그 상측에는 원판형상의 안착가이드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숫나사부의 결합몸체에 결합되는 조절브라켓트에는 상기 안착가이드가 결합되는 요홈과 상기 육각형상의 몸체가 결합되도록 그 평단면이 육각형상을 갖는 설치홈 및 숫나사부의 중심축이 관통되는 중심축관통홀이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결합홀 상측에는 그 일측에 고정나사가 구비된 지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숫나사부의 안착가이드 상부에는 원판형상을 갖는 회전가이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숫나사부는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한 후 상기 회전가이드가 상기 지지부재와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수직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고정나사를 조절하여 상기 숫나사부의 회전가이드를 가압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숫나사부의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부재의 관통홀과 연통되게 홀이 천공된 금속재질의 보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숫나사부 및 조절브라켓트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
KR1020070112942A 2007-11-07 2007-11-0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10082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42A KR100823888B1 (ko) 2007-11-07 2007-11-0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PCT/KR2008/000281 WO2009061025A1 (en) 2007-11-07 2008-01-16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or a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942A KR100823888B1 (ko) 2007-11-07 2007-11-0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888B1 true KR100823888B1 (ko) 2008-04-21

Family

ID=3957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942A KR100823888B1 (ko) 2007-11-07 2007-11-07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4-06-11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3U (ko) * 1998-09-29 1998-12-05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43U (ko) * 1998-09-29 1998-12-05 남희철 학생용 책걸상의 다리높이조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4-06-11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0306A1 (en) Student desk
KR102086671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와 이를 적용한 책상 및 걸상
KR100795021B1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23888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101659662B1 (ko) 높이조절용 받침구가 구비된 이동식 스툴 테이블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20190015037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CN204764207U (zh) 一种具有多种组合功能的桌椅
KR101696416B1 (ko) 편측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102168374B1 (ko) 핀구조를 통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프레임
KR200440329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386551Y1 (ko)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434619B1 (ko) 테이블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221216B1 (ko) 다용도 높낮이 조절 장치
CN209084342U (zh) 一种会议一体机的支撑装置
KR101727120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2637329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200336922Y1 (ko)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 구조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9531Y1 (ko) 다목적 받침부재
KR200494798Y1 (ko) 가구용 높이조절 받침장치
CN210353943U (zh) 一种深度和高度可调的座椅
CN108451215A (zh) 一种多功能椅子
CN218355247U (zh) 翻转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