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834B1 -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834B1
KR101405834B1 KR1020120123907A KR20120123907A KR101405834B1 KR 101405834 B1 KR101405834 B1 KR 101405834B1 KR 1020120123907 A KR1020120123907 A KR 1020120123907A KR 20120123907 A KR20120123907 A KR 20120123907A KR 101405834 B1 KR101405834 B1 KR 101405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rod
female screw
bal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762A (ko
Inventor
이현용
Original Assignee
이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용 filed Critical 이현용
Priority to KR102012012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8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47B2009/14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with pin moving in a sliding trombon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받침다리를 갖는 하부지지봉에 언록킹부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지봉의 내부에 걸림부를 갖는 상부지지봉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는 하부지지봉에 형성된 커버지지부와, 언록킹커버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커버지지부는 하부지지봉의 외측에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의 상,하측에 각각 암나사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커버는 상,하측으로 볼트홀이 형성된 커버몸체에 상기 제1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가이더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가이더는 제1암나사공이 형성된 출구측에 볼안착홈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안착홈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에 볼의 일부가 볼안착홈으로 노출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에 스프링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에 가압스크류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관통홀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가이더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멈춤가이더는 제2암나사공이 형성된 출구측에 직경이 좁은 인출공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인출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2단턱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2암나사공에 핀스크류몸체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핀스크류몸체는 끝에 멈춤핀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멈춤핀이 인출공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부지지봉의 반원형홈 형상의 걸림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봉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책,걸상을 사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높낮이로 맞추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높낮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언록킹부의 멈춤핀이 언록킹커버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책,걸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나 옷 등이 긁히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Device height adjustable desks and chairs}
본 발명은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지지봉에 언록킹부가 결합되어지고, 걸림부를 갖는 상부지지봉이 하부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지는 가운데 언록킹부에 의하여 걸림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안내되어지면서 높낮이가 고정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실에는 글을 읽고 쓰거나 할 때 앉아 사용할 수 있는 책상과 걸상이 놓여져 있다. 이러한 책상은 파이프를 절곡하여 구비된 받침다리와 받침다리의 상단에 결합된 상판 및 상판의 하부에 책이나 노트 및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 그리고 보관함의 일측에 가방이나 신발 주머니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비된 걸이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걸상은 받침다리의 상부로 결합된 프레임에 좌판과 등받이판이 결합되어 학생이나 사용자가 용이하게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책상과 걸상은 각 학년의 평균 신장을 기준으로 3가지 형태의 크기로 상이하게 제조되어 평균 신장을 가진 학생들은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었으나, 신장이 크거나 작은 학생의 경우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책상과 걸상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높이조절홀을 갖는 상부지주가 결합되어지고, 상부지주가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지주에 삽입되어지고, 고정핀이 관통홀과 높이조절홀에 끼워져 높낮이가 조절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이조절홀에 관통홀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을 삽입하여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혼자서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삽입된 고정핀이 역방향으로 빠질 경우 책상과 걸상이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된 고정핀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옷이나 신체의 일부가 긁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부지주와 하부지주 사이의 결합부분이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높낮이로 용이하게 맞추어 사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책상과 걸상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신체의 일부나 옷 등이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지봉(10)의 내부에 걸림부(31)를 갖는 상부지지봉(30)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A)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20)는 하부지지봉(10)에 형성된 커버지지부(21)와, 언록킹커버(2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커버지지부(21)는 하부지지봉(10)의 외측에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의 상,하측에 각각 암나사(21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커버(22)는 상,하측으로 볼트홀(221)이 형성된 커버몸체(222)에 상기 제1관통홀(2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가이더(2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가이더(23)는 제1암나사공(231)이 형성된 출구측에 볼안착홈(2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안착홈(2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단턱부(236)가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211)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볼(233)의 일부가 볼안착홈(232)으로 노출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스프링(234)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가압스크류(235)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관통홀(212)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가이더(2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멈춤가이더(24)는 제2암나사공(242)이 형성된 출구측에 직경이 좁은 인출공(243)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인출공(24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2단턱부(245)가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212)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2암나사공(242)에 핀스크류몸체(244)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핀스크류몸체(244)는 끝에 멈춤핀(2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멈춤핀(241)이 인출공(243)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부지지봉(30)의 반원형홈 형상의 걸림부(31)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봉(30)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2관통홀(212)과 암나사편(213) 사이에 멈춤공(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멈춤공(25)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편(26)이 커버몸체(2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멈춤편(26)이 멈춤공(25)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부지지봉(30)의 하부가 걸려 인출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 아우터가이드캡(4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씌워지게 나사(S)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하부에 인너가이드캡(50)이 삽입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걸림부를 갖는 상부지지봉이 하부지지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지는 가운데 언록킹부에 의하여 걸림부가 일정 간격으로 용이하게 안내되어진 위치에 걸려 높낮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적당한 높낮이로 맞추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걸림부가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언록킹부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책상과 걸상이 기울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수명이 더 연장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를 언록킹하는 언록킹부의 멈춤핀이 언록킹커버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책상과 걸상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나 옷 등이 긁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구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책상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를 갖는 의자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구(A)를 갖는 책상(70)은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형태의 받침다리(11)를 갖는 수직형태의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지봉(10)의 내부에 걸림부(31)를 갖는 상부지지봉(30)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임의 높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책상(7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만곡형태로 볼록한 가운데 하부가 수평형태를 갖는 내부가 비어있는 파이프가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지고, 절단된 파이프의 양측단부에 각각 엔드캡이 결합되어 수평형태를 갖는 받침다리(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다리(11)의 상부에 내부가 비어있는 장공형태의 단면을 갖는 하부지지봉(10)이 상부를 향하여 직립되게 하부가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지지봉(30)은 상단에 수평형태를 갖는 안착부(35)가 일체로 절곡되어 상판(71)이 얹혀지게 결합되어지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상(80)은 좌판(81) 및 등받이판(82)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부(20)는 후술하는 상부지지봉(30)의 내부로 구비된 걸림부(31)에 볼가이더(23)의 볼(233)이 맞대어져 항상 일정한 간격 만큼 상,하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멈춤핀(241)이 상기 걸림부(3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지지봉(30)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언록킹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봉(10)에 형성된 커버지지부(21)와, 상기 커버지지부(21)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는 언록킹커버(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지지부(21)는 하부지지봉(10)의 외측으로 후술하는 언록킹커버(22)에 형성된 볼안착홈(232)의 외측이 삽입되어지는 제1관통홀(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211)의 하부에 소정 간격 상,하로 이격된 제2관통홀(212)이 형성되어 언록킹커버(22)에 형성된 인출공(243)의 외측이 삽입되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홀(211)이 형성된 상측에는 암나사(213)가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언록킹커버(22)의 상부측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상기 제2관통홀(212)이 형성된 하측에는 동일한 형태의 암나사(214)가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언록킹커버(22)의 하부측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커버(22)는 상부지지봉(30)이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 용이하게 이동되어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볼가이더(23)의 가압스크류(235) 또는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되어지는 멈춤핀(24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가 긁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언록킹커버(22)는 상,하측으로 볼트홀(221)이 형성된 커버몸체(222)에 상기 제1관통홀(2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가이더(2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관통홀(212)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가이더(24)가 형성되어 상기 멈춤가이더(24)에 결합된 멈춤핀(241)이 상부지지봉(30)의 걸림부(31)에 삽입되어 상부지지봉(30)이 현재 위치 또는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가이더(23)는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233)이 항상 상부지지봉(30)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부지지봉(30)을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과정 중 상부지지봉(30)에 형성된 걸림부(31)가 볼(233)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 즉, 멈춤가이더(24)의 멈춤핀(241) 중심과 다른 걸림부(31)의 중심이 동시에 일치됨으로써, 이 상태에서 핀스크류몸체(244)를 회전시켜 멈춤핀(241)이 다른 걸림부(31)에 삽입됨에 따라 상부지지봉(30)이 구속되어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볼가이더(23)는 언록킹커버(22)의 커버몸체(222)에 제1암나사공(2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231)이 형성된 출구측에 볼안착홈(232)이 형성되어 스프링(234)의 탄성력을 받는 볼(233)이 하부지지봉(10)의 내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는 볼(233)의 일부가 볼안착홈(232)으로 노출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스프링(234)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가압스크류(235)가 나사결합되어 스프링(234)의 탄성력에 의하여 볼(233)이 볼안착홈(232)을 향하여 항상 가압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암나사공(231)에 삽입된 볼(233)은 일부가 항상 볼안착홈(232)으로 노출되어지고, 노출된 부분이 상부지지봉(30)의 표면에 항상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멈춤가이더(24)는 하부지지봉(10)의 내부에서 상부지지봉(30)이 상부로 인출되거나,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서 상부지지봉(30)이 하부로 인입되어진 상태에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고정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멈춤가이더(24)는 언록킹커버(22)의 커버몸체(222)에 제2암나사공(24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암나사공(242)의 출구측에 직경이 좁은 인출공(243)이 커버몸체(222)를 관통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암나사공(242)에 멈춤핀(241)이 형성된 핀스크류몸체(244)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이러한 상기 멈춤핀(241)은 핀스크류몸체(244)의 끝에 소정 길이로 인출된 형태를 갖게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멈춤핀(241)이 인출공(243)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노출되어질 경우, 상부지지봉(30)의 걸림부(31)에 삽입되어 상부지지봉(30)의 이동이 구속되어지고, 상기 멈춤핀(241)이 인출공(243)의 내부로 인입되어질 경우, 상부지지봉(30)의 걸림부(31)에서 이탈되어 상부지지봉(30)의 구속력이 제거되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관통홀(212)과 암나사(213) 사이에는 수평형태를 갖는 멈춤공(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커버몸체(222)의 내측에 상기 멈춤공(25)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편(26)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멈춤편(26)이 멈춤공(25)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노출됨에 따라 상부지지봉(30)의 하부가 걸려 일정한도 이상으로 인출되어 하부지지봉(10)으로 부터 상부지지봉(30)이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지지봉(30)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걸림부(31)는 반원형홈으로 형성되어 볼가이더(23)의 볼(233)이 안정되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는 아우터가이드캡(4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씌워져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하부에 인너가이드캡(50)이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하부지지봉(10)의 내면에 상부지지봉(30)이 외면이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한 가운에 용이하게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지지봉(30)이 인출 또는 인입되어지는 하부지지봉(10)의 상부가 미려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높낮이 조절구(A)는 먼저, 도3 및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록킹부(20)의 언록킹커버(22) 상측으로 형성된 제1암나사공(231)에 나사결합된 가압스크류(235)에 의하여 스프링(234)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볼가이더(23)의 볼(233)은 볼안착홈(232)으로 항상 노출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노출된 볼(233)이 상부지지봉(30)에 형성된 걸림부(31)에 압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언록킹부(20)의 언록킹커버(22) 하측으로 형성된 제2암나사공(242)에 나사결합된 멈춤핀(241)의 핀스크류몸체(244)가 인출공(243)을 향하여 근접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핀스크류몸체(244)에 형성된 멈춤핀(241)은 인출공(243)을 통해 노출되어 상부지지봉(30)에 형성된 걸림부(31)에 삽입된 상태(구속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부지지봉(30)이 고정된 상태 즉, 높낮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책상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스크류몸체(244)를 역회전시키면 인출공(243)으로 인출되었던 멈춤핀(241)이 걸림부(31)에서 분리되어 구속력이 해제된 가운데 인출공(243)의 내부로 인입되어지게 된다.
다음, 책상(70)의 상판(71)이나 상부지지봉(3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부로 올리거나 하부로 내릴 경우, 스프링(234)의 탄성력을 받고 있는 볼(233)이 상부지지봉(30)에 형성된 걸림부(31)에서 빠져 나와 이웃한 다른 걸림부(31)에 삽입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며, 이때 하측에 있는 멈춤가이더(24)의 멈춤핀(241)의 중심이 다른 걸림부(31)의 중심과 항상 일치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된 높낮이가 적당할 경우, 멈춤가이더(24)의 멈춤핀(241)을 구성하는 핀스크류몸체(24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멈춤핀(241)이 다시 인출공(243)을 통해 인출되어 상부지지봉(30)에 형성된 걸림부(31)에 압입 또는 삽입되는 것으로 현재의 위치에서 상부지지봉(30)이 고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높낮이 조절구가 책상에 설치되어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상의 다리에 높낮이 조절구가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하부지지봉 11:받침다리
20:언록킹부 21:커버지지부
22:언록킹커버 23:볼가이더
24:멈춤가이더 30:상부지지봉
31:걸림부 211:제1관통홀
212:제2관통홀 213:암나사
221:볼트홀 222:커버몸체
241:멈춤핀

Claims (5)

  1. 받침다리(11)를 갖는 하부지지봉(10)에 언록킹부(2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하부지지봉(10)의 내부에 걸림부(31)를 갖는 상부지지봉(30)이 슬라이드되게 결합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A)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부(20)는 하부지지봉(10)에 형성된 커버지지부(21)와, 언록킹커버(2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커버지지부(21)는 하부지지봉(10)의 외측에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이 상,하로 이격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12)의 상,하측에 각각 암나사(21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언록킹커버(22)는 상,하측으로 볼트홀(221)이 형성된 커버몸체(222)에 상기 제1관통홀(211)에 중심이 일치되는 볼가이더(23)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가이더(23)는 제1암나사공(231)이 형성된 출구측에 볼안착홈(2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볼안착홈(2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1단턱부(236)가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211)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볼(233)의 일부가 볼안착홈(232)으로 노출되게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스프링(234)이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1암나사공(231)에 가압스크류(235)가 나사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관통홀(212)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가이더(24)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멈춤가이더(24)는 제2암나사공(242)이 형성된 출구측에 직경이 좁은 인출공(243)이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인출공(24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2단턱부(245)가 형성되어 상기 제2관통홀(212)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제2암나사공(242)에 핀스크류몸체(244)가 나사결합되어지되, 상기 핀스크류몸체(244)는 끝에 멈춤핀(2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멈춤핀(241)이 인출공(243)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노출되어 상부지지봉(30)의 반원형홈 형상의 걸림부(31)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지지봉(30)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홀(212)과 암나사(213) 사이에 멈춤공(25)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멈춤공(25)에 중심이 일치되는 멈춤편(26)이 커버몸체(2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멈춤편(26)이 멈춤공(25)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봉(10)의 내부로 노출되어 상부지지봉(30)의 하부가 걸려 인출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봉(10)의 상부에 아우터가이드캡(40)이 억지끼워맞춤으로 씌워지게 나사(S)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상부지지봉(30)의 하부에 인너가이드캡(50)이 삽입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0120123907A 2012-11-05 2012-11-05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405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07A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2-11-05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907A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2-11-05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762A KR20140057762A (ko) 2014-05-14
KR101405834B1 true KR101405834B1 (ko) 2014-06-11

Family

ID=5088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907A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2-11-05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16B1 (ko) 2018-05-23 2018-12-17 박근회 조명장치 커버의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02B1 (ko) * 2019-12-31 2020-05-15 이현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KR102570995B1 (ko) * 2023-03-08 2023-08-28 이현용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00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씨앤드제이인터트레이드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393958Y1 (ko) 2005-05-24 2005-08-30 도림산업 주식회사 책상과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565Y1 (ko) 2005-05-27 2005-09-05 김영기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0823888B1 (ko) 2007-11-07 2008-04-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00Y1 (ko) 1999-07-01 2000-02-15 주식회사씨앤드제이인터트레이드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393958Y1 (ko) 2005-05-24 2005-08-30 도림산업 주식회사 책상과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565Y1 (ko) 2005-05-27 2005-09-05 김영기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0823888B1 (ko) 2007-11-07 2008-04-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016B1 (ko) 2018-05-23 2018-12-17 박근회 조명장치 커버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762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US20100171012A1 (en) Furniture provided with length-adjustable legs
KR10224398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101400683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0798467B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69138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666857B1 (ko) 조절구멍 없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및 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2378960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101399642B1 (ko) 높이 조절형 책상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CN204908482U (zh) 一种新型美术绘画架
KR100913380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의 높낮이 조절구
KR101360757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US3215482A (en) Bedside reading stand
KR20100010202U (ko)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CN210353708U (zh) 一种学生宿舍床上、地面两用抽拉桌
KR102198928B1 (ko) 책받침대 고정장치
KR20220103419A (ko) 액자 받침대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37996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570995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학생용 책상 및 걸상
KR10230689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KR20090015215A (ko) 가구의 높이 조절장치
CN211408225U (zh) 一种多功能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