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02U -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 Google Patents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02U
KR20100010202U KR2020090004144U KR20090004144U KR20100010202U KR 20100010202 U KR20100010202 U KR 20100010202U KR 2020090004144 U KR2020090004144 U KR 2020090004144U KR 20090004144 U KR20090004144 U KR 20090004144U KR 20100010202 U KR20100010202 U KR 201000102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book
upper plate
groov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영
Original Assignee
정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2020090004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0202U/ko
Publication of KR20100010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6Holders or supports for guiding copy-books, s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리피스(111)가 형성되고 상부선단 내측에 브라켓(134)이 고정되어 책상의 상판(10) 하부 측에 마련된 보관 스페이스(40) 내에 고정 장착이 되어 있는 1쌍의 외측프레임(110)과, 관통구멍을 갖춘 지지캡(132)의 상단으로 스프링(133)을 매개로 조작 버튼(131)이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관 스페이스(40)의 상단에 마련된 상판(10)의 리세스(20)에 안착이 될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손잡이(13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30)의 양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1쌍으로 연장되되 내측 하단에 서스펜션(150)이 설치되고 이 서스펜션(150)과 조작 버튼(131)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로드(140)에 의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측프레임(120)으로 형성된 책 받침대(100); 상판(10)에서 상기 리세스(20) 형성위치의 평행 전방부에 적어도 1쌍으로 형성된 결합공(50)에 패스너(8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받침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TABLE WITH SYSTEM OF BOOKSTAND}
본 고안은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 상판에서 상하로 돌출 및 신축이 자유로이 가능한 책 받침대와 상판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책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받침대로 이루어진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하여 책상에 일체로 이루어진 편의성 및 높이 및 책 위치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책상은 기본적으로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 상판에서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책상의 후 측면에 다리와 더불어 결합되어 있는 후 측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추가적으로 상판과 다리 사이에 다단식 서랍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책상에서 상판은 편평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편평한 상판은 물건을 올려놓는 용도로는 상당히 적합하나 만일 사용자가 책을 올려놓고 독서를 할 경우에는 상판에 위치한 책과 사용자의 시선간의 각도가 맞지 않아 편안한 자세로 독서하기가 어려워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거나 어깨를 움츠려 독서를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자라나는 어린이 내지 청소년의 체형이 온전 해지지 않거나 허리 등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책을 다양한 각도로 세워놓을 수 있는 간이 책 받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책 받침대는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거나 좁은 책상에서는 책 받침대를 상판에 거치하는 자체가 힘든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 공보를 참조하면 책상과 책 받침대를 일체화한 구조가 상당 수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 1994-0001121호는 책상의 상판 중 후측 일정부위를 다른 부위의 상판과 힌지 결합함으로 일정 반경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 경우 책상의 상판 자체가 선회됨으로 책상의 사용 범위를 스스로 제약하고 더불어 선회되는 책상의 상판 부위가 일정하여 책의 다양한 사이즈에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다는 불편함과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 출원 제 1992-0025690호는 책상의 상판에서 책받침편이 출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물론 책받침편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측 공간에 매립하여 상판 사용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출몰되는 높이가 구조상 제약이 되고 더불어 책받침편이 비록 외부로 출현된다 하더라도 책을 수직으로 받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책이 앞쪽으로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뒤따른다.
따라서 책받침 시스템이 책상이 일체적으로 구비가 되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측으로 함입되어 상판의 다른 용도로서의 사용 상태를 방해하지 않고 더불어 책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책이 넘어지지 않도록 책의 앞쪽 부위 에 책을 지지할 수 있는 편리한 구조를 가진 새로운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상의 상판에서 인출입이 자유로운 책 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책 받침대는 사용자에 의하여 자유로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상판의 독서 이외의 다른 용도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 받침대에 의하여 책이 받쳐질 때 책이 앞쪽으로 쏠려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책받침대의 앞쪽 부위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리피스(111)가 형성되고 상부선단 내측에 브라켓 (134)이 고정되어 책상의 상판(10) 하부 측에 마련된 보관 스페이스(40) 내에 고정 장착이 되어 있는 1쌍의 외측프레임(110)과, 관통구멍을 갖춘 지지캡(132)의 상단으로 스프링(133)을 매개로 조작 버튼(131)이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관 스페이스(40)의 상단에 마련된 상판(10)의 리세스(20)에 안착이 될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손잡이(130)가 형 성되고, 상기 손잡이(130)의 양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1쌍으로 연장되되 내측 하단에 서스펜션(150)이 설치되고 이 서스펜션(150)과 조작 버튼(131)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로드(140)에 의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측프레임(120)으로 형성된 책 받침대(100); 상판(10)에서 상기 리세스(20) 형성위치의 평행 전방부에 적어도 1쌍으로 형성된 결합공(50)에 패스너(8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받침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에 의하면, 책상과 책 받침대를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본적인 장점은 물론 상판의 기본적인 용도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형성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 받침대를 편리한 조작으로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책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책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보조적인 받침대를 구비하여 책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책상의 상판(10)의 대략적으로 후 측 부위에는 인출입이 자유로운 책 받침대(10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책 받침대(100)가 형성된 상판(10)의 전방 부위에는 다수 개의 결합공(50)이 형성되어 이에 보조 받침대(200)가 패스너(8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책 받침대(100)는 책(90)이 직립할 수 있도록 책(90)의 후면 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보조 받침대(200)는 책(90)이 책 받침대(100)에서 미끄러지거나 앞쪽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책 받침대(100)는 사용 전일 경우 책상의 상판(10) 내로 매설이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후술할 손잡이(130)의 폭 및 두께에 상응하는 리세스(20)가 손잡이(130) 결합 위치에 대응되는 책상의 상판(10) 부위에 형성되어 있고, 이렇게 매설된 책 받침대(100)를 용이하게 빼어낼 수 있도록 책 받침대(100)가 형성된 상판(10) 대응 부위,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30) 내에 완전 결합되어 손잡이(130)의 상단이 상판(10)의 면과 동일 면을 이룰 경우 손잡이(130)의 조작 버튼(131) 주변의 상판(10) 부위(리세스 주변 부위)에는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반타원형으로 함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 홈(30)이 함입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이 인출 홈(30)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편리하게 손잡이(130)를 인출할 수가 있다.
보조 받침대(200)는 일정 길이의 바(BAR) 형상을 가지고 있되 양 측 부위에 통구(210)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책 받침대(100)의 내측 프레 임(120)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높이, 즉 손잡이(130)의 상단에서 45도 각도로 상판(10)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시켜 맞닿는 상판(10) 부위에 형성된 다수 개의 1쌍의 결합공(50)에 패스너(80)에 의하여 통구(210)와 결합이 된다.
결합공(50)은, 책 받침대(100)의 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일정 간격으로 대략 손잡이(130)의 길이 범위 이내의 간격을 두고 1쌍으로 상판(10)에 복수 열로 형성되어 있다.
보조 받침대(200)가 만일 상시 상판(10)에 부착되어 있게 되면 독서 이외의 상판(10)의 다른 용도 사용에 지장이 되기 때문에 패스너(80)의 해제 및 조임 방식으로 결합공(50)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책받침 시스템 중 책 받침대(10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 받침대(100) 중 서스펜션(150)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책 받침대(100)는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 내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10) 하부 내지 책상의 후측판 주변 부위에 형성된 보관 스페이스(40)에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오리피스(111)가 형성된 1쌍의 외측 프레임(110)이 형성되고, 이 외측 프레임(11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그 크기가 다소 작게 형성된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10)에 끼워지되, 이 내측 프레임(120)은 상기 외측 프레임(110)의 상부선단 내측에 고정된 브라켓(134)을 매개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프레임(110)은 책상의 상판(10) 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 자의 다리가 걸리거나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책상의 상판(10) 하부 주변 등에 형성된 보관 스페이스(40) 내에서 수용이 된다. 즉, 보관 스페이스(40)는 본 고안에 따른 외측 프레임(110)의 하단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외측 프레임(110)을 내부에 수용하여 책 받침대(110)에 따른 하부 구성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외측 프레임(110)이 의자를 매개로 책상에 앉은 사용자의 다리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측 프레임(120)은, 상부선단에는 상판(10)의 리세스에 수용되는 손잡이(130)가 수평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손잡이(130)의 양단에는 1쌍의 프레임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프레임의 하부 선단에는 서스펜션(150)이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선단에 조작 버튼(131)이 형성되고 하부선단에는 동력 전달부(141)가 형성된 가이드 로드(140)가 설치되어 있다.
결국 내측 프레임(120)은 손잡이(130) 내의 조작 버튼(131), 가이드 로드(140), 동력 전달부(141)의 순으로 상하 배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버튼(131)은 손잡이(130)의 중앙상단에서 외부로 식별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120)의 상부선단 안쪽으로 중앙에 가이드 로드(140)의 상단과 연결 가능하도록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된 지지캡(132)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140)의 상부 즉, 조작 버튼(131)과 지지캡(132) 사이에는 탄성력을 보유한 스프링(133)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서스펜션(150)은 일 측 내부에 스토퍼(163)를 갖춘 상부 블록(160)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172)이 형성된 하부 블록(170)을 갖추고, 이들 상부 블록(160)과 하부 블록(170)간의 경계면에 걸림턱(1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150)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투시 정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하부 블록(160,170)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홈(14)과 연통된 링크 결합 홈(152)이 형성되고, 이 링크 결함 홈(152)을 매개로 링크(161)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면서 그 상부가 상기 상부 블록(160)에 핀(162) 결합됨과 더불어 하부는 상기 가이드 홈(14)에 끼워진 스프링(20)을 매개로 탄성 지지된 걸림핀(171)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161)가 핀(162)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내에서 축선회하면서 가이드 홈(172)내에서 걸림핀(171)을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책 받침대(100)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책 받침대(100)는, 먼저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10)에 결합이 되어 손잡이(130)가 상판(10)의 리세스(20)에 수용되어 상판(10) 동일 면으로 위치하고 있는데, 손잡이(130)의 중앙부에 있는 조작 버튼(131)을 눌러준 상태로 손잡이(130)를 상판(10)의 상 방향으로 잡아당겨 내측 프레임(120)을 인출시키다가 조작 버튼(131)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걸림핀(171)이 오리피스(111)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인출된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조작 버튼(131) 을 누르고서 손잡이(130)를 밀어주게 되면 상기 외측 프레임(110) 안쪽으로 내측 프레임(120)이 수용되므로 간단하게 보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조작 버튼(131)을 누르면 스프링(133)을 압축시키면서 이와 연결된 가이드 로드(1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141)를 통해 링크(161)의 상단을 눌려주게 됨에 따라 링크(161)가 핀(1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축 선회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핀(171)이 스프링(173)을 압축시키면서 가이드 홈(172)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오리피스(111)에서 걸림핀 (171)을 이탈시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조작 버튼(131)을 계속 눌러 스프링(133)을 압축시키고 있다면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책(90)의 크기 내지 높이에 맞추어 내측 프레임(120)을 적절한 길이로 상판(10) 상부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고, 반대로 내측 프레임(120)을 외측 프레임(110) 내에 완전하게 밀어 넣어줌으로써 보관상태로 수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인출 길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조작 버튼(131)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133)의 복원력으로 가이드 로드(140)가 수직 상방으로 밀려져 올라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핀(171)도 스프링(173)의 복원력으로 밀려지면서 오리피스(111)에 끼워지게 됨으로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10)상에 고정되어 내측프레임(110)의 인출 길이가 유지됨에 따라 책(9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링크(161)는 핀(1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축선회하다가 스토 퍼(163)에 걸려지게 되므로 걸림핀(171)의 돌출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내측 프레임(120)은 외측프레임(110)에 고정된 브라켓(134)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바, 상기 내측 프레임(120)을 최대길이까지 인출시키면 이 내측 프레임(120)의 하부선단에 고정된 서스펜션(150)의 걸림턱(151)이 브라켓(134)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결국 내측 프레임(120)이 외측 프레임(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받침대(200)가 결합되는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상판(10)에 결합공(50)이 다수 개 형성된다면 상판(10)에 굴곡 면을 조장하여 기본적으로 편평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판(10)의 장점 부분이 손상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부위는 다른 상판(10) 면보다 약간 내측(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두께 정도)으로 함입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함입 부위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60)는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표면 일 측부에 함입 형성된 슬라이딩 홈(70)에 수용이 될 수가 있으며, 만일 사용자가 독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를 통해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부위를 덮고 있다가 독서 시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60)를 슬라이딩 홈(70) 내측으로 밀어 넣어 결합공(50)이 개방되도록 한다.
보조 받침대(200)의 두께는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함입 부위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되어 있어, 보조 받침대(200)를 결합공(50)에 체결하였을 때 상판(10)의 다른 면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책(90)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하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딩 플레이트(60)는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외에 다른 상판(10)의 부위와 동일한 무늬로 되어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슬라이딩 플레이트(6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손잡이로 활용이 되도록 반원형상으로 함입된 작용 홈(6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60)의 용이한 슬라이딩 이동을 이룰 수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은 다양한 사이즈의 책(9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책 받침 시스템(100,200)을 통해 책상의 활용을 증대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에서 책 받침대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책 받침대의 서스펜션 구조를 나타내는 투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의 사용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판 140: 가이드 로드
20: 리세스 150: 서스펜션
30: 인출홈 151: 걸림턱
40: 보관 스페이스 152: 링크 결합홈
50: 결합공 160: 상부 블록
60: 슬라이딩 플레이트 161: 링크
70: 슬라이딩 홈 163: 스토퍼
80: 패스너 170: 하부 블록
100: 책 받침대 171: 걸림핀
110: 외측 프레임 172: 가이드 홈
120: 내측 프레임 173: 스프링
130: 손잡이 200: 보조 받침대
131: 지지캡 210: 통구
134: 브라켓

Claims (5)

  1.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오리피스(111)가 형성되고 상부선단 내측에 브라켓 (134)이 고정되어 책상의 상판(10) 하부 측에 마련된 보관 스페이스(40) 내에 고정 장착이 되어 있는 1쌍의 외측프레임(110)과,
    관통구멍을 갖춘 지지캡(132)의 상단으로 스프링(133)을 매개로 조작 버튼(131)이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관 스페이스(40)의 상단에 마련된 상판(10)의 리세스(20)에 안착이 될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손잡이(130)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30)의 양단에서 수직 하 방향으로 1쌍으로 연장되되 내측 하단에 서스펜션(150)이 설치되며 이 서스펜션(150)과 조작 버튼(131)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로드(140)에 의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측프레임(120)으로 형성된 책 받침대(100);
    상판(10)에서 상기 리세스(20) 형성위치의 평행 전방부에 적어도 1쌍으로 형성된 결합공(50)에 패스너(8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받침대(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150)은,
    일 측에 스토퍼(163)를 갖춘 상부 블록(160) 및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홈(172)이 형성된 하부 블록(170)으로 걸림턱(151)을 매개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록(160,170)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홈(17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링크 결합홈(152)에 이동될 수 있도록 끼워지면서, 그 상부가 핀(162)에 의해 상기 상부 블록(160)에 핀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가이드 홈(172)에 끼워진 스프링(173)에 의해 지지된 걸림핀(171)에 연결된 링크(16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리세스(20)의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출 홈(30)이 함입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부위가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함입 구성된 상태에서 일 측부에는 슬라이딩 홈(7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 홈(70)에서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플레이트(60)를 통해 상기 결합공(50)이 형성된 상판(10) 부위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60)의 일 측단에는 작용 홈(61)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KR2020090004144U 2009-04-09 2009-04-09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KR201000102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44U KR20100010202U (ko) 2009-04-09 2009-04-09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44U KR20100010202U (ko) 2009-04-09 2009-04-09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2U true KR20100010202U (ko) 2010-10-19

Family

ID=4420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144U KR20100010202U (ko) 2009-04-09 2009-04-09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20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3709A (zh) * 2019-07-10 2019-10-11 濮阳职业技术学院 一种中文文学学习专用辅助装置
KR20200002795U (ko) * 2019-06-18 2020-12-29 정우리 기능성 책상
KR20230061614A (ko) * 2021-10-28 2023-05-09 김학배 출몰형 가림막을 갖는 실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95U (ko) * 2019-06-18 2020-12-29 정우리 기능성 책상
CN110313709A (zh) * 2019-07-10 2019-10-11 濮阳职业技术学院 一种中文文学学习专用辅助装置
KR20230061614A (ko) * 2021-10-28 2023-05-09 김학배 출몰형 가림막을 갖는 실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68461U (zh) 床上读书架
US9993090B2 (en) Hook-on chair
KR20100010202U (ko) 책받침 시스템을 구비한 책상
CN205093880U (zh) 可调节多功能书架
KR101929233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CN203776487U (zh) 一种实用性强的家具床
CN101390702B (zh) 一种枕头倾角的调节装置
KR101405834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190054213A (ko) 레버를 이용한 이동식 의자 일체형 수납 책상
US1747831A (en) Child&#39;s chair for automobiles
CN202760697U (zh) 一种具有可调节按摩靠枕的座椅
KR20100007437U (ko)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CN216753962U (zh) 一种颈腰椎解压的可调式办公床
CN209769707U (zh) 财务用座背联动收纳座椅
KR200372603Y1 (ko) 독서대
KR2004616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KR200399531Y1 (ko) 다목적 받침부재
CN206119706U (zh) 一种多功能的升降茶几结构
CN214072598U (zh) 一种具有储物功能的座椅
CN202775308U (zh) 一种增高椅
CN217885530U (zh) 一种二节推拉功能沙发床
CN214963986U (zh) 便于调节的沙发
CN213046219U (zh) 沙发脚蹬铰链
CN214207828U (zh) 一种具有转换功能的沙发
CN211459219U (zh) 一种多用电脑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