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531Y1 - 다목적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다목적 받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531Y1
KR200399531Y1 KR20-2005-0022962U KR20050022962U KR200399531Y1 KR 200399531 Y1 KR200399531 Y1 KR 200399531Y1 KR 20050022962 U KR20050022962 U KR 20050022962U KR 200399531 Y1 KR200399531 Y1 KR 200399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member
support
ch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기
Original Assignee
오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기 filed Critical 오영기
Priority to KR20-2005-0022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of adjustable type
    • A47C7/5062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of adjustable type rectiline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의자의 목 받침,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의자의 발 받침, 장롱 등의 가구용 선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평판으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전면 양측부에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평판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 몸체와; 상기 안내관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는 의자의 목받침,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의자의 발받침용 그리고 장롱 등의 가구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효과가 있고,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쉬우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므로 남녀노소 신장의 차이에 따라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관리 및 보수가 쉬우므로 제품의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받침부재{A MULTIPURPOSE SUPPORTING TOOL}
본 고안은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의자의 목 받침,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의자의 발 받침, 장롱 등의 가구용 선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헤드 레스트 또는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등은 그 기능상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의자의 발 받침으로 사용되는 받침판의 경우에도 발 받침용으로 별도 제작된 받침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장롱 등의 가구에 사용되는 선반의 경우에는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경우에는 대부분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어서 의자에 착석하는 경우 상반신이 긴 사람과 상반신이 짧은 사람일 경우 머리가 올바르게 지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고,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의 경우에는 상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의자의 발받침용으로 이용되는 받침판의 경우에는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서 의자에 앉아 있을 때, 발의 놓이는 위치가 불편하여 편안한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이었다.
또한, 장롱, 책꽂이 등의 가구에는 책을 올려 놓거나 옷을 얹혀놓는 받침판이 있었으나 대부분 일측이 고정되어 조절이 되지 않으므로서 사용자가 물건을 더 올려놓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정형 또는 복잡한 구조의 받침부재의 경우에는 소재를 많이 사용해야 하므로 소재의 손실이 늘어나고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었고, 상기와 같은 조절형의 받침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공과 조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의자, 가구 등에 설치시 설치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다목적 받침부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는 조립은 쉽게 이루어지면서도 의자의 헤드 레스트,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의자의 발 받침 및 장롱 등의 가구용 선반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평판으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전면 양측부에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평판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 몸체와; 상기 안내관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내관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볼 고정홈 및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지며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헤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관 몸체는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고, 양단에 볼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관 몸체의 양단부가 원뿔대형상으로 오므려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평판에 고정된 안내관의 하단부에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일치하도록 고정래치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가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가 의자의 발 받침으로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받침부재가 가구용 선반으로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는 먼저,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부에 볼트, 리벳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관통해서 형성된 고정공(12)이 형성된 받침판(10)과, 상기 받침판(10)의 전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되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는 한 쌍의 안내관(14,15)과, 상기 받침판(10)의 가운데 부분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안내관(14,15)의 하단부에 양 끝단이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고정관 몸체(16)와, 상기 안내관(14,15)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는 사용장소에 따라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도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여 보면, 상기 받침판(10)의 전부에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는 안내관(14,15)은 중공형으로서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6)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관 몸체(16)는 그 내부가 중공형으로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스프링(20)이 삽입되어 있으며, 양단부에는 볼(22)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 몸체(16)의 양단부(18)는 상기 볼(22)이 빠지지 않도록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관 몸체(16)는 아치형의 고정구(24)에 의해 둘러쌓여져서 상기 받침판(1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내관(14,15)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되는 지지대(26)는 상기 안내관(14,15)에 각각 끼워지는 봉형상의 결합부(28,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28,29)는 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기역자(ㄱ)형상으로 절곡되면서 하나로 이어지는 헤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8,29)의 각각의 일측부에는 상기 볼(22)과 접해서 볼(22)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볼 고정홈(32)이 하나 이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 고정홈(32)의 하부 일측에는 삼각형상의 고정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34)에는 고정래치(36)가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래치(36)는 상기 받침판(1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6)가 상기 안내관(14,15)을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래치(36)는 사각형상의 고정몸체(38) 내부에 스프링(40)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34)과 일치하는 삼각형상의 고정구(42)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일실시예로서, 받침판(11)의 형상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스형상의 받침판(11)의 외측부에 각각의 고정공(12)이 형성된 고정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는 의자(200)의 등받이부(202)와 머리부(204)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받침판(10)은 의장(200)의 등받이부(202)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6)는 상기 머리부(204)에 끼워져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받침부재(100)는 사용자가 머리의 높이를 맞추고자 하는 경우 의장의 머리부(204)를 잡고 올리고 내림으로서 간단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200)의 발받침판(206)으로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26)에 평판(208)을 고정시키고 의자(200)에 앉는 경우 발을 편하게 올려놓고 멀리 또는 가깝게 화살표 방향으로 조절하여 발을 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롱, 책상, 책꽂이 등의 가구용 선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100)가 장롱에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장롱 내부에 설치된 선반(210)에 연결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장롱 내부에 다목적 받침부재(10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이 쉬우므로 조립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는 의자의 목받침,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의자의 발받침용 그리고 장롱 등의 가구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효과가 있고, 구성부품이 간단하여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쉬우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받침부재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므로 남녀노소 신장의 차이에 따라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관리 및 보수가 쉬우므로 제품의 수명이 오래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가 의자의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목적 받침부재가 의자의 발 받침으로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받침부재가 가구용 선반으로 사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 : 고정공
14 : 안내관 16 : 고정관 몸체
18 : 단부 20 : 스프링
22 : 볼 24 : 고정구
26 : 지지대 28 : 결합부
30 : 헤드부 32 : 볼 고정홈
34 : 고정홈 36 : 고정래치

Claims (4)

  1. 평판으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전면 양측부에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평판의 전면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관 몸체와;
    상기 안내관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받침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내관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볼 고정홈 및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지며 기역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헤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받침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 몸체는 내부에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고, 양단에 볼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관 몸체의 양단부가 원뿔대형상으로 오므려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받침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에 고정된 안내관의 하단부에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일치하도록 고정래치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받침부재.
KR20-2005-0022962U 2005-08-09 2005-08-09 다목적 받침부재 KR200399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62U KR200399531Y1 (ko) 2005-08-09 2005-08-09 다목적 받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962U KR200399531Y1 (ko) 2005-08-09 2005-08-09 다목적 받침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531Y1 true KR200399531Y1 (ko) 2005-10-25

Family

ID=4370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962U KR200399531Y1 (ko) 2005-08-09 2005-08-09 다목적 받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5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66B1 (ko) *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101058333B1 (ko) * 2009-03-13 2011-08-25 안창현 접이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166B1 (ko) * 2006-10-31 2007-07-02 주식회사 다원산업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101058333B1 (ko) * 2009-03-13 2011-08-25 안창현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0268B (zh) 一种便于休息的椅子
US20140167473A1 (en) Supporting Frame of Folding Chair and Folding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KR200399531Y1 (ko) 다목적 받침부재
KR200472055Y1 (ko)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JP3126488U (ja) 机と椅子の相互変換構造
KR20120007229U (ko) 의자를 구비한 책상
KR102746926B1 (ko) 의자 기능을 구비한 파티션
CN205457467U (zh) 一种靠背和扶手均能进行角度调节的沙发骨架
KR200342094Y1 (ko) 학생용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381387Y1 (ko) 높이조절의자
KR200413853Y1 (ko) 수강용 책상
US20200281362A1 (en) Multifunctional seating unit
KR200329187Y1 (ko) 강의용 일체형 책걸상
KR100605035B1 (ko) 의자 일체형 책상
CN219895181U (zh) 一种沙发椅
CN202775183U (zh) 一种新型椅子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CN206371727U (zh) 一种桌椅组合套装
EP3422905B1 (en) Multifunctional seating unit
KR20190002200U (ko) 다용도 사이드 침대 테이블
KR200237885Y1 (ko) 책걸상
KR200344011Y1 (ko) 의자 일체형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