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00Y1 -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200Y1
KR200163200Y1 KR2019990012746U KR19990012746U KR200163200Y1 KR 200163200 Y1 KR200163200 Y1 KR 200163200Y1 KR 2019990012746 U KR2019990012746 U KR 2019990012746U KR 19990012746 U KR19990012746 U KR 19990012746U KR 200163200 Y1 KR200163200 Y1 KR 200163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esk
inner pipe
outer pip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앤드제이인터트레이드
조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앤드제이인터트레이드, 조영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앤드제이인터트레이드
Priority to KR2019990012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책상의 높이조절시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이 되도록 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받침대의 좌·우측에 내부가 중공진 외측파이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에는 내측파이프가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의 상단에는 상판이 고정 부착되는 통상적인 책상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의 배면 상단부에는 제 1끼움공과 제 2끼움공이 연이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공 하부에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내측파이프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위치조절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공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측파이프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조절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TO CONTROL HIGH AND LOW FOR A TABLE}
본 고안은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측파이프의 배면 상단부에 조절부재를 고정 설치하고, 외측파이프의 내부에는 배면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된 내측파이프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세불량으로 인한 피로감 및 청소년들의 신체 발육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책상의 높이조절시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이 되도록 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며 조절공구를 사용해야만 책상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신체부위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책상은 상판의 하단에 받침다리가 고정 설치되고, 받침다리 하단에는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조절편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책상은 상판과 받침다리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불편하였고, 사용자의 신장이 크고 작은 차이가 있을 때 책상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없어 자세불량으로 인한 피로감 유발과 학생들의 신체 발육 및 학습지장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척추변형 및 디스크등으로 인해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였 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었으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조작이 까다로워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강의도중 학생에 의해 임의적으로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학습진행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바 현 교육환경에서 채택되어 질 수 없음으로 인해 실용화가 어려웠으며, 승·하강 동작시 심한 소음발생과 원활한 승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책상의 높이조절시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이 되도록 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며,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도록 한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특수공구를 사용하여만 책상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부위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받침대의 좌·우측에 내부가 중공진 외측파이프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측파이프의 내부에는 내측파이프가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의 상단에는 상판이 고정 부착되는 통상적인 책상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의 배면 상단부에는 제 1끼움공과 제 2끼움공이 연이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공 하부에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파이프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내측파이프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위치조절공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공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측파이프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조절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상기 조절부재는 일측면 상단부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상측에는 볼 스토퍼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결합공에 압입 설치되는 너트; 및 상기 가이드공에 끼워져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타단에는 상기 너트의 너트공에 압입 설치되는 결합단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 1끼움공을 통해 위치조절공에 결합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고정편; 상기 볼 스토퍼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 2끼움공을 통해 위치조절공에 걸려 고정되는 볼 스토퍼; 상기 결합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공을 통해 이탈방지공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 상기 볼 스토퍼와 이탈방지편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 1탄성부재와 제 2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외측파이프와 조절부재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b,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측파이프 11 : 제 1끼움공
12 : 제 2끼움공 13 : 고정공
14 : 받침대 20 : 내측파이프
22 : 위치조절공 24 : 이탈방지공
30 : 조절부재 40 : 몸체
41 : 가이드공 41a : 나사부
42 : 결합공 44 : 결합홈
46 : 볼 스토퍼홈 50 : 너트
52 : 너트공 60 : 고정편
62 : 결합부 64 : 결합단
66 : 고정부 70 : 볼 스토퍼
72 : 이탈방지편 76 : 제 1탄성부재
78 : 제 2탄성부재 80 : 상판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외측파이프와 조절부재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요부 확대 단면도로써, 본 고안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외측파이프(10), 내측파이프(20), 조절부재(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측파이프(10)는 내부가 중공진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받침대(14)의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배면 상단부에는 제 1끼움공(11)과 제 2끼움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끼움공(12)의 하측에는 고정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하단부에는 지지파이프(15)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부에 끼워지는 내측파이프(20)는 배면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22)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공(13)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공(2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상단부에는 받침파이프(26)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받침파이프(26)의 상면에는 상판(80)이 고정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파이프(10)의 상단부 배면에 고정 부착되는 조절부재(30)는 일측면 상단부 내부에 나사부(41a)가 형성된 가이드공(4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공(42)이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4)의 상측에는 볼 스토퍼홈(46)이 형성된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결합공(42)에 압입 설치되는 너트(50); 및 상기 가이드공(41)에 끼워져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결합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의 타단에는 상기 너트(50)의 너트공(52)에 압입 설치되는 결합단(64)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 1끼움공(11)을 통해 위치조절공(22)에 결합되는 고정부(66)가 형성된 고정편(60)과, 상기 볼 스토퍼홈(46)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 2끼움공(12)을 통해 위치조절공(22)에 걸려 고정되는 볼 스토퍼(70)와, 상기 결합홈(44)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공(13)을 통해 이탈방지공(24)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파이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72)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볼 스토퍼(70)와 이탈방지편(72)의 후방에 제 1탄성부재(76)와 제 2탄성부재(7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미설명부호(28)는 가방이나 핸들백등을 걸러 보관할 수 있게 받침파이프(26)에 설치된 가방고리이고, (90)은 상기 책상의 높이 조절시 너트(50)에 끼워져 고정편(6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조절공구이다.
한편, 상기 외측파이프(10)와 내측파이프(2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가 중공진 사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고, 너트(50)의 너트공(52)은 5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공구(90)는 일단에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너트공(52)에 끼워질 수 있게 체결부(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조립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4a,b,c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받침대(14)의 좌·우측에 고정 설치된 외측파이프(10)의 배면 상단부에 조절부재(30)를 고정 설치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조절부재(30)의 몸체(40)의 결합공(42)에 너트(50)를 끼워고, 가이드공(41)에는 고정편(60)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고정편(60)의 결합부를 가이드공(41)의 나사부(41a)와 나사 결합시키고, 결합단(64)은 너트공(52)에 압입 설치한다. 그런 다음 볼 스토퍼홈(46)에는 제 1탄성부재(76)와 볼 스토퍼(70)를 끼워 결합시키고, 결합홈(44)에는 제 2탄성부재(78)와 이탈방지편(72)을 끼워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조절부재(30)를 외측파이프(10)에 융착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60)의 고정부(66)는 상기 외측파이프(10)의 제 1끼움공(11)에 끼워지도록 하고, 볼 스토퍼(70)의 선단은 외측파이프(10)의 제 2끼움공(12)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한 외측파이프(10)에 조절부재(30)가 고정 설치되면, 외측파이프(10)의 내부에 내측파이프(20)를 삽입 설치한 다음, 내측파이프(2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받침파이프(26)에는 상판(80)을 고정 설치하면 된다.(도 2참조)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72)은 상기 외측파이프(10)의 고정공(13)을 통해 내측파이프(20)의 배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책상을 높이를 올리기 위해서는 도 4a와 같이 조절공구(90)의 체결부(92)를 몸체(40)에 결합된 너트공(52)에 끼우 다음 손잡이를 화살표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고정편(60)의 결합부(62)와 가이드공(41)의 나사부(41a)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고정편(60)이 가이드공(41)을 따라 첨부된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게 되고, 동시에 고정편(60)의 고정부(66)는 외측파이프(10)의 제 1끼움공(11)과 내측파이프(20)의 위치조절공(22)에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파이프(20)를 상방향으로 상승시키고, 책상이 원하는 위치까지 오게 되면 다시 조절공구(9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편(60)이 제 1끼움공(11)을 통해 다른 위치조절공(22)에 끼워지게 되어 내측파이프(20)가 외측파이프(10)와 같이 고정된다.(도 4b참조) 이때, 상기 내측파이프(20)를 상승시킬 경우 볼 스토퍼(70)는 제 1탄성부재(76)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도면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위치조절공(22)에 끼워지게 되어 내측파이프(20)가 외측파이프(10)에서 급격히 뽑아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게 됨과 함께 원활한 작동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책상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조절공구(90)의 체결부(92)를 몸체(40)에 결합된 너트공(52)에 끼우 다음 손잡이를 화살표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고정편(60)의 결합부(62)와 가이드공(41)의 나사부(41a)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고정편(60)이 가이드공(41)을 따라 첨부된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게 되고, 동시에 고정편(60)의 고정부(66)는 외측파이프(10)의 제 1끼움공(11)과 내측파이프(20)의 위치조절공(22)에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파이프(20)를 외측파이프(10)의 밑으로 하강시킨 다음 다시 조절공구(9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내측파이프(20)를 외측파이프(10)와 같이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도 4c는 외측파이프(10)에서 내측파이프(20)를 최상단까지 상승시켰을 경우 상기 내측파이프(20)가 외측파이프(10)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다. 즉 내측파이프(20)의 하단을 외측파이프(10)의 상단까지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내측파이프(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공(24)에 조절부재(30)의 이탈방지편(72)이 제 2탄성부재(78)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끼워져 결합되어 내측파이프(20)가 외측파이프(10)의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내측파이프(20)가 외측파이프(10)에서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조절공구를 사용해야만 책상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신체부위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학습도중 학생에 의해 임의적으로 책상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 학습진행자의 강의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책상 상판(80)의 상면과 하면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어 상판(80)의 파손 및 훼손시 새로운 상판으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따르면, 외측파이프의 배면 상단부에 조절부재를 고정 설치하고, 외측파이프의 내부에는 배면에 다수개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된 내측파이프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안한 자세에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자세불량으로 인한 피로감 및 청소년들의 신체 발육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책상의 높이조절시 소음을 방지하고 원활한 작동이 되도록 하여 쾌적한 학습환경을 조성하며, 조절공구를 사용해야만 책상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신체부위가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학습도중 학생에 의해 임의적으로 책상을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 학습진행자의 강의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됨과 함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받침대(14)의 좌·우측에 내부가 중공진 외측파이프(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내부에는 내측파이프(20)가 각각 삽입 설치되며, 상기 내측파이프(20)의 상단에는 상판(80)이 고정 부착되는 통상적인 책상에 있어서,
    상기 외측파이프(10)의 배면 상단부에는 제 1끼움공(11)과 제 2끼움공(12)이 연이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 2끼움공(12) 하부에는 고정공(1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파이프(1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내측파이프(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위치조절공(22)이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공(13)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탈방지공(2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외측파이프(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내측파이프(20)를 고정 시킬 수 있는 조절부재(3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30)는 일측면 상단부 내부에 나사부(41a)가 형성된 가이드공(41)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결합공(42)이 관통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결합홈(4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4)의 상측에는 볼 스토퍼홈(46)이 형성된 몸체(40);
    상기 몸체(40)의 결합공(42)에 압입 설치되는 너트(50); 및
    상기 가이드공(41)에 끼워져 나사 결합될 수 있게 중앙에 결합부(6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의 타단에는 상기 너트(50)의 너트공(52)에 압입 설치되는 결합단(64)이 형성되며 일단에는 상기 제 1끼움공(11)을 통해 위치조절공(22)에 결합되는 고정부(66)가 형성된 고정편(60);
    상기 볼 스토퍼홈(46)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 2끼움공(12)을 통해 위치조절공(22)에 걸려 고정되는 볼 스토퍼(70);
    상기 결합홈(44)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공(13)을 통해 이탈방지공(24)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파이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72);
    상기 볼 스토퍼(70)와 이탈방지편(72)의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제 1탄성부재(76)와 제 2탄성부재(78);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9990012746U 1999-07-01 1999-07-01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163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46U KR200163200Y1 (ko) 1999-07-01 1999-07-01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746U KR200163200Y1 (ko) 1999-07-01 1999-07-01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200Y1 true KR200163200Y1 (ko) 2000-02-15

Family

ID=195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746U KR200163200Y1 (ko) 1999-07-01 1999-07-01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2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46B2 (en) 2003-09-18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4-06-11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110301746A (zh) * 2019-07-18 2019-10-08 广州典赞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使用的办公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46B2 (en) 2003-09-18 2007-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ll mount for display apparatus
KR101405834B1 (ko) 2012-11-05 2014-06-11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110301746A (zh) * 2019-07-18 2019-10-08 广州典赞家具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使用的办公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124A (en) Non-tactual facilitation support system
KR200163200Y1 (ko)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US20200305611A1 (en) Physical activity devices
WO2006052069A1 (en) Desk and chair relative regulation device
KR10230351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69488Y1 (ko) 높낮이조절장치
KR200191676Y1 (ko) 책걸상 높이조절구
KR200393958Y1 (ko) 책상과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86715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65342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0027454A (ko) 위치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한 높이조절장치
CN212415142U (zh) 一种便于升降的钢塑课桌
KR200196463Y1 (ko) 책받침판 이동식 수강용 책상
KR200240898Y1 (ko) 높이 조절용 책상
JP3169440U (ja) 高さ調節椅子
KR200279321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학생용 책상
CN210727221U (zh) 一种坐姿矫正装置
CN214377113U (zh) 一种思政教学用通用辅助教具
CN212678646U (zh) 一种高度可调的学前教育课桌
KR20060004800A (ko) 나사잭이 구비된 높이조절 책상
CN216494344U (zh) 一种多功能坐姿矫正器
CN2326070Y (zh) 可调式书写保健器
KR20020081641A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200358719Y1 (ko)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