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715Y1 -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715Y1
KR200286715Y1 KR2020020017332U KR20020017332U KR200286715Y1 KR 200286715 Y1 KR200286715 Y1 KR 200286715Y1 KR 2020020017332 U KR2020020017332 U KR 2020020017332U KR 20020017332 U KR20020017332 U KR 20020017332U KR 200286715 Y1 KR200286715 Y1 KR 200286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height
stool
book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판중
신정구
Original Assignee
김판중
신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판중, 신정구 filed Critical 김판중
Priority to KR2020020017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715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결캡을 풀어낸후 걸림핀을 사람이 직접 빼주거나 끼워주어야 하므로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부지주(200)의 끼움공(210)에는 스프링(310)으로 탄발되게 걸림핀 (300)을 설치하고, 그 걸림핀(300) 외부로는 큰 구경의 하단부(503)와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 사이에 경사부(502)가 완만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부 (501)에서 하단부(503)까지의 외주면에 크랭크형의 가이드공(504)이 형성된 조절구본체(500)를 상기 걸림핀(300)이 가이드공(504) 내에 위치되게 끼우며, 상기 조절구본체(500) 외부로는 가이드공(504)을 가려주기 위한 조절캡(400)을 일체로 조립하여 조절구본체(500)를 가이드공(504)에 의해 회전 승강시킴에 따라 지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조절캡(400)만을 상하이동시키거나 좌우 회전시키면 걸림핀(300)이 자동적으로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 끼워지거나 빠지게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책상및 걸상의 높낮이를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Dcvice for height control of desk and chair}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이나 걸상의 높낮이를 빠른시간내에 힘들이지 않고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에서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및 걸상은 대개 초,중,고등학생의 표준 신체지수를 기준으로 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즉, 저학년의 경우에는 높이를 낮게 제작하고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높이를 높게 제작한 책상및 걸상을 사용토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동일학년의 경우에도 신장이 10-30Cm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키큰 학생이나 키작은 학생이나 동일높이의 책상이나 걸상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따랐다.
즉, 학생들에게 공급되는 책상이나 걸상은 각 학년의 평균신장을 기준으로 해서 제작을 하기 때문에 평균신장을 가진 학생들은 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신장이 평균신장보다 크거나 작은 학생의 경우에는 책상이나 걸상이 자신의 몸에 비해 높낮이가 맞지않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특히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시간을 교육시설에서 보내게 되는데 자신의신체조건에 맞지않는 책상이나 걸상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정상적으로 신체발육이 발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책상이나 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 실용신안등록 제256076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a 는 선등록된 종래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b 는 선등록된 종래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횡단면도로서, 다수의 체결공(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지주(10); 상기 상부지주(10)에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되는 체결캡(40); 상기 상부지주(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면에 형성된 핀공(61)을 통해 걸림핀(30)이 상기 체결공(11)에 끼워짐에 따라 상부지주(10)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부싱(60); 하부지주(20) 상단에 일체로 끼워지고, 상면에 부싱의 요입부(51)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지주(10)에 끼워진 체결캡(40)과 나사결합되는 조절구본체 (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안에 의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체결캡(40)이 조절구본체(5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부터 설명하면 먼저 조절구본체(50)와 결합되어 있는 체결캡(40)을 회전시켜서 완전히 풀어주어야만 한다. 즉, 체결캡(40)을 조절구본체(50)와 완전 분리시켜야만 요입부(51)에 끼워진 부싱(60)이 상부지주 (10)와 함께 조절구본체(50)의 요입부(51)에서 빠질 수가 있다.
그런 상태에서 상부지주(10)를 빼내면 부싱(60)이 함께 올라가 외부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부싱(60)의 걸림핀(30)을 빼내면 부싱(60)을 상부지주(10)에서 마음대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절하고자 하는 위치의 체결공(11)에 부싱(60)을 위치시킨 다음 걸림핀(30)을 꽂으면 부싱(60)은 상부지주(10)와 다시 일체가 된다.
그 후 이와 같이 부싱(60)의 위치가 조절된 상부지주(10)를 하부지주(20) 상단의 조절구본체(50)에 끼우면 상부지주(10)는 부싱(60)이 요입부(51)에 끼우져 걸릴 때까지만 끼워진 후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며, 상기 요입부(51)에 부싱(60)이 끼워지면 걸림핀(30)은 요입부(51) 벽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캡(40)을 조절구본체(50)에 결합하면 체결캡(40)과 조절구본체(50)의 나합부 체결력에 의해 상부지주(10)가 하부지주(20)의 조절구본체 (50)로부터 빠지지 않고 그 조절된 높낮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선등록된 고안은 높낮이를 조절할 때마다 매번 체결캡(40)을 풀어서 조절구본체(50)에서 완전 분리시켜야만 하고, 또한 그때마다 상부지주(10)와 부싱(60)을 결합하고 있는 걸림핀(30)을 인위적으로 빼낸 후 부싱(60)을 이동시켜 조절한 다음 걸림핀(30)을 다시 꽂아 부싱(60)을 상부지주(10)에 고정시켜야만 하는 여러 과정을 반복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싱(60)의 위치가 조절된 상부지주(10)를 하부지주(20)의 조절구본체(50)에 끼운 후 체결캡(40)을 또 다시 회전 체결하여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결국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조절 작업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지주(10)와 하부지주(20)가 서로 직접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체결캡(40)과 조절구본체(50)의 나합부 나사체결에 의한 간접방식으로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므로 의자 좌판에 사람이 앉아 그 사용자의 하중이 상부지주(10)에 가해질 때 그 하중은 모두 체결캡(40)과 조절구본체(50)의 나합부 및 부싱(60)의 핀공(61)에 끼워진 걸림핀(30)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의 대부분이 가해지는 체결캡(40)과 조절구본체(50)의 나합부인 나사탭 부위가 얼마못가 마모되면서 파손되어 체결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부싱(60)이 합성수지 사출물일 경우 걸림핀(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얼마못가 부싱(60)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이나 걸상의 높낮이를 빠른시간내에 적은 힘으로 반자동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수 있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지주의 끼움공에는 스프링으로 탄발되게 걸림핀을 설치하고, 그 걸림핀 외부로는 큰 구경의 하단부와 작은 구경의 상단부 사이에 경사부가 완만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의 외주면에 크랭크형 가이드공이 형성된 조절구본체를 상기 걸림핀이 가이드공 내에 위치되게 끼우며, 상기 조절구본체 외부로는 가이드공을 가려주기 위한 조절캡을 일체로 조립하여 조절구본체를 가이드공에 의해 회전 승강시킴에 따라 지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조절캡을 상하 이동및 좌우 회전시킴에 따라 조절구본체가 이동하여 조절구본체의 가이드공에 끼워진 걸림핀이 구경이 큰 조절구본체의 하단부에 위치되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지주의 체결공에서 걸림핀이 저절로 빠지게 되는 것이고, 걸림핀이 작은 구경의 상단부에 위치되면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걸림핀이 상부지주의 체결공속으로 끼워져 상부지주를 원하는 길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a 는 선등록된 종래 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b 는 도 1a 의 선등록된 종래 조절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절장치가 설치된 걸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4a,4b,4c,4d는 본 고안의 조절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5a,5b,5c,5d,5e는 본 고안의 조절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지주 110 : 체결공
200 : 하부지주 210 : 끼움공
220 : 탄발스프링 300 : 걸림핀
310 : 스프링 400 : 조절캡
410 : 돌기 500 : 조절구본체
501 : 상단부 502 : 경사부
503 : 하단부 504 : 가이드공
505 : 괘지홈 510 : 돌기홈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조절장치가 설치된 걸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조절장치를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4a,4b,4c,4d는 하부지주에 삽입된 상부지주에 걸림핀이 끼워지는 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5a,5b,5c,5d,5e는 조절구본체가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책/걸상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지주(10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10)을 형성하고, 상부지주(100)에 끼워지는 하부지주(200)에는 걸림핀(300)이 끼워지는 끼움공(210)을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책/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0)의 끼움공(210)에 끼워지는 걸림핀(300)은 스프링(310)으로 탄발되게 하고, 큰 구경의 하단부(503)와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 사이에 경사부(502)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단부(501)에서 하단부(503)까지의 외주면에 크랭크형 가이드공(504)이 형성된 조절구본체(500)를 상기 하부지주(200) 외주면에 끼워서 걸림핀(300)이 가이드공(504) 내에 위치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본체(500) 외부로는 가이드공(504)을 가려주면서 걸림핀 (300)을 동작시키고 중앙에 상부지주(100)가 끼워지는 조절캡(400)을 일체로 조립하여 조절구본체(500)를 가이드공(504)에 의해 회전 승강시킴에 따라 지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상기 가이드공(504)의 상측 끝단에는 괘지홈(505)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걸림핀(300)이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서 빠지면 상부지주(100)를 하부지주(200)에서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러한 상부지주(110)를 하부지주(200)에 끼운 후 체결공(110)중 임의의 것에 끼움공(21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그 일치된 체결공(110)에 걸림핀(300)이 끼워지면 상부지주 (100)와 하부지주(200)의 조절된 높낮이가 그대로 유지되는데 이는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걸림핀(300)을 일일이 사람의 힘으로 빼주거나 끼워주는 것이 아니라 조절구본체(500)의 위치에 따라 걸림핀(300)이 체결공(110)에 저절로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의 높낮이 조절을 반자동으로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절캡(400)을 조절구본체(50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조절작업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3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크게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 조절캡(400), 조절구본체(500)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캡(400)은 조절구본체(500)의 형상인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와 큰 구경의 하단부(503) 사이에 경사부(502)가 있는 형태와 같은 외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캡(400)과 조절구본체(500)는 서로 일체로 동작하도록 결합하며, 그 결합수단으로는 강제삽입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제삽입방식은 서로 헛도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절구본체(500)의 외주면과 조절캡(400)의 내주면에 서로 상응되는 형태의 돌기홈 (510)과 돌기(410)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상기 돌기(410)가 돌기홈(510) 속에 끼워지면서 조절캡(400)과 조절구본체(500)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회전 및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여기서 상기 돌기(410)와 돌기홈(510)은 조절캡(400)과 조절구본체(500)에 서로 상반된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조절캡(400)과 조절구본체(500)를 결합한 상태에서 끼움공(210)에 스프링(310)과 함께 걸림핀(300)이 끼워진 하부지주(200)의 상단부를 조절구본체(500)의 저면에 밀어 끼운다. 그러면 상기 하부지주(200)의 끼움공(210)에 끼워진 걸림핀(300)은 도 5a 와 같이 조절구본체(500)의 가이드공(503) 중 큰 구경인 하단부(503)쪽에 먼저 위치된다.
이때 가이드공(503)에 위치된 걸림핀(300)은 스프링(310)에 탄발되는 상태이지만, 도 4a 와 같이 그 가이드공(504)의 외면에 조절캡(400)이 씌워져 있으므로 조절캡(400)에 막혀서 가이드공(504)에서 이탈될 우려가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림핀(300)이 스프링(310)에 의해 탄발되면 그 걸림핀 (300) 끝단은 하부지주(200)의 끼움공(210) 내에만 위치될 뿐 하부지주(2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지는 않으므로 도 4a 와 같이 조절캡(400) 상면에서 끼워지는 상부지주(100)는 걸림핀(300)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고 하부지주(200) 내에 용이하게 삽입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b 에서와 같이 상부지주(100)의 다수개 체결공(110)중 원하는 체결공(110)과 하부지주(200)의 끼움공(210)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후 조절캡(400)이 조립된 조절구 본체(500)를 하향으로 내려주면 도 5a 에서 도 5b 와 같이 걸림핀(300)은 조절구본체(500)의 구경이 큰 하단부(503)에서 경사부(502)를 거쳐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경사부(502)를 거쳐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와 접촉된 걸림핀(501)은 스프링(310)을 점차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됨에 따라 그 걸림핀(300) 끝단은 도 4c 에서와 같이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부지주 (100)와 하부지주(200)는 걸림핀(300)에 의해 서로 결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조절캡(400)이 결합된 조절구본체(500)를 크랭크형인 가이드공(504) 형태를 따라 도 5C 와 같이 옆으로 회전시켰다가 도 5d 와 같이 조절캡(400)을 더 아래로 내린 다음 도 5e 와 같이 옆으로 돌리면 조절구본체(500)는 수직방향으로 전혀 승강 동작하지 않게 되며, 이때 가이드공(504) 끝단 상측이나 하측에 형성된 괘지홈(505) 부위가 걸림핀(300)에 위치되게 하면 그 상태에서는 곧바로 조절구본체 (500)를 옆으로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200)의 결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조절구본체(500)를 상기 과정의 역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즉, 조절구본체(5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핀(300)이 괘지홈(505)에서 벗어나면서 조절구본체(500)는 크랭크형 가이드공(504)을 따라 위로 상승된 후 옆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도 5d 상태에서 도 5c 상태를 거쳐 도 5b 상태가 된다.
이때 걸림핀(300)은 계속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 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걸림핀(300)은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 끼워져서 상부지주(100)와 하부지주 (200)의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상태이다.
그러한 상태에서 조절구본체(500)를 다시 위로 올려주면 걸림핀(300)은 경사부(502)를 거쳐 도 5a 와 같이 큰 구경의 하단부(503)에 위치하게 되므로 걸림핀 (300)은 수축되었던 스프링(310)이 복귀되는 장력에 의해 신속하게 밀려나면서 걸림핀(300)의 끝단은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서 빠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지주(100)의 삽입 깊이를 다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그 이후는 상기 처음 과정을 반복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지주(200)와 상부지주(100)를 결합할 때 하부지주(200) 내부에 탄발스프링(220)을 삽입 설치하여 하부지주(200) 속에 끼워지는 상부지주(10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때 상기 탄발스프링(220)에 의해 상부지주(100)에 탄발력이 작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발스프링(220)을 설치하면 조절구본체(500)에 의해 반자동으로동작하는 걸림핀(300)이 상부지주(100)의 체결공(110)에서 빠져 상부지주(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상측에 무거운 좌판이 설치되는 상부지주(100)를 보다 힘들이지 않고 탄발스프링(220)에 받쳐진 상태에서 가볍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조절구본체에 형성한 크랭크형의 가이드공에 의해 조절구본체를 회전 및 승강시키는 위치에 따라 스프링으로 탄발되는 걸림핀이 반자동 방식으로 상부지주의 체결공에 끼워지거나 체결공에서 빠지면서 상부지주의 삽입 깊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누구나가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를 힘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책/걸상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지주(10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10)을 형성하고, 상부지주(100)와 결합되는 하부지주(200)에는 걸림핀(300)이 끼워지는 끼움공 (210)을 형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는 책/걸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지주(200)가 끼워지는 큰 구경의 하단부(503)와 상부지주(100)가 끼워지는 작은 구경의 상단부(501) 사이에 경사부(502)가 완만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외주면에 크랭크형의 가이드공(504)이 형성된 조절구본체 (500)를 구비한 후 상기 조절구본체(500) 외부로는 같은 형태의 조절캡(400)을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조절구본체(500)의 하단부(503) 내부로는 걸림핀(300)이 스프링(310)으로 탄발되게 끼움공 (210)에 삽입된 하부지주(200)를 상기 걸림핀(300)이 가이드공(504)에 위치되게 끼워서 조절구본체(500)를 회전 승강시킴에 따라 지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본체(500)와 조절캡(400)은 서로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다수의 돌기홈(510)과 돌기(410)를 상응되게 형성하여 일체로 조립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크랭크형의 가이드공(504) 일측 끝단에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괘지홈(505)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지주(200)의 내부에 탄발스프링(220)을 설치하여 하부지주(200)에 끼워지는 상부지주(100)가 상기 탄발스프링(220)으로 탄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20017332U 2002-06-05 2002-06-05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86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32U KR200286715Y1 (ko) 2002-06-05 2002-06-05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332U KR200286715Y1 (ko) 2002-06-05 2002-06-05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715Y1 true KR200286715Y1 (ko) 2002-08-22

Family

ID=7307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332U KR200286715Y1 (ko) 2002-06-05 2002-06-05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7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86B1 (ko) 2005-05-25 2007-03-22 김태훈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KR101620198B1 (ko) 2014-10-02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지지장치
KR20230067897A (ko) * 2021-11-10 2023-05-17 한하림 절첩식 가로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586B1 (ko) 2005-05-25 2007-03-22 김태훈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KR101620198B1 (ko) 2014-10-02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지지장치
KR20230067897A (ko) * 2021-11-10 2023-05-17 한하림 절첩식 가로등
KR102548969B1 (ko) * 2021-11-10 2023-06-27 한하림 절첩식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309B1 (en) Level-adjustable and swivelable armrest assembly
US20060172866A1 (en) Elevation-adjusting device for a seat of an exercise bicycle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KR10097828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200286715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792635B1 (ko)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358077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18208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30351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52185B1 (ko) 상판의 기울임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걸림 구조
KR200386590Y1 (ko) 학생용 가구의 지주 높이 조절장치
KR200163200Y1 (ko) 책상의높낮이조절장치
KR200386551Y1 (ko)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605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US20120274113A1 (en) Adjustable Chair
US10660445B2 (en) Height adjustable chair armrest
KR100402692B1 (ko) 학생용 책/걸상 높이조절구
KR20090008070U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장치
KR100913380B1 (ko) 책,걸상용 받침다리의 높낮이 조절구
KR102184575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200390297Y1 (ko) 가구의 글라이더
KR102540295B1 (ko) 조작성이 향상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78233Y1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1125Y1 (ko)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530164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