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586B1 -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586B1
KR100698586B1 KR1020050044217A KR20050044217A KR100698586B1 KR 100698586 B1 KR100698586 B1 KR 100698586B1 KR 1020050044217 A KR1020050044217 A KR 1020050044217A KR 20050044217 A KR20050044217 A KR 20050044217A KR 100698586 B1 KR100698586 B1 KR 100698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esk
support rod
fixing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171A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05004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58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한 구성을 단순하게 함과 아울러 조절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효율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향상시킨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저면에 설치된 상부 지지봉(53)이 관통되도록 수직부(2)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봉(55)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안착부(3)가 형성된 고정 부재(4)와, 상기한 고정 부재(4)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 부재(4)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부가 고정 부재(4)의 수직부(2)와 나사 결합되는 커버 부재(6)와, 상기한 커버 부재(6)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7)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상부 지지봉(53)의 고정공(52)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스토퍼(8)와, 상기한 스토퍼(8)를 수평 이동시켜 고정공(5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하고 고정 부재(4)와 커버 부재(6)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높이조절장치, 책상용 높이조절장치, 의자용 높이조절장치

Description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FOR DESK AND CHAI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a는 도1의 조립 단면도,
도2b는 도2에서 스토퍼가 고정공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2개의 스토퍼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
도4는 일반적인 책상용 높이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5는 도4에서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관통공 2: 수직부
3: 안착부 4: 고정부재
5: 공간부 6: 커버부재
7: 끼움부 8: 스토퍼
9: 스프링 10: 회전부
11: 작동부재 12: 작동돌기
13: 절개부 14: 핀구멍
15: 홈 B: 스톱 보울트
본 발명은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한 구성을 단순하게 함과 아울러 조절 장치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등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은 아이들의 키에 맞춰서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높이 조절 장치가 부착된 책상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50)이 저면에 부착된 책상 상판(51)과, 상기한 상판(51)의 저면 양측에 결합되고 다수의 고정공(52)이 순차 형성된 상부 지지봉(53)과, 상기한 상부 지지봉(53)이 삽입되도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 받침부(54)가 형성된 하부 지지봉(55)과, 상기한 상부 지지봉(53)과 하부 지지봉(55)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봉(53)의 위치를 제한하는 조절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조절 수단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봉(55)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부 지지봉(53)이 관통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 안착부(56)가 형성된 제1조절 부재(57)와, 상기한 안착부(56)에 끼워져 고정되고 고정공(52)에 삽 입되도록 고정핀(58)이 돌출된 고정 부재(59)와, 상기한 고정 부재(59)의 상면에서 제1조절부재(57)와 나사 결합되어 이를 고정시키는 제2조절 부재(6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조절부재(60)를 분리한 후, 고정 부재(59)를 고정공(52)에서 분리하게 되면 상기한 상부 지지봉(53)이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원하는 높이를 맞춘 후 다시 고정 부재(52)를 고정공(52)에 끼우고 그 상면을 제2조절부재(60)로 고정하여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학생용 의자도 상기한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핀이 설치된 고정부재를 고정공에 삽입/분리하고 이를 다시 제2조절부재로 고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높이 조절이 매우 불편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부재를 분실할 위험이 있어서 이로 인해 책상의 사용을 못하게 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 또는 의자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절 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효율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향상시킨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저면에 설치된 상부 지지봉이 관통되도록 수직부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한 고정 부재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고정 부재의 수직부와 나사 결합되는 커버 부재와, 상기한 커버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상부 지지봉의 고정공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스토퍼와, 상기한 스토퍼를 수평 이동시켜 고정공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하고 고정 부재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서, 상부 지지봉(53)이 관통되도록 중심에 관통공(1)이 형성되는 수직부(2)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봉(55)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안착부(3)가 형성된 고정 부재(4)와, 상기한 고정 부재(4)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 부재(4)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부(5)가 형성되고 상부가 고정 부재(4)의 수직부(2)와 나사(S)로 결합되는 커버 부재(6)와, 상기한 커버 부재(6)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7)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상부 지지봉(53)의 고정공(52)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부 지지봉(책상 상판)(53)을 고정하거나 높이 조절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ㄱ"자형 스토퍼(8)와, 상기한 스토퍼(8)를 수평 이동시켜 고정공(5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하고 고정 부재(4)와 커버 부재(6)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작동 수단은 상기한 스토퍼(8)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끼움부(7)에 설 치되어 스토퍼(8)가 항상 상부 지지봉(53)측으로 탄성을 받도록 하는 다수의 스프링(9)과, 상기한 고정 부재(4)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고 안착부(3)에 안착되어 공간부(5)에서 회전 자재함과 아울러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회전부(10)가 노출되는 작동 부재(11)와, 상기한 작동 부재(11)의 일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작동 부재(11)의 회전 시 스토퍼(8)를 밀어서 스토퍼(8)가 고정공(52)과 분리되도록 하는 작동 돌기(12)와, 상기한 스토퍼(8)가 상부 지지봉(53)의 고정공(52)에 끼워지도록 고정 부재(4)의 수직부(2)에 형성된 절개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작동 부재(11)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 돌기(12)가 스토퍼(8)를 외측으로 밀게 되고, 상기한 작동 돌기(12)에 의해 스토퍼(8)가 밀리면서 고정공(52)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쉽게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스토퍼(8)는 끼움부(7)에 안착되어 저면이 지지되는 상태이고, 스토퍼(8)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접촉부(8‘)가 끼움부(7)에서 이동하는 부분이 되고, 접촉부(8’)에서 직교 상태로 꺾여 형성된 걸림부(8“)는 상부 지지봉(53)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게 된다.
또한, 커버 부재(6)와 작동 부재(11) 및 수직부(2)의 절개부(13)에 안착되어 상부 지지봉(53)에서 인가되는 힘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스프링(9)은 커버부재(6)의 외부로 연통된 핀구멍(14)을 통해 삽입되고 핀구멍(14)에 결합되는 스톱 보울트(B)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한 스토퍼(8)의 배면에 형성된 홈(15)에 타측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스프링 운동을 하게 된 다.
물론, 상기한 작동 돌기(12)는 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이와 접촉되는 스토퍼(8)가 부드럽게 수평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끼움부(7)의 하부 종단에는 일정 높이의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스토퍼(8)가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학생 또는 선생님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작동 부재(11)의 회전부(10)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작동 부재(11)를 회전시킬 때 도2b와 같이 작동 돌기(12)가 스토퍼(8)를 미는 위치에서 정지시키게 된다.
작동 돌기(12)가 스토퍼(8)의 접촉부(8')를 밀게 되면 끼움부(7)에서 스토퍼(8)가 뒤로 밀리게 되고, 상기한 스토퍼(8)가 뒤로 밀리게 되면 스토퍼(8)가 상부 지지봉(53)의 고정공(52)에서 걸림부(8")가 이탈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부 지지봉(53)은 자유롭게 승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부 지지봉(53)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 원하는 높이로 책상 상판을 조절한 후 상기한 작동 부재(11)를 다시 회전시켜서 작동 돌기(12)를 스토퍼(8)에서 이격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스토퍼(8)를 미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8)가 다시 상부 지지봉(53)으로 밀리게 된다.
상부 지지봉(53)으로 스토퍼(8)가 밀릴 때 상기한 고정공(52)으로 스토퍼(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지지봉(53)을 조절하게 되면, 스토퍼(8)가 고정공(52)으로 삽입되면서 상부 지지봉(53)이 고정된다.
물론, 상기한 상부 지지봉(53)에 하중이 인가되면 이는 스토퍼(8)를 통해 커 버 부재(6)와 작동 부재(11) 및 고정 부재(4)로 분산 인가됨으로써, 스토퍼(8)가 상부 지지봉(53)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작동 돌기(12)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부분으로 구성하고, 작동 돌기(12)에 의해 작동하는 스토퍼(8)를 대칭되도록 2개 설치하게 되면 상부 지지봉(53)을 지지하는 강성이 보다 향상되어 책상의 상판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선형의 작동 돌기가 형성된 작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부 지지봉의 고정공에 간헐 삽입/분리되도록 커버 부재에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매우 단순한 구조로 책상의 높낮이 조절을 할 수 있고, 하중지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책상의 상판 저면에 설치된 상부 지지봉이 관통되도록 수직부가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 지지봉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한 고정 부재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에서 고정 부재와의 사이에 소정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고정 부재의 수직부와 나사 결합되는 커버 부재와, 상기한 커버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끼움부에 삽입되어 수평 이동되면서 상부 지지봉의 고정공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스토퍼와, 상기한 스토퍼를 수평 이동시켜 고정공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구성하고 고정 부재와 커버 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작동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 수단은 상기한 스토퍼의 배면에 위치되도록 끼움부에 설치되어 스토퍼가 항상 상부 지지봉측으로 탄성을 받도록 하는 다수의 스프링과, 상기한 고정 부재의 상면에 끼움 결합되고 안착부에 안착되어 공간부에서 회전 자재함과 아울러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부로 회전부가 노출되는 작동 부재와, 상기한 작동 부재의 일부분에 돌출 형성되어 작동 부재의 회전 시 스토퍼를 밀어서 스토퍼가 고정공과 분리되도록 하는 곡면인 작동 돌기와, 상기한 스토퍼가 상부 지지봉의 고정공에 끼워지도록 고정 부재의 수직부에 형성된 절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 부재에 서로 대칭되도록 2개의 작동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한 2개의 작동 돌기와 대응되도록 2개의 스토퍼 및 끼움부를 형성하여 2개 부분에서 고정공에 스토퍼를 삽입/분리시켜 상부 지지봉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KR1020050044217A 2005-05-25 2005-05-25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KR100698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17A KR100698586B1 (ko) 2005-05-25 2005-05-25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217A KR100698586B1 (ko) 2005-05-25 2005-05-25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71A KR20060122171A (ko) 2006-11-30
KR100698586B1 true KR100698586B1 (ko) 2007-03-22

Family

ID=3770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217A KR100698586B1 (ko) 2005-05-25 2005-05-25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72Y1 (ko) * 2012-03-16 2013-01-21 최진우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시약장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53U (ko) * 1998-07-21 2000-02-15 박침곤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86715Y1 (ko) 2002-06-05 2002-08-22 김판중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00609Y1 (ko) 2002-10-22 2003-01-14 주식회사 스쿨피아 책상다리 높이 조절기구
KR200340796Y1 (ko) 2003-11-07 2004-02-05 라성산업 주식회사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54248Y1 (ko) 2004-02-23 2004-06-25 김승률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KR200394444Y1 (ko) 2005-05-25 2005-08-31 김태훈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53U (ko) * 1998-07-21 2000-02-15 박침곤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86715Y1 (ko) 2002-06-05 2002-08-22 김판중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00609Y1 (ko) 2002-10-22 2003-01-14 주식회사 스쿨피아 책상다리 높이 조절기구
KR200340796Y1 (ko) 2003-11-07 2004-02-05 라성산업 주식회사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KR200354248Y1 (ko) 2004-02-23 2004-06-25 김승률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KR200394444Y1 (ko) 2005-05-25 2005-08-31 김태훈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71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775B2 (en) Office chair armrest
US8585165B2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rawer
ES2415864T3 (es) Dispositivo para ajustar la altura de un cajón
EP1559347A3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KR101534414B1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KR20180000453A (ko) 낚시받침대 고정구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KR200381979Y1 (ko) 수강용 책상의 상판 가변장치
KR100698586B1 (ko)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EP2721964B1 (en) A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JP2013106630A (ja) 肘掛け装置
EP3813594A1 (en) Chair structure
KR100553665B1 (ko) 독서대를 부착한 학생용 책상
KR200396059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303511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100066201A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JP6527387B2 (ja) メモ台付き椅子
KR200394444Y1 (ko) 책상 및 의자용 높이 조절 장치
US7198326B2 (en) Desk and chair interchangeable device
JP2008099837A (ja) 椅子におけるガススプリング操作レバーの取付構造
KR20130053598A (ko) 책걸상의 회전식 높이조절장치
KR102004516B1 (ko) 이동식 레일형 조립의자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A2728522C (en) Device for adjusting height of drawer
KR101361699B1 (ko) 책상 부착형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