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201A -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201A
KR20100066201A KR1020080124892A KR20080124892A KR20100066201A KR 20100066201 A KR20100066201 A KR 20100066201A KR 1020080124892 A KR1020080124892 A KR 1020080124892A KR 20080124892 A KR20080124892 A KR 20080124892A KR 20100066201 A KR20100066201 A KR 2010006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movable
driving
lock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888B1 (ko
Inventor
정관영
Original Assignee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8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A47C1/03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by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함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와, 그리고 이동 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거나 이동 부재가 고정 부재의 설정 높이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 유닛은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긴 가이드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걸림공과,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핀과, 그리고 걸림핀을 상기 걸림공에서 인출시키거나 설정 높이에 있는 다른 걸림공에 인입시키기 위한 걸림핀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걸림핀 구동 유닛은 이동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부재와, 구동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공과, 이동 부재에 형성되어 경사공과 함께 걸림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공과, 그리고 걸림핀이 경사공 및 수평공을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구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암레스트, 팔걸이, 높낮이, 조절

Description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ARMREST HEIGHT CONTRO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함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는 의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 할 경우 사용자의 팔을 편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사람 마다 신체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연구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종래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미도시)에 고정되는 판형 부재(20)와, 상기 암레스트(10)에 고정되며 상기 판형 부재(2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31)가 빈 중공 형상의 외장 부재(30)와, 상기 외장 부재(30)와 상기 판형 부재(20) 사이의 빈 공간(31)에 위치되는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40)와, 그리고 상기 스위칭 부재(40)와 상기 외 장 부재(30) 사이에 구비되는 판 스프링 부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형 부재(20)에는 복수개의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40)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개의 홈(21) 중 어느 하나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 돌기(41)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부재(4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당길 수 있도록 레버 부재(60)가 구비되며, 그리고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도록 상기 스위칭 부재(40)의 중심부가 상기 외장 부재(30)에 힌지축(7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50)은 상기 스위칭 부재(40)가 원위치되도록 상기 스위칭 부재(4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 부재(60)를 당기면 스위칭 부재(40)가 힌지축(7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 돌기(41)가 해당 걸림홈(21)에서 이탈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암레스트(1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암레스트(10)의 높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된 후 사용자가 레버 부재(60)를 놓으면, 판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 스위칭 부재(40)가 힌지축(7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걸림 돌기(41)가 다른 해단 걸림홈에 걸리게 됨에 따라, 암레스트(1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하지만, 스위칭 부재(40)가 절곡 형상을 가짐과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외장 부재(30)와 판형 부재(20) 사이에는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스위칭 부재(40)가 회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결과적으로 외장 부재(30)가 판형 부재(20)에 헐거운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암레스트(10)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이 심하여 소음이 발생되거나 동작감이 떨어질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하여 소음을 저감함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단에 상기 암레스트가 고정되는 이동 부재와;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거나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정 높이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긴 가이드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걸림공과;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핀과; 그리고 상기 걸림핀을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서 인출시키거나 설정 높이에 있는 다른 걸림공에 인입시키기 위한 걸림핀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걸림핀 구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경사공; 상기 이동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공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상기 경사공과 함께 상기 걸림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공과; 그리고 상기 걸림핀이 상기 경사공 및 상기 수평공을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예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누름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구동 부재가 하향 이동되도록 상기 누름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경사면에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과;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부재를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 부재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을 아래로 누르게 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누름 부재를 놓으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암 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 포스트의 일단은 좌판에 체결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암 포스트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포스트는 암레스트의 하중을 원활하게 지지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상기 암 포 스트 및 상기 이동 부재를 감싸며 외장을 이루는 외장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외장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외장 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암레스트가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외장 부재에는 상기 누름 부재가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 각각은 그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을 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이동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에 상기 구동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삽입공에 상기 누름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수평 삽입공에 헐거움 없이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누름 부재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과; 그리고 상기 레일에 상응하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수평 삽입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누름 부재 중 상기 제2 경사면의 끝단에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에 걸리는 후크일 수 있다.
또한, 조립 해체시 상기 누름 부재의 후크를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끝단는 상기 누름 부재가 완전히 눌렸을 때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후크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 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상기 이동 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부재가 이동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부에 의해 구동 부재가 상/하 이동되면서 걸림핀이 걸림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구동 부재와 이동 부재 사이에 종래와 같은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구동 부재와 이동 부재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암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좌/우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 위치를 찾을 필요 없이, 고정 부재의 내부에 이동 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의 내부에 구동 부재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의 수평 삽입공에 누름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삽입시키며, 그리고 걸림핀을 걸림공, 수평공 및 경사공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를 장치 내부에서 해당 위치를 찾아 안착시켜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하는데 걸리는 시 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외장 부재 및 암 포스트를 일부 절개하여, 복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된 고정 부재와 걸림핀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의 동작을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고,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에 의해 암레스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0)와, 이동 부재(200)와, 그리고 스위칭 유닛(300)을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고정 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미도시) 또는 좌판 하부에 위치한 하부 장치(미도시)(예를 들면, 좌판을 지지하는 베이스, 베이스 에 구비되어 등받이부의 경사를 조절하는 틸팅 장치, 또는 의자의 다리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고정 부재(100)를 수용하기 위한 암 포스트(400)를 더 포함할 경우. 암 포스트(400)의 일단(410)은 상기 좌판(미도시) 또는 상기 하부 장치(미도시) 등에 체결되고, 그리고 고정 부재(100)를 수용 고정할 수 있도록 암 포스트(400)의 내부(401)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암 포스트(400)는 암레스트(10)의 하중 및 암레스트(10)에 가해지는 팔의 하중을 바람직하게 지지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부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 부재(20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외장 부재(500) 및 암레스트(10)가 순차적으로 고정된다. 즉,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를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되면 이동 부재(200)에 고정된 암레스트(10)도 상/하 이동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된다.
스위칭 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거나 이동 부재(200)가 상기 고정 부재(100)의 설정 높이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걸림공(310)과, 걸림핀(320)과, 그리고 걸림핀 구동 유닛(33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스위칭 유닛의 각 구성요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개의 걸림공(310)은 고정 부재(100)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걸림공(311)과 제2걸림공(3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걸림공(310)은 고정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긴 가이드공(LH)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가이드공(LH)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핀(320)이 제1 걸림공(311)에서 제2걸림공(31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걸림핀(320)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핀(320)은 복수개의 걸림공(310)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려 이동 부재(200)의 상/하 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걸림핀(32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걸림핀 구동 유닛(330)의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걸림핀 구동 유닛(3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320)을 걸림공(310)에서 인출시키거나 설정 높이에 있는 다른 걸림공에 인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 부재(331)와, 경사공(332)과, 수평공(333)과, 구동부(334)를 포함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걸림핀 구동 유닛(330)의 각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구동 부재(331)는 이동 부재(2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걸림핀(320)이 삽입되는 경사공(332)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사공(332)은 구동 부재(331)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수평공(333)과 함께 걸림핀(3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공(333)은 이동 부재(200)의 하부 중 상기 경사공(332)이 위치한 부위에 형성되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320)이 이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공(332)과 함께 걸림핀(32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공(332)의 하단이 수평공(333)의 좌단에 있는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331)가 하향 이동되면 경사공(332)의 상단이 또한 하향 이동되면서 수평공(333)의 우단에 위치되는데, 이렇게 이동되는 동안 경사공(332)과 수평공(333)에 모두 삽입되어 있는 걸림핀(320)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걸림핀(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공(311)에서 인출되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공(LH)을 따라 제1 걸림공(311)에서 제2걸림공(312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후, 구동 부재(331)가 후술하는 구동부(334)에 의해 상향 이동되면 경사공(332)의 하단 또한 상향 이동되면서 수평공(333)의 좌단에 위치되며, 이렇게 이동되는 동안 걸림핀(320)은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2걸림공(312에 인입되게 된다.
구동부(334)는 걸림핀(320)이 경사공(332) 및 수평공(333)을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부재(331)를 직접적으로 상/하 이동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일예로, 상기 구동부(33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누름 부재(334a)와, 구동 부재(33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경사면(334b)과, 누름 부재(334a)를 누를 경우 구동 부재(331)가 하향 이동되도록 누름 부재(334a)의 일단에 구비되되 제1 경사면(334b)에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334c)과, 그리고 구동 부재(331)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 부재(331)를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체(33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누름 부재(334a)를 사용자가 누르면 제1 및 제2 경사면(334b)(334c)에 의해 좌우 방향의 힘이 상하 방향으로 전환되 면서 상기 구동 부재(331)를 하향 이동시키게 되고, 누름 부재(334a)를 놓으면 탄성체(334d)에 의해 구동 부재(331)가 상향 이동된다. 나아가, 구동 부재(331)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경우에 걸림핀(320)이 이동되는 과정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가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00) 및 이동 부재(200) 각각은 그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을 하고, 고정 부재(100)의 내부(101)에 이동 부재(200)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이동 부재(200)의 내부(201)에 구동 부재(331)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그리고 이동 부재(200)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삽입공(210)에 누름 부재(334a)가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00)의 내부(101)에 이동 부재(20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200)의 내부(201)에 구동 부재(331)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200)의 수평 삽입공(210)에 누름 부재(334a)를 좌/우 방향으로 삽입시키며, 그리고 걸림핀(320)을 걸림공(310), 수평공(333) 및 경사공(332)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암 포스트(400)가 더 포함될 경우에도, 이렇게 조립된 장치를 암 포스트(400)의 내부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는 것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 있는 구동부(334)는 누름 부재(334a)가 수평 삽입공(210)에 헐거움 없이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부(334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안내부(334e)는 누름 부재(334a)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711)과, 그리고 레일(711)에 상응하도록 이동 부재(200) 중 수평 삽입공(210)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7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34)는 누름 부재(334a)가 수평 삽입홈(2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부(334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 방지부(334f)는 누름 부재(334a) 중 제2 경사면(334c)의 끝단에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경사면(334b)의 끝단에 걸리는 후크(hook)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해체시 누름 부재(334a)의 후크(334f)를 제1 경사면(334b)의 끝단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후크(334f)의 끝단는 누름 부재(334a)가 완전히 눌렸을 때 제1 경사면(334b)의 끝단의 높이보다 설정 높이(H)높게 위치되도록 후크(334f)의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가 고정 부재(100)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이동 부재(20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800)(fitting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암 포스트(400)의 상부 및 이동 부재(200)를 감싸며 외장을 이루는 외장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0)의 상단에는 외장 부재(500)가 고정되고, 외장 부재(500)의 상단에는 암레스트(10)가 고정되며, 그리고 외장 부재(500)에는 누름 부재(334a)가 통과되는 통과공(5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시각적 측면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현 시점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계된 외장 부재(500)를 장치에 더 부가함에 따라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부재(331)가 이동 부재(20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부(334)에 의해 구동 부재(331)가 상/하 이동되면서 걸림핀(320)이 걸림홈(31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구동 부재(331)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종래와 같은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도 8이 "40" 참조)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구동 부재(331)와 이동 부재(200)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암레스트(10)의 높낮이 조절시 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좌/우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 위치를 찾을 필요 없이, 고정 부재(100)의 내부(101)에 이동 부재(200)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200)의 내부(201)에 구동 부재(331)를 위에서 아래로 삽입시키고, 이동 부재(200)의 수평 삽입공(210)에 누름 부재(334a)를 좌/우 방향으로 삽입시키며, 그리고 걸림핀(320)을 걸림공(310), 수평공(333) 및 경사공(332)에 순차적으로 삽입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도 8의 "40" 참조)를 장치 내부에서 해당 위치를 찾아 안착시켜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조립이 용이하고 조 립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외장 부재 및 암 포스트를 일부 절개하여 복수개의 걸림공이 형성된 고정 부재 및 걸림핀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의 동작을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에 의해 암레스트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암레스트 100: 고정 부재
200: 이동 부재 300: 스위칭 유닛
310: 복수개의 걸림공 320: 걸림핀
330: 걸림핀 구동 유닛 331: 구동 부재
332: 경사공 333: 수평공
334: 구동부

Claims (10)

  1. 암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단에 상기 암레스트가 고정되는 이동 부재와;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가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에 있게 하거나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설정 높이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하는 스위칭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긴 가이드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걸림공과;
    상기 복수개의 걸림공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핀과; 그리고
    상기 걸림핀을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서 인출시키거나 설정 높이에 있는 다른 걸림공에 인입시키기 위한 걸림핀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걸림핀 구동 유닛은
    상기 이동 부재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는 경사공;
    상기 이동 부재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공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어 상기 경사공과 함께 상기 걸림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공과; 그리고
    상기 걸림핀이 상기 경사공 및 상기 수평공을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를 포함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누름 부재를 누를 경우 상기 구동 부재가 하향 이동되도록 상기 누름 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 경사면에 면 접촉되는 제2 경사면과;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부재를 상부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누름 부재를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제2 경사면이 상기 제1 경사면을 아래로 누르게 되어 상기 구동 부재가 하향 이동되고, 누름 부재를 놓으면 상기 탄성체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가 상향 이동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암 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암 포스트의 일단은 좌판에 체결되고,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를 수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암 포스트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암 포스트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암 포스트 및 상기 이동 부재를 감싸며 외장을 이루는 외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외장 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외장 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암레스트가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외장 부재에는 상기 누름 부재가 통과되는 통과공이 형성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 각각은 그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을 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내부에 상기 이동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내부에 상기 구동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이동 부재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삽입공에 상기 누름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삽입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수평 삽입공에 헐거움 없이 좌/우 이동되도록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누름 부재의 양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레일과; 그리고
    상기 레일에 상응하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수평 삽입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누름 부재 중 상기 제2 경사면의 끝단에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에 걸리는 후크인 팔걸이 높낮이 조절 장치.
  9. 제8항에서,
    조립 해체시 상기 누름 부재의 후크를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의 끝단는 상기 누름 부재가 완전히 눌렸을 때 상기 제1 경사면의 끝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후크의 길이가 설정되는 팔걸이 높낮이 조절 장치.
  10. 제6항에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에서 헐거움 없이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부재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피팅부를 더 포함하는 팔걸이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0080124892A 2008-12-09 2008-12-09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KR101008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2A KR101008888B1 (ko) 2008-12-09 2008-12-09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92A KR101008888B1 (ko) 2008-12-09 2008-12-09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01A true KR20100066201A (ko) 2010-06-17
KR101008888B1 KR101008888B1 (ko) 2011-01-17

Family

ID=4236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892A KR101008888B1 (ko) 2008-12-09 2008-12-09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400B1 (ko) * 2011-06-01 2014-04-08 주식회사 코아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KR102016648B1 (ko) * 2018-05-25 2019-08-3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의 암레스트 다단계 회전 및 높낮이 조절 장치
KR102238972B1 (ko) * 2019-07-30 2021-04-09 노홍길 사물 출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61B1 (ko) 2006-04-12 2007-07-13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JP2008194229A (ja) 2007-02-13 2008-08-28 Okamura Corp 椅子における肘掛けの高さ調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56B1 (ko) * 2012-11-21 2014-12-03 주식회사 디비케이 의자의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888B1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961B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 조절 장치 및 상하 승강 구조
US8474914B2 (en) Armrest adjustment device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008888B1 (ko) 암레스트 높낮이 조절 장치
CN107625324B (zh) 一种办公椅底盘及办公椅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626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2092146B1 (ko) 책상 또는 걸상에 사용되는 높이조절장치
JP201810383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246019B1 (ko) 가구의 높이조절장치
US7100988B1 (en) Child's highchair with a reclining back
KR101970736B1 (ko) 의자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JP2011522622A (ja) 優先制御機構
JP2010162337A (ja) 椅子
KR101563328B1 (ko) 경사조절상판을 구비한 독서실 책상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565650B1 (ko) 허리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와 시트
KR200450550Y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101369405B1 (ko) 포워드 슬로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JP5438045B2 (ja) 座の前後位置調整装置
KR102276564B1 (ko) 착석 유동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자
KR101378064B1 (ko) 좌판 포워딩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