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416B1 -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416B1
KR101015416B1 KR1020090031674A KR20090031674A KR101015416B1 KR 101015416 B1 KR101015416 B1 KR 101015416B1 KR 1020090031674 A KR1020090031674 A KR 1020090031674A KR 20090031674 A KR20090031674 A KR 20090031674A KR 101015416 B1 KR101015416 B1 KR 10101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headrest
holder
ch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2890A (ko
Inventor
임상수
Original Assignee
(주) 브이엘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브이엘퍼니처 filed Critical (주) 브이엘퍼니처
Priority to KR102009003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41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머리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심플하고 슬림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조작성이나 취급성을 크게 향상시킨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의자, 체형,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홀더, 홀더 하우징, 슬림

Description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High control device of 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머리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좌석과, 상기 좌석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다리와, 상기 좌석의 후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보통의 의자들은 대부분 사용자들이 단순하게 신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만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특히, 신체의 머리부위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에 대해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부위를 편안하게 효과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의자가 많이 제시 되고 있다.
이러한 머리받침대는 고급형 의자에 부착되어 사용자들이 업무 중이나 휴식 중에 머리를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머리받침대는 일정높이로 의자 등받이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앉은 키가 클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시 머리받침대의 높이가 낮으므로 머리 받침대가 목부분에 걸려 불편하고, 사용자의 앉은 키가 작을 경우에는 의자에 착석시 머리 받침대의 높이가 사용자의 머리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이 역시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즉 머리부위의 높이에 맞게 머리받침대를 조절할 수 있는 의자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매우 복잡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머리받침대를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함에 있어서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였기 때문에 작업성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장치가 복잡하였기 때문에 머리받침대 조립시 샤프트, 볼트 및 너트, 버튼 등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원가가 크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높이조절장치의 부피가 커서 뒷쪽으로 두툼하게 튀어나와 있는 등 디자인 측면에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조작성 측면에서도 버튼을 조작해야 하는 등 취급이 불편하고,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는 구조인 관계로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등 기능성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심플하고 슬림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조작성이나 취급성을 크게 향상시킨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들이 업무 중이나 휴식 중에 머리를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머리받침대의 받침대 프레임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홀을 가지면서 등받이 프레임에 체결 설치되는 홀더 하우징과, 상기 홀더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고 홀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통해 받침대 프레임에 있는 여러 단의 높이조절용 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돌기를 갖고 있으며 스프링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젖힘 및 복귀가능한 홀더(19)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 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받침대 프레임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용 홈의 양옆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여러 단의 위치고정용 홈과, 상기 홀더 하우징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위치고정용 홈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스톱퍼로 구성하여 머리받침대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켜주는 스톱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둘째, 종전과 같이 샤프트, 볼트 및 너트, 버튼 등을 배제하고 홀더와 홀더 하우징만으로 구성되므로서,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등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
셋째, 별도의 버튼 조작없이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신체에 알맞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작이 간편하고 취급이 편리하다.
넷째,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 슬림화 및 심플화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버튼 등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머리받침대를 올리거나 내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높이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이조절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특히 구성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구조 또한 복잡하지 않은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는 등받이 프레임(13)에 설치되는 홀더 하우징(14)과, 이 홀더 하우징(14)의 내측으로 조립되면서 머리받침대(1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해주는 홀더(19)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 하우징(14)은 양쪽의 체결부(27)를 이용하여 등받이 프레임(13)의 수평부재 뒷면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홀더 하우징(14)에는 하우징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홀(12)을 통해 머리받침대(10)의 받침대 프레임(11)이 끼워지게 된다.
특히, 이때의 홀(12)은 하단 뒷쪽 벽면이 경사면(28)으로 되어 있어서 받침대 프레임(11)을 홀(12) 내에 끼웠을 때, 받침대 프레임(11)과 경사면(28) 간에는 간격이 조성될 수 있고, 높이 조절시 이때의 간격을 이용하여 받침대 프레임(11)을 앞쪽으로 젖힐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하우징(14)의 내측면에는 좌우 중간 위치에 양쪽에서 나란한 가이드 벽체(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가이드 벽체(20)의 안쪽으로는 홀더(12)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12)는 가이드 벽체(20)의 내측으로 수용 지지되어 전후 유동시 정확한 좌우로 흔들림없이 정확한 젖힘 및 복귀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벽체(20)의 내측 벽면에는 개구부(15)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때의 개구부(15)를 통해 홀더(12)의 상단부분이 홀(12)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고, 결국 홀(12) 내에 삽입되는 받침대 프레임(11)측과 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12)는 머리받침대(10)의 높이조절시 그 조절 정도를 선택하게 해주는 수단으로서, 머리받침대(10)에 있는 높이조절용 홈(16)과 마주치면서 "딱","딱" 소리를 내면서 홈에 걸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홀더(12)는 상단부에 앞뒤로 형성되는 스프링 안착부(26) 및 돌기(17)와, 하단부의 양옆으로 연장되는 위치유지용 핀(21)을 갖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홀더 하우징(14)의 내측에 위치되어 가이드 벽체(20) 내에 좌우 측면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홀더(12)는 그 상단부가 뒷쪽으로 젖혀지거나 앞쪽으로 복원되는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동을 통해 머리받침대(10)의 받침대 프레임(11)에 있는 높이조절용 홈(16)에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12)의 상단부는 한쪽이 스프링 안착부(26)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이 등받이 프레임(13)에 지지되는 스프링(18)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홀더(12)의 상단부에 있는 돌기(17)는 항상 높이조절용 홈(16)측으로 걸려지는 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2)는 상단부가 뒷쪽으로 젖혀질 때, 하단부에 있는 위치유지용 핀(21)을 이용하여 가이드 벽체(20)의 하단측에 구속되면서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대(10)의 받침대 프레임(11)에는 안쪽면의 좌우폭 중간에서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여러 단의 높이조절용 홈(16)이 형성되어 있고, 또 이렇게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홈(16)의 양옆으로는 여러 단의 위치고정용 홈(22)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용 홈(16)으로는 홀더(19)의 돌기(17)가 걸려지게 되고, 상기 위치고정용 홈(22)으로는 후술하는 홀더 하우징(14)의 스톱퍼(23)가 걸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 프레임(11)에는 윗쪽과 아래쪽에 각각 이탈방지용 돌기(25a,25b)가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받침대 프레임(11)에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용 홈(16)의 전체 구간을 윗쪽과 아래쪽에 이탈방지용 돌기(25a,25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받침대 프레임(11)이 홀더 하우징(14)으로부터 윗쪽으로 완전히 탈거되거나, 또는 머리받침대(10)가 너무 심하게 아래쪽으로 눌려지거나 하는 등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이탈방지용 돌기(25a,25b) 중에서 아래쪽에 구비되는 이탈방지용 돌기(25b)는 분리가 가능한 스크류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머리받침대(10)의 높이 조절 후 이때의 조절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수단, 즉 스톱퍼 장치(24)를 제공한다.
상기 스톱퍼 장치(24)는 받침대 프레임(11)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단의 위치고정용 홈(22)과, 상기 홀더 하우징(14)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2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머리받침대(10)를 앞쪽으로 젖히면 스톱퍼(23)로부터 위치고정용 홈(22)이 벗어나게 되므로 이때 머리받침대(10)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고, 머리받침대(10)를 원래의 수직자세로 놓으면 스톱퍼(23)에 위치고정용 홈(22)이 걸리게 되므로 이때에는 머리받침대(10)의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초기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홀더(19)의 돌기(17)가 받침대 프레임(11)에 있는 높이조절용 홈(16)의 어느 한 곳에 걸려져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한 단계 높이기 위하여 먼저, 머리받침대를 앞쪽으로 젖히면, 받침대 프레임(11)도 경사면(28)을 이용하여 앞쪽으로 기울게 되고, 이와 동시에 홀더 하우징(14)의 스톱퍼(미도시)와 받침대 프레임(11)의 위치고정용 홈(미도시) 간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때, 홀더(19)는 상단부와 앞쪽으로 약간 젖혀진 상태가 된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잡고 앞쪽으로 젖힌 상태에서 위로 잡아 빼내면, 높이조절용 홈(16) 간의 돌출부분에 의해 홀더(19)의 돌기(17)가 밀리면서 홀더(19)는 앞쪽으로 더욱 젖혀지게 된다.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잡고 좀더 위로 잡아 빼내면, 홀더(19)의 돌기(17)는 초기상태보다 한 단계 아래쪽에 있는 높이조절용 홈(16)에 안착되면서 걸려지게 되고, 계속해서 머리받침대를 바로 세우면, 위치고정용 홈이 스톱퍼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이때의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낮추는 방법도 머리받침대를 아래로 내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위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머리받침대를 올리거나 내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 자신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높이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결국 사용자는 적절히 조절된 머리받침대에 편안하게 머리를 기대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5b,5c,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머리받침대 11 : 받침대 프레임
12 : 홀 13 : 등받이 프레임
14 : 홀더 하우징 15 : 개구부
16 : 높이조절용 홈 17 : 돌기
18 : 스프링 19 : 홀더
20 : 가이드 벽체 21 : 위치유지용 핀
22 : 위치고정용 홈 23 : 스톱퍼
24 : 스톱퍼장치 25a,25b : 이탈방지용 돌기
26 : 스프링 안착부 27 : 체결부
28 : 경사면

Claims (5)

  1. 사용자들이 업무 중이나 휴식 중에 머리를 기대는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10)의 받침대 프레임(11)이 수직으로 관통되는 홀(12)을 가지면서 등받이 프레임(13)에 체결 설치되는 홀더 하우징(14)과, 상기 홀더 하우징(14)의 내측에 설치되고 홀(12)과 연통되는 개구부(15)를 통해 받침대 프레임(11)에 있는 여러 단의 높이조절용 홈(16)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돌기(17)를 갖고 있으며 스프링(18)에 의한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젖힘 및 복귀가능한 홀더(19)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머리받침대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는 방식으로 머리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하우징(14)은 홀더(12)의 양측면부를 내측으로 수용하면서 홀더(12)의 정확한 젖힘 및 복귀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벽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19)는 뒷쪽으로 젖힘시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위치유지용 핀(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프레임(11)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용 홈(16)의 양옆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여러 단의 위치고정용 홈(22)과, 상기 홀더 하우징(14)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위치고정용 홈(22)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스톱퍼(23)로 구성되어, 머리받침대의 조절된 높이를 유지시켜주는 스톱퍼장치(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10)의 받침대 프레임(11)에는 높이조절용 홈(16)이 형성되어 있는 구간을 벗어난 윗쪽과 아래쪽에 머리받침대(10)의 완전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돌기(25a,25b)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20090031674A 2009-04-13 2009-04-13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KR10101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74A KR101015416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674A KR101015416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90A KR20090042890A (ko) 2009-05-04
KR101015416B1 true KR101015416B1 (ko) 2011-02-22

Family

ID=4085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674A KR101015416B1 (ko) 2009-04-13 2009-04-13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4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57B1 (ko) 2012-11-05 2014-02-07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101400683B1 (ko) 2013-04-19 2014-05-29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473194Y1 (ko) * 2012-12-04 2014-06-16 김국환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CN103976836A (zh) * 2014-05-10 2014-08-13 朱劲荣 病床枕头的榫卯结构控位托架
KR102445563B1 (ko)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47B1 (ko) * 2011-04-12 2013-02-20 (주)광일체어 의자 머리받침장치
CN103976835B (zh) * 2014-05-10 2017-01-25 朱劲荣 病床枕头单榫多卯形勾挂架
KR20240008687A (ko) * 2022-07-12 2024-01-19 주식회사 시디즈 헤드레스트 높이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17A (ko) * 2001-07-05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와 그 배터리 충전 회로 및 방법
KR200304617Y1 (ko) 2002-12-13 2003-02-17 주식회사 일룸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17A (ko) * 2001-07-05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와 그 배터리 충전 회로 및 방법
KR200304617Y1 (ko) 2002-12-13 2003-02-17 주식회사 일룸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757B1 (ko) 2012-11-05 2014-02-07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KR200473194Y1 (ko) * 2012-12-04 2014-06-16 김국환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KR101400683B1 (ko) 2013-04-19 2014-05-29 이현용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CN103976836A (zh) * 2014-05-10 2014-08-13 朱劲荣 病床枕头的榫卯结构控位托架
KR102445563B1 (ko)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890A (ko) 2009-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416B1 (ko)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US857937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ckrest of an office chair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JP6215659B2 (ja) 椅子
KR20110043307A (ko)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101232825B1 (ko) 의자
US20080252124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angle of a seat back of an office chair
JP2018068980A (ja) 椅子の背もたれ
JP6287948B2 (ja) 椅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KR200450550Y1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0422123Y1 (ko) 높이조절 머리 받침대를 구비한 의자
KR20190054213A (ko) 레버를 이용한 이동식 의자 일체형 수납 책상
JP5858487B2 (ja) 可搬便器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JP6307042B2 (ja) 椅子
JP6358166B2 (ja) 椅子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0409235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높이 조절 구조
CN218738052U (zh) 一种靠背扶手联动办公椅
KR20100008565U (ko) 의자용 팔걸이
KR100456722B1 (ko) 사용이 편리한 일체형 책걸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