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94Y1 -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94Y1
KR200473194Y1 KR2020120011313U KR20120011313U KR200473194Y1 KR 200473194 Y1 KR200473194 Y1 KR 200473194Y1 KR 2020120011313 U KR2020120011313 U KR 2020120011313U KR 20120011313 U KR20120011313 U KR 20120011313U KR 200473194 Y1 KR200473194 Y1 KR 200473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eight
sink
leg fix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64U (ko
Inventor
김국환
Original Assignee
김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환 filed Critical 김국환
Priority to KR2020120011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9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차가 있는 곳에서도 싱크대용 선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는 싱크대 선반의 다리에 고정되어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일면에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다리 고정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상하 이격 형성된 제1 높이 조절판; 및 일면에 제1 다리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다리 고정홈이 형성되며, 제1,2 다리 고정홈이 서로 연결되어 다리를 고정하도록 제1 높이 조절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제1,2 높이 조절판 사이에서 다리가 제1,2 다리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A height adjusting device for sink shelf}
본 고안은 싱크대용 선반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차가 있는 곳에서도 싱크대용 선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용 선반의 설치구조로는, 싱크대 찬장의 하부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 싱크대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올려놓는 구조, 싱크대의 상부와 싱크대 찬장 사이에 수직 기둥을 세우고 수직 기둥에 선반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구조 등이 있다.
싱크대 찬장에 선반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설치시부터 수평을 맞추어 고정 설치하게 되고, 수직 기둥을 이용하여 선반을 설치하는 경우 수직 기둥 상에서 높낮이와 수평을 조정하면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선반의 설치구조들에 있어서는 선반의 수평을 유지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문제는 싱크대의 상부에 선반을 이동 가능하게 올려놓는 구조이다. 선반이 놓여지는 부분이 수평상태이면 그대로 올려 놓아도 문제가 되지 않으나, 경사지거나 단차진 경우에는 선반을 그대로 올려 놓으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릇이나 컵 등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고, 심지어는 선반이 넘어질 염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바닥이 수평이 아닌 곳에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용 선반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7-0000566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선반”이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의 경우에는 선반을 구성하는 네 기둥의 하부에 스크류축을 각각 나사 조립하여 각 기둥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싱크대용 선반에 따르면 수평이 유지되지 못하는 곳에서 싱크대용 선반의 수평을 간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의 경우 높낮이가 크지 않은 부분에서는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높이 차가 큰 경우(예컨대, 싱크대의 개수대 및 조리대와 뒤쪽에 위치된 단턱 사이의 높이 차)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싱크대의 뒤쪽에는 개수대 및 조리대와 비교하여 높이 차가 큰 단턱이 형성된다. 단턱은 주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세미나 수저통, 또는 양념통 등을 올려놓는데 사용된다. 공간활용을 위해 단턱에 선반을 올려놓는 경우 단턱의 앞뒤 사이 간격이 좁기 때문에 선반 전체를 단턱에 올려놓기 어렵다.
만일, 단턱에 싱크대용 선반을 올려놓을 때 선행문헌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을 이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싱크대용 선반의 앞쪽에 위치되는 두 기둥에 구비된 스크류축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싱크대용 선반을 단턱에 올려놓을 수는 있다. 그러나, 구조상 스크류축이 기둥에 비해 직경이 작기 때문에 지지과정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사용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스크류축이 회전하는 경우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싱크대 위에 선반을 올려놓을 때 높이 차가 큰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선반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는 싱크대 선반의 다리에 고정되어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일면에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다리 고정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상하 이격 형성된 제1 높이 조절판; 및 일면에 제1 다리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다리 고정홈이 형성되며, 제1,2 다리 고정홈이 서로 연결되어 다리를 고정하도록 제1 높이 조절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제1,2 높이 조절판 사이에서 다리가 제1,2 다리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2 높이 조절판의 일면 상측 및 하측에는 다리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 제한부가 각각 형성되며, 제1,2 다리 고정홈들은 두 위치 제한부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2다리 고정홈의 높이는 다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리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다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제1,2다리 고정홈에는 연결부가 삽입 고정된다.
연결부는 라운딩되게 형성되거나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게 제1,2다리 고정홈도 라운딩되거나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따르면, 싱크대 선반의 다리를 높이 조절구가 감싸면서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높이 조절구로 싱크대 선반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높이가 변하지 않고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높이 차가 크게 발생하는 곳에서도 싱크대 선반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높이 조절판에 싱크대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높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높이 조절판에 형성된 제1,2 다리 고정홈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100)는 싱크대 선반(1)의 다리(10)에 결합되어 싱크대 선반(1)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높이 조절구(100)를 이용하여 싱크대 선반(1)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100)는 싱크대 선반(1)을 싱크대의 후단부 단턱(2)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싱크대 선반(1)의 앞쪽 다리(10)에 결합되어 싱크대 선반(1)의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싱크대 선반(1)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단턱(2)의 전후폭은 싱크대 선반(1)의 전후폭보다 작기 때문에 단턱(2)에 싱크대 선반(1) 전체를 올려놓을 수 없다. 따라서, 싱크대 선반(1)의 앞부분은 단턱(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싱크대 선반(1)의 앞쪽에 위치된 두 다리(10)가 바닥에 닿지 않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구(100)를 앞쪽 두 다리(10)에 결합하여 두 다리(10)를 연장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구(100)와 다리(10) 사이의 상대적인 결합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단턱(2)의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구(100)의 결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싱크대 선반(1)을 수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100)는 제1 높이 조절판(110)과, 제2 높이 조절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2 높이 조절판(110)(120)은 나사를 이용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높이 조절판(110)은 판 형태로 된 제1 다리 고정부(111)와, 제1 다리 고정부(1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에 접촉되는 제1 바닥 접촉부(112)를 포함한다. 제1 바닥 접촉부(112)의 하단은 라운딩되게 형성된다.
제1 다리 고정부(111)의 일면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며, 다른 면에는 선반의 다리를 구성하는 후술할 연장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1 다리 고정홈(111a)이 동일 패턴, 동일 간격으로 상하 이격 형성된다. 제1 다리 고정홈(111a) 사이에는 연장부가 걸쳐 지지되는 제1 다리 고정돌기(111b)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다리 고정부(111)의 다른 면 상측 및 하측에는 다리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 제한부(111c)(111d)가 각각 형성된다. 즉, 위치 제한부(111c)(111d) 사이에서만 다리가 삽입 고정되며, 위치 제한부(111c)(111d)로 인해 다리의 위치변동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위치 제한부(111c)(111d)로 인해 제1,2 높이 조절판(110)(1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리의 상,하부 이탈이 방지된다.
제1 다리 고정부(111)의 다른 면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위치 제한부(111c) 및 제1 다리 고정홈(111a)의 양쪽에는 다리를 구성하는 후술할 한 쌍의 수직부가 각각 관통되는 제1 다리 관통홈(111e)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다리 고정부(111)의 상측 및 하측에는 나사가 관통 결합되는 제1 나사 관통홀(111f)이 각각 형성된다.
제2 높이 조절판(120)도 제1 높이 조절판(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제2 높이 조절판(120)은 제2 다리 고정부(121)와 제2 바닥 접촉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다리 고정부(121)의 일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다른 면에는 제2 다리 고정홈(121a), 제2 다리 고정돌기(121b), 위치 제한부(121c)(121d), 제2 다리 관통홈(121e), 및 제2 나사 관통홀(121f)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높이 조절판(110)과 제2 높이 조절판(120)은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이 형성된 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결합된다.
제1,2 높이 조절판(110)(120) 사이에 싱크대 다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높이 조절판(110)(120)이 서로 결합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2 다리 관통홈(111e)(121e)이 서로 연결되어 다리의 수직부가 관통되는 다리 관통홀을 각각 형성한다.
제1,2 높이 조절판(110)(120) 사이에 다리의 연결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높이 조절판(110)(120)을 서로 결합하면, 위치 제한부(111c)(111d)(121c)(121d)로 인해 다리의 연결부는 제1,2 다리 고정부(111)(121)로부터 분리되지 못한다.
한편,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의 높이는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근소한 차이로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1,2 높이 조절판(110)(1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다리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높이 조절판에 싱크대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높이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싱크대 선반의 다리(10)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직부(11)와, 수직부(11)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로 구성된다. 연결부(12)는 원호형상으로 라운딩되게 형성된다.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에는 연결부(12)가 삽입 고정되며,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은 연결부(12)의 형상에 대응되게 원호형상으로 라운딩되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 사이에 연결부(12)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다리(10)에 대하여 본 고안 높이 조절구(100)의 결합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연결부(12)가 복수 개의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들 중 아래쪽(도면상 점선)에 위치되는 것에 비해 위쪽(도면상 실선)에 위치될 때 다리(10)의 연장길이가 길어진다.
도 8은 높이 조절판에 형성된 제1,2 다리 고정홈의 다른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싱크대 선반(1)의 다리를 구성하는 연결부(12)는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12)에 대응되게 제1,2 다리 고정홈(111a)(121a)의 형상도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구가 적용된 싱크대용 선반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와 같이 싱크대 선반(1)을 단턱(2)이 아닌 싱크대 상면에 설치하는 경우 싱크대 선반(1)을 지지하는 네 개의 다리(10)에 본 고안 높이 조절구(100)를 결합하여 싱크대 선반(1)을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싱크대 상면이 경사지지 않고 수평한 경우에는 높이 조절구(100)를 각 다리(10)에 동일한 높이로 결합하고, 싱크대 상면이 경사진 경우에는 높이 조절구(100)의 결합위치를 달리하여 싱크대 선반(1)의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0 : 높이 조절구 110 : 제1 높이 조절판
111 : 제1 다리 고정부 112 : 제1 바닥 접촉부
120 : 제2 높이 조절판 121 : 제2 다리 고정부
122 : 제2 바닥 접촉부

Claims (5)

  1. 싱크대 선반의 다리에 고정되어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선반의 다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다리 고정홈이 동일한 패턴으로 상하 이격 형성된 제1 높이 조절판; 및
    일면에 상기 제1 다리 고정홈과 대응되는 제2 다리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다리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높이 조절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2 높이 조절판 사이에서 상기 다리가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싱크대 선반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높이 조절판의 일면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다리의 고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위치 제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 다리 고정홈들은 상기 두 위치 제한부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다리 고정홈의 높이는 상기 다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리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라운딩되게 형성되거나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게 상기 제1,2다리 고정홈도 라운딩되거나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KR2020120011313U 2012-12-04 2012-12-04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KR200473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13U KR200473194Y1 (ko) 2012-12-04 2012-12-04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313U KR200473194Y1 (ko) 2012-12-04 2012-12-04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64U KR20140003564U (ko) 2014-06-12
KR200473194Y1 true KR200473194Y1 (ko) 2014-06-16

Family

ID=5149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313U KR200473194Y1 (ko) 2012-12-04 2012-12-04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17A (ko) 2017-09-22 2019-04-01 이영숙 조명 기능을 갖는 주방용 선반 기구
KR20190035150A (ko) 2017-09-26 2019-04-03 이영숙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438A (ko) * 2004-09-03 2006-03-08 김형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15416B1 (ko) * 2009-04-13 2011-02-22 (주) 브이엘퍼니처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438A (ko) * 2004-09-03 2006-03-08 김형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15416B1 (ko) * 2009-04-13 2011-02-22 (주) 브이엘퍼니처 의자의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917A (ko) 2017-09-22 2019-04-01 이영숙 조명 기능을 갖는 주방용 선반 기구
KR20190035150A (ko) 2017-09-26 2019-04-03 이영숙 주방 선반 설치용 조립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64U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2133A1 (en) Modular Welding Table
KR10169770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KR200473194Y1 (ko) 싱크대용 선반 높이 조절구
US20060254996A1 (en) Adjustable shelf system
US20190045920A1 (en) Adjustable height table
KR101810743B1 (ko)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용 브라켓,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US20100140202A1 (en) Free Standing Shelving Unit
KR200465696Y1 (ko) 높이 조절이 편리한 마루틀 시스템
KR200475787Y1 (ko) 조립식 가구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054374B1 (ko) 선반 설치대
JP5983057B2 (ja) 机の脚装置
KR200489497Y1 (ko) 보드 거치대
JP2009022632A (ja) 上棚付き机
JP2009022633A (ja)
JP6627119B2 (ja) 什器
JP2007289354A (ja) 組替え可能な棚付き机
KR200475279Y1 (ko) 독서실 책상용 독서대
JP2019088556A (ja) キッチン用オイルガード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
JP2009261841A5 (ko)
JP6821264B2 (ja)
JP2005342377A (ja) 書棚付き机
JP2012120732A (ja) デスク装置
JP5379262B2 (ja)
JP2011172978A (ja) 机の脚装置
KR200291092Y1 (ko) 코너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